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826B1 - Viewing Providing system for Deafness - Google Patents

Viewing Providing system for Deaf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826B1
KR101990826B1 KR1020190030649A KR20190030649A KR101990826B1 KR 101990826 B1 KR101990826 B1 KR 101990826B1 KR 1020190030649 A KR1020190030649 A KR 1020190030649A KR 20190030649 A KR20190030649 A KR 20190030649A KR 101990826 B1 KR101990826 B1 KR 10199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ement
implementer
captive
subtitle
ca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인철
Original Assignee
영화진흥위원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화진흥위원회 filed Critical 영화진흥위원회
Priority to KR102019003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8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ew providing device for improving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which comprises: a wearing part worn on a body; a caption implementing part for visually implementing captions visually describing voices to the hearing impaired; and a caption implementing part supporting part configured to support a position of the caption implemen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wearing part.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Viewing Providing system for Deafness}{Providing System for Deafness}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청각장애인이 영화관람과 같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on providing device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ew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impaired person who is able to enjoy cultural life such as sightseeing.

청각장애(聽覺障??, Hearing impairment and deafness)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거나 전혀 들리지 않는 상태의 장애를 일컫는다.Hearing impairment and deafness refers to a disorder in which the ability to hear sounds is fairly remote or inaudible.

이러한 청각장애는 한쪽 귀에서만 발생할 수도 있고 양쪽 귀 모두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어린이에게 청각 문제는 언어를 배우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성인에게는 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청각장애는 고독감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This hearing loss may occur only in one ear or in both ears. Hearing problems for children can affect their ability to learn language and can cause work-related problems for adults. Hearing impairments in some older people can also make them feel lonely.

청각장애는 일시적일 수도 있으나 영구적일 수도 있다. 청각장애는 유전, 노화, 소음, 일부 감염, 출산 합병증, 귀의 외상, 특정 약물이나 독극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Hearing impairment may be temporary, but permanent. Deafness can be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including heredity, aging, noise, some infections, birth complications, ear trauma, certain drugs or poisons.

청각장애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이염이다. 임신 기간 중 매독이나 풍진과 같은 일부 감염병 또한 청각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most common symptom of hearing impairment is otitisation. During pregnancy, som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yphilis or rubella may also cause hearing impairment.

청력 시험에서 하나 이상의 귀가 25데시벨 이하의 소리를 들을 수 없을 때 청각장애로 진단되며, 모든 신생아에게 청력 시험이 권장되고 있다.When one or more ears in a hearing test are unable to hear sounds below 25 decibels, hearing impairment is diagnosed and a hearing test is recommended for all newborns.

청각장애에는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감음 신경성 청력 손실(sensorineural hearing loss), 혼합성 난청(mixed hearing loss)과 같은 유형이 있다. 미국 말하기 언어 듣기 협회(ASHA,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에 따르면 청각장애는 "생리적 청각 시스템의 결손에 의한 청각 손실의 결과"이다.There are two types of hearing loss: conductive hearing loss,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mixed hearing loss. According to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ASHA), hearing impairment is the "result of hearing loss due to a deficit in the physiological hearing system".

청각장애의 정도는 관점에 따라 여러 종류의 단계 구분이 있다. 교육의 입장에서는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거나 잔존 청력이 있다 하더라도 소리만으로는 의사소통할 수 없는 경우를 농(聾)이라 하고 보청기와 같은 기구의 도움으로 잔존 청력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우를 난청(문화어: 가는귀먹기)이라 한다.The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depending on the viewpoint. In terms of education, hearing is not heard at all, or even if hearing is not possible, he is called deaf (hearing), and hearing aids are used to communicate with hearing aids. Culture word: going ears).

