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178B1 -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178B1
KR101992178B1 KR1020120106668A KR20120106668A KR101992178B1 KR 101992178 B1 KR101992178 B1 KR 101992178B1 KR 1020120106668 A KR1020120106668 A KR 1020120106668A KR 20120106668 A KR20120106668 A KR 20120106668A KR 101992178 B1 KR101992178 B1 KR 101992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product information
portable devi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878A (ko
Inventor
최종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1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2007/10524Hand-held sca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는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명 및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배열하는 문서를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품명과 코드번호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배열규칙을 저장하고,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식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 제어방법은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배열하는 문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배열규칙을 저장하고, 상기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상품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식별된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 {A PORTABLE DEVICE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서에 기재된 문자들을 인식하고 그를 저장하는 휴대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 싸이클을 이용하여 식품 기타 보관물을 냉장 또는 냉동보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본체에 배치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냉매를 감압 팽창하는 팽창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의 내부온도가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압축기를 주기적으로 온/오프(on/off) 할 수 있다.
최근에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가 문제가 되고 있어,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보관물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냉장고의 크기가 점점 대형화 됨에 따라, 냉장고의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식품들이 보관되어, 냉장고 내부 깊숙이 어떠한 식품이 보관되고 있는지 인지하지 못하고 방치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로 인해 냉장고 내부에서 곰팡이가 발생하여 식품들이 부패될 뿐만 아니라, 이미 보관된 식품을 모르고 다시 구입하게 되는 경제적 손실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는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식품의 정보 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거나, 이를 알릴 수 있는 일종의 통신 수단 도는 알림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휴대용기기는 각종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냉장고와 통신하여 냉장고의 동작상태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냉장고는 식품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휴대용기기와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서에 기재된 문자의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저장하는 휴대용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는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명 및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배열하는 문서를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품명과 코드번호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배열규칙을 저장하고,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식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일련번호를 감지한 후, 상기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명을 추출하는데 실패한 경우, 상기 코드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 제어방법은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배열하는 문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배열규칙을 저장하고, 상기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상품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식별된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일련번호를 감지하고 상기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을 추출하는데 실패한 경우, 상기 코드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는 문자가 기재된 문서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문자가 포함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는 문서에 기재된 문자 중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음영처리하여 사용자가 쉽게 보관목록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는 배열규칙을 저장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문서에 배치된 상품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는 카메라가 촬영한 문서에서 먼저 상품명을 추출하고, 상품명을 추출하는데 실패한 경우,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 시스템은 냉장고와 휴대용기기가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보관목록을 동기화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에 일일이 상품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휴대용기기로 영수증을 촬영하여, 간편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 시스템의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전면도,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 시스템의 냉장고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기기의 전면을 도시한 전면도,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휴대용기기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용기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8 내지 도 1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 시스템의 휴대용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의 변화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시스템의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1 접촉이 제2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접촉이 제1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동일한 접촉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표시의 사용은 그 용어의 단수 용법 또는 복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참조하며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한다 (comprises)" 및 /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 들 및 /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문맥에 따라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구문은 문맥에 따라, "결정시"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의]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들, 그러한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프로세스 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휴대용기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시스템은 냉장고 및 냉장고와 통신하는 휴대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시스템은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명 및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배열하는 문서를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품명과 코드번호와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배열규칙을 저장하고,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식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20) 및 휴대용기기(20)와 상기 상품정보를 송수신하는 냉장고(1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을 촬영하고, 그 상품정보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영수증에 포함되는 상품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문서가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을 저장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배열규칙을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는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 및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열규칙은 문서에 기재된 물품의 일련번호의 우측에 상품명을 배치하고, 상기 일련번호의 하측에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코드번호는 상품명을 나타내는 숫자 등의 문자로 형성되어 정보를 코드화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일련번호를 감지하고,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 또는 코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기 배열규칙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명을 추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품명을 추출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코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휴대용기기(20)는 코드번호와 복수개인 상품명과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기 코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추출된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를 음영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품명 및 코드번호를 음영처리하여, 추출된 상품정보임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촬영한 영상의 정보와 비교하여 그 내용을 분석할 데이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는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정보의 상위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도출할 수 있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보관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 중에서 보관목록에 포함시킬 상품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선택된 상품정보를 보관목록에 저장하고, 이를 냉장고에 송신할 수 있다.
