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507B1 -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507B1
KR101991507B1 KR1020170122135A KR20170122135A KR101991507B1 KR 101991507 B1 KR101991507 B1 KR 101991507B1 KR 1020170122135 A KR1020170122135 A KR 1020170122135A KR 20170122135 A KR20170122135 A KR 20170122135A KR 101991507 B1 KR101991507 B1 KR 101991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
unit
model
economics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393A (ko
Inventor
한영욱
김준영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5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그래프 작성 장치는 경제학 모델의 선택 정보 및 변수의 종류별 수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및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성된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부, 경제학 모델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제학 모델에 대응하는 수식의 기본형 및 변수의 종류를 상기 경제학 모델 DB로부터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식의 기본형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변수의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성형 수식을 작성하는 수식 작성부 및 상기 작성된 완성형 수식을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CONOMICS GRAGHS}
본 발명은 경제학 모델에 따른 수식 및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DB에 저장된 다양한 경제학 모델들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경제학 모델이 선택되면 이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들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이에 기반하여 특정 경제학 모델을 따르는 그래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전자장치의 발달로 학교, 학원 등의 장소에서 이러한 전자장치를 이용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컴퓨터 관련 과목이 아닌 기타 과목을 교육하는 현장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가속화되어 교육자들도 시각적 자료가 필요할 경우, 판서보다는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학생들 또한 손으로 필기하는 대신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기록하는 방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제학을 교육함에 있어 다양한 경제학 모델을 이해시키고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경제학에서는 같은 입력값이라도 모델에 따라 상이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고 그래프를 여러개 그려야 하는 경우도 많아서 그래프와 관련된 교육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교육자가 강의 시 칠판에 그래프를 그리고 지우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교육자가 직접 그래프를 그려 교육하는 경우, 실수가 발생될 수 있고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경제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 수식을 그래프로 변형시키는 능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경제학 모델을 수식으로 적용시키고 해당 모델이 나타내는 그래프의 모양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많은 수의 학생들이 수식을 그래프로 변환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고 있어 비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경제학 관련 그래프를 전자장치상에 쉽게 표현해주며, 변수의 변경에 따라 그래프의 변화 추이를 보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고안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경제학 모델을 선택하기만 하여도 변수의 종류와 수식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그래프 작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그래프 작성 방법은 경제학 모델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경제학 모델에 해당하는 수식의 기본형 및 변수의 종류를 표시하는 단계, 각 변수의 수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식을 완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완성된 수식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그래프 작성 방법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수치 데이터의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식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그래프 및 도출된 수식에 기반하여 가능한 경제학 모델을 검색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그래프 작성 방법은 경제학 모델을 따르는 완성형 수식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수식에 상응하는 그래프를 작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식과 동일한 경제학 모델을 기반으로 한 변수의 종류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종류의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해당하는 수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가의 수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추가의 수식을 기반으로 추가의 그래프를 작성하고 이를 초기 그래프에 누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그래프 작성 장치는 경제학 모델의 선택 정보 및 변수의 종류별 수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및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성된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부, 경제학 모델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제학 모델에 대응하는 수식의 기본형 및 변수의 종류를 상기 경제학 모델 DB로부터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식의 기본형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변수의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성형 수식을 작성하는 수식 작성부 및 상기 작성된 완성형 수식을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경제학 이론에 해당하는 변수 항목을 자동으로 표시해주고 변수 입력만으로 그래프의 형태 및 그래프의 변화 양상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경제학 이론 및 변수 값에 따라 그려지는 그래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므로 경제학 교육 및 학습 시 그래프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만으로 그래프를 생성 및 그래프의 변화 추이를 나타내주므로 그래프를 그리는 데 필요한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줄일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그래프를 생성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모델 데이터의 