한편, 이와 같은 청각장애를 갖는 사람을 청각장애인이라 하는데, 다양한 소리 문화와 시스템이 갖춰진 현대 사회에서 청각장애인이 갖는 불편함은 상당히 클 수 있다. 예컨대, 영화관람 시 영문이나 한글 자막의 인지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을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are called hearing impaired people, and the inconveniences of hearing impaired people in modern society equipped with various sound cultures and systems can be quite large. For exampl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may be many difficulties in recognizing English or Korean subtitles when watching movies,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05676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07-0005676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36862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3-0136862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060974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7-0060974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060976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7-0060976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청각장애인이 영화관람과 같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nd thereby improve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who can enjoy a cultural life such as a movie viewing without any difficulty Thereby providing a visual providing device.

상기 목적은, 신체에 착용하는 착용부; 청각장애인에게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을 시각적으로 구현시키는 자막 구현부; 및 상기 착용부에 대하여 상기 자막 구현부를 위치 조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자막 구현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hieved by a wearable part worn on a body; A caption implementation unit for visually embodying a visual description of a voice to a hearing-impaired person; And a caption implementing unit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captioned implementa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wearable unit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aptioned implementation unit.

상기 자막 구현부에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착용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일측에 이동식 도킹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odule to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capturing implemen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wearer and a movable docking unit is formed on one side.

상기 착용부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수납되는 모듈 포켓이 마련되되 상기 모듈 포켓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수납될 때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이동식 도킹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식 도킹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module pocket for receiv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module pocket may be provided with a fixed docking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ovable docking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when the battery module is received.

