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010B1 - 호분 제조용 패각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호분 제조용 패각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010B1
KR101991010B1 KR1020170117275A KR20170117275A KR101991010B1 KR 101991010 B1 KR101991010 B1 KR 101991010B1 KR 1020170117275 A KR1020170117275 A KR 1020170117275A KR 20170117275 A KR20170117275 A KR 20170117275A KR 101991010 B1 KR101991010 B1 KR 10199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upling
opening
filter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048A (ko
Inventor
도영웅
이한형
정용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Priority to KR102017011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0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각을 선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호분 제조용 패각을 세척매체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세척된 패각을 세척매체와 분리하여 추출하고 세척된 패각 중에서 호분 제조를 위한 분쇄 공정으로 투입할 패각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고, 투입된 패각을 다른 물체와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조와,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분리된 상기 패각을 이송받는 선별대와, 분리수조 내에서 분리된 상기 패각을 상기 선별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한 패각 선별 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호분 제조용 패각 선별 장치{Apparatus for selecting shells for producing shell whitewash}
본 발명은 패각을 선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호분 제조용 패각을 세척매체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세척된 패각을 세척매체와 분리하여 추출하고 세척된 패각 중에서 호분 제조를 위한 분쇄 공정으로 투입할 패각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분은 패각을 주원료로 하여 체질안료 및 백색안료의 용도로 예로부터 사용되어 온 물질로, 전통재료 중 하나이다.
종래에는, 패각을 분체하여 호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패각을 세척, 분쇄하고, 이 분쇄물을 수비 또는 체거름한 후 건조함으로써 호분을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종래에는 그 중 패각 세척을 수작업에 의하여 수행하였는데, 이는 패각 세척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표면 부착물만을 제거하는 정도여서 제품의 색상 균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패각 세척을 기계화 자동화함으로써 세척을 통해 단순한 표면 부착물만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패각 표면의 착색 유기질 등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계적인 패각 세척에 사용된 세척매체를 세척된 패각과 분리하고, 세척된 패각 중 분쇄공정으로 투입될 패각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적인 패각 세척에 사용된 세척매체를 세척된 패각과 분리하고, 세척된 패각 중 분쇄공정으로 투입될 패각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패각 선별 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고, 투입된 패각을 다른 물체와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분리된 상기 패각을 이송받는 선별대와, 상기 분리수조 내에서 분리된 상기 패각을 상기 선별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수조는, 상기 패각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거름틀을 상기 선별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패각을 상기 선별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거름틀을 상기 선별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패각을 상기 선별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거름틀과 결합되기 위한 거름틀 결합부와, 상기 거름틀 결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름틀 결합부와 상기 거름틀은,
양 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름틀 결합부의 일 측에 양 단의 고리 사이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합걸이에 의해, 상기 결합걸이의 일 단의 고리가 상기 거름틀의 일 측에 걸어지고, 상기 결합걸이의 타 단의 고리가 상기 거름틀 결합부의 일 측에 형성된 결합지지고리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함께 움직이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름틀 결합부와 상기 거름틀은,
상기 거름틀 결합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거름틀의 타 측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연결고리와의 사이에서, 좌우측의 상기 연결고리에 함께 길게 끼워지는 제2 결합구에 의해, 상기 거름틀 결합부의 운동력이 상기 제2 결합구를 통해 상기 연결고리로 전달됨으로써, 함께 움직이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수조는 하부에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각 선별 장치는, 상기 분리수조 하측에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구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고, 축회전이 가능한 개폐 손잡이와, 상기 개폐 손잡이를 상기 토출구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부는, 압착 손잡이와, 상기 압착 손잡이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일 단에 상기 회전봉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에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의 압착력을 인가하기 위한 압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 롤러는, 소정 높이의 단차를 이용하여, 상기 압착 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 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손잡이에 압착력을 인가하게 되고, 상기 압착 롤러가 회전하여 누운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손잡이에 가해진 압착력을 해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별대는, 상기 패각이 상기 패각 선별 장치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과, 상기 이송받은 패각을 받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인 패각 세척에 사용된 세척매체를 세척된 패각과 쉽게 분리하고, 세척된 패각 중 분쇄공정으로 투입될 패각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분 제조를 위한 패각을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각 선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름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각 선별 장치를 전방측 방향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각 선별 장치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부에 의한 압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손잡이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부와 거름틀이 함께 선별대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부와 거름틀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분 제조를 위한 패각을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패각은, 연체동물 중에서 굴, 조개, 고막, 백합 등을 포함하는 부족류(조개류)와 소라, 전복 등을 포함하는 복족류의 패각일 수 있다. 이들 패각은 각피층, 각주층, 진주층을 포함하는 층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굴 패각을 사용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패각을 세척하는 과정은, 투입된 원료인 패각을 1차 세척하고(S110), 1차 세척된 패각을 2차 세척하고(S120), 세척 완료된 패각을 선별 분리하고(S130), 선별된 패각을 건조하는(S140)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세척(S110)에서는 세척통(112)에 투입된 패각(10)을 솔세척하게 된다. 1차 세척은 호분의 백색도와 품질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패각에 붙어있는 흙과 모래 같은 단순 부착 이물질과 이끼, 착색 유기질 등의 표면 유기질, 패각 조직 내에 잔류하는 염분, 유기질, 착색 금속 성분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세척통(112) 내에는 중앙부에 3개의 원통형 솔(114)이 장착되고, 원통형 솔은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고, 직경이 20cm, 길이가 60cm인 원통형일 수 있다.
