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764B1 -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764B1
KR101643764B1 KR1020150108405A KR20150108405A KR101643764B1 KR 101643764 B1 KR101643764 B1 KR 101643764B1 KR 1020150108405 A KR1020150108405 A KR 1020150108405A KR 20150108405 A KR20150108405 A KR 20150108405A KR 101643764 B1 KR101643764 B1 KR 10164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information
demand
supply
finan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성
Original Assignee
백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성 filed Critical 백인성
Priority to KR102015010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764B1/ko
Priority to PCT/KR2016/008384 priority patent/WO20170188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정보통신 단말기가 금융정보전산원으로부터 금융상품 종목의 시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중에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의 수요의사와 공급의사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요인인 보유량 지표를 추출함으로써, 각 거래주체를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등 경제적 속성을 식별할 수 있는 미시 경제학적 캐릭터를 생성하고, 가격 및 수급변화, 시간으로 구성되는 3차원의 벡터를 데카르트 평면상에 차트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시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각 주체별 거래정보를 미시 경제학적인 그래프 상에서 비교하여 경제학적 분석모델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차트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금융상품 투자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Chart System Expressing Supply Demend vector of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본 발명은 정보통신매체를 통한 금융투자상품 정보의 시각적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 금융상품에 대한 매매주체의 누적보유량을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캐릭터를 구분하여, 수요 및 공급사이클로 비교/대조하여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벡터를 생성하고, 각 캐릭터의 비교를 통한 미시경제학적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증권분석에 미시경제학의 시장이론을 적용하여 각 캐릭터를 분석하는 미시경제학적 금융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권 분석 분야에 있어 왈라스의 균형 모형과 주식시세 분석은 전혀 관계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미시경제학적 이론은 시장을 그래프로 표현하여 측정할 수 있으므로 기술적 분석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거시변수를 설명하는 거시경제학이나, 재무적지표를 활용하는 계량적 분석과 달리 증권분석 분야에서 전혀 활용하지 않고 있다.
한편 기술적 분석 도구로 대부분의 증권정보제공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캔들차트, 바차트, 렌코차트, 역시계곡선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가격과 거래량을 결합한 차트를 제공하고, 이들 패턴을 이론화하여 기술적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금융투자분석 분야가 미시경제학과 별개로 취급되는 이유는, 당해 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캔들차트에서 거래량 표시방식과 거래량 데이터의 특성에 있다.
가장 보편적인 기술적 분석 틀은, 가격은 캔들차트로 표시하고, 거래량은 별도의 추가적 인 뷰를 생성하여 히스토그램 형태의 보조적인 뷰 통해 참조를 제공할 뿐, 별개의 시계열 벡터로 취급하고 있다.
이를 보완한 역시계곡선은 시장가격과 거래량의 관계를 역시계 방향의 곡선으로 나타내는 차트이다. 시계의 반대방향(좌회전곡선)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역시계곡선이란 이름을 붙였는데, 주가와 거래량 간의 상관관계가 크다는 점과 거래량이 주가에 선행한다는 두 가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다.
하지만 역시계곡선은 여전히 거래량을 지표로 사용함으로써 수요자나 공급자로 매매주체를 독립적으로 식별하지 못하고, 종목 하나를 대상으로 취급하고 있다.
증권시장에서 일별 체결량을 집계하는 거래량의 가장 큰 문제점은 수요와 공급의 주체를 식별하지 않은 수량이라는 점이다. 또한 거래량이라는 데이터가 갖는 또 다른 문제점은 일별(또는 특정기간) 거래량은 동일한 거래자가 거래 회전률만 높여도 크게 수급의사를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존의 캔들차트에서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거나 역시계곡선에서 가로축에 표시되는 거래량은 수요와 공급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지표이다.