상기 자막 구현부는, 자막 구현을 위한 화면이 일측에 형성되는 자막 구현기; 및 상기 자막 구현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와, 상기 착탈 결합부의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확장 커버부를 구비하는 자막 구현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tion implementation unit may include a caption implementation unit in which a screen for caption genera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a captive implementer case having a detachable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ing the captive implementer and an extension cover part extending outward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한편, 상기 목적은, 신체에 착용하는 착용부; 청각장애인에게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을 시각적으로 구현시키는 자막 구현부; 상기 착용부에 대하여 상기 자막 구현부를 위치 조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자막 구현부 지지부; 상기 자막 구현부에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착용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일측에 이동식 도킹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자막 구현부에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이 실시간으로 구현되게 상기 자막 구현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는, 상기 청각장애인의 어깨에 걸치게 배치되되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자막 구현부로 도달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강화 플라스틱 몸체; 상기 강화 플라스틱 몸체의 외피를 형성하되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미끄럼 방지용 외피; 상기 강화 플라스틱 몸체 내에 형성되며, 상기 청각장애인의 어깨에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중량을 감소시키는 하중 감소형 내장 쿠션;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이 수납되게 상기 강화 플라스틱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수납될 때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이동식 도킹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식 도킹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모듈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자막 구현부는, 자막 구현을 위한 화면이 일측에 형성되는 자막 구현기; 상기 자막 구현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자막 구현기 전원 버튼; 상기 자막 구현기의 외부 통신을 위해 상기 자막 구현기에 결합하는 외부 통신 연결 버튼; 상기 자막 구현기의 외부 통신을 위한 안테나; 상기 자막 구현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와, 상기 착탈 결합부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막 구현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착탈 결합부의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확장 커버부와, 상기 확장 커버부의 내면에 형성되되 빛을 흡수하는 텍스 타일 재질의 빛 흡수부를 구비하는 자막 구현기 케이스; 상기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착탈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자막 구현기 전원 버튼이 노출되게 하는 제1 노출부; 상기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착탈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통신 연결 버튼이 노출되게 하는 제2 노출부; 상기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착탈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가 노출되게 하는 제3 노출부; 상기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착탈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단부가 도킹되는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자막 구현부 지지부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자막 구현기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자막 구현부 지지부는, 상기 착용부 쪽에 연결되는 고정 지지대; 상기 자막 구현부 쪽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 지지대에서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지지대와 연결되는 가동 지지대; 상기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가동 지지대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지지대에 대한 상기 가동 지지대의 길이 조절 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 버튼부; 상기 가동 지지대에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 버튼부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는 복수의 단계 조절홈; 상기 가동 지지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자막 구현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로킹되는 탄성 로킹부; 및 상기 탄성 로킹부가 상기 연결구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게 상기 탄성 로킹부를 조작하는 로킹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a wearable part worn on the body; A caption implementation unit for visually embodying a visual description of a voice to a hearing-impaired person; A capturing implement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capturing implement on the wearer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apturing implement; A battery modul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capturing implemen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wearer, and a movable dock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ption implementer so that a caption that visually describes the voice is implemented in real time in the caption implementer, wherein the wearer is disposed on the shoulder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 reinforced plastic body having an inner hollow structure to form a place where a wir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reaches the capturing implement; An anti-slip skirt having a skid-proof function to form an outer skin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A load-reducing type built-in cushion formed in the reinforced plastic body, the weight reducing type cushion providing a sense of cushion to the shoulder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nd a module pocket form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so as to accommodate the battery module and having a fixed docking portion inside which the movable docking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battery module is housed, The implementation unit includes a subtitle implementation unit in which a screen for implementing a subtitle is formed on one side; A subtitle implementing unit power button for applying power to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An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button coupled to the caption implementer for external communication of the caption implementer; An antenna for external communication of the subtitle implementer; An elastic supporting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captive element, and an extension cover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nd a light absorb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cover portion, the light absorbing portion being made of a textil material for absorbing light. A first exposure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to expose the captive implementer power button; A second expos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to expose the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button; A third expos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to expose the antenna; A docking sta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and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is docked; And a plurality of connectors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ptive implementer for connection to the captive implement implement support, wherein the captive implement implement support comprises: a fixed support connected to the wearable portion; A movable supporter connected to the captive implement part and connected to the fixed supporter so a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xed supporter; A stopper button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xed support and the movable support, the stopper button fixing the length of the movable support to the fixed support; A plurality of step adjusting grooves formed on the movable support and selectively holding one side of the stopper button part; An elastic locking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movable support and detachably locked to the connector formed at the capturing implement; And a locking operation portion for operating the elastic locking portion such that the elastic locking portion is locked or unlocked to the connecting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chieved by a vision providing device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청각장애인이 영화관람과 같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impaired person with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and thus the hearing-impaired person can enjoy a cultural life such as a movie viewing without much difficul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착용부를 강조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자막 구현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자막 구현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자막 구현부 지지부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에서 자막 구현부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vision provid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ion provid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2;
4 is a front view of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wearing portion with emphasis.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ubtitle implementation uni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title implementing uni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tive implementer case.
Fig. 9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captive implement part supporting part.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ision provid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structural view of a subtitle implementation unit in a vision provid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view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used)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착용부를 강조해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막 구현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자막 구현기의 사시도, 도 8은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9는 자막 구현부 지지부의 확대 구조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ion provid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ion provid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Fig. 2,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2, Fig. 5 is a view emphasizing a wearer,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aptive implement, Fig. FIG.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ision provid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100)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청각장애인이 영화관람과 같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vision providing apparatus 100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This is to allow you to enjoy cultural life such as watching movies.

다시 말해, 도 7 및 도 8처럼 영화관람 시 흥겨운 노래가 나오면서 남자배우가 이를 따라 하는 장면이 나온다고 가정할 때, 청각장애인은 이를 귀로 듣지 못하기 때문에 흥겨운 노래가 나오는지 혹은 남자배우가 이를 따라 하는지를 잘 알기 어려운데, 이때, 이러한 상황 즉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이 자막 구현기(121)의 화면(121a)에 실시간으로 구현되게 한다. 즉 '흥겨운 노래가 나오며 남자배우가 이를 따라 한다. '라는 자막이 표현되게 한다. 그러면, 청각장애인은 설사 귀로 듣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그 장면을 시각적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suming that there is a scene in which a male actor follows a male actor as a result of an exciting song during a movie viewing as shown in FIGS. 7 and 8, a hearing impaired person can not listen to the ear, At this time, this situation, that is, the caption describing the voice visually is implemented in real time on the screen 121a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That is to say, 'a joyful song comes out and a male actor follows it. Let 's make the subtitle ". Then, even if a hearing-impaired person can not hear with their ears, they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cene visually.

