KR101994352B1 -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352B1
KR101994352B1 KR1020170106710A KR20170106710A KR101994352B1 KR 101994352 B1 KR101994352 B1 KR 101994352B1 KR 1020170106710 A KR1020170106710 A KR 1020170106710A KR 20170106710 A KR20170106710 A KR 20170106710A KR 101994352 B1 KR101994352 B1 KR 10199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unit
power
power take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113A (ko
Inventor
곽봉우
김명복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0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8Controlling power parameters of the driveline, e.g. determining the required power
    • B60Y2300/1886Controlling power supply to auxiliary devices
    • B60Y2300/1888Control of power take off [P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기능 장비에 전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농업용 차량에 연결된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농업용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된 상기 동력인출장치(EPTO)에 기능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상기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 c) 판별된 상기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설정된 상기 전압 및 주파수로 상기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POWER TAKE-OFF CONNECTED TO AGRICULTURAL VEHICLES}
본 발명은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기능 장비에 전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전기동력인출장치(EPTO: Electirc Power Take Off)는 차량의 배터리를 차량의 주행 외에 다른 용도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농약분무기, 급수장비(이하 '기능유닛'이라 한다)가 구비된 농업용 차량에 있어서, 전기동력인출장치는 농업용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기능유닛에 전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동력인출장치는 기능유닛에 전력을 제공할 때, 각 기능유닛에 적합한 전원을 수동으로 입력하여 전원을 변환하여 제공해야 했기 때문에 기능유닛을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즉, 여러 기능유닛을 교체할 때, 각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원을 일일이 입력해야 했기 때문에 기능유닛의 교체시 시간이 지체되고,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458호(2013.11.20)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기능 장비에 전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농업용 차량에 연결된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농업용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된 상기 동력인출장치(EPTO)에 기능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상기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 c) 판별된 상기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설정된 상기 전압 및 주파수로 상기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되는 상기 기능유닛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번호에 따른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상기 기능유닛의 식별번호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판별된 상기 식별번호에 따라 저장된 상기 전압 및 주파수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전력을 저전압의 직류(DC)에서 고전압의 직류(DC)로 변환하는 단계; 및 d2) 상기 전력을 상기 고전압의 직류(DC)에서 기설정된 상기 전압 및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교류(AC)로 변환하여 상기 기능유닛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1차측은 병렬 2차측은 직렬로 연결된 구조의 푸쉬-풀 컨버터(push-pull converter) 회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단상 풀 브릿지 인버터(single phase inverter) 회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적용한 농업용 전기차량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동력인출장치에 기능유닛이 연결시 자동으로 기능유닛을 판별하고, 각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원 사양에 따라 전력을 변환하여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기능유닛이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의 통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별부의 전력 변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농업용 차량에 연결된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될 기능유닛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식별번호에 따른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저장하는 단계(S10), 농업용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된 상기 동력인출장치(EPTO)에 기능유닛을 연결하는 단계(S20),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S30), 판별된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S40) 및 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로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1)의 구조를 설명하고, 농업용 차량에 연결된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동력인출장치(1)는 케이블(2), 유전체(3), 판별부(4) 및 전력인출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2)은 상기 농업용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3)는 통신단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되며, 상기 유전체(3)에는 상기 판별부(4) 및 상기 전력인출부(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별부(4)는 상기 동력인출장치(1)와 연결된 상기 기능유닛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기능유닛에 적합한 최적의 전원 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유닛은 상기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농기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인출부(5)는 상기 판별부(4)에 의해 결정된 전원 사양에 따라 전력을 상기 기능유닛에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농업용 차량에 연결된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상기와 같이 마련된 상기 동력인출부(1)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농업용 차량에 연결된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먼저,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될 기능유닛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식별번호에 따른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저장하는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기능유닛은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으며, 각 기능유닛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전압 및 주파수는 