보관목록은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목록은 상기 상품정보의 상위 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중, 냉장고에 보관할 물품을 선택하고, 이를 보관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보관목록은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 중 선택된 상품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기기(20)로 냉장고(10)에 보관할 물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선택하여 보관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보관목록은 냉장고(10)에 보관할 물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 물품의 저장위치, 냉장고에 저장된 물품의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휴대용기기(20)는 내부공간의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고와 통신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에 대한 신호를 냉장고에 송신하는 통신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 중 선택된 상품정보로 구성된 보관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냉장고(10)와 보관목록을 동기화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상품정보를 보관목록에 저장하고, 보관목록에 대한 데이터를 냉장고(10)에 송신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 및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하여, 상품정보를 분석하는 기초가 되는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내부에 어떤 물품을 보관하였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보관한 물품이 저장된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보관한 물품의 상품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보관한 물품의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보관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상품정보의 상위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저장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휴대용기기(20)와 통신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내부에 보관할 물품의 상품정보를 포함한 보관목록을 휴대용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보관목록을 갱신하는 경우, 그를 휴대용기기(20)에 송신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휴대용기기(20)와 보관목록을 동기화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시스템의 냉장고를 도시하거나, 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5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시스템의 휴대용기기를 도시하거나, 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냉장실(120)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22)와, 냉동실(130)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21)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도어(122)는 케이스(110)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 도어일 수 있고, 냉동실도어(121)는 케이스(110)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 도어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냉장고(10)는 케이스(110)의 우측에 냉장실(120)을 구비하고, 케이스(110)의 좌측에 냉동실(130)을 구비하여, 2개의 도어로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이 개폐되는 2도어형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명시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냉장고(10)는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냉동실을 하나 더 추가한 3도어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냉장실도어(122)는 냉장실도어(122)를 여닫을 수 있도록 냉장실도어 손잡이(124)를 구비할 수 있다. 냉동실도어(121)는 사용자가 냉동실도어(121)를 여닫을 수 있도록 냉동실도어 손잡이(123)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펜서(125)는 냉동실도어(12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125)는 얼음 또는 식수를 보관 또는 배출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0)은 상기 디스펜서(12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그 위치관계는 다양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0)은 냉장고(10)의 운전을 제어하고, 냉장고(10)의 상태를 표시부(141)를 통해 화면 및/또는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0)은 LED, LCD, 유기 EL과 같은 형태의 발광체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0)은 표시부(141), 음향출력수단 및 입력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1)는 냉장고(10)의 상태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1)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음향출력수단은 표시부(141), 버저(buzzer) 또는 스피커(speaker) 등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42)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42)는 기계식 버튼(button) 또는 정전/정압 방식의 터치 버튼(touch butto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표시부(141)는 입력부(142)로 입력된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1)는 냉장고(10) 내부에 위치한 물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1)는 냉장고(10)의 형상을 표시하고, 그 위에 냉장고(10) 내부에 위치한 