분류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모델 선택에 기반한 수식 완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다수개의 그래프 생성 방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제학 모델을 검색하는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프의 분석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 100는 입력부 110, 표시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130는 경제학 모델 DB 13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 140는 수식 작성부 142, 그래프 생성부 144, 매칭 모델 검색부 146, 영역 지정부 151, 교차지점 판단부 153, 유사도 판단부 155, 연관그래프 추천부 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110는 터치 패널,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 140 측에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 110는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이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패널 같이 표시부 120와 함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 110는 경제학 수식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경제학 모델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 1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110는 특정 경제 모델이 선택된 후에, 선택된 모델에 필요한 변수의 종류 선택 및 변수 값 설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20는 사용자 입력 및 처리 결과물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표시부 120는 컴퓨터 모니터가 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같은 개인 휴대 기기의 표시패널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20는 스마트 안경, HMD(Head Mounted Display)등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수식 및 그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20는 선택 가능한 종류의 경제학 모델의 명칭 및 해당 모델의 수식을 구성하는 변수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20는 입력부 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선택사항 및 입력된 수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 110는 선택된 경제학 모델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치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처리하여 산출한 수식과 그래프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30는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명령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30는 경제학 모형에 따른 그래프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30가 저장하는 경제학 모델 DB 135은 그래프 작성에 활용될 다수의 경제학 모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제학 모델 DB 135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경제학 모델의 명칭, 각 경제학 모델에 해당하는 수식의 기본형 및 해당 수식에 요구되는 변수의 종류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제학 모델 DB 135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경제 모델을 그 유사성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추가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경제학 모델 DB 135는 특정 경제학 모델(수요의 탄력성)에 해당하는 단원 정보(미시경제학의 입문)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40는 전자장치의 구동과 관련된 연산, 명령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경제학 모델에 해당하는 그래프를 표시하는 동작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직접 수식을 입력하여 그에 해당하는 초기 그래프를 생성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생성된 그래프에 누적하여 그려지는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해 경제학 모델 및 변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에에 따라 사용자는 초기 그래프를 그리는 시점부터 경제학 모델 및 변수를 선택하고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40는 수식 작성부 142, 그래프 생성부 144, 매칭 모델 검색부 146, 영역 지정부 151, 교차 지점 판단부 153, 유사도 판단부 155, 연관 그래프 추천부 1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경제학 모델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본형 수식과 상기 수식을 구성하는 변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경제학 모델 DB 135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40는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수식 입력창을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 140는 그래프 생성에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이 경제학 모델 선택일 경우를 대비해, 사용자에게 경제학 모델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그래프 생성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수식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수식이 수식 기호가 적절히 사용되어 온전한 수식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수식 입력란에 등호(=)가 사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식이 완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수식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사용자가 특정 경제학 모델의 명칭을 선택한 경우 이에 해당하는 수식의 기본형과 해당 수식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변수를 표시해줄 수 있다. 예컨대, 수식의 기본형이 (Px)X+(Py)Y=(I) 와 같다고 할 때, 괄호 안에 들어있는 항목은 사용자가 수식을 완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항목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식 작성부 142가 불러오는 수식에 필요한 변수란 기본형 수식이 완성형 수식이 되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이 요구되는 항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괄호 안에 들어있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변경가능한 데이터와 X, Y 의 값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X 및 Y의 값은 '결과값'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변수'라는 용어는 수식을 완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항목에 한정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이미 그래프가 하나 이상 그려진 상황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가의 그래프를 그리고자 할 경우, 첫번째 그래프의 수식에서 변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동작에 