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843B1 -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 - Google Patents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843B1
KR101992843B1 KR1020190016588A KR20190016588A KR101992843B1 KR 101992843 B1 KR101992843 B1 KR 101992843B1 KR 1020190016588 A KR1020190016588 A KR 1020190016588A KR 20190016588 A KR20190016588 A KR 20190016588A KR 101992843 B1 KR101992843 B1 KR 10199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rt
shaft
bracket
shielding film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스
Priority to KR102019001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27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means for generating solar energy
    • H02J2007/006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1)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그늘막은, 노면에 직립하는 지주(3)와; 지주(3)에 장착되며 태양광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9)과; 지주(3)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태양전지판(9)과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에 의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포트(11)와; 그리고 지주(3)에 장착되어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부(15)를 포함하며, 승하강부(15)는 충전포트(11)의 후면에 돌출되며 나사홀(h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래킷(23)과; 브래킷(23)의 나사홀(h1)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는 샤프트(19)와; 샤프트(19)의 상부에 장착되어 샤프트(19)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조립체(17)와; 브래킷(23)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레일홈(25)과; 지주(3)의 내측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한 쌍의 레일홈(25)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19)의 회전시 충전포트(11)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21)와; 그리고 모터 조립체(17)의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스위치(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Shade canopy having charging port}
본 발명은 그늘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늘막에 태양전지판을 장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충전포트로 공급함으로써 보행자가 신호를 기다리면서 전자기기를 충전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사거리 등 교차로, 도로에 설치되어 적색, 녹색, 황색 등의 램프를 점멸시킴으로써 통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정지, 우회, 진행 등을 지시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어 점멸함으로써 신호를 발신하는 램프로 구성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신호등의 주위에 태양빛을 막기 위한 그늘막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그늘막은 보행자가 신호를 기다리는 동안 햇빛을 피하는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그늘막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16-124315호(명칭:접이식 대형 파라솔)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그늘막에 태양전지판을 장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고, 또한 충전포트를 지주상에서 승하강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면에 직립하는 지주(3)와;
지주(3)에 장착되며 태양광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9)과;
지주(3)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태양전지판(9)과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에 의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포트(11)와; 그리고
지주(3)에 장착되어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부(15)를 포함하며,
승하강부(15)는 충전포트(11)의 후면에 돌출되며 나사홀(h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래킷(23)과;
브래킷(23)의 나사홀(h1)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는 샤프트(19)와;
샤프트(19)의 상부에 장착되어 샤프트(19)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조립체(17)와;
브래킷(23)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레일홈(25)과;
지주(3)의 내측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한 쌍의 레일홈(25)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19)의 회전시 충전포트(11)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21)와; 그리고
모터 조립체(17)의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스위치(13)를 포함하는 그늘막(1)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늘막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그늘막에 태양전지판을 장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둘째, 충전포트를 지주상에서 승하강부에 의하여 쉽게 승하강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충전이 필요한 경우 스위치를 눌러서 충전포트를 하강시켜서 사용함으로써 장난 등에 의한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지주상의 관통홀에 차단막을 구비하고, 이 차단막을 충전포트에 연결함으로써 충전포트가 승하강할 때 차단막이 같이 승하강함으로써 관통홀을 차단하여 빗물 등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포트 및 충전포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충전포트 및 승하강부가 지주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승하강부 및 충전포트의 후방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충전포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행 신호까지의 잔여시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그늘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그늘막(1)은, 노면에 직립하는 지주(3)와; 지주(3)에 장착되며 태양광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9)과; 지주(3)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태양전지판(9)과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에 의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포트(11)와;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부(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그늘막(1)에 있어서,
지주(3)는 통상적인 구조의 그늘막(1)을 지지하기 위하여 노면에 직립한다. 그리고, 지주(3)의 상부에는 태양전지판(9)이 장착됨으로써 태양광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생산된 전력은 충전포트(11)에 공급됨으로써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포트(11)는 지주(3)의 일측에 장착되며, USB 충전포트(25), 일반 전기 충전포트 등 다양한 포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보행자는 그늘막(1)에 구비된 충전포트(11)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그늘막(1)이 도로가에 설치되므로 아이 등의 보행자들이 장난으로 파손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포트(11)를 승하강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보행자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하고, 필요시에만 충전포트(11)를 하강시켜서 충전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15)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포트(11)의 후면에 돌출되며 나사홀(h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브래킷(Bracket;23)과; 브래킷(23)의 나사홀(h1)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는 샤프트(Shaft;19)와; 샤프트(19)의 상부에 장착되어 샤프트(19)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조립체(17)와; 브래킷(23)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레일홈(25)과; 지주(3)의 내측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한 쌍의 레일홈(25)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19)의 회전시 충전포트(11)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로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Guide;21)와; 모터 조립체(17)의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스위치(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승하강부(15)에 있어서, 브래킷(23)은 충전포트(11)의 후면에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브래킷(23)에는 나사홀(h1)이 형성되며 이 나사홀(h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샤프트(19)는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며, 샤프트(19)가 나사홀(h1)에 삽입될 때 샤프트(19)의 숫나사산이 나사홀(h1)의 암나사산에 결합된다.