상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도록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될 기능유닛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식별번호에 따른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저장하는 단계(S10) 이후에는, 상기 농업용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된 상기 동력인출장치(EPTO)에 기능유닛을 연결하는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상기 기능유닛은 상기 동력인출장치(1)의 상기 유전체(3)에 마련된 상기 판별부(4) 및 상기 전력인출부(5)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인출장치의 통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농업용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된 상기 동력인출장치(EPTO)에 기능유닛을 연결하는 단계(S20) 이후에는,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상기 동력인출장치(1)의 상기 판별부(4)는 상기 기능유닛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S30)는, 상기 동력인출장치(1)에 연결된 상기 기능유닛의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될 기능유닛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식별번호에 따른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저장하는 단계(S10)에서 부여된 식별번호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판별부(4)는 상기 기능유닛이 연결되었을 때, a구간과 같이, 상기 기능유닛의 연결 상태 및 상기 기능유닛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b구간에서 상기 판별부(4)는 소정의 대기 시간을 거치며, c구간에서 상기 판별부(4)는 제공받은 상기 기능유닛의 식별번호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S30) 이후에는, 판별된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상기 동력인출장치(1)는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S30)에서 판별된 상기 식별번호에 따라 연동하여 저장된 상기 전압 및 주파수를 자동으로 불러와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될 기능유닛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식별번호에 따른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저장하는 단계(S10)에서, 상기 기능유닛 중 하나인 농약분무장치의 고유 식별번호는 No.1로 설정되고, 상기 No.1의 전압 및 주파수가 교류 350V로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S30)에서, 연결된 상기 기능유닛의 식별번호가 No.1인 경우, 판별된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S40)에서는 자동으로 No.1과 연동되어 저장된 교류 350V로 제공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판별된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S40) 이후에는, 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로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S5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별부의 전력 변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로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S50)는 전력을 저전압의 직류(DC)에서 고전압의 직류(DC)로 변환하는 단계(S51) 및 전력을 고전압의 직류(DC)에서 기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교류(AC)로 변환하여 기능유닛에 제공하는 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을 저전압의 직류(DC)에서 고전압의 직류(DC)로 변환하는 단계(S51)에서, 배터리에 저장된 저전압의 직류는 고전압의 직류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인출장치(1)의 전력인출부(5)는 상기 저전압의 직류를 고전압의 직류로 변환하기 위해 1차측은 병렬 2차측은 직렬로 연결된 구조의 푸쉬-풀 컨버터(push-pull converter)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전력인출부(5)는 병렬 연결된 1차측에서 트랜스포머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낮은 전류용량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선정하여 낮은 승압비로 고전압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인출부(5)는 저전압의 직류를 고전압의 직류로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전력을 저전압의 직류(DC)에서 고전압의 직류(DC)로 변환하는 단계(S51) 이후에는, 전력을 고전압의 직류(DC)에서 기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교류(AC)로 변환하여 기능유닛에 제공하는 단계(S52)가 수행될 수 있다.
전력을 고전압의 직류(DC)에서 기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교류(AC)로 변환하여 기능유닛에 제공하는 단계(S52)에서, 상기 동력인출장치(1)의 전력인출부(5)는 상기 고전압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기 위해 단상 풀 브릿지 인버터(single phase inverter)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을 고전압의 직류(DC)에서 기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교류(AC)로 변환하여 기능유닛에 제공하는 단계(S52)에서 상기 단상 풀 브릿지 인버터 회로는 상기 고전압으로 승압된 전력을 판별된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S40)에서 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기능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로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S50)는,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S30)에서 판별이 불가능한 기능유닛이 연결된 경우, 통합제어기에서 기설정된 전원으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수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기능유닛을 판별하는 단계(S30)에서 판별이 불가능한 기능유닛이 연결된 경우, 상기 설정된 전압 및 주파수로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S50)는 상기 기능유닛의 식별번호를 생성하고, 수동으로 제어하여 설정한 전압 및 주파수를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한 번은 사용한 기능유닛이 상기 동력인출장치(1)에 연결되었을 때, 별도의 설정이 없이도 자동으로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가 설정되어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상기 동력인출장치(1)에 기능유닛이 연결시 자동으로 기능유닛을 판별하고, 각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원 사양에 따라 전력을 변환하여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기능유닛이 상기 동력인출장치(1)에 연결되었을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유닛이 상기 동력인출장치(1)에 연결되었을 때, 자동으로 전원을 설정하여 제공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수동으로 전원을 제어할 때, 실수로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마령느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농업용 전기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동력인출장치
2: 케이블
3: 유전체
4: 판별부
5: 전력인출부
6: 푸쉬-풀 컨버터
7: 단상 풀 브릿지 인버터

Claims (8)

  1. 농업용 차량에 연결된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력인출장치는 케이블, 통신단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된 유전체, 판별부 및 전력인출부를 포함하며,
