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177B1 - 논리 배터리 - Google Patents

논리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177B1
KR101991177B1 KR1020170132240A KR20170132240A KR101991177B1 KR 101991177 B1 KR101991177 B1 KR 101991177B1 KR 1020170132240 A KR1020170132240 A KR 1020170132240A KR 20170132240 A KR20170132240 A KR 20170132240A KR 101991177 B1 KR101991177 B1 KR 10199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urrent collecting
battery
current collector
collec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난 양
Original Assignee
프로로지움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프로로지움 홀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로지움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프로로지움 홀딩 인크. filed Critical 프로로지움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1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논리 배터리가 본 발명에 개시된다. 논리 배터리는 복합 기판, 제2 집전층, 밀봉 프레임 및 전기-화학층을 포함한다. 복합 기판은 제1 집전층 및 레이아웃 층을 포함한다. 밀봉 프레임은 제1 집전층 및 제2 집전층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집전층 및 제2 집전층과 정사영적으로 오버래핑된다. 밀봉 프레임, 제1 집전층, 제2 집전층을 통해 전기-화학층을 배치하기 위한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배터리 유닛은 제1 집전층, 제2 집전층, 밀봉 프레임 및 전기-화학층을 통해 형성된다.

Description

논리 배터리{LOGICAL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 및 전자 모듈과 통합된 논리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장치는 경량화 및 박형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능이 더 다양해짐에 따라 성능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용량, 안전성과 같은 배터리 사양이 비교적 까다로워진다. 최근의 스마트 폰에는 모니터, 프로세서 스피커 및 안테나와 같은 전자 모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된다. 전자 모듈과 배터리는 회로 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따라서 배터리에서 전자 모듈로 전기가 전송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폰은 전화, 인터넷 서핑, 사진 촬영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며, 모니터의 해상도와, 데이터 처리 속도 또는 전송 속도가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폰의 내부 공간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와 전자 모듈의 디자인은 더 얇아져야만 한다.
불행하게도, 배터리의 두께와 용량은 정의 비율(positive incidence)를 갖는다. 특히, 와인딩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의 두께가 감소하면 전극의 길이가 줄어들고, 배터리의 용량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한 논리 배터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논리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논리 배터리의 복합 기판(composite substrate)은 집전층과 전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레이아웃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및 전자 모듈이 통합되어 논리 배터리의 전체 두께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논리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복합 기판은 또한 배터리의 집전층일 수 있다. 전기-화학층은 외부 연결부를 배치함이 없이 복합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처리 및 회로 설계가 단순화될 수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논리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복합 기판은 전기-화학 시스템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하고 외부의 물과 가스를 차단하는 논리 배터리 패키지의 일부이다.
본 발명은 복합 기판, 제2 집전층, 밀봉 프레임 및 전기-화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논리 배터리를 제공한다. 복합 기판은 제1 집전층과, 상기 제1 집전층의 주변에 배치된 레이아웃 층과, 제1 집전층과 상기 제2 집전층 사이에 배치된 밀봉 프레임을 포함한다. 밀폐 공간은 밀봉 프레임, 제1 집전층 및 제2 집전층을 통해 형성된다. 밀폐 공간 내에 전기-화학층이 배치된다. 배터리 유닛은 상기 제1 집전층, 제2 집전층, 밀봉 프레임 및 전기-화학층을 통해 형성된다. 전기-화학층은 제1 활성 물질층, 제2 활성 물질층, 및 제1 활성 물질층과 제2 활성 물질층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제1 활성 물질층은 제1 집전층에 접촉되고, 제2 활성 물질층은 제2 집전층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자명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논리 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논리 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논리 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논리 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논리 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논리 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논리 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스마트 카드에 적용된 안테나 유닛을 갖는 논리 배터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의(a) 및(b)는 스마트 카드에 적용된 논리 배터리의 양의 표면 및 음의 표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논리 배터리를 제공하고 그 전체 두께가 감소된다. 전자 모듈 및 집전층은 논리 배터리의 복합 기판에 통합된다. 전자 모듈은 회로 기판없이 배터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 배터리(10)는 복합 기판(12), 제2 집전층(14), 밀봉 프레임(16), 전기-화학층(18) 및 전기 모듈(20)을 포함한다. 복합 기판(12)은 제1 집전층(22), 레이아웃층(24) 및 절연물질층(26)을 포함한다. 절연 물질층(26)은 레이아웃 층(24)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제1 집전층(22)의 표면을 덮는다. 레이아웃 층(24)은 패터닝된 금속층이다. 패터닝된 금속층은 전기 모듈(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있다. 제1 집전층(22), 제2 집전층(14), 밀봉 프레임(16) 및 전기-화학 층은 배터리 유닛(19)을 형성한다. 전기 모듈(20)은 회로, 전기 모듈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복합 기판(12)은 가요성 인쇄 회로일 수있다. 복합 기판(12)은 배터리 유닛(19) 및 레이아웃 층의 집전층을 제공하고, 배터리 유닛과 전자 모듈을 결합하여, 전자 모듈의 전체 두께가 감소된다. 안테나 유닛, 배터리 유닛 및 다른 전자 모듈은 현재의 논리 배터리의 모듈화 설계를 통해 집적될 수 있고, 전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의 개발의 복잡성이 감소될 수 있다.