물품들의 위치에 따라서, 물품을 나타내는 아이콘(icon)을 표시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그 표시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표시부(141)는 휴대용기기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1)는 휴대용기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보관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상품정보를 기초로 하여, 냉장고(10) 내부에 보관할 물품을 선택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냉매배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하며 압축, 팽창, 증발 및 응축되는 순환 사이클을 구동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상기 순환 사이클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냉매의 상변화에 의해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하여 냉장 또는 냉동을 수행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미도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밸브(미도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미도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10)는 냉각된 공기를 냉장실(120)로 송풍하기 위한 냉장실 팬(184), 냉각된 공기를 냉동실(130)로 송풍하기 위한 냉동실 팬(186), 냉장고(1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냉장고(10)는 입력부(142), 표시부(141), 입출력제어부(143), 메모리(172), 감지부(190), 음향출력부(182), 압축기(183), 냉장실 팬(184), 냉동실 팬(186), 제상히터(188), 응축기팬(189), 그리고 냉장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90)는 냉장실(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 온도센서(191)와 냉동실(130)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 온도센서(19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90)는 제상 센서(193), 냉장실 팬 모터 센서 (194), 냉동실 팬 모터 센서(195) 및 응축기 팬 모터 센서(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상 센서(193)는 제상운전 수행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증발기 표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냉장실 팬 모터 센서(194)는 냉장실 팬(184)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냉동실 팬 모터 센서(195)는 냉동실 팬(186)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응축기 팬 모터 센서(196)는 냉매와의 열교환 시 응축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발열시키기 위한 응축기 팬(189)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감지부(190)를 구성하는 각종 센서들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냉장고(10)의 운전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입출력제어부(143)는 제어부(160)에 의해 분석된 상태 정보가 표시부(141)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제어부(143)는 제어부(160)와 컨트롤 패널(140)에 구비된 입력부(142) 및 표시부(141) 사이를 매개할 수 있다. 입출력제어부(143)는 사용자가 입력부(142)를 통해 입력한 각종 제어 명령을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입출력제어부(143)는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기호, 문자 및/또는 아이콘 등의 이미지가 표시부(141)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입출력제어부(143)는 감지부(190)에 의해 감지된 정보가 제어부(160)를 통해 전달되면 이를 바탕으로 한 상태 정보가 표시부(141)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입출력제어부(143)는 적어도 식품 정보와 식품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식품 정보는 식품분류(야채, 육류, 과일, 수산물, 유제품, 곡물 등 카테고리) 또는 식품명을 포함할 수 있다. 식품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보관기간 정보 또는 식품 관리 대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기간 정보는 보관시작일, 보관종료일, 기준보관기간, 보관위치, 식품의 개수, 무게, 보관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식품 관리 대상 정보는 보관위치 관리, 보관기간 관리, 보관량 관리, 보관방법 관리 등 일 수 있다.
보관기간 관리 대상은, 보관 시작일부터 현재일까지의 보관 경과기간, 현재일로부터 보관 종료일(유통기한일)까지의 보관 잔여기간, 보관 종료일, 기준보관기관 도달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제어부(143)는 인식된 식품 정보와 식품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기초로 식품 관리를 수행한다. 기준보관기간 도달 여부는 기준일로부터 기준보관기간 이내에 있는지 여부 또는 기준일로부터 기준보관기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일 수 있다.
식품 정보 및 식품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표시부(141) 상에서 선택 또는 입력하거나, 별도의 입력부를 통하여 텍스트 또는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입력부(142)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냉장고(10)로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42)는 냉장고(10)의 작동에 대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144)와 냉장고(10)의 진단을 위해 진단모드 진입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145)를 포함할 수 있으나, 입력수단은 각종 실시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선택부(145)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145)는 진단실시명령이 입력되면, 음향출력부(182)를 통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음이 출력되도록, 신호 출력명령을 제어부(160)로 인가할 수 있다.