한편 증권정보를 3차원의 차트로 표시하는 기존 발명에는 일본의 경우 특허 JP2003187078 A호에서는 복수의 종목을 사용자가 지정한 지표를 척도로 복수의 종목을 상호 비교하기 위해 각 종목을 하나의 삼차원 좌표계 화면에 마크를 표시하여비교하고, 유사한 종목들을 그룹화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704호에서 3차원 입체차트를 통해 하나의 차트에 복합적인 차트를 표시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여러 모니터에 분할된 차트정보를 하나의 차트에서 확인가능하게 하여 정보수집,분석, 판단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은 금융자산의 분석을 위해 3차원 그래프를 활용하고 있으나, 단순히 복수의 종목 또는 복수의 차트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정보수집과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단순한 표시의 편의"를 목적으로 활용할 뿐 특정 경제학 모형을 설명하는 등 기술적 사상을 접목하거나 확장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옵션이나 ELW를 포함한 파생상품 분석에 있어 블랙숄즈모형을 기반으로 잔존기간이나 변동성에 따른 옵션이나 ELW의 가격변동을 설명하기 위해, 가격분석에 수식으로 표현되는 3차원 벡터를 통해 자산의 민감도를 surface로 표시하여 종목 및 포트폴리오 분석에 산업 전반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종목 일반적인 주식, ETF 및 지수 등의 금융투자상품에서는 단순히 복수의 정보를 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3D로 화면을 구성하고 있을 뿐 파생상품과 같이 특정한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특정 종목에 대한 표시 대상을 특정하거나 미시적 시장균형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미시경제학의 이론인 "왈라스적으로 안정적인 상황"을 표시할 수 있는 차트시스템이나 도 12에 표시되는 이론을 기반으로 시장가격 설명을 위한 변수로써 탄력성을 활용하는 문제의식은 일반적으로 당해 분야에 시사되거나 적용되지 않는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금융투자협회의 펀드매니저나 애널리스트 자격시험에도 미시경제학은 그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해당 분야에서는 아직 미시경제학적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차트나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식조차 형성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융투자상품 분석에 미시경제학의 시장분석이론이 제공하는 시장의 균형가격 및 거래량과 균형의 안정성을 설명하는 이론을 접목할 수 있는 차트와 해당 분석에 적합한 벡터 보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미시경제학의 거래량은 해당 가격에 수요/공급 의사를 표시하는 수량이다. 증권분석분야에서 거래량은 통상적으로 히스토그램으로 그 거래의 수를 표시하는 지표이다. 경제학과 같은 "거래량"이라는 철자를 사용하지만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영미권에서는 "Volume"과 "Quanti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증권분석에서 쓰이는 거래량(Volume)의 정의는, 일정기간 해당 종목에 체결된 거래 수의 집계량으로 미시경제학적 거래량과 두가지 차이점으로 인해 수급의사를 표현하지 못한다.
첫째. 거래 주체를 식별하지 않고 대상 종목에서 발생한 모든 체결량을 풀링하여 집계한다.
둘째. 동일 종목을 대상으로 동일인이 발생시킨 회전 매매까지 집계되는 것이 실제 수요/공급 의사를 표시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매매주체를 독립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면서, 회전 거래를 상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지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도 4와 같이 거래량과 더불어 표시되는 개별 종목에서는 거래주체의 보유량 변동 정보를 기반으로 벡터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식별 가능한 독립적인 매매주체의 거래 결과를 하나 이상의 캐릭터로 구분하여야 하며, 미시경제학적인 차원에서 각 캐릭터의 변화를 비교/대조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시간에 따른 가격변화를 적정한 거래량Quantity 지표를 정의하는 보유량 지표와 함께 3차원 벡터를 생성하고, 캐릭터 간에 상기 변수를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구성으로부터 파생되는 가장 중요한 수학적 조건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5074442416-pat00001
미시경제학에서 이를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라고 하며, 이 지표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이론을 전개해 나간다. 또한 이 탄력성 변수는 차트에서 캐릭터 별로 표시되어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3차원 벡터로 표현하고 비교/대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중요한 목적은, 도 12와 같이 상기 수학적 변수의 비교하는 이론을 기반으로 차트를 통해 왈라스 또는 마셜의 균형을 포함한 미시적 시장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수학적인 조건 해당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편, 실제 미시시장에서 균형점(교차점)을 정하는 것은 상기 벡터가 시시각각 변할 수 있는 동적인 것이므로 사용자가 임의의 인덱스에서 시점을 지정하여 교점을 지정할 수있도록 벡터를 변화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종목이 마셜 또는 왈라스 중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조절할지 평가할 수 있도록 3차원 벡터를 통한 표시 방법을 제공하고, 캐릭터를 구분하여 비교표시하는 결합수단을 제공하여, 기존 증권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시경제학이론을 증권분석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시너지효과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정보통신매체를 통해 금융 투자 상품 정보의 수급을 표시하는 시스템(10)에 있어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금융정보DB(30)로부터 금융상품 종목의 가격정보 및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의 보유량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입수받는 정보입수부(11);와 거래주체에 캐릭터 레이블을 지정하여, 보유량 데이터를 기초로 수급변화량을 식별하는 캐릭터 생성하는 캐릭터관리부(12); 및 좌표공간에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가격 지표, 보유량 지표, 시간의 3차원 벡터로 사용자 화면에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각 캐릭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벡터를 생성하는 벡터관리부(13);를 포함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경우, 캐릭터 간의 대조표시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점에 서로 겹쳐서 표시되도록 벡터값을 보정하는 보정관리부(14);를 통하여 수요와 공급의 사이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발명에 있어 금융 투자 상품 종목에 대한 정보는 주식, 선물옵션을 포함한 파생상품 또는 인덱스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투자금융상품 종목에 대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표시하는 수요와 공급적 특성은 해당 종목의 가격P 및 수급Q 데이터를 통해,