아울러,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된 직경 5cm의 구형 솔(116) 다수 개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세척통(112)에 투입된다.
1차 세척에서는, 세척통(112) 자체 및 원통형 솔(114)이 모두 회전함으로써, 또는 세척통(112) 자체 또는 원통형 솔(114)이 회전함으로써, 원통형 솔과 패각이 서로 충돌 및 마찰하면서 패각이 세척된다.
아울러, 세척통(112) 자체 및/또는 원통형 솔(114)이 회전함에 따라 세척통(112)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형 솔(116)과 패각이 서로 충돌 및 마찰하면서 패각의 구석진 부분까지 세척된다.
1차 세척을 통과한 굴 패각은 기존의 수작업으로 세척한 굴 패각에 비해 80% 정도로 세척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차 세척된 패각은 2차 세척 과정을 거치게 된다.
2차 세척(S120)에서는 세척통(122)에 투입된 패각(10)을 연마 세척하게 된다. 2차 세척은 패각의 각주층, 패각 표면의 착색층 등을 세척매체로서 규사 및 연마석을 포함한 연마재를 이용하여 연마 세척하는 과정이다. 2차 세척에 의해 호분의 백색도와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세척통(122) 내에 1차 세척된 패각(10)과, 연마석(124)과, 규사(126)를 투입하고, 세척통(122)을 회전시킴으로써 패각(10)을 연마 세척하게 된다.
연마석(124)으로는 탄화규소로 된 TKH, CKH, SH 타입의 연마석을 사용하였고, 규사(126)로는 규사 3호(1.4 mm ~ 2.2 mm), 규사 5호(0.7mm ~ 1.2mm)를 사용하였다.
2차 세척을 수행할 시에 세척통의 회전수와 세척 시간의 관계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세척통의 회전수가 너무 높으면(보통 200rpm 이상) 연마석이 낙하되는 시간이 빨라짐에 따라 패각이 쉽게 깨질 수 있다.
세척통의 회전수가 너무 낮으면(보통 120rpm 이하) 연마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마모되어 손실되는 패각의 양이 많아진다.
아울러, 2차 세척 전의 패각에 각주층이 드러나 있을 경우에 세척 시간이 길면 표면의 각주층은 거의 소실되고, 표면에 검게 착색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랜 시간 세척하면 패각이 많이 소실된다.
예를 들면, 세척통의 회전수를 120rpm으로 6시간 세척하였을 때, 세척효과는 50% 이상이나 패각 손실이 많았다.