청각장애인에게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100)는 착용부(110), 자막 구현부(120), 자막 구현부 지지부(140), 배터리 모듈(150) 및 컨트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viewing environment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can provide such effects to a hearing-impaired person, includes a wear part 110, a caption implementation part 120, a caption implementation part support part 140, A battery module 150, and a controller 160.

착용부(110)는 도 1처럼 신체에 착용하는 부분이다. 마치 배낭의 형태처럼 착용부(110)를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양손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The wearing portion 110 is a portion worn on the body as shown in Fig. The wearing portion 110 can be worn like a backpack. Therefore, both hands are free.

이러한 착용부(110)는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를 포함한다.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는 청각장애인의 어깨에 걸치게 배치되되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Such a wearing portion 110 includes a reinforced plastic body 111. Fig.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is placed over the shoulder of a deaf person, but is made of reinforced plastic. Therefore, durability can be enhanced.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의 내부는 빈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배터리 모듈(150)과 연결되는 전선(116)이 자막 구현부(120)로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116)이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has a hollow structure. Accordingly, the electric wire 116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150 can be reached to the capturing implement 120. Therefore, the disadvantage that the electric wire 116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can be solved.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의 외피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미끄럼 방지용 외피(112)로 적용된다. 따라서, 도 1처럼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를 착용했을 때, 흘러내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casing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is applied as an anti-slip skirt 112 having a non-slip func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when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is worn as shown in Fig. 1, it does not flow down.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 내에는 청각장애인의 어깨에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중량을 감소시키는 하중 감소형 내장 쿠션(113)이 마련된다. 하중 감소형 내장 쿠션(113)은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 내의 전체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일부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Inside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there is provided a load-reducing type built-in cushion 113 for reducing the weight while providing a cushioning feeling to the shoulder of a person with hearing impairment. The load-reducing type built-in cushion 113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or may be applied to only a part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form of the invention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의 일측에는 모듈 포켓(114)이 마련된다. 모듈 포켓(114)은 배터리 모듈(150)이 수납되게 강화 플라스틱 몸체(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모듈 포켓(114)에는 배터리 모듈(150)이 수납될 때 배터리 모듈(150)의 이동식 도킹부(15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식 도킹부(115)가 내부에 형성된다.A module pocket 1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The module pocket 114 is a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111 so as to accommodate the battery module 150. The module pocket 114 is formed therein with a fixed docking unit 115 in which the mobile docking unit 151 of the battery module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battery module 150 is received.

따라서, 모듈 포켓(114)에 배터리 모듈(150)을 수납시키면 배터리 모듈(150)의 이동식 도킹부(151)가 모듈 포켓(114)의 고정식 도킹부(115)에 도킹되고 이로 인해 전력이 전선(116)을 통해 도킹 스테이션(134)을 거쳐 자막 구현기(121)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자막 구현기(121)의 화면(121a)에 도 6 및 도 7과 같은 형태의 자막이 표현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attery module 150 is housed in the module pocket 114, the mobile docking unit 151 of the battery module 150 is docked to the fixed docking unit 115 of the module pocket 114, 116 to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via the docking station 134. 6 and 7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121a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

자막 구현부(120)는 청각장애인에게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을 시각적으로 구현시키는 장치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 구현부(120)는 자막 구현기(121)와 자막 구현기 케이스(125)를 포함한다.The caption implementation unit 120 is a device that visually implements a caption that visually describes a voice to a hearing-impaired person. As shown in FIGS. 6 to 8, the caption implementation unit 120 includes a caption implementor 121 and a caption implementer case 125.

자막 구현기(121)는 컨트롤러(160)에 의해 컨트롤되는 실질적인 전자제품이다. 자막 구현기(121)의 일측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은 형태의 자막이 표현되는 화면(121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화면(121a)에 한글 자막이 형성되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다. 프로그램이 미리 되었다면 영어, 일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가 자막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is a practical electronic product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0. [ On one side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a screen 121a in which subtitles of the form shown in FIGS. 6 and 7 are displayed is forme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Korean subtitles are formed on the screen 121a,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If the program is pre-programmed, English, Japanese, and other languages can be displayed as subtitles.