    a) 상기 농업용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된 상기 동력인출장치(EPTO)에 기능유닛을 상기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상기 기능유닛의 연결 상태 및 정보를 자동으로 요청하여 상기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식별번호를 자동으로 제공받아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식별번호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기능유닛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c) 판별된 상기 기능유닛의 종류에 대응되는 식별번호에 따라 연동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의 전압 및 주파수를 자동으로 불러와 판별된 상기 기능유닛에 따른 고유의 제공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설정된 상기 전압 및 주파수로 상기 전력인출부가 상기 기능유닛에 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되는 상기 기능유닛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미리 부여하고, 상기 기능유닛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상기 식별번호와 대응하도록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판별부는,
    상기 기능유닛의 연결 상태 및 상기 기능유닛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소정의 대기 시간을 거친 후, 제공받은 상기 기능유닛의 식별번호를 자동으로 제공받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전력인출부는,
    d1) 상기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된 저전압의 직류(DC)에서 고전압의 직류(DC)로 변환하는 단계; 및
    d2) 상기 전력을 상기 고전압의 직류(DC)에서 기설정된 상기 전압 및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교류(AC)로 변환하여 상기 기능유닛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1) 단계는, 1차측은 병렬 2차측은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 의해 이루어져, 병렬 연결된 1차측에서 트랜스포머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낮은 전류용량의 전력 반도체 소자를 선정하여 낮은 승압비로 고전압의 전력을 출력하며,
    상기 d2) 단계는, 단상 풀 브릿지 인버터(single phase inverter) 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전압으로 승압된 전력을 상기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전압 및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기능유닛에 제공하며,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판별부가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연결된 상기 기능유닛 종류의 판별이 불가능할 경우, 통합제어기에서 기설정된 전원으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유닛 종류에 해당하는 새로운 식별번호를 생성하고 수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동으로 설정한 전압 및 주파수를 상기 새로운 식별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a) 내지 d) 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적어도 한번 이상 사용된 상기 기능유닛이 상기 동력인출장치에 재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능유닛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번호를 통하여 별도의 설정 없이 최적의 전압 및 주파수를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따른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적용한 농업용 전기차량.
KR1020170106710A 2017-08-23 2017-08-23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10A KR101994352B1 (ko) 2017-08-23 2017-08-23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10A KR101994352B1 (ko) 2017-08-23 2017-08-23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13A KR20190023113A (ko) 2019-03-08
KR101994352B1 true KR101994352B1 (ko) 2019-09-25

Family

ID=6580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710A KR101994352B1 (ko) 2017-08-23 2017-08-23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095B1 (ko) * 2021-08-05 2024-01-31 (주)대불조선 농업용 4륜 전기운반차 동력전달 제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605A (ja) * 1999-09-30 2001-04-13 Tcm Corp 電動走行式産業用車両
KR101470232B1 (ko) * 2013-11-01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458B1 (ko) 1994-07-06 1998-04-22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 화면수직크기 자동보정 방법 및 회로
KR100772658B1 (ko) * 2006-04-19 2007-11-0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능동 클램프 전류원 푸쉬풀 직류-직류 컨버터
US7497273B2 (en) * 2007-03-07 2009-03-03 Optimal Innovations, Inc. Plug and play utility control modu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605A (ja) * 1999-09-30 2001-04-13 Tcm Corp 電動走行式産業用車両
KR101470232B1 (ko) * 2013-11-01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13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6395B2 (en) Voltage convert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648677B2 (en) LED driving circuit and method using single inductor
US104838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rting up a high density isolated DC-to-DC power converter
US20150028761A1 (en) Transformer for a lamp, led converter, and transformer operation method
US20080291709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11617252B2 (en) Multimode switch
JP2018098998A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同期整流コントローラ、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EP2963997B1 (en) Integrated light-emitting diode drive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94352B1 (ko)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의 제어방법
US10615637B2 (e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apparatus with shared electronic components
US10356873B1 (en) Multiple interface LED driver with inherent overvoltage protection
US9853555B2 (en) Universal power adapter and an associated method thereof
CA2973377A1 (en) Emergency system with brown-out detection
EP3379709A1 (en) Invert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634940B2 (ja) 調光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CN110831278B (zh) 用于led装置的驱动器及led系统
US9024601B2 (en) Voltage converting apparatus with low power consumption
JP2013157207A (ja) Led点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5945046B1 (ja) 自動電圧調整器
US9385607B2 (en) Safe electric power regulating circuit
KR102019512B1 (ko) 전동압축기용 인버터를 위한 정전압 장치
JP7340975B2 (ja) Dc/dcコンバータシステム、動作指示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2119578B (zh) 电力供应电路、控制方法和电设备
JP2022509651A (ja) Led照明ユニットのための電源
KR102108503B1 (ko) 시비율 가변 제어가 가능한 전류 평형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