또한, 크기가 큰 연마석만 사용할 경우 패각의 굴곡진 부분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모래만 사용할 경우 패각 표면에 검게 착색된 부분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연마석과 규사를 적절히 혼합하여 세척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굴 패각을 연마 세척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2차 세척 방법으로 적절하게는, 아래의 표에서와 같이, 규사와 연마석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고, 세척통의 회전속도가 120 rpm 보다 클 때 연마석에 의한 패각 표면의 연마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세척통을 140 rpm 의 회전속도로 5시간 동안 회전시켜 연마 세척하였을 경우에, 투입된 굴 패각의 80% 이상이 표면의 이물질이 80% 이상 제거됨으로써, 연마 세척 효율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재료 중량비 회전수
(rpm)
교반시간
(시간)
패각 CKH(10*20) TKH(10*10*7) CKH(6*12) 규사 3호
1.1 2.9 1.4 1.4 0.9 1 140 5
결과적으로, 2차 세척 전의 굴 패각의 표면의 이물질의 80% 이상이 2차 세척 후에 제거되었고, 2차 세척된 굴 패각들은 1차 세척된 굴 패각들에 비해 표면 착색층의 대부분이 제거됨으로써 백색도가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차 세척이 완료된 패각은 패각 선별 장치를 이용하여, 선별분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선별 분리 과정(S130)에서는, 2차 세척을 마친 패각(10)과 2차 세척에 사용된 연마석과 규사를 쏟아 넣은 거름틀(134)을 물이 담긴 분리수조(132)에 잠기게 한 후, 거름틀(134)을 좌우로 흔들어 주면서 연마석과 규사는 거름틀(134)을 통과해 분리수조 하부로 침전시키고 패각(10)은 거름틀(134) 내에 걸러낸다.
거름틀(134)에 의해 걸러진 패각은 거름틀(134)을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선별대(136)로 이동시키고, 육안으로 분쇄 단계로 투입할 패각을 선별하여 보관통(142)에 보관한다. 세척된 패각 중에서 패각 표면의 이물질이 적어도 70% 이상 세척된 패각을 선별한다.
거름틀(134)을 통과하여 분리수조(132) 하부에 침전된 연마석과 규사는 분리수조(132)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세척매체 배출통(133)으로 토출된다.
세척매체 배출통(133)에는 연마석 거름틀과 규사 거름틀을 설치하여 연마석과 규사를 걸러낼 수 있다.
선별 후 건조 과정(S140)에서는 선별 분리 과정을 거친 패각을 건조한다.
건조를 마친 패각은 호분 제조를 위한 패각의 분쇄 과정으로 투입되게 된다. 패각은 분쇄 과정을 마친 후 수비 과정, 건조 과정, 해쇄 과정을 거쳐 최종 산물인 호분으로 변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각 선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세척을 마친 패각을 선별하기 위한 패각 선별 장치(300)의 구성은 지지프레임(310)과, 분리수조(320)와, 거름틀(330)과, 선별대(340)와, 회전부(350)와, 토출구 개폐부(360)와, 바퀴(37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0)은 패각 선별 장치(300)를 구성하는 골격으로서, 각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지지해 준다.
지지프레임(3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프레임(312)과,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프레임(314)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310)은 전방측에서 분리수조를 지지할 분리수조 프레임부와 후방측에서 선별대를 지지할 선별대 프레임부로 나뉘어 설명될 수 있다.
분리수조(320)는, 분리수조 상부측에 형성되고, 분리수조 프레임부의 상단 수평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걸쳐지는 안착 지지대(도 4의 321)와, 분리수조 하부에 형성되고, 물과 세척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도 4의 322)와, 분리수조 상측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수조에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밸브(326)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수조의 하측에는,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 개폐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 개폐부(360)는 개폐 손잡이(364)와, 압착부(도 6의 36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도 6의 362)를 지지하기 위해 분리수조 프레임부의 중단 수평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판(3611) 및 제2 지지판(361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름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름틀(330)은, 세척을 마친 패각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거름틀(330)을 분리수조의 안착지지대(도 4의 321) 상면에 걸쳐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332)와, 패각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부(334)와, 지지부(332)의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고 거름틀을 좌우로 흔들기 위한 손잡이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32)의 하측에는, 분리수조의 안착지지대(도 4의 321) 상면에서 거름틀(330)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3321)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3개씩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336)의 후방측에는, 연결봉 형태인 제2 결합구(3565)를 좌우 양측으로 길게 끼움으로써 회전부(350)의 제1 지지대(3561)와 거름틀의 후방측이 회전시 상호 연결되게 하는 연결고리(3362)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선별대(340)는, 선별대 프레임부 상측에 형성되고, 거름틀(330)을 회전부(350)와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거름틀에 의해 걸러진 패각을 이송받아 필요한 패각을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름틀로부터 쏟아지는 패각이 좌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측벽(342)과, 이송받은 패각을 받치고 물기를 아래로 배출하기 위한 받침망(344)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망(344)은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망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받침망(344)을 망 구조가 아닌 평판형으로 형성된 받침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선별대(340)는 선별대 프레임부의 상단 수평프레임에 대해 7도 정도의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 경사는 이송된 패각의 보관통(도 5의 500)으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로서, 패각의 배출과 패각의 육안 선별의 균형을 고려한 것이다. 