선택부(145)는 조작부(144)와는 별도로, 소정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조작부(144)는 일정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눌러지거나, 일정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눌러지는 등의 특정한 누름 패턴이 있는 경우, 선택부(145)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통신부(150)는 휴대용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휴대용기기로부터 상품정보 또는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보관목록을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72)는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품정보는 냉장고(10)의 동작 중 소정 기간 동안 감지부(190)를 통해 감지되어 누적된 운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정보(product information)는 식별정보(Product ID), 설정정보(configuration), 운전정보(operation information), 오작동정보(error-detecting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정보는 냉장고(10)의 기능설정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정보는 설정온도, 기능설정여부 또는 각종 구성요소 구비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온도는 냉동실 설정온도, 냉동실 목표온도, 냉장실 설정온도 또는 냉장실 목표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기능설정여부는 급속냉동, 쾌속냉동, 특급냉동, 테스트모드, 공기정화모드 또는 전시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구성요소 구비여부는 진단 대상이 되는 냉장고에 물이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운전정보는 냉장고(10)의 운전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정보는 팬 또는 압축기 등의 구동시간, 도어 개방시간, 도어 개방횟수, 각종시간정보, 온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의 구동시간은 설정 기간 동안 누적된 냉장실 팬 또는 냉장실 팬의 구동시간일 수 있다. 도어 개방 횟수는 설정 기간 동안 누적된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도어 개방 횟수일 수 있다. 도어 개방 시간은 설정 기간 동안 누적된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의 개방시간일 수 있다. 팬 또는 압축기 등의 구동시간은 설정 기간 동안 누적된 냉장실 팬 또는 냉동실 팬의 구동시간, 설정 기간 동안의 압축기(compressor)의 누적 구동시간일 수 있다.
각종 시간정보는 현재 메모리(172)에 누적된 제품정보가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누적된 것인지에 대한 시간정보, 진단실시 전 가장 최근에 수행된 냉동실 제상시간 및/또는 냉장실 제상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정보는 설정 기간 동안 냉동실 온도센서, 냉장실 온도센서, 외기 온도센서, 냉동실 제상센서 또는 냉장실 제상센서에 의해 감지된 평균온도, 최고온도 및/또는 최저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정보는 진단실시 전 가장 최근의 냉동실 제상주기도 포함할 수 있다.
오작동정보는 냉장고를 이루는 각종 구성 또는 기능들의 정상 작동 여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작동정보는 냉동실 온도센서(192), 냉장실 온도센서(191), 외기 온도센서(199), 냉동실 제상센서 또는 냉장실 제상센서 등의 센서들의 정상작동여부, 냉동실 팬 또는 냉장실 팬과 같은 구동장치의 정상 구동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작동정보는 아이스메이커(ice maker)에 정상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 사용자가 누름 시 물이나 얼음이 취출되도록 디스펜서(125)에 구비된 워터패드(water pad) 또는 아이스패드(ice pad)의 정상작동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부(160)는 냉장고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감지부(19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42)의 입력에 따라 각종 기능을 수행하거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0-1)와 리어 케이스(2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200-1)와 리어 케이스(2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내장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0-1)와 리어 케이스(2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200-1)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제1 음향출력모듈(253a), 제1 카메라(2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30a, 230b, 230c)가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230d), 제5 사용자 입력부(230e), 및 마이크(2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2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2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2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230a, 230b, 230c, 230d, 2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230f, 230g)는 사용자 입력부(2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30a, 230b, 230c)는 통화, 마우스 포인트 이동이나 화면 스크롤,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사용자 입력부(2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230c)는 휴대용기기(2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2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2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200B)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230f, 230g)와, 인터페이스부(2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221b)는 제1 카메라(2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2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2 카메라(2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2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2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2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253a)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200-1) 및 리어 케이스(2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2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00-2) 측에는 휴대용기기(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2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221b) 등이 리어 케이스(2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2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2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2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휴대용기기(20)는, 통신장치(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장치(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통신장치(210)는 방송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3), 무선 인터넷 모듈(215), 근거리 통신 모듈(217), 및 GPS 모듈(2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210)는 냉장고(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장치(210)는 냉장고에 보관하고 있거나, 보관할 물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를 냉장고와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장치(210)는 상품정보로 구성된 보관목록을 냉장고와 송수신하여, 휴대용기기(20)의 보관목록과, 냉장고(미도시)의 보관목록을 동기화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2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 모듈(211)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215)은 휴대용기기(2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통신장치(210)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휴대용기기(20)는 이동 통신 모듈(213)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215)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이동 통신 모듈(213)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215)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버에 객체의 객체정보를 요청하고, 네트워크 서버가 송신한 객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2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GPS 모듈(219)은 휴대용기기(20)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영상인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통신장치(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 에서는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도시하고 있으나, 카메라의 개수에는 한정하지 않으며, 복수의 카메라(221) 각각은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하나 이상의 문자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문서를 촬영할 수 있다.