Figure 112015074442416-pat00002
로 정의되는 속성이며, 해당 속성을 벡터의 기울기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는 보유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수급Q 데이터로, 외국인,개인,기관을 포함하는 매매주체 단위(D1)나 프로그램 물량(D2), 각 회원사 창구별 물량(D3) 또는 파생상품의 경우 미체결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된 각 거래원의 보유량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 사용자 화면에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식별 가능한 캐릭터의 명칭을 표시(F1)하고 해당 캐릭터의 벡터(F2)를 화면에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F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미시경제학의 그래프처럼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대조 표시하는 경우, 벡터의 보정은 보유량 축에서 하나 이상의 시점에 서로 겹쳐서 표시되도록 하는 서로 스케일이 다른 캐릭터의 보유량 정보를 변수로 하는 3차원 벡터의 조정이며,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보유량 지표를 일치시킬 수 있는 기준점이 되는 인덱스를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1)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면에 표시할 벡터의 기간 범위를 조정하는 인터페이스(F5)나 대조 표시를 위한 보정의 기준점이 되는 인덱스 조정 인터페이스(U1), 화면에 표시되는 기간의 범위 및 기준 인덱스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F4)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표시 시점 및 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3차원의 벡터는 축간의 스케일을 편차와 규모를 보정하기 위한 수식은 아래 식처럼 단위벡터로 정규화하는 방법이나
Figure 112015074442416-pat00003
Figure 112016010609861-pat00034
표준편차를 활용해 정규화시키는 방법,
Figure 112015074442416-pat00005
최대 최소값을 기준으로 상대적 비율을 비교하는 방법
Figure 112015074442416-pat00006
.
또는 사용자의 수식편집 설정(L1)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규칙을 설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좌표계 공간상에 일정한 규모로 표시되도록 하는 수식을 통해 좌표축 간의 스케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벡터는 수식이나 스크립트편집(L1)을 통해 축간 스케일의 편차나 비율 보정 또는 규모에 대한 보정 규칙을 사용자가 재정의하거나, 기존 벡터를 바탕으로 수학적/통계적/금융공학적 방법을 사용한 수식 또는 스크립트를 통해 추가적인 지표를 생성하여 캐릭터의 추가적/보조적인 벡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 3차원 벡터는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연속된 형태의 곡선 또는 도형으로 표시되며, 각 벡터값은 좌표값이나 크기 또는 색상을 통해 변량이 표시되는 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3차원 벡터가 3차원 좌표계에서 표시될 때, 회전이나 확대/축소의 지오메트리 연산처리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금융투자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통신매체를 통해 금융 투자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금융정보DB로부터 금융상품 종목의 가격정보 및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의 보유량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입수(P01)받는 단계;와 거래주체에 캐릭터 레이블을 지정하여, 보유량 데이터를 기초로 수급변화량을 식별하는 캐릭터 생성하는(P02)단계; 및 좌표공간에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가격 지표, 보유량 지표, 시간의 3차원 벡터 형식으로 사용자 화면에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각 캐릭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벡터를 생성(P03)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경우(P04), 캐릭터 간의 대조표시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점에 서로 겹쳐서 표시되도록 벡터값을 보정(P05)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요와 공급을 측정할 수 있는 차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 정보통신매체는 PC나 웹, 모바일 또는 전용 단말기를 포함한 장치에 적용되어 화면상에 수요와 공급 사이클을 표시하는 미시 경제학적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투자주체의 캐릭터 정보 인지를 통해 수요와 공급의 주체로 구분함으로써 파생되는 변수 및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투자정보 제공방법.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른 금융투자정보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해당 종목을 거래하는 하나 이상의 매매주체에 대한 3차원 벡터를 그래프 상에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식별하여 각 캐릭터를 특정할 수 있다. 그래프 상에 하나 이상의 주체의 3차원 벡터를 표시함으로써 미시경제적 분석 틀을 기반으로 캐릭터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캐릭터를 비교하는 경우, 하나의 주체로 외국인을 선택하고 해당수급 데이터를 집약하여 3차원 벡터를 구성하고 또 다른 주체로 개인를 선택하여 보유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의 비교를 통해 일정 기간동안 자산가격변동이 왈라스 또는 마셜의 균형조건을 포함한 미시경제학적 균형의 안정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식에 따라 하나의 캐릭터만 표시하는 경우 벌집이론 또는 다우이론 상의 순환모형을 적용하여 시세를 분석할 수 있으며, 더불어 캐릭터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해당 종목에 대한 다우이론적 순환단계를 독립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투자상품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금융투자상품정보 시스템의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기존의 금융정보시스템이 표시하는 캔들차트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4은 기존 금융정보시스템이 거래주체의 보유량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금융상품정보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모바일에서 구현된 3차원 벡터의 정보표시의 일 실시예적 화면이다.