밀봉 프레임(16)은 제1 집전층(22)과 제2 집전층(14) 사이에 배치되고, 밀봉 프레임(16)의 상부 표면이 제1 집전층(22)에 부착되고, 밀봉 프레임(16)의 하부 표면이 제2 집전층(14)에 부착된다. 밀폐된 공간(28)이 형성되고 이 공간은 전기-화학층(18)을 수용한다. 배터리 유닛(19)은 제1 집전층(22), 제2 집전층(14), 밀봉 프레임(16) 및 전기-화학층(18)을 통해 형성된다. 전기-화학층(18)은 제1 활성 물질층(30), 제2 활성 물질층(32), 제1 활성 물질층(30)과 제2 활성 물질층(32)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34), 및 제1 활성 물질층(30), 제2 활성 물질층(32) 및 절연층(34) 내에 분산되어 있는 전해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1 활성 물질층(30)은 코팅을 통해 밀폐 공간(28) 내에 형성되고, 제1 활성 물질층(30)은 제1 집전층(22)과 접촉하고, 복합층(12)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제2 활성 물질층(32)은 밀폐 공간(28)의 내에 코팅을 통해 형성되고, 제2 활성 물질층(32)은 제2 집전층(14)과 접촉하고, 제2 집전층(14)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밀봉 프레임(16)의 상부 표면은 제1 집전층(22)에 부착되고, 밀봉 프레임(16)의 하부 표면은 제2 집전층(14)에 부착되고, 전기-화학 층(18)은 제1 집전층(22) 및/또는 제2 집전층(14)의 직교 영역(orthographic area) 내에 있다. 즉, 밀봉 프레임(16)은 또한 제1 집전층(22) 및/또는 제2 집전층(14)의 직교 영역에 있다. 제1 활성 물질층(30)의 직교 영역은 제1 집전층(22)의 직교 영역보다 작고, 제2 활성 물질층(32)의 직교 영역은 제2 집전층(14)의 직교 영역보다 작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전기-화학층(18)은 밀봉 프레임(16), 제1 집전층(22), 및 제2 집전층(14)을 통해 밀봉된다.
또한, 밀봉 프레임(16)은 제1 집전층(22) 및 제2 집전층(14)의 직교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있다. 즉, 제1 집전층(22) 및 제2 집전층(14)이 단면에서 길이가 동일할 때, 밀봉 프레임(16)은 제1 집전층(22) 및 제2 집전층(14)의 직교 영역 내에 완전히 있을 수 있고, 제1 집전층(32)과 제2 집전층(14)의 단면에서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 밀봉 프레임(16)은 제1 집전층(22) 및 제2 집전층(14)의 직교 영역 내에 완전히 있을 수 있으며, 밀봉 프레임(16)이 부분적으로 제1 집전층(22)과 제2 집전층(14)의 직교 영역 내에 부분적으로 있을 때, 밀봉 프레임(16)의 일부분은 제1 집전층(22)과 제2 집전층(14) 사이의 길이차와 상관없이 제1 집전층(22)과 제2 집전층의 직교 영역 밖에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레이아웃 층(24)은 제1 집전층(22) 중 하나 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아웃 층(24)과 배터리 유닛(19)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래핑된다. 도 2에서, 전자기파의 방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레이아웃 층(24)과 배터리 유닛(19)은 정사영적으로(orthographically) 오버래핑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레이아웃 층(24)은 제1 집전층(22)의 대향하는 2 개의 표면 위에 있다.