따라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2번째로 그려질 그래프의 수식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그래프의 그려질 영역을 제한하기 위해 X와 Y의 값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변수 데이터들이 입력된 경우, 이들의 연관성을 찾아 수식을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개수가 4개이고, '가격(P)' 이라는 변수의 데이터가 100, 200, 300, 400으로 입력되었으며, '공급량(Q)'이라는 변수의 데이터가 200, 400, 600, 800으로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입력된 변수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므로 입력된 변수에 기반하여 공급량(Q)=2*가격(P)이라는 수식을 작성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프 생성부 144는 완성된 수식을 바탕으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 생성부 144는 첫번째 그래프가 그려진 상태에서 추가로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이에 누적하여 이후의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그래프 생성부 144는 수식이 완성되지 않더라도 경제학 모델이 선택된 경우 해당 모델의 기본형 그래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매칭 모델 검색부 146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변수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이에 기반하여 생성된 수식과 상기 생성된 수식에 기반하여 생성 및 표시된 그래프의 형태 등을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와 매칭되는 경제학 모델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칭 모델 검색부 146는 저장부 130에 저장된 경제학 모델 DB 135를 기반으로 매칭 모델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지정부 151는 생성된 그래프를 분석할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지정부 151는 생성된 그래프의 전 영역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만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역 지정부 151에서 설정한 영역은 부분적으로 기울기, 최고값, 최저값, 두 개 이상의 그래프의 교차지점 등을 판단하는 데 기준이 되는 그래프의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3는 두 개 이상의 그래프의 교차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3는 상기 영역 지정부 151에서 지정한 영역에 기반하여 해당 영역 내 교차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3는 교차지점의 위치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3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두 개의 그래프의 교차지점의 존재 및 위치좌표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균형 가격과 균형 공급량 등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유사도 판단부 155는 다수 개 그래프가 존재할 경우에 선택된 하나의 기준 그래프와 가장 유사한 그래프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기 저장된 그래프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기준 그래프와의 유사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다수개의 그래프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프와 가장 유사한 그래프를 식별하기 쉽도록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기 저장된 그래프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가장 유사한 그래프를 판단할 경우 해당 그래프와 수식 및 경제학 모듈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그래프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그래프 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선 그래프와 곡선 그래프를 분류하고 직선그래프는 직선그래프끼리, 곡선 그래프는 곡선 그래프끼리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두 그래프 간의 면적, 곡률, 기울기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곡률 정보가 비슷할수록, 두 그래프 사이의 면적이 작을수록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두 그래프가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관그래프 추천부 157는 특정 경제학 모델 및 그 모델을 따르는 그래프가 선택되고 작성된 경우 이와 연관된 다른 종류의 경제학 모델 및 그 모델을 따르는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연관된 그래프란 특정 그래프에 빈번하게 누적하여 작성되는 그래프들로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요 곡선 그래프에 공급곡선 그래프가 누적되어 표시되는 경우가 빈번하다고 할 경우(예,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연관그래프 추천부 157는 수요곡선 그래프와 공급곡선 그래프는 서로 연관그래프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관그래프 추천부 157는 일 그래프를 작성한 후 그와 연관된 다른 그래프를 추천하여 2개 이상의 그래프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황에서, 각 그래프의 주요 변수들로 이루어진 제 3의 연관그래프를 추천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그래프는 수요 곡선 그래프이고, 제 2 그래프는 공급 곡선 그래프일 경우, 제 1그래프와 제 2 그래프의 변수의 종류는 수요량, 공급량, 가격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연관그래프 추천부 157은 상기 변수들로 이루어진 경제학 모델들 중 일부(예, 공급의 탄력성=
Figure 112017092476998-pat00001
)및 해당 모델을 따르는 그래프를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관그래프 추천부 157는 제 1그래프 및 제 2그래프의 변수를 포함하고 그 외의 다른 변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제학 모델 및 그 모델을 따르는 제 3의 그래프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연관그래프 추천부 147는 추천된 경제학 모델 및 그래프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기존에 표시되던 제 1그래프와 제 2그래프의 좌표값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제 3의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관그래프 추천부 157는 추천할 그래프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시,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되는 횟수가 가장 빈번한 순서대로 추천 목록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기반하여 경제학 그래프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을 기재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그래프를 생성하는 순서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모델 데이터의 분류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제학 모델 선택에 기반한 수식 완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제어부 140는 210단계에서 경제학 모델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 140는 경제학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선택가능한 경제학 모델의 명칭을 종류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 140는 경제학 모델 DB 