도 12는 미시경제학의 시장이론 중 왈라스적 균형 조건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금융상품정보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생성된 3차원 벡터의 정보표시의 일 실시 예적 화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금융상품정보 시스템이 벡터값을 관리하는 일 실시 예적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금융상품정보 시스템이 사용자 수식을 입력받는 일 실시 예적 화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점과 더불어 발명의 구성을 통해 캐릭터를 비교한다는 것이 어떻게 미시경제학적 사상을 구성하는지 그 논리 및 요령과 그에 따른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금융상품투자의 수급 표시 시스템(10)에 관련된 전체 구성을 요약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네트워크(20)에 연결된 금융정보데이터 서버(3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증권 종목이나 인덱스지수 또는 파생상품을 포함하는 금융상품종목의 거래정보입수부(11)와 캐릭터 관리부(12), 벡터관리부(13), 보정관리부(14)로 구성된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시스템으로 PC 프로그램이나 Web 서비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또는 전용단말기를 포함한 정보통신매체를 통해 3차원 벡터를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은 도 2의 순서도에 따라 캐릭터 차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정보통신매체를 통해 금융투자 상품을 거래의 가격에 따른 수급적 변화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금융정보DB로부터 금융상품 종목의 가격정보 및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의 보유량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입수(P01)받는 단계를 통해 보유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3 처럼 기존에 증권 차트 제공방법은 거래량(volume)과 별도의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지만 본 발명의 차트에서는 직접 표시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 기존의 발명이나 선행문헌과 차이점이다.
본 발명에서 거래량quantity은 도 4에서 추가표시되는 데이터와 같이 다른 거래정보를 수급주체를 구분하여 표시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도 4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 종목이나 인덱스 지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개인과 기관, 외국인(D1)을 동일한 성격의 거래 단위별로 거래량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며 프로그램(D2)물량에 관한 데이터도 표시된다.
당해 분야에서는 이 또한 표(테이블)로 제공되거나 시계열적 표시방법 외에는 별다른 결합 방식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외에도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는 경제학적 거래량quantity에 대응 되는 수급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성격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외국인,개인,기관을 포함하는 매매주체 단위(D1),
2. 프로그램 물량(D2)
3. 각 회원사 창구별 물량(D3) 또는
4. 파생상품의 경우 미체결잔량 과 같은 형태로 각 거래원의 보유량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누적된 결과를통해서 보유량을 측정한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면 독립적으로 식별하여 각 주체를 차트상에 캐릭터별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릭터는 인덱스t 및 가격P, 거래량Q의 벡터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파생되는 지표인 아래 식에 따른 경제학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객체가 된다.
Figure 112015074442416-pat00007
이와 같이 보유량 데이터를 기초로 수급변화량을 식별하는 캐릭터 생성하는(P02)단계를 통해 좌표공간에 개인과 기관의 캐릭터를 가격 지표, 보유량 지표, 시간의 3차원 벡터 형식으로 사용자 화면에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각 캐릭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벡터를 생성(P03)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경우(P04), 해당 벡터는 축간의 정규화와 함께, 캐릭터 간의 대조표시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점에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겹쳐서 표시되어 미시 경제학의 그래프를 표상할 수 있도록 두 캐릭터의 벡터값을 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캐릭터를 표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차트 시스템에 따른 벡터가 경제학적 수요와 공급을 표상하는 것이 가능한 논리는 다음과 같다.