마이크(2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3)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2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240)는 휴대용기기(20)의 개폐 상태, 휴대용기기(2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용기기(2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기기(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전원공급부(2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240)는 감지센서(241), 압력센서(243), 및 모션 센서(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241)는 휴대용기기(2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용기기(2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2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2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243)는 휴대용기기(2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2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용기기(2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압력센서(243)가 디스플레이부(2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2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2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2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2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용기기(2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2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장치(2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장치(250)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 모듈(253), 알람부(255), 및 햅틱 모듈(2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휴대용기기(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용기기(2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용기기(2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상품정보를 음영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상품정보 또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복수개의 상품정보에 각각 대응하고, 사용자가 선택 또는 선택해제를 할 수 있는 선택란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하여, 제어부(2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용기기(2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용기기(2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2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장치(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향출력 모듈(253)은 휴대용기기(2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2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5)는 휴대용기기(2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알람부(255)는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2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2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2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향출력 모듈(2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2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2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2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2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7)은 휴대용기기(2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기기(2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배열규칙은 카메라로 촬영할 문서가 상품정보를 표시한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열규칙은 물품의 일련번호의 우측에 상품명을 배치하고, 일련번호의 하측에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배치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영수증에서 식별한 상품정보 중 선택된 상품정보로 구성된 보관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는 상품명 또는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상품정보 및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하여, 상품정보를 분석하는 기초가 되는 데이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복수개인 코드번호와 복수개인 상품명과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영수증에서 식별한 상품정보 중 선택된 상품정보로 구성된 보관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는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 또는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상품정보 및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하여, 상품정보를 분석하는 기초가 되는 데이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휴대용기기(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기기(2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용기기(2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휴대용기기(2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용기기(2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용기기(2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용기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특정한 위치에 배치된 문자들로부터 상품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위치는 예를 들어, 영수증의 일련번호의 오른쪽 또는 아랫쪽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품정보는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 및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일련번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감지한 일련번호의 일측에 배치된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 또는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8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일련번호의 우측에 기재된 상품명을 추출하거나, 일련번호의 하측에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으나, 그 위치관계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부(280)는 상품명 또는 코드번호를 추출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상품명 또는 코드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코드정보를 통하여, 추출한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파악할 수 있고, 추출한 코드번호에 대응하는 상품명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선택된 상품정보의 상위개념인 상품 카테고리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기 상품 카테고리 명칭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된 상품정보를 음영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품정보 및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하여, 상품정보를 분석하는 기초가 되는 데이터정보를 기반으로 식별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휴대용기기(2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 시스템의 휴대용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의 변화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0)는 하나 이상의 문자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문서를 촬영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카메라(미도시)로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식별한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0)는 촬영한 영상 속에서 