135에 기 저장된 경제학 모델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제학 모델 DB 135에 저장된 경제학 모델은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류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 140는 사용자에게 경제학 모델 선택 메뉴를 표시할 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제학 모델 선택 메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 4의 401에 도시되는 대분류 메뉴에 있는 대분류 항목을 1차로 선택하면(예, 미시 경제학), 상기 제어부 140는 상기 선택된 대분류(예, 미시 경제학)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만을 도 4의 403에서 도시되는 중분류 메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40는 사용자가 중분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예, 소비자 이론)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소분류의 항목만을 도 4의 405에 도시되는 소분류 메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 140는 경제학 모델 DB 135에 저장된 경제학 모델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140는 210단계에서 경제학 모델이 선택된 경우 이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40의 수식 작성부 142는 220단계에서 선택된 경제학 모델에 대응하는 변수의 종류 및 기본 수식을 표시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최종적으로 405 메뉴에서 경제학 모델이 선택되면 이에 따라 이후 동작인 기본 수식과 변수의 종류가 표시되는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선택된 경제학 모델의 기본 수식과 변수가 각각 별도로 표시될 수도 있고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본 수식 내에 변수가 입력창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기본 수식은 (X재화의 가격)X+(Y재화의 가격)Y=(예산)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수식에서 첫번째 변수에 해당하는 'X재화의 가격'은 411 입력창 내에 표시되고 있고, 두번째 변수에 해당하는 'Y재화의 가격'은 413 입력창 내에 표시되고 있고 마지막 변수인 '예산'은 415 입력창 내에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 입력창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표시되고 있던 변수의 항목 명칭은 수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커서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식의 수치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이후 수식 작성부 142는 변수 입력을 확인하는 23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식 작성부 142는 변수 입력이 완료됨을 확인하면 완성된 수식을 표시하는 24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의 411입력창에 50, 413 입력창에 50, 415입력창에 500을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최종 완성되는 수식은 420에서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수식이 완성되면 그래프 생성부 144는 완성된 수식에 해당하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25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 에에 따라 그래프를 여러개 누적하여 생성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다수개의 그래프 생성 방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보면, 도 4에서 설명한 분류 메뉴를 비롯한 수식 표시영역이 표시되고 있고, 더불어 수식에 해당하는 그래프가 표시되고 있는 그래프 표시 영역이 도시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류메뉴는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입력하여 키워드에 대응하는 경제학 모듈을 검색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식 표시 영역 및 그래프 표시 영역들도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변경이 가능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부 140는 표시부 120 상에 수식 표시영역에는 완성된 형태의 수식을 표시하고 있고, 그래프 표시 영역에는 완성된 수식 '50X+50Y=500'에 해당하는 그래프 515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 140는 수식 표시 영역 상에 표시되고 있는 수식에서는 변경 가능한 항목에 대하여 501, 503, 505에서 보여지는 박스와 같이 별도의 표시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변경 가능한 항목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의 표시(예컨대 밑줄)가 가능하다.
도 5b는 도 5a에서 하나의 수식 표시 영역이 있던 것과 달리 2개의 수식 표시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 5b에서와 같이 두개의 수식 표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이벤트가 수반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 110는 추가의 수식 표시를 위해 이를 의미하는 화면상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140는 수식 표시 영역을 다수 개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5b의 두번째 수식 표시 영역에는 변수 선택 메뉴 531가 표시되고 있다. 상기 변수 선택 메뉴 531에는 첫번째 수식 표시 영역 내에 있는 수식 내 변수의 종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첫번째 그래프 515 및 그에 대응하는 경제학 모델에 기반하여 볼 때, 상기 변수 선택 메뉴 531에 표시되는 변수의 종류는 X재화의 가격 521, Y재화의 가격 523, 예산 525가 될 수 있다. 다만 두번째 수식을 선택함에 있어 상기 변수 선택 메뉴 531를 이용하는 것은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을 통해 변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다수개의 그래프를 누적하여 표시할 때, 초기 그래프와 다른 종류의 경제학 모델을 따르는 그래프가 누적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요 법칙'이라는 경제학 모델을 따르는 그래프와 '공급 법칙'을 따르는 서로 다른 종류의 경제학 모델을 따르는 그래프가 누적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본 발명의 저장부 130는 누적 표시된 그래프들의 종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5c를 살펴보면, 변수 선택 메뉴 531상에서 '예산'이라는 변수가 선택되었음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변수 선택 메뉴 53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특정 변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변수의 변화량을 기입할 수 있다. 예컨대, 이 때 상기 변수의 변화량을 입력하는 영역은 533과 같이 보여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변수의 변화량을 입력하는 영역 533에 '+300'이 기입되면, 수식 작성부 142는 첫번째 수식의 '예산' 변수에 해당하는 500의 입력값에 +300를 연산하여 800이라는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즉, 수식 작성부 142는 상기 변수의 변화량을 입력하는 영역 533에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수식을 작성할 수 있다. 참고로 두번째에 도출되는 수식은 '50X+50Y=800'에 해당한다. 