패각 선별자의 육안 선별의 능숙도 등에 따라 선별대의 경사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회전부(350)는, 거름틀(330)과 결합하여 거름틀(330)을 분리수조(320)에서 선별대(340)로 또는 선별대(340)에서 분리수조(320)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회전부(350)는, 선별대 프레임부의 상단 수평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된 회전축 지지대(3522)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352)과, 회전축(352)의 좌우측에 형성되고, 회전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3541)를 포함하는 손잡이(354)와, 거름틀(330)과 결합되기 위한 거름틀 결합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름틀 결합부(356)는, 회전축(352)과 연결되고 좌우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측에 결합지지고리(35611)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지지대(3561)와, 전방측에서 제1 지지대(3561) 양측을 연결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대(3562)와, 후방측에서 제1 지지대(3561) 양측을 연결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턱(35631)이 형성되어 있는 제3 지지대(3563)와, 거름틀의 전방측과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구(3564)와, 거름틀의 후방측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구(35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구(3564)는, 양단에 고리가 형성되고, 제2 지지대(3562)의 좌우측에서 제2 지지대를 축으로 하여 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거름틀의 전방측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걸이(35641)와, 결합걸이의 각각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좌우측 결합걸이의 일단을 연결하여 주는 결합손잡이(356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손잡이(35642)를 전후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좌우 양측의 결합걸이(35641)가 동시에 결합손잡이(35642)와 함께 회전하게 되어, 결합걸이 전방측 고리를 거름틀의 전방측에 걸거나 풀 수 있게 할 수 있다. 결합 해제의 예를 들면, 결합걸이(35641)가 거름틀의 전방측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결합손잡이(35642)를 전방으로 당겨 회전시키면 결합걸이(35641)가 거름틀에서 빠짐으로써 거름틀과 거름틀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결합걸이(35641)의 후방측에 형성된 고리와 제1 지지대(3561)의 결합지지고리(35611)는 용수철 등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서로 연결된다.
토출구 개폐부(360)는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손잡이(364)와, 개폐 손잡이에 형성된 패킹(도 4의 3644)이 토출구를 효율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 손잡이를 토출구 방향으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부(도 6의 36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착부(도 6의 362)는, 개폐 손잡이에 상측으로의 압착을 인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압착 손잡이(3622)와, 압착 손잡이의 좌우측 밀기에 따라 축회전하는 제1 회전봉(3623)과 제2 회전봉(3624)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 개폐부(360)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판(3611)과, 제2 지지판(3612)이 분리수조 프레임부의 중단 수평 지지프레임 상에 좌측과 우측에 각각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바퀴(370)는 패각 선별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된다.
분리수조 프레임부의 하단 수평 지지프레임 중 일측은 세척매체 배출통(도 5의 400)의 출입을 위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각 선별 장치를 전방측 방향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수조 프레임부의 중단 수평 지지프레임 상에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1 지지판(3611)과 제2 지지판(3612)이 고정 배치되고 있고, 제1 지지판(3611) 상에는 개폐 손잡이의 좌측 하면을 상부로 압착하기 위한 제1 압착 롤러(36232) 및 제1 회전봉 지지대(3623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지지판(3612) 상에는 개폐 손잡이의 우측 하면을 상부로 압착하기 위한 제2 압착 롤러(36242) 및 제2 회전봉 지지대(36241)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토출구 개방시 제2 지지판 상으로 분리 토출되는 연마석이나 규사 등이 쏟아져 소실되는 등 사용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토출되는 연마재의 소실을 최소화하고 장치의 미관을 고려하여 지지판 위에 덮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지지판(3611) 상에는 개폐 손잡이(364)를 지지하면서 축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3642)이 고정 배치되고 있고, 토출구(322)와 압착 롤러 사이에 개폐 손잡이(364)가 배치되어 있다.
개폐 손잡이(364)의 상측면에는 토출구(322)를 폐쇄하기 위한 패킹(3644)이 고정 배치된다. 패킹(3644)은 고무 등의 탄성 재질일 수도 있고, 금속 재질일 수도 있다.