명확하게, 제2 활성 물질층(32)와 접촉하지 않는 제2 집전층(14)의 표면에 절연 커버층(36)을 더 배치될 수 있다. 패턴 금속층(3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레이아웃 및/또는 다른 레이아웃 층의 제2 집전층(14)과 접촉하지 않는 절연 커버층(36)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 집전층(14) 및 패터 금속층(3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합층에 통합 될 수 있다.
절연층(34)은 나노 스케일 및 마이크로 스케일의 TiO2, Al2O3, SiO2 또는 알킬화 세라믹 입자의 재료로부터 선택되고, 재료들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PVDF-HF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아크릴산 글루, 에폭시, PEO, PAN, PI 등의 폴리머에 의해 결합된다. 절연층(34)은 전기-화학 바능 동안 이온 전도성일 수 있다. 절연 물질층(26) 및 절연 커버층(36)은 폴리이미드, PET, PEN, PS, PP, PVC, PBT, PE, HDPE, LDPE, PA, 아크릴, 에폭시 및 유리 섬유의 재료들로부터 선택된다. 절연 물질층(34)과 절연 커버층(36)은 배터리 유닛(19)을 외부환경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
레이아웃 층(24)은 안테나 유닛(35)일 수 있고, 복합 기판(12)은 경성이거나가요성일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합 기판(12)이 경성일 때,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19)은 정사영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지거나 겹쳐지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복합 기판(12)이 가요성일 때, 복합 기판(12)은 배터리 설계에 따라 굴곡될 수 있고, 레이아웃 층(24) 및 배터리 유닛(19)은 정사영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거나 겹쳐지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 및 도 8은 레이아웃 층의 일부가 안테나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논리 배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아웃층(24)의 일부분은 안테나 유닛(35)으로 이용된다. 정사영적으로, 안테나 유닛(35)는 배터리 유닛(19)의 주변에 배치된다.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19)은 중첩되지 않는다. 복합 기판(12)은 논리 배터리의 2 개의 전기 출력부(T1, T2)를 갖는다. 안테나 유닛(35)는 2 개의 접점(C1, C2)을 가지며, 전기 출력부(T1, T2)는 도전성 와이어를 통해 접점(C1, C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와이어는 전자기 효과의 분포를 감소시키기 위해 안테나(35) 상에 교차 설정(cross-set)될 수 있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도전성 와이어의 폭은 150㎛ 이하이다. 또한, 도전성 와이어는 복합 기판(12)에 매설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출력부(T1, T2) 및 연결부(C1, C2)는 그에 대응하여 단일 엔드 포인트에 통합될 수 있다. 복합 기판(12)의 레이아웃 설계는 단순화될 수 있고, 전기 출력부와 점접의 점유 면적이 감소 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유닛(35)와 배터리 유닛(19)이 제1 집전층(22)의 동일 표면 상에 있지만,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19)은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집전층(22)을 반대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합 기판(12)은 단일층 회로 기판 또는 이중층 회로 기판 일 수 있다. 이중층 회로 기판의 재료는 종이 페놀 기재, 종이 에폭시 구리 기재, 유리-에폭시 구리 기재, 유리 복합 구리 기재, 벤젠 수지 구리 기재 또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구리 기재로부터 선택된다. 복합 기판(12)의 레이아웃 층(24)은 레이어 인그레이빙(layer engraving), 에칭, 머시닝, 스퍼터링, 증착, 코팅 등을 통해 안테나 유닛(35)을 형성한다. 안테나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나선형, 직선형, 블록 형 등 일 수 있다. 또한, 절연 커버층(26)은 제2 집전층(14)의 피복되지 않은 표면 상에 추가로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절연 커버층(26)은 집전층의 피복되지 않은 표면만을 부분적으로 덮지만, 절연 커버층(26)은 집전층의 피복되지 않은 표면을 완전히 덮는다.