자막 구현기(121)의 일측에는 자막 구현기(121)에 전원을 인가하는 자막 구현기 전원 버튼(122)이 마련된다. 자막 구현기 전원 버튼(122)을 눌러 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At the one side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a subtitle implementing unit power button 122 for applying power to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is provided. The apparatus can be activated by depressing the captive implementer power button 122. [

자막 구현기(121)의 일측에는 자막 구현기(121)의 외부 통신을 위해 외부 통신 연결 버튼(123)이 마련된다. 이 버튼(123)으로 wifi 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자막 구현기(121)의 일측에는 자막 구현기(121)의 외부 통신을 위한 안테나(124)가 마련된다.An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button 12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for external communication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This button 123 allows wifi to operate. An antenna 124 for external communication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자막 구현기(121)에 대해 좀 더 알아보면, 본 실시예에서 자막 구현기(121)는 예컨대, F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FM 수신기는 한글 자막 송신기의 자막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송신기는 시중 장비 이용하면 된다. 이때, 자막은 한글 자막 외에 외국어 자막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장비는 다문화 가정 영화관람에도 지원할 수 있다.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n FM recei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M receiver serves to receive the caption of the Korean subtitle transmitter. The transmitter can be used on-line. At this time, subtitles can be subtitled in foreign languages in addition to Korean subtitles. Therefore, this equipment can be applied to watching mov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자막 구현기(121)에는 WiFi 수신기가 적용될 뿐만 아니라 G(Gyro) 센서(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G(Gyro) 센서는 몸 흔들림을 흡수하여 자막의 수평 및 안정화(스테빌라이저) 기능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그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WiFi receiver but also a G (Gyro) sensor (not shown) may be added to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 The G (Gyro) sensor can absorb the body shake to provide horizontal and stabilization of the subtitles, which can be adjusted to the intensity of the cell phone application.

이 외에도, 자막 구현기(121)에는 화면(121a)의 밝기, 칼라색, 명암 등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갖춰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color, contrast, and the like of the screen 121a.

자막 구현기 케이스(125)는 자막 구현기(12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이다. 자막 구현기 케이스(125)는 자막 구현기(121)를 보호하는 한편 화면(121a)이 좀 더 잘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ubtitle implementing machine case 125 is a case in which the subtitle implementing machine 121 is detachably coupled. The caption implementer case 125 protects the caption implement 121 and makes the screen 121a more visible.

자막 구현기 케이스(125)는 자막 구현기(12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126)와, 착탈 결합부(126)의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확장 커버부(128)를 포함한다.The captive implementer case 125 includes a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6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tive implement 121 and an extended cover portion 128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6 .

착탈 결합부(126)의 내면에는 자막 구현기(1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27)가 마련된다. 따라서, 자막 구현기(121)가 착탈 결합부(126)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6, an elastic supporting portion 127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apturing implement 121 is provided. Therefore, the captioned implement 121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6.

확장 커버부(128)의 내면에는 빛을 흡수하는 텍스 타일 재질의 빛 흡수부(129)가 형성된다. 이처럼 확장 커버부(128)의 내면에 빛 흡수부(129)가 형성됨으로써 빛 번짐 현상 없이 화면(121a)의 자막을 좀 더 명확하게 주시할 수 있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cover portion 128, a light absorbing portion 129 made of a textil material for absorbing light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ght absorbing portion 12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cover portion 128, the caption of the screen 121a can be observed more clearly without the occurrence of light blurring.

자막 구현기 케이스(125)의 착탈 결합부(126)의 일측에는 제1 내지 제3 노출부(131~133)가 형성된다. 제1 노출부(131)는 자막 구현기 전원 버튼(122)이 노출되게 하는 부분이고, 제2 노출부(132)는 외부 통신 연결 버튼(123)이 노출되게 하는 부분이며, 제3 노출부(133)는 안테나(124)가 노출되게 하는 부분이다.The first to third exposed portions 131 to 133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6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125. The first exposed portion 131 is a portion for exposing the captive implement power button 122 and the second exposed portion 132 is a portion for exposing the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button 123. The third exposed portion 133 are portions for allowing the antenna 124 to be exposed.