분리수조(320)의 내부 하측에는 세척 매체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구(322) 위에 설치하여, 분리수조 내의 물만 배출시키거나 토출구를 통한 물 배출시 물의 배출량 및 유속(토출속도)를 낮추기 위한 그물형태의 마개(324)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마개(324)는 그물 형태가 아닌 토출구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밀폐형일 수 있다.
분리수조(320)의 밑면은 세척매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토출구 방향으로 7도 정도 경사져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각 선별 장치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의 제2 지지대(3562)의 양 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걸이(35641)는 양단에 고리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전방측 고리는 거름틀의 지지부(332)의 일부에 걸리고, 후방측 고리는 회전부의 제1 지지대(3561)의 결합지지고리(35611)와 스프링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축회전력이 거름틀에 걸려 있는 전방측 고리에 전달되어 거름틀(330)의 전방측이 회전부(350)와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거름틀의 손잡이부(336)에 형성된 좌우 양측의 연결고리(3362)에 봉 형태의 제2 결합구(3565)를 좌우 양측으로 길게 끼워 줌에 따라, 회전부의 제1 지지대(3561)가 선별대 측으로 회전할 시에 그 회전력이 제2 결합구 및 연결고리(3362)에 순차로 전달되게 하여 거름틀의 후방측이 회전부와 회전 운동에 대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분리수조 프레임부의 중단 수평 지지프레임 상에 제1 지지판(3611)이 고정 배치되어 있고, 제1 지지판 상에 고정된 회전축(3642)에 개폐 손잡이(364)가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지지판(3611) 상에는 전후방에 각각 제1 회전봉(3623)을 지지하기 위한 제1 회전봉 지지대(36231)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회전봉의 전방측에는 압착 손잡이(3622)가 제1 회전봉의 끝단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1 회전봉의 후방측에는 개폐 손잡이(364)의 좌측을 상측으로 압착하기 위한 제1 압착 롤러(36232)가 제1 회전봉(3623)과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분리수조(320)의 하방에는, 분리수조의 토출구(322)를 통해 배출될 물과 세척매체를 배출 받을 세척매체 배출통(400)이 배치될 수 있다.
세척매체 배출통(400) 내부에는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제1 세척매체(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연마석)를 걸러내기 위한 제1 거름틀(410)과, 입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2 세척매체(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규사)를 걸러내기 위한 제2 거름틀(420)이 배치될 수 있다.
세척매체 배출통(400)의 하측에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430)가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바퀴가 없는 세척매체 배출통을 바퀴가 달린 받침대 상에 얹은 상태에서 받침대를 분리수조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패각 선별 장치의 후방측에는 선별대에서 선별한 패각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통(500)이 배치될 수 있고, 보관통(500)의 하측에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510)가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바퀴가 없는 보관통을 바퀴가 달린 받침대 상에 얹은 상태에서 받침대를 패각 선별 장치의 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착부에 의한 압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압착 인가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6의 (b)는 압착 해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회전봉(3623)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제1 회전봉 지지대(36231)에 의해 제1 지지판(도 2의 3611) 상에 지지 형성되고, 제2 회전봉(3624)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제2 회전봉 지지대(36241)에 의해 제2 지지판(도 2의 3612) 상에 지지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봉(3623)의 전방측 끝단과 제2 회전봉(3624)의 전방측 끝단은, 제1 회전봉(3623)의 전방측 끝단 및 제2 회전봉(3624)의 전방측 끝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압착 손잡이(3622)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있다.
제1 회전봉(3623)의 후방측 끝단과 제2 회전봉(3624)의 후방측 끝단 각각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제1 압착 롤러(36232)와 제2 압착 롤러(36242)가 대응하는 회전봉과 같이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 압착 롤러(36232) 및 제2 압착 롤러(36242)가 상측으로 일어설 경우, 누운 경우와의 소정 높이의 단차 만큼 개폐 손잡이(도 5의 364)의 하면을 상측으로 압착하게 된다. 그 압착력에 의해 개폐 손잡이에 형성된 패킹(3644)이 토출구(도 5의 322)를 효율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압착 손잡이(3622)를 좌측으로 밀면, 제1 회전봉(3623) 및 제2 회전봉(3624)은 좌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 압축 롤러(36232) 및 제2 압축 롤러(36242)도 함께 좌회전하게 된다.