상품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속에서 물품의 이름 또는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 등의 상품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을 저장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식별한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일련번호(A)를 감지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B)을 추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C)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열규칙이 물품의 일련번호의 우측에 상품명을 배치하고, 일련번호의 하측에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배치하는 경우, 휴대용기기는 일련번호의 우측에 있는 상품명을 먼저 추출하고, 상품명을 추출하는 것을 실패한 경우, 일련번호의 하측에 있는 코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휴대용기기는 상품명 또는 코드번호를 추출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상품명 또는 코드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 코드정보를 기초로하여, 추출한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0 을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0)는 추출한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310).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를 음영처리할 수 있다(320).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는 촬영한 영수증에서 식별된 상품정보를 음영처리하여 식별된 상품정보임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촬영한 영상속에서 상품정보에 해당하는 부분만 편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가 물품의 이름 또는 물품에 대응하는 숫자 등을 포함하는 코드번호를 식별해 낸 경우, 상기 물품의 이름 또는 코드번호를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영수증을 촬영한 영상 그대로 표시하고, 각각의 상품정보에 대응하도록 선택란(33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 중 어떤 것이 선택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수증에 표시된 물품들 중 냉장고에 보관할 물품의 상품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선택여부를 표시하는 선택란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휴대용기기(20)는 선택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선택란에 선택되었다는 표시를 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품정보를 선택하고, 완료버튼(340)이 터치된 경우, 상품정보의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0)는 선택된 상품정보의 상위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정보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와 대응하는 상위개념의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기기(20)는 상기 데이터 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데이터 정보와 선택된 상품정보를 비교하여, 선택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정보가 도 10 에 도시된 반반 치킨인 경우, 상위 카테고리 명칭은 도 11 에 도시된 닭고기일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 중 냉장고에 저장할 물품의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선택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20)는 표시 중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에 대응하여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는 선택여부를 표시하는 선택란(360)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정보가 선택된 경우, 휴대용기기(20)는 선택된 상위 카테고리 명칭에 대응하는 선택란에 선택되었다는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12 를 참조하면, 휴대용기기(20)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기초로 하여 보관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선택한 이후, 확인버튼(370)을 터치하는 경우 휴대용기기(20)는 보관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보관목록은 현태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보관할 물품에 대한 목록일 수 있다. 보관목록은 냉장고의 냉장실에 보관된 물품의 개수 또는 냉동실에 보관된 물품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0)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이 선택된 경우, 이를 일괄적으로 냉장실에 보관되는 것으로 보관목록을 작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휴대용기기(20)는 촬영한 영수증에 기재된 물품 줌 몇 개의 물품이 냉장고에 보관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시스템의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 제어방법은,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메라가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배열하는 문서를 촬영하는 단계(S510), 배열규칙을 저장하고,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품정보를 식별하는 단계(S520, S530, S540) 및 디스플레이부는 식별된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배열한 문서를 촬영할 수 있다(S510). 카메라 촬영시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배열규칙은 물품의 일련번호의 우측에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을 배치하고, 일련번호의 하측에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배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카메라가 상품정보가 기재된 문서를 촬영한 경우, 제어부는 촬영한 영상에서 일련번호를 감지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제어부는 촬영한 영상의 좌측영역을 추출하고, 연속되는 숫자가 수직방향으로 나열된 경우, 그것을 일련번호로 감지할 수 있으나, 그 방법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상품정보는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 및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련번호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는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품명을 추출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제어부는 일련번호의 우측에 위치한 문자를 상품명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그 방향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휴대용기기는 한글, 영문 등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하는 코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제어부는 상품명을 추출하는데에 실패한 경우, 코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코드번호는 하나 이상의 숫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부는 추출한 상품명 또는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S550). 휴대용기기는 추출한 상품정보를 냉장고에 송신할 수 있다(S560).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시스템의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기기 제어방법은, 하나 이상의 문자로 구성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문서를 촬영하는 단계(S410), 하나 이상의 문자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430) 및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문서를 촬영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는 상품정보가 기재된 영수증을 촬영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촬영한 영상속에 포함되는 상품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S420). 상품정보를 식별하는 방법은 도 13 의 설명부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아니한다. 휴대용기기는 촬영한 영상 속의 물품의 이름 또는 상품과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문서 속에 기재된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430). 휴대용기기는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인식하여 그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표시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S440). 