경제학에서 수요는 경제주체들이 어떤 재화를 구입할 능력이 뒷받침된 상황에서 그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욕구 혹은 계획을 말한다. 수요를 그래프상에서의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로써 나타낼 수 있고, 이를 수요 곡선이라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보유량의 누적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일정기간 해당 상품의 구입/매각한 물량을 누적한 역사적 수요곡선을 기록한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의 방향은 실제로도 이론적으로도 그 방향이 정해져 있지 않다. 가격과 수요량의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우하향의 수요곡선의 예외로 기펜재를 들 수 있는데, 기펜재는 수요곡선이 우상향을 한다.
밴드웨건이나 사재기 현상이 일어나서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늘어난 경우가 대표적인 예이다. 마찬가지로 현상으로 주식시장의 투자목적 또한 수시로 기펜재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른 차트에서 카메라 시점이 변함에 따라 인덱스t 순서가 오름차순으로 표시되는지 내림차순인지에 따라서도 보유량의 증가가 우측 또는 좌측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수요나 공급곡선의 방향은 차이가 날 수 있다. 즉 보유량의 증감을 통해서 수요자(구매)포지션인지 공급자(매도)포지션인지 시시각각 변하는 캐릭터를 수요 공급으로 추정한다.
요컨데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요와 공급곡선의 개념은 주식시장에서 시장참여자가 수요자로서의 입장과 공급자의 입장에서 보유효용과 기회비용을 추상적으로 비교함에 따른 욕구 혹은 계획의 변화를 표현하는 데카르트 평면상의 원형의 곡선이다. 이를 찰스 다우가 다우이론에서 6가지 국면으로 나눈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이러한 매매주체를 공급자 수요자로써의 캐릭터로 표시하고 더불어 경제학적 분석을 위해 20일 평균값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추가적인 연산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여 평활화된 수요공급을 표시함으로써 그 식별을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을 기반으로 금융투자분석에 적용하기 위해 경제학적 거래량에 대한 개념을 식별할 수 있는 주체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경제학적 거래량 데이터로써 활용할 수 있게 스케일 보정을 통해 캐릭터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대조표시 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요령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합 방식에 따라 표시되는 차트는 도 5와 같이 미시경제학의 가격과 거래량Quantity 축의시장을 나타내는 도 12의 미시경제학적 좌표평면과 유사한 형태로 표시된다.
도 5에 표시되는 바 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구성요소와 결합방법을 기반으로 미시경제학적 좌표평면과 개념적으로 동일한 개념의 지표를 사용하고 해당 개념을 통해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둘 이상의 매매주체의 데이터를 3차원의 객체로 표시(F2)하여 수요와 공급곡선을 비교하는 미시경제학적 접근을 가능케 한다.
도 5의 F1에 표시된 개인과 기관이라는 거래주체가. 시간에 흐름에 따라 보유량을 늘리거나 줄여간 흔적을 표시한다. 기관은 보유량을 줄여가고 있고, 개인은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추세임을 비교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5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는 도 4와 같은 형태로 주어질 수 있으며, 이때는 별도로 보유량증감을 누적된 지표로 재가공해야 한다. 또한 도 4처럼, 개별적으로 다루어지는 각 매매주체의 이산적인 변량을 3차원 벡터로 결합할 때 분석할 규모와 부호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스케일 보정할 때 캐릭터를 유지하면서 대조표시 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요령이 필요하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교차함으로써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보정수식을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3차원의 벡터 정규화 방법은 다양한 수학적 산식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같이 단위벡터로 정규화하는 방법이나
Figure 112015074442416-pat00008
Figure 112016010609861-pat00035
평균과 표준편차를 활용해 정규화시키는 방법,
Figure 112015074442416-pat00010
최대 최소값을 기준으로 상대적 비율을 비교하는 방법
Figure 112015074442416-pat00011
.
또는 사용자의 수식편집 설정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규칙을 설정하는 방법 등을 활용하여 가격과 보유량 축간의 스케일의 편차와 규모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3차원 벡터는 원래의 데이터를 단순히 정규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7이 도6처럼 표시될 수 있도록,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추가적인 지표를 표시하거나, 비교/대조를 위해 벡터를 재조정할 수 있는 벡터관리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5와 같이 추가적인 화면에서 수식이나 스크립트편집(L1)을 통해 축간 스케일의 편차나 비율 보정 또는 규모에 대한 보정 규칙을 사용자가 재정의하거나, 기저 벡터를 바탕으로 수학적/통계적/금융공학적 방법을 사용한 수식 또는 스크립트를 통해 추가적인 지표를 생성하여 캐릭터의 추가적/보조적인 벡터를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생성된 벡터는 도6과 도7을 비교해보면 무엇이 더 효율적인지 알 수 있다. 불규칙적인 일별 변동을 평활하는 스크립트를 보조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추세를 가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표시된 벡터는 도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보이는 것처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겹처 보이도록 해당 캐릭터를 대조할 수 있는 형태로 보여준다.