전기-화학 시스템층(18)은 복합 기판(12)의 금속 표면(예를 들어, 구리 금속층의 표면)상에 직접 형성된다. 즉, 복합 기판(12)의 금속 표면은 배터리의 집전층의 하나로 이용된다. 전기-화학층(18)은 외부 연결부에 연결되지 않고 복합 기판(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있다. 회로 설계 또는 처리(procession)의 복잡성이 감소된다.
실제 적용에서, 안테나 유닛(35)은 센싱 안테나일 수 있다. 한편으로 안테나 유닛(35)은 NFC 데이터 전송을 위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사용할 수 있고, 인코딩은 NRZ(Non-Return-to-Zero)이다. 다른 한편으로, 안테나 유닛(35)는 전자기 유도의 무선 충전 안테나일 수 있으며, 사양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PMA(Power Matters Alliance) 및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의 표준을 충족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안테나 유닛(35)은 블루투스, WIFI, LTE, 3G 등의 기능 모듈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배터리 유닛(19)에 의해 자기장 선이 차폐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배터리 유닛(19)의 임의의 주변부와의 안테나 유닛(35) 사이의 최적의 거리는 2mm 이상이다(도 7 참조). 실제 데이터에서,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19)이 정사영적으로 겹쳐진 경우,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36) 사이의 전자기 차폐 효과로 인해 무선 충전 효율은 유선 충전 효율의 10% 내지 15%이다.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19) 사이의 거리가 정사영적으로 2mm보다 작을 때, 무선 충전 효율은 유선 충전 효율의 약 40% 이다.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19) 사이의 거리가 정사영적으로 2mm 보다 클 때, 무선 충전의 효율은 와이어 충전의 효율의 약 60% 이다.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19) 사이의 거리가 정사영적으로 3mm 일 때, 무선 충전 효율은 유선 충전 효율의 약 80%를 달성할 수 있다. 안테나 유닛(35)과 배터리 유닛(19) 사이의 직교 거리가 6mm 보다 클 때, 무선 충전 효율은 유선 충전 효율의 약 100%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기 차폐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배터리 유닛(19)과 안테나 유닛(35)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 직교 거리가 더 커지기 때문에 회로 레이아웃의 면적이 감소한다. 그러나, 제품에 대한 수요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배터리 유닛(19)과 안테나 유닛(35) 사이의 직교 거리는 제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스마트 카드(40)에 적용된 안테나 유닛을 가진 논리 배터리를 도시한다. 스마트 카드(40)는 보안 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코드는 거래 확인을 위해 스마트 카드(40)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표면(42)상의 신용 카드 번호 또는 하부 표면(44) 상의 보안 코드를 입력 할 때, 버튼 회로(46)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되고, 신호는 금속 부분(50)으로 전달된다. 한편, 논리 배터리(10)는 금속부(52)를 통해 마더 보드(54)에 전력을 공급한다. 동작 결과는 디스플레이(M) 상에 나타나거나 안테나 유닛(35)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된다. 수신기는 디지털 보드의 유도 루프 또는 유도 카드 판독기 또는 무선 충전 센서와 같은 전자기 신호를 수신가능한 다른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ISO78165의 규정에 따르면, 카드 리더와 접촉하는 스마트 카드(40)의 8개의 금속 부분 중 2 개(Vpp 및 Vcc)는 스마트 카드(40)의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유닛 Vpp 및 Vcc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금속부(50, 52)는 전력 공급 및 신호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금속부는 알루미늄 호일이며, 주석, 인듐, 은, 황동, 청동 또는 금에 도금하여 부식 방지력, 산화 방지력 및 전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도 10의 (a) 및 (b)는 스마트 카드에 적용된 논리 배터리의 양의 표면 및 음의 표면을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게, 동일한 복합 기판(12)의 2 개의 레이아웃 층(A1, A2) 상에, 외부 전도성 부품없이 신호 라인을 통해 안테나 유닛(35), 배터리 유닛(19), 전자 모듈(20)(도면상 버튼 회로), 디스플레이(M)이 배치된다. 안테나 유닛(35)는 스마트 카드(40)의 주변에 배치되어 안테나 유닛(35)의 일부만이 수신기와 접촉하여 신호 또는 무선 충전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 유닛과 레이아웃 층 또는 전자 모듈의 안테나 유닛이 복합 기판에 통합되는 경우 새로운 논리 배터리, 집전층을 제공한다. 논리 배터리의 전체 두께가 감소한다. 또한, 전자 모듈의 배치 제한이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자만, 동일한 것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그러한 모든 변형은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논리 배터리에 있어서,
    회로 기판으로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 중 일부를 제1 집전층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집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 층을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또는 상기 회로 기판의 다른 면에 형성되는 회로 기판;
    제2 집전층;