따라서, 샤프트(19)가 회전할 때, 암나사산과 숫나사산의 암수결합으로 인하여 충전포트(11)가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19)는 모터 조립체(17)에 의하여 회전하는 바, 이러한 모터 조립체(17)는 회전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모터를 의미한다.
또한, 이 모터 조립체(17)는 지주(3)의 내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 조립체(17)가 구동하는 경우 회전축에 연결된 샤프트(19)가 회전함으로써 브래킷(23)에 의하여 나사결합된 충전포트(11)가 승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조립체(17)는 지주(3)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13)에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치(13)는 태양전지판(9)에서 모터 조립체(17)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거나, 모터 조립체(17)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13)는 일측은 하강 스위치(28)이고, 타측은 상승 스위치(29)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 스위치(13)를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모터 조립체(17)의 회전축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충전포트(1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23)의 양측면에는 레일홈(25)이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된다. 또한, 이 한 쌍의 레일홈(25)에는 가이드(21)가 활주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21)는 지주(3)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모터 조립체(17)의 구동에 의하여 충전포트(11)가 승하강할 때, 한 쌍의 가이드(21)가 레일홈(25)에 결합됨으로써 브래킷(23)이 샤프트(19)를 따라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전포트(11)가 안정적으로 상승 혹은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충전포트(11)가 하강할 때, 충전포트(11)가 위치했던 지주(3)에는 관통홀(h)이 노출되므로 이 관통홀(h)을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 이나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차단막(27,30)으로 이 관통홀(h)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막(27,30)은 충전포트(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차단막(27)과,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차단막(30)을 포함한다.
상부 차단막(27)은 상측은 지주(3)의 관통홀(h) 상부에 고정되고, 하측은 충전포트(11)의 상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부 차단막(27)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물론, 상부 차단막(27)이 가로방향으로 주름진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충전포트(11)가 하강할 때, 상부 차단막(27)도 같이 하강함으로써 관통홀(h)을 차단하게 되고, 충전포트(11)가 상승할 때에는 상부 차단막(27)도 하부에서부터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하부 차단막(30)은 충전포트(11)의 하부에 구비된다. 즉, 충전포트(11)는 평상시에는 상승한 상태이므로 관통홀(h)의 하부가 노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하부 관통홀(h)을 차단하기 위하여 하부 차단막(30)이 충전포트(11)의 하부에도 장착된다.
즉, 하부 차단막(30)은 상측은 충전포트(11)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측은 관통홀(h)의 하부 테두리에 고정된다. 이때, 하부 차단막(30)은 상부 차단막(27)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이고, 가로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차단막(30)은 충전포트(11)가 승하강할 때 같이 승하강함으로써 관통홀(h)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충전포트(11)가 승하강할 때에 상부 및 하부 차단막(27,30)이 관통홀(h)을 순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충전포트(11)에서 충전하는 동안 보행신호 시간을 미리 알려줌으로써 대비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포트(11)에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2)를 배치하고, 이 디스플레이(32)를 신호램프(5)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연결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2)는 제어기에서 전송되는 신호램프(5)의 발광시간을 수신하여 다음 보행 신호램프(5)가 발광할 때까지 잔여시간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포트(11)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하면서 다음 보행신호까지 잔여시간을 인식하게 되므로 적절하게 충전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Claims (5)

  1. 노면에 직립하는 지주(3)와;
    지주(3)에 장착되며 태양광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판(9)과;
    지주(3)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태양전지판(9)과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에 의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포트(11)와; 그리고
    지주(3)에 장착되어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부(15)를 포함하며,
    승하강부(15)는 충전포트(11)의 후면에 돌출되며 나사홀(h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래킷(23)과;
    브래킷(23)의 나사홀(h1)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하는 샤프트(19)와;
    샤프트(19)의 상부에 장착되어 샤프트(19)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충전포트(11)를 승하강시키는 모터 조립체(17)와;
    브래킷(23)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레일홈(25)과;
    지주(3)의 내측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한 쌍의 레일홈(25)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19)의 회전시 충전포트(11)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21)와; 그리고
    모터 조립체(17)의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스위치(13)를 포함하며,
    지주(3)의 관통홀(h)에는 차단막(27,30)이 구비되는 바,
    차단막(27,30)은 충전포트(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차단막(27)과,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차단막(30)을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차단막(27,30)은 플렉시블한 재질이며, 가로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고,
    상부 차단막(27)의 상부는 관통홀(h)의 상부 테두리에 고정되고, 하부는 충전포트(11)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 차단막(30)의 상부는 충전포트(11)의 하부에 고정되며, 하부는 관통홀(h)의 하부 테두리에 고정됨으로써 충전포트(11)가 승하강할 때 관통홀(h)의 상부 및 하부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그늘막(1).