도5의 화면을 보면 상기 보유량 데이터를 기준으로 거래주체에 캐릭터 레이블을 지정(F1)하여 색상을 통해 차트상에서 캐릭터의 벡터(F2)를 식별할 수 있도록 명칭을 표시 하고 있다.
또한, 표시가능한 거래주체 중에서 선택적으로 화면에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사용 인터페이스(F3)를 제공하여 거래 주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때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대조 표시하는 경우, 벡터의 보정은 보유량 축에서 하나 이상의 시점에 서로 겹쳐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전에 서로 스케일이 다른 캐릭터의 보유량 정보를 변수로 하는 3차원 벡터의 재조정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보유량 지표를 일치시킬 수 있는 기준점은 기본적으로 보정과정에서 해당 벡터의 평균수준에서 정해지겠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일치되는 지점을 지정하고 싶은 경우 해당 인덱스를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F4)를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되는 분석대상기간을 사용자가 좁히거나 범위를 특정하고 싶은 경우, 표시할 벡터의 시간범위를 지정/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F4는 날짜의 범위와 일치 인덱스를 동시에 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에 보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지만 터치 인터페이스나 스크롤 또는 제스쳐 등을 통해 조작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6에 표시된 차트처럼 초기 설정으로 따로 선택하지 않으면 대등한 성격에 해당되는 거래원이 모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특정 거래주체를 특정하여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사용자 화면에 표시할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 이상의 식별 가능한 캐릭터의 명칭을 표시(F1)하고 해당 캐릭터의 벡터(F2)를 화면에 표시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표시된 도6은 벡터의 20일 평균선을 보조적인 벡터만 표현하고 있다. 도 7에서 표시되는 것처럼 가격 및 보유량에 관한 실제 데이터는 노이즈처럼 불규칙적인 변동이 있다. 따라서 가격뿐만 아니라 누적보유량에도 20일 이동평균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평활한 추가적 또는 보조적 벡터를 표시함으로써 훨씬 간결하게 미시 경제학의 수학적 조건(캐릭터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게 된다.
3차원 그래픽를 사용할 때의 장점은 도 9내지 10처럼 회전이나 확대/축소를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시세를 관찰할 수 있다. 투시에 따라 동일한 수요곡선이 우하향하거나 우상향하게도 표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가격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도 3의 캔들차트와 같이 도 8에서 처럼 뷰의 회전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시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과 개인의 캐릭터가 비슷한 수준으로 보유량을 늘린 상황(수요)에서도 도 9 에서 보유량을 누가 얼마나 올렸는지를 비교할 수도 있다.
이때 미시경제학적 분석을 위해 사용자는 이를 회전한 도 10 내지 도 11에서 그 차이를 보면 마셜적인지 또는 왈라스적 균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미시 경제학에서 탄력성의 비교를 통한 분석 모형 중 하나로 시장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시장의 안정성과 가격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경제학자 왈라스의 균형 조정과정(Walrasian adjustment process)의 내용은 도 12와 같이 균형조건에 해당여부와 그에 따른 복귀과정(조정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균형조건은 탄력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있다.
다음 식은 미시경제학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나타내는 수식이며 본 발명의 캐릭터별 벡터가 표시하는 특성이다.