제1 압착 롤러(36232) 및 제2 압착 롤러(36242)가 좌회전에 의해 좌측으로 누울 경우, 서있는 경우와의 소정 높이의 단차 만큼 개폐 손잡이(도 5의 364)의 하면에 인가된 압착력이 해제되게 된다. 그 압착 해제에 의해 개폐 손잡이에 형성된 패킹(3644)의 토출구(도 5의 322)에 대한 압착이 해제된다.
압착 해제된 상태에서, 압착 손잡이(3622)를 우측으로 밀면, 제1 회전봉(3623) 및 제2 회전봉(3624)는 우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 압축 롤러(36232) 및 제2 압축 롤러(36242)도 함께 우회전하게 되어, 도 6의 (a) 상태로 돌아가 개폐 손잡이의 하면을 압축 롤러 높이의 단차만큼 상측으로 압착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손잡이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식별번호 ① 은 토출구를 폐쇄한 상태로서, 개폐 손잡이의 상측 면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3644)이 토출구(322)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 준다.
식별번호 ② 는 토출구를 개방한 상태로서, 압착 손잡이(3622)가 좌측으로 밀림에 따라 제1 압착 롤러(36232) 및 제2 압착 롤러(36242)가 좌측으로 회전하여 압축 해제가 된 상태에서, 개폐 손잡이(364)를 회전축(3642)을 중심으로 전방측으로 축회전함으로써 토출구(322)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 준다.
토출구를 개방하면, 분리수조에 침전되어 있던 세척매체들이 물과 함께 세척매체 배출통으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부와 거름틀이 함께 선별대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거름틀의 전방측 일부와 회전부의 거름틀 결합부의 결합지지고리(35611) 사이에서의 제1 결합구(3564)에 의해 거름틀의 일측이 회전부의 거름틀 결합부 일측과 결합 연결된다.
거름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연결고리(3362) 사이에서 봉 형태의 제2 결합구(3565)를 회전부의 거름틀 결합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1 지지대(3561)가 걸릴 수 있게 길게 끼워 줌으로써, 회전부의 회전 시 제1 지지대의 회전력이 제2 결합구(3565)를 통해 연결고리(3362)로 전달되도록 거름틀 결합부 타측과 거름틀의 타측이 결합 연결된다.
이 결합 상태에서, 손잡이(354)를 회전함으로써, 거름틀이 선별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거름틀 내에 걸러진 패각들이 선별대의 받침망(344)에 쏟아지게 된다.
또한, 회전부의 거름틀 결합부의 제3 지지대(3563)에 형성된 고정턱(35631)에 의해 회전시 거름틀이 하측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거름틀에 의해 걸러진 패각에 대한 선별대로의 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회전부를 다시 분리수조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거름틀을 분리수조 내로 재배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부와 거름틀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부를 거름틀과 결합 해제하여 회전부만을 선별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분리수조의 안착지지대 상면 상에 거치된 거름틀을 사용자가 손잡이부(336)를 잡고 롤러(3321)를 이용하여 좌우로 흔들어 주면서 세척된 패각에 묻어 있는 세척매체를 분리수조 내의 물로 떨어낼 수 있다.