자막 구현기 케이스(125)의 착탈 결합부(126)의 타측에는 전선(116)의 단부가 도킹되는 도킹 스테이션(134)이 마련된다. 자막 구현기(121)를 착탈 결합부(126)에 결합시킨 후, 전선(116)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자를 도킹 스테이션(134)에 끼움으로써 장치의 사용 준비가 간단하게 완료될 수 있다.A docking station 134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126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125 to dock the end of the wire 116. It is possible to simply complete the preparation of the apparatus by fitting the terminal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116 into the docking station 134 after connecting the captioned implement 121 to the detachable coupling 126.

자막 구현기(121)의 양측에는 자막 구현부 지지부(140)와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연결구(135)가 형성된다. 연결구(135)가 한 쌍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자막 구현부 지지부(14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끌어낼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135 for connection with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supporting unit 140 are formed. Since the coupling ports 135 are applied as a pair, a stable coupling with the capturing implement supporting portion 140 can be drawn.

자막 구현부 지지부(140)는 착용부(110)에 대하여 자막 구현부(120)를 위치 조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착용부(110)을 착용한 청각장애인이 자신의 눈높이 또는 위치에 맞게 자막 구현기(121)의 액정(121a)을 주시할 수 있도록 자막 구현부 지지부(140)가 작용한다.The caption implementation unit support unit 140 serves to support the caption implementation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wearable unit 110. In other words, the captive implement unit support unit 140 operates so that the hearing-impaired person wearing the wearable part 110 can watch the liquid crystal 121a of the captioned implement 121 according to his / her eye level or position.

이러한 자막 구현부 지지부(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10) 쪽에 연결되는 고정 지지대(141)와, 자막 구현부(120) 쪽에 연결되되 고정 지지대(141)에서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지지대(141)와 연결되는 가동 지지대(14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the captive implement unit support unit 140 includes a fixed support 141 connected to the wearer 110 and a control unit 141 connected to the captive implementation unit 120, And a movable support 142 connected to the fixed support 141 so as to be movable.

고정 지지대(141) 및 가동 지지대(142)의 연결부위에는 고정 지지대(141)에 대한 가동 지지대(142)의 길이 조절 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 버튼부(144)가 마련된다. 스토퍼 버튼부(144)가 작용하도록 가동 지지대(142)에는 스토퍼 버튼부(144)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는 복수의 단계 조절홈(143)이 형성된다.A stopper button 144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movable support 142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141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xed support 141 and the movable support 142. A plurality of step adjustment grooves 143 are formed in the movable support 142 so that one side of the stopper button 144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stopper button 144.

이에, 고정 지지대(141)에 대하여 가동 지지대(142)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축소시킨 후, 스토퍼 버튼부(144)를 밀어 스토퍼 버튼부(144)가 해당 위치의 단계 조절홈(143)에 걸리도록 유도함으로써 고정 지지대(141)에 대한 가동 지지대(142)의 길이 조절을 완료할 수 있다.The stopper button portion 144 is pushed by the stopper button portion 144 into the step adjusting groove 143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movable support 142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141 can be completed.

가동 지지대(142)의 단부에는 자막 구현부(120)에 형성되는 연결구(135)에 착탈 가능하게 로킹되는 탄성 로킹부(145)가 마련된다. 그리고, 탄성 로킹부(145)의 주변에는 탄성 로킹부(145)의 조작을 위한 로킹 조작부(146)가 마련된다. 로킹 조작부(146)는 탄성 로킹부(145)가 연결구(135)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게 탄성 로킹부(145)를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At the end of the movable support 142, an elastic locking part 145 is provided which is detachably locked to the coupling 135 formed in the capturing implement 120. A locking operation portion 146 for operating the elastic locking portion 145 is provided around the elastic locking portion 145. The locking operation portion 146 serves to operate the elastic locking portion 145 so that the elastic