    상기 제1 집전층과 상기 제2 집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프레임으로서, 상기 밀봉 프레임은 2 개의 단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집전층은 상기 단부 표면 중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집전층은 상기 단부 표면 중 다른 하나에 부착되며, 상기 밀봉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집전층 및 상기 제2 집전층과 정사영적으로(orthographically) 오버래핑되고, 상기 밀봉 프레임, 상기 제1 집전층 및 상기 제2 집전층을 통해 밀폐 공간이 형성되는, 밀봉 프레임;
    상기 밀폐 공간 내에 배치되는 전기-화학층으로서, 배터리 유닛은 제1 집전층, 상기 제2 집전층, 상기 밀봉 프레임 및 상기 전기-화학층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전기-화학층의 직교 영역(orthographical area)은 제1 집전층과 제2 집전층의 직교 영역의 적어도 하나보다 작고, 상기 전기-화학층은 제1 활성 물질층, 제2 활성 물질층 및 상기 제1 활성 물질층과 상기 제2 활성 물질층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활성 물질층은 상기 제1 집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제2 활성 물질층은 상기 제2 집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기-화학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레이아웃 층으로부터 상기 제1 집전층을 부분적으로 절연하는 절연 물질층이 더 형성되는
    논리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층 및 전기-화학층은 상기 회로 기판의 동일한 표면 상에 위치하는
    논리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층 및 상기 전기-화학층은 상기 회로 기판의 서로 다른 표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아웃 층 및 상기 전기-화학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거나 겹치지지 않는
    논리 배터리.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전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레이아웃 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모듈은, 회로, 전자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논리 배터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전층의 표면에는 절연 커버층이 배치되는
    논리 배터리.
  8. 제7항에 있어서,
    패터닝된 금속층이 회로 레이아웃, 집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해 제2 집전층과 접촉하지 않는 절연 커버층의 표면에 더 배치되는 논리 배터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물질의 직교 영역은 상기 제1 집전층의 직교 영역보다 작은
    논리 배터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성 물질의 직교 영역은 상기 제2 집전층의 직교 영역보다 작은
    논리 배터리.
KR1020170132240A 2016-10-13 2017-10-12 논리 배터리 KR101991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33017 2016-10-13
TW105133017A TWI637668B (zh) 2016-10-13 2016-10-13 邏輯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177B1 true KR101991177B1 (ko) 2019-06-19

Family

ID=6008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240A KR101991177B1 (ko) 2016-10-13 2017-10-12 논리 배터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08882A1 (ko)
EP (1) EP3309893A1 (ko)
JP (1) JP2018073814A (ko)
KR (1) KR101991177B1 (ko)
TW (1) TWI6376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37668B (zh) * 2016-10-13 2018-10-01 輝能科技股份有限公司 邏輯電池
CN109541286B (zh) * 2018-12-27 2020-11-03 方圆广电检验检测股份有限公司 一种接触电流检测方法及测试仪
US11316378B1 (en) 2021-01-28 2022-04-26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in-band virtualized wired communications
US20220239355A1 (en) * 2021-01-28 2022-07-28 Nucurrent, Inc.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System For Industrial Use In Packaged Goods
US11483033B2 (en) 2021-01-28 2022-10-25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data versus power priority optimization
US11838076B2 (en) 2021-01-28 2023-12-05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th in-band virtualized wired communications
US11418069B1 (en) 2021-01-28 2022-08-16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data-priority and power-priority transfer modes
US11754618B2 (en) 2021-10-15 2023-09-12 Nucurrent, Inc. Tes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with in-band virtualized wired communic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663A (ja) * 2006-05-24 2007-12-06 Commiss Energ Atom エネルギー回復と貯蔵機能を結合する一体化されたマイクロ部品
JP2008539473A (ja) * 2005-04-11 2008-11-13 アベソ,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印刷された要素を有する積層構造
KR20090113373A (ko) * 2007-02-09 2009-10-30 사임베트 코퍼레이션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7044A (ko) * 2011-05-12 2013-12-13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셀