Figure 112015074442416-pat00012
도12의 수학적(기하학)적 조건을 다르게 표현하면, 수요 측의 탄력성이 공급한 측의 탄력성보다 작은 경우로, 이때가 왈라스적 안정균형 상황이고, 그에 따라 일시적으로 과매도 초과공급 또는 과매도. 즉,초과수요가 발생한 경우, 가격 조정 과정을 거쳐 안정화되는 왈라스적 균형경로를 통해 가격이 조정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식에 따라 두 수급주체의 보유량 변화 경로를 두 개의 곡선으로 표시하는 경우 위 자료처럼 두 주체별의 기울기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상기 본 발명의 방식에 따라 표시되는 차트에 표시된 두 캐릭터를 비교하는 것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할 수 있는 기울기를 비교 표시할 수 있는 요소와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미시경제학의 수학적 조건을 비교하여 그 이론적 의미를 부여가질 수 있기 때문에 증권분석을 미시경제학과 접목하는 새로운 효과가 생기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구현으로 실제 구현은 앞에서 기술한 도 13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PC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포함한 모바일 어플케이션 등 다양한 정보통신매체 및 단말기에 적용되어 시스템 사양이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통신매체를 통해 금융자산분석을 위한 HTS나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금융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산업에서 미시경제학이론을 적용하는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식에 따라 기능을 결합하여 정한 캐릭터를 표현하는 벡터를 차트로 표시함으로써, 다우분석과 왈라스 및 마셜의 미시경제학이론을 기반으로 차트를 해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통상 별개의 분야로 취급되는 증권분석분야에서 하나의 종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주체를 구분하여 독립적인 캐릭터로 비교 표시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을 구분하는 미시경제학분야와 결합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정보통신매체를 통해 금융 투자 상품 정보의 수급을 표시하는 시스템에 있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금융정보DB로부터 금융상품 종목의 가격정보 및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의 보유량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입수받는 정보입수부;
    거래주체에 캐릭터 레이블을 지정하여, 보유량 데이터를 기초로 수급변화량을 식별하는 캐릭터 생성하는 캐릭터관리부; 및
    좌표공간에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가격 지표, 보유량 지표, 시간의 3차원 벡터로 사용자 화면에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각 캐릭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벡터를 생성하는 벡터관리부;를 포함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벡터는 캐릭터 간의 대조표시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점에 서로 겹쳐서 표시되도록 벡터값을 보정하는 보정관리부를 통하여 수요와 공급의 특성과 사이클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캐릭터를 대조 표시하는 경우, 벡터의 보정은 보유량 축에서 하나 이상의 시점에 서로 겹쳐서 표시되도록 하는 서로 스케일이 다른 캐릭터의 보유량 정보를 변수로 하는 3차원 벡터의 조정이며,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보유량 지표를 일치시킬 수 있는 기준점이 되는 인덱스를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화면에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식별 가능한 캐릭터의 명칭을 표시하고 해당 캐릭터의 벡터를 화면에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벡터는 수식이나 스크립트편집을 통해 축간 스케일의 편차나 비율 보정 또는 규모에 대한 보정 규칙을 사용자가 재정의하거나, 기존 벡터를 바탕으로 수학적, 통계적, 또는 금융공학적 방법을 사용한 수식 또는 스크립트를 통해 추가적인 지표를 생성하여 캐릭터의 추가적 또는 보조적인 벡터를 구성할 수 있고,
    화면에 표시할 벡터의 기간 범위를 조정하는 인터페이스, 대조 표시를 위한 보정의 기준점이 되는 인덱스 조정 인터페이스, 상기 기간의 범위 및 기준 인덱스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표시 시점 및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투자정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
    금융 투자 상품 종목에 대한 정보는 주식, 선물옵션을 포함한 파생상품 또는 인덱스 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투자금융상품 종목에 대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캐릭터가 표시하는 수요와 공급적 특성은 해당 종목의 가격P 및 수급Q 데이터를 통해,
    Figure 112016010609861-pat00013

    로 정의되는 속성이며, 해당 속성을 벡터의 기울기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투자정보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
    독립적으로 식별가능한 거래주체는 보유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수급Q 데이터로,
    1. 외국인,개인,기관을 포함하는 매매주체 단위,
    2. 각 회원사 창구별 물량,
    3.프로그램 물량 또는
    4. 파생상품의 경우 미체결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각 거래원의 보유량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투자정보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
    3차원의 벡터는 축간의 스케일을 편차와 규모를 보정하기 위하여
    1. 단위벡터로 정규화하는 방법이나
    Figure 112016010609861-pat00014

    Figure 112016010609861-pat00036

    2. 표준편차를 활용해 정규화시키는 방법,
    Figure 112016010609861-pat00016

    3. 최대 최소값을 기준으로 상대적 비율을 비교하는 방법
    Figure 112016010609861-pat00017
    .
    또는
    4. 사용자의 수식편집 설정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규칙을 설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좌표계 공간상에 일정한 규모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투자정보시스템.