이 같이 패각과 세척매체의 분리작업을 수행한 후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부(350)를 거름틀 측으로 회전시켜 회전부(350)와 거름틀(330)을 제1 결합구(3564) 및 제2 결합구(도 7의 3565)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각을 선별대(34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분리수조의 하부에 가라앉은 세척매체는 도 5 및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척매체 배출통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300 : 패각 선별 장치 310 : 지지 프레임
320 : 분리수조 330 : 거름틀
340 : 선별대 350 : 회전부
360 : 토출구 개폐부
400 : 세척매체 배출통 500 : 보관통

Claims (11)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고, 투입된 패각을 다른 물체와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분리된 상기 패각을 이송받는 선별대와,
    상기 분리수조 내에서 분리된 상기 패각을 상기 선별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수조는, 상기 패각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거름틀을 상기 선별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패각을 상기 선별대로 이송시키는 패각 선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거름틀과 결합되기 위한 거름틀 결합부와,
    상기 거름틀 결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대를 포함하는 패각 선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틀 결합부와 상기 거름틀은,
    양 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름틀 결합부의 일 측에 양 단의 고리 사이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합걸이에 의해, 상기 결합걸이의 일 단의 고리가 상기 거름틀의 일 측에 걸어지고, 상기 결합걸이의 타 단의 고리가 상기 거름틀 결합부의 일 측에 형성된 결합지지고리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함께 움직이도록 결합되는 패각 선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틀 결합부와 상기 거름틀은,
    상기 거름틀 결합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거름틀의 타 측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연결고리와의 사이에서, 좌우측의 상기 연결고리에 함께 길게 끼워지는 제2 결합구에 의해, 상기 거름틀 결합부의 운동력이 상기 제2 결합구를 통해 상기 연결고리로 전달됨으로써, 함께 움직이도록 결합되는 패각 선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조는 하부에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각 선별 장치는, 상기 분리수조 하측에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토출구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패각 선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개폐부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고, 축회전이 가능한 개폐 손잡이와,
    상기 개폐 손잡이를 상기 토출구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부를 포함하는 패각 선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압착 손잡이와,
    상기 압착 손잡이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일 단에 상기 회전봉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에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의 압착력을 인가하기 위한 압착 롤러를 포함하는 패각 선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는, 소정 높이의 단차를 이용하여, 상기 압착 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 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손잡이에 압착력을 인가하게 되고, 상기 압착 롤러가 회전하여 누운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손잡이에 가해진 압착력을 해제하게 되는 패각 선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대는, 상기 패각이 상기 패각 선별 장치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과, 상기 이송받은 패각을 받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패각 선별 장치.
KR1020170117275A 2017-09-13 2017-09-13 호분 제조용 패각 선별 장치 KR10199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75A KR101991010B1 (ko) 2017-09-13 2017-09-13 호분 제조용 패각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75A KR101991010B1 (ko) 2017-09-13 2017-09-13 호분 제조용 패각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048A KR20190030048A (ko) 2019-03-21
KR101991010B1 true KR101991010B1 (ko) 2019-07-01

Family

ID=6603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275A KR101991010B1 (ko) 2017-09-13 2017-09-13 호분 제조용 패각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0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721Y1 (ko) 2002-12-02 2003-03-11 김정렬 패각류 세척기
JP2007143486A (ja) * 2005-11-28 2007-06-14 Mutsu Kaden Tokki:Kk 貝類選別方法及び貝類選別装置
CN204656910U (zh) 2015-03-31 2015-09-23 浙江海洋学院 滚筒式贝类挖掘分离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434Y2 (ja) * 1990-07-24 1995-04-12 有限会社カワクボ製作所 原料小魚洗浄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721Y1 (ko) 2002-12-02 2003-03-11 김정렬 패각류 세척기
JP2007143486A (ja) * 2005-11-28 2007-06-14 Mutsu Kaden Tokki:Kk 貝類選別方法及び貝類選別装置
CN204656910U (zh) 2015-03-31 2015-09-23 浙江海洋学院 滚筒式贝类挖掘分离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048A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377A (en) Internal tray for a vibratory mill
US9451789B2 (en) Breading sifting table
KR101991010B1 (ko) 호분 제조용 패각 선별 장치
JP2005193228A (ja) 無洗米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111013707A (zh) 一种环保过滤的茶油果筛选分级装置
CN208146403U (zh) 一种瓜子振动筛选装置
CN108935772A (zh) 一种茶叶筛选翻炒设备
KR102232603B1 (ko) 로봇 암을 이용한 커피 추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3331433A (zh) 一种红枣加工去核设备
CN212120827U (zh) 一种便于筛选出干瘪种子的粮食清洗装置
CN210614257U (zh) 一种能防止筛板堵塞的砂石筛选机
KR20190042322A (ko) 호분 제조용 패각 세척 공정
CN208526764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食品检测用样品研磨装置
US20120137456A1 (en) Rotating Ball Cleaning Device
CN116371508A (zh) 一种脱壳碾米装置
CN113970237B (zh) 一种塑料颗粒烘干设备
US3419056A (en) Method for peeling and processing grain
KR101971461B1 (ko) 호분 생산 공정
CN109225939A (zh) 一种预防南瓜子混入果皮的瓜子仁色选工艺
CN212185060U (zh) 一种干果分类清洗晾晒架
CN210159941U (zh) 一种咖啡加工用咖啡豆筛选装置
CN210519974U (zh) 一种花蛤除沙机
US3519052A (en) Apparatus for peeling grain
CN113294989A (zh) 一种金属粉末回收工艺品的加工设备
CN208030215U (zh) 一种红枣除渣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