사용자가 휴대용기기가 표시한 물품 중에 냉장고에 보관할 물품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선택된 물품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는 표시된 상품정보에 대응하여 선택란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란은 사용자가 냉장고에 보관할 물품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선택된 상품정보의 상위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50). 휴대용기기 동작방법은 상위 카테고리 명칭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460). 휴대용기기는 상위 카테고리 명칭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경우(S460), 그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 동작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보관목록을 저장하고 표시하는 단계(S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위 카테고리 명칭으로 구성된 보관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S470).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수증에 기재된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냉장고에 보관될 물품의 개수, 명칭 또는 물품이 저장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보관목록은 상품정보의 상위개념인 상위 카테고리 명칭을 저장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 동작방법은 보관목록을 내부의 온도를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냉장고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보관목록에 대한 정보를 냉장고에 송신하거나, 냉장고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기기는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상품정보로 보관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냉장고와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냉장고
20 : 휴대용기기

Claims (13)

  1.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명 및 상기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배열하는 문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상품명과 상기 코드번호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배열규칙을 저장하고, 상기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상품정보를 식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일련번호를 감지한 후, 상기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명을 추출하는데 실패한 경우, 상기 코드번호를 추출하며,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보관목록을 저장하고, 상품정보 중, 냉장고에 보관할 물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보관목록에 포함하고, 상기 보관목록을 냉장고로 송신하는 휴대용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규칙은 물품의 일련번호의 우측에 상품명을 배치하고, 상기 일련번호의 하측에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배치하는 휴대용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문서상의 정보가 배치된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문서가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을 저장하는 휴대용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코드번호를 추출하는 휴대용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품정보를 음영처리하는 휴대용기기.
  7.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하나 이상의 상품명 및 상기 상품명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상품정보가, 정보를 배열하는 방식인 배열규칙에 따라 배열된 문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배열규칙을 저장하고, 상기 배열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일련번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을 추출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을 추출하는데 실패한 경우, 상기 코드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식별된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상품정보 중, 냉장고에 보관할 물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선택하여,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보관목록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목록을 냉장고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는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 및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규칙은 물품의 일련번호의 우측에 물품의 이름인 상품명을 배치하고, 상기 일련번호의 하측에 물품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배치하는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일련번호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상기 코드번호를 추출하는 휴대용기기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106668A 2012-09-25 2012-09-25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 KR101992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668A KR101992178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668A KR101992178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78A KR20140039878A (ko) 2014-04-02
KR101992178B1 true KR101992178B1 (ko) 2019-06-24

Family

ID=5065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668A KR101992178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1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063A (ja) * 2001-05-02 2002-11-15 Clover Network Com:Kk 商品情報入力端末機及び商品情報入力プログラム
JP2010134492A (ja) * 2008-12-02 2010-06-17 Hitachi Systems & Services Ltd 家計簿自動作成システム
KR101139801B1 (ko) * 2010-03-12 2012-04-30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영수증 판독을 통한 자동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9063A (ja) * 2001-05-02 2002-11-15 Clover Network Com:Kk 商品情報入力端末機及び商品情報入力プログラム
JP2010134492A (ja) * 2008-12-02 2010-06-17 Hitachi Systems & Services Ltd 家計簿自動作成システム
KR101139801B1 (ko) * 2010-03-12 2012-04-30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영수증 판독을 통한 자동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78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4716B2 (en) Mobile terminal,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refrigerator
US11015859B2 (en) Refrigerator
US8509922B2 (en) Mobile terminal
EP2796815B1 (en)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14145B1 (ko) 냉장고,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25105A (ko) 냉장고 및 그 동작 방법
KR102342117B1 (ko)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CN108805123A (zh) 一种时限提醒的装置、方法和系统
US1113422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60621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92178B1 (ko) 휴대용기기 및 휴대용기기 제어방법
KR102010381B1 (ko) 휴대용기기, 휴대용기기 동작방법 및 그를 포함한 냉장고 시스템
CN108626959A (zh) 信息管理方法、系统、智能冷藏设备和智能家居系统
KR102080514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98054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동작방법
KR20130117571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동작방법
KR102010384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JP6500253B2 (ja) 在庫管理システム
KR102152730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152729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