  8. 삭제
  9. 제 1항에있어,
    3차원 벡터는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연속된 형태의 곡선 또는 도형으로 표시되며, 각 벡터값은 좌표값이나 크기 또는 색상을 통해 변량이 표시되는 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투자정보시스템
  10. 제 1항에있어,
    3차원 벡터가 3차원 좌표계에서 표시될 때, 회전이나 확대 또는 축소의 지오메트리 연산처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투자정보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08405A 2015-07-30 2015-07-30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405A KR101643764B1 (ko) 2015-07-30 2015-07-30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6/008384 WO2017018857A1 (ko) 2015-07-30 2016-07-29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405A KR101643764B1 (ko) 2015-07-30 2015-07-30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764B1 true KR101643764B1 (ko) 2016-07-28

Family

ID=5668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405A KR101643764B1 (ko) 2015-07-30 2015-07-30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3764B1 (ko)
WO (1) WO201701885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393A (ko) * 2017-09-21 2019-03-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73206A (ko) 2019-12-10 2021-06-18 김동훈 그래프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55861A (ko) 2020-06-16 2021-12-24 (주)지웨어 매매주체별 활동이 반영된 차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55864A (ko) 2020-06-16 2021-12-24 (주)지웨어 매매주체별 매매활동이 반영된 차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078A (ja) * 2001-12-17 2003-07-04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株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8026941A (ja) * 2006-07-18 2008-02-07 Hisaaki Ishimaru 銘柄選択支援システム
KR20120004025A (ko) * 2010-07-06 2012-01-12 정운철 주식거래량 세분화를 통한 수급분석 기법
KR20120137807A (ko) * 2011-06-13 2012-12-24 이진희 실시간 증권 틱데이터를 이용한 그래프 생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078A (ja) * 2001-12-17 2003-07-04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株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8026941A (ja) * 2006-07-18 2008-02-07 Hisaaki Ishimaru 銘柄選択支援システム
KR20120004025A (ko) * 2010-07-06 2012-01-12 정운철 주식거래량 세분화를 통한 수급분석 기법
KR20120137807A (ko) * 2011-06-13 2012-12-24 이진희 실시간 증권 틱데이터를 이용한 그래프 생성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393A (ko) * 2017-09-21 2019-03-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91507B1 (ko) 2017-09-21 2019-06-2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제학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73206A (ko) 2019-12-10 2021-06-18 김동훈 그래프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55861A (ko) 2020-06-16 2021-12-24 (주)지웨어 매매주체별 활동이 반영된 차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55864A (ko) 2020-06-16 2021-12-24 (주)지웨어 매매주체별 매매활동이 반영된 차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857A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nelly et al. Bringing cost transparency to the life annuity market
KR101643764B1 (ko) 금융투자상품의 수요와 공급을 표시하는 벡터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80353A1 (en) Methods and systems of financial data analysis and simulation
CN108369713A (zh) 交互式期权交易图形用户界面及其生成系统
Choudhry et al. Advanced fixed income analysis
US20180322576A1 (en) Order life-cycle visualization
WO2010030949A2 (en) Dynamic indexing
US201401724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Evaluating an Insurance Program of an Entity
Kaufmann et al. Sometimes less is more–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ggregation on investment decisions
Linders et al. A framework for robust measurement of implied correlation
US8386356B2 (en) Method for calculation of time weighted returns for private equity
Ko et al. Pricing maturity guarantee with dynamic withdrawal benefit
US11900460B1 (en) Bond inform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on
Prosad et al. Exploring optimism and pessimism in the Indian equity market
JP2021111281A (ja) 事業者分類装置、方法、プログラム、事業者評価システム及び信用リスク評価システム
Alda et al. Pension fund herding and the influence of management style
JP2012168599A (ja) 金融ポートフォリオ分析システム
US201001383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valuating financial instruments using cumulative subpositions
AU2017101891A4 (en) Electronic calculator for real time optimisation, searching, and extrapolating multiple scenarios of post-retirement cash flow with intertemporal settings,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Morone et al. Tax salienc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Lewin Capital Valuation, What is it and Why Does it Matter? Insights from Austrian Capital Theory
US20180189875A1 (en) Electronic calculator for real time optimisation, searching, and extrapolating multiple scenarios of post-retirement cash flow with intertemporal settings,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36231B1 (ko) 주문체결량 기반 거래정보 전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
Anghelache et al. THE CONCEPT OF CERTAINTY IN THE CHOICE OF PORTFOLIOS-AN IMPORTANT ELEMENT IN THE MANAGEMENT OF THE ACTIVITY
Amin et al. The Volatility of Individual Securities in Measuring Value at Risk of a Portfol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