도면상에는 두번째에 도출되는 수식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표시되고 있지만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래프 생성부 144는 새롭게 작성된 두번째 수식에 해당하는 그래프를 535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도 5c에서는 두번째 그래프가 첫번째 그래프와 동일한 영역상에 누적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별도로 표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제학 모델을 검색하는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 140는 602단계에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수치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경제학 모델 및 그에 대응하는 수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찾아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개수의 수치데이터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도 높은 결과를 위해 제어부 140는 입력된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일 경우에 한하여 경제학 모델 검색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후 그래프 생성부 144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X좌표값, Y좌표값을 도출하여 그래프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60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수식 작성부 142는 입력된 수치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각 데이터들의 연관성을 판단해 수식을 도출하는 606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604단계에서 표시되는 그래프와 606단계에서 표시되는 수식은 모두 602단계에서 입력되는 수치데이터에 기반하므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604단계와 606단계의 순서는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제어부 140의 매칭 모델 검색부 146는 도출된 수식 및 그래프 형태를 기반으로 가능한 경제학 모델을 검색하고 이를 표시하는 608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제학 모델을 검색할 경우에, 경제학 모델 DB 135에는 각 경제학 모델별 표준 그래프 형태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프의 분석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에는 3개의 그래프 730, 735, 740이 도시되고 있다. 이 중 그래프 730과 그래프 740이 교차지점 711에서 교차하고, 그래프 735와 그래프 740이 교차지점 713에서 교차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역 지정부 151는 기 표시된 그래프들의 분석 범위를 지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영역 720을 지정한 경우, 영역 지정부 151는 기 표시된 그래프들을 분석하고자 할 시 상기 영역 720 내에 존재하는 그래프들에 한하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교차지점 판단부 155는 2개 이상의 그래프에서 교차지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영역 720과 같이 그래프 분석의 범위가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교차지점 711의 존재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3는 영역 지정부 151에서 제공하는 지정된 영역 내 데이터만을 기반으로 교차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5는 교차지점 713에 대하여 지정된 영역 720 밖에 존재하므로 이는 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3는 교차지점의 좌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3는 예컨대 도 7b에서 도시되는 그래프 750과 그래프 760의 교차지점의 Q 좌표 값과 P 좌표값을 알 수 있게 선을 표시해줄 수 있다. 또는 상기 교차지점 판단부 153는 도 7b에서 도시되는 교차지점의 정확한 P, Q좌표 정보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는 4개의 그래프 811, 813, 815, 817가 한 그래프 표시 영역 상에 누적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811는 곡선형 그래프이고, 813, 815, 817은 같은 기울기 값을 갖는 직선형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사도 판단부 155는 도 8a에서 표시되는 그래프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기준 그래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기준 그래프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래프들 중 기준 그래프와 가장 유사한 그래프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기준그래프가 곡선 그래프일 경우 나머지 그래프들 중 곡선 그래프만을 대상으로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기준 그래프가 직선 그래프일 경우, 직선 그래프만을 대상으로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서 기준그래프가 813이라고 가정할 경우, 유사도 판단부 155는 기준그래프가 직선형 그래프임을 판단하고, 유사도를 판단할 대상 그래프를 직선 그래프인 815, 817에 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유사도 판단의 선택기준으로 기울기, 넓이, 곡률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유사도 판단부 155는 기준 그래프로 선택된 813 그래프와 같은 기울기값을 갖는 두 직선형 그래프 815, 817에 대하여 그래프간 사이의 넓이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그래프 간 넓이 측정 시, 유사도 판단의 대상이 되는 대상 그래프들의 기준(예, 그래프 815, 817의 길이를 동일하게 선택하여 넓이 측정)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등의 제반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c에서는 3개의 곡선형 그래프 821, 823, 825가 표시되고 있다. 유사도 판단부 155는 예컨대 곡선형 그래프 821이 기준 그래프로 선택된 경우, 누적 표시된 곡선 그래프 823, 825를 대상으로 유사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도 판단부 155는 그래프 821과 유사도 판단을 수행할 대상인 823, 825와 각각 그래프의 사이 공간의 넓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8c에서 도시되는 그림에 근거하면 유사도 판단부 155는 그래프 821과 유사한 그래프로 그래프 823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유사도 판단부 155는 넓이값 이외에도 기준그래프가 곡선형 그래프일 경우, 곡률 정보, 우상향인지 여부 등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유사도 판단부 155는 기준 그래프가 직선형일 경우 기울기 및 우상향 그래프인지 여부 등을 추가로 판단하여 유사한 그래프를 가려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유사도 판단부 155는 유사도 판단 시, 기준그래프를 제외한 누적 표시 그래프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고, 이전에 작성된 이력이 있는 그래프들 모두를 대상으로 유사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입력부 144: 그래프 생성부
120: 표시부 146: 매칭 모델 검색부
130: 저장부 151: 영역 지정부
135: 경제학 모델 DB 153: 교차 지점 판단부
140: 제어부 155: 유사도 판단부
142: 수식 작성부 157: 연관 그래프 추천부

Claims (9)

  1. 경제학 모델의 선택 정보 및 변수의 종류별 수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및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성된 그래프를 표시하는 표시부;
    경제학 모델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제학 모델에 대응하는 수식의 기본형 및 변수의 종류를 상기 경제학 모델 DB로부터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식의 기본형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변수의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성형 수식을 작성하는 수식 작성부;