  2. 제 1항에 있어서,
    충전포트(11)는 USB 포트(25)를 포함하는 그늘막(1).
  3. 제 1항에 있어서,
    브래킷(23)의 나사홀(h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샤프트(19)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나사산과 치합됨으로써 샤프트(19)가 회전할 때 브래킷(23)이 승하강하는 그늘막(1).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6588A 2019-02-13 2019-02-13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 KR10199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88A KR101992843B1 (ko) 2019-02-13 2019-02-13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88A KR101992843B1 (ko) 2019-02-13 2019-02-13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843B1 true KR101992843B1 (ko) 2019-06-27

Family

ID=6705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588A KR101992843B1 (ko) 2019-02-13 2019-02-13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473B1 (ko) * 2021-04-05 2021-11-18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친환경 스마트 가로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4653A1 (en) * 2002-12-05 2004-08-12 Louis Brutsaert Device for operating a sun shade, an umbrella or the like
KR200441564Y1 (ko) * 2007-06-15 2008-08-26 전상봉 다기능 파라솔
KR20140059658A (ko) * 2012-11-08 2014-05-16 구추자 파라솔이 마련된 가로등
KR20160124315A (ko) 2015-04-16 2016-10-27 정우산기 주식회사 역류압 대응 강화구조의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 제작방법
US20180163427A1 (en) * 2016-12-14 2018-06-14 Kenneth Bauldree Umbrella system with solar powered device charging station
WO2018132930A1 (zh) * 2017-01-22 2018-07-26 周新焰 一种插拔式供电装置及应用有该供电装置的遮阳伞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4653A1 (en) * 2002-12-05 2004-08-12 Louis Brutsaert Device for operating a sun shade, an umbrella or the like
KR200441564Y1 (ko) * 2007-06-15 2008-08-26 전상봉 다기능 파라솔
KR20140059658A (ko) * 2012-11-08 2014-05-16 구추자 파라솔이 마련된 가로등
KR20160124315A (ko) 2015-04-16 2016-10-27 정우산기 주식회사 역류압 대응 강화구조의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 제작방법
US20180163427A1 (en) * 2016-12-14 2018-06-14 Kenneth Bauldree Umbrella system with solar powered device charging station
WO2018132930A1 (zh) * 2017-01-22 2018-07-26 周新焰 一种插拔式供电装置及应用有该供电装置的遮阳伞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473B1 (ko) * 2021-04-05 2021-11-18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친환경 스마트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9543A1 (en) Portable traffic signaling device
KR20080004457A (ko) 타워 내에서 움직이는 계류기구
KR101992843B1 (ko) 충전포트가 구비된 그늘막
KR101085876B1 (ko) 횡단보도용 복합신호등
KR20170126276A (ko) 이동식 전광판
CN219638506U (zh) 一种观景平台
KR102116297B1 (ko) 충전기가 구비된 차광막
KR200390938Y1 (ko) 회전식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20120139971A (ko) 기능성 볼라드
CN205746459U (zh) Led道路用灯
CN214839654U (zh) 一种广告排期用拼接显示屏
CN210403072U (zh) 一种基于电力检修的警示牌
KR102085700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 신호기
KR102194808B1 (ko) 충전기가 구비된 무인 카메라 부스
CN210670306U (zh) 一种建筑工程检测监管装置
WO2021237631A1 (zh) 一种路桥建筑施工用隔离保护装置
CN216591417U (zh) 一种可调节灯光范围的led路灯
KR200473487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
CN217928539U (zh) 一种地坑照明装置
KR101664838B1 (ko) 휴대용 스마트 로드사인
CN213805016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安全警示装置
CN214175297U (zh) 一种可移动升降的太阳能智慧红绿灯
CN213272437U (zh) 一种具有路况显示功能的智慧路灯
CN213773041U (zh) 一种道路工程施工用警示装置
CN217113529U (zh) 交通智能化视频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