KR20160079894A (ko) * 2011-11-21 2016-07-06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아게 리튬 배터리, 리튬 배터리의 제조 방법,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4173A (ja) * 1983-09-01 1985-03-28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平板型電池
JPH06223805A (ja) * 1993-01-21 1994-08-12 Yuasa Corp 電池一体型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7045246B2 (en) * 2003-04-22 2006-05-16 The Aerospace Corporation Integrated thin film battery and circuit module
DE10346310A1 (de) * 2003-10-06 2005-05-04 Fraunhofer Ges Forschung Batterie, insbesondere Mikrobatterie, und deren Herstellung mit Hilfe von Wafer-Level-Technologie
JP2007011992A (ja) * 2005-07-04 2007-01-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機器利用制限方法及び論理的電池システム
US20080126260A1 (en) * 2006-07-12 2008-05-29 Cox Mark A Point Of Sale Transaction Device With Magnetic Stripe Emulator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EP2474056B1 (en) * 2009-09-01 2016-05-04 Sapurast Research LLC Printed circuit board with integrated thin film battery
US9219288B2 (en) * 2010-01-05 2015-12-2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20130176661A1 (en) * 2010-09-28 2013-07-11 Markku Rouvala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236890B1 (ko) * 2011-05-13 2013-02-25 박재훈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하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하판의 제조방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및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하판 어셈블리
US8929085B2 (en) *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JP6694246B2 (ja) * 2014-08-18 2020-05-13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薄型蓄電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9871273B2 (en) * 2014-12-18 2018-01-16 Intel Corporation Surface mount batter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battery cell
TWI637668B (zh) * 2016-10-13 2018-10-01 輝能科技股份有限公司 邏輯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473A (ja) * 2005-04-11 2008-11-13 アベソ,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印刷された要素を有する積層構造
JP2007317663A (ja) * 2006-05-24 2007-12-06 Commiss Energ Atom エネルギー回復と貯蔵機能を結合する一体化されたマイクロ部品
KR20090113373A (ko) * 2007-02-09 2009-10-30 사임베트 코퍼레이션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7044A (ko) * 2011-05-12 2013-12-13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셀
KR20160079894A (ko) * 2011-11-21 2016-07-06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오스트리아 아게 리튬 배터리, 리튬 배터리의 제조 방법,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73814A (ja) 2018-05-10
TW201815241A (zh) 2018-04-16
TWI637668B (zh) 2018-10-01
US20180108882A1 (en) 2018-04-19
EP3309893A1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177B1 (ko) 논리 배터리
JP4896820B2 (ja) コイルモジュール装置
KR102017621B1 (ko) 무선 충전용 코일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EP2661056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KR102443196B1 (ko) 전자 장치
US9472340B2 (en)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9960630B2 (en) Wireless power charging device
JP6090006B2 (ja) Icモジュール、デュアルicカードおよびic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10186875B2 (en)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N108702404B (zh) 用于便携式终端的后盖及包括其的后盖一体型天线模块
KR102152541B1 (ko) 유도성 모듈
CN208352514U (zh) 天线模块和具有该天线模块的电子装置
CN106845433A (zh) 指纹识别模组及电子设备
US9484767B2 (en) 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12012267U (zh) 线圈模块
CN106611890A (zh) 一种电子设备
CN110494010A (zh) 用于无线充电的散热片以及具有该散热片的电子装置
US11729302B2 (en) Battery having electrode tab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CN107946669B (zh) 逻辑电池
US9761371B2 (en)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20230040011A1 (en) Antenna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6225508B2 (ja) デュアルicカード
US20220407355A1 (en) Dual-frequency wireless charging systems
CN206282894U (zh) 天线电池模块
CN207427714U (zh) 具有电磁屏蔽功能的前壳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