    상기 작성된 완성형 수식을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분석할 그래프의 범위를 지정하는 영역 지정부;
    적어도 둘 이상의 그래프에서 교차지점의 여부를 판단하고, 교차지점의 좌표값을 추출하는 교차지점 판단부;
    사용자 선택에 따라 기준 그래프를 선택하고 기준 그래프와 유사한 그래프를 판단하되, 직선 및 곡선 여부, 기준 그래프와 대상 그래프 사이 영역의 넓이, 곡률,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유사한 그래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및
    특정 그래프의 경제학 모델과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그래프 및 그에 해당하는 경제학 모델을 추천하고, 적어도 2개의 그래프가 표시된 경우 해당 그래프들의 변수를 이용해 작성 가능한 제 3의 그래프 및 그에 해당하는 경제학 모델을 추천하되 추천리스트는 작성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표시하는 연관 그래프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학 그래프 작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제학 모델 DB는
    경제학 모델 각각에 해당하는 기본형 수식 및 수식을 완성하는 데 요구되는 변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학 그래프 작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수치 데이터의 입력을 확인하면
    상기 수식 작성부가 상기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식을 완성하고,
    상기 그래프 생성부가 상기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학 그래프 작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성된 수식 및 그래프와 매칭되는 경제학 모델을 검색하는 매칭 모델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학 그래프 작성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22135A 2017-09-21 2017-09-21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91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35A KR101991507B1 (ko) 2017-09-21 2017-09-21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35A KR101991507B1 (ko) 2017-09-21 2017-09-21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93A KR20190033393A (ko) 2019-03-29
KR101991507B1 true KR101991507B1 (ko) 2019-06-20

Family

ID=6589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135A KR101991507B1 (ko) 2017-09-21 2017-09-21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5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381A (ja) 2006-10-10 2008-05-22 Omron Corp 時系列データ解析装置、時系列データ解析システム、時系列データ解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643764B1 (ko) 2015-07-30 2016-07-28 백인성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327B2 (ja) * 1993-02-01 2001-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量経済モデル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463425B1 (ko) * 2012-11-28 2014-11-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계열 예측 모델을 이용한 이상관측자료 탐지 방법 및 지하수위의 이상관측자료 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381A (ja) 2006-10-10 2008-05-22 Omron Corp 時系列データ解析装置、時系列データ解析システム、時系列データ解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643764B1 (ko) 2015-07-30 2016-07-28 백인성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주가지수 방향성 예측", 박인찬 외 2명,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2009.)
A. Kishore, Add a Linear Regression Trendline to an Excel Scatter Plot, https://www.online-tech-tips.com/ms-office-tips/add-a-linear-regression-trendline-to-an-excel-scatter-plot (2010.07.1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93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eneda et al. Characterizing guidance in visual analytics
Saket et al. Visualization by demonstration: An interaction paradigm for visual data exploration
Wilson Search user interface design
ElSayed et al. Situated analytics: Demonstrating immersive analytical tools with augmented reality
Bailly et al. Visual menu techniques
US9477703B1 (en) Item version similarity scoring system
Klouche et al. Designing for exploratory search on touch devices
US9449062B2 (en) Data exploration combining visual inspection and analytic search
Datcu et al. On the usability and effectiveness of different interaction types in augmented reality
US20160320931A1 (en) Career history exercise data visualization
CN107122400A (zh) 用户查询结果的视觉提示细化
WO2012112356A2 (en)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structured content
TW201408993A (zh) 興趣點資訊地圖呈現系統、方法及其記錄媒體
US20210272029A1 (en) Context aware recommendation of analytic components
Deng et al. Beyond Fitts’s law: a three-phase model predicts movement time to position an object in an immersive 3D virtual environment
US20180285965A1 (en) Multi-dimensional font space mapping and presentation
WO2013021696A1 (ja) 情報検索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in et al. Designing in virtual reality: a comparison of problem-solving styles between desktop and VR environments
US20190073404A1 (en) Information retrieval control
US9619519B1 (en) Determining user interest from non-explicit cues
Park et al. An analytical approach to creating multitouch gesture vocabularies in mobile devices: A case study for mobile web browsing gestures
US10627984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virtual data analysis
JP20172240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991507B1 (ko)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Burigat et al. Bringing dynamic queries to mobile devices: A visual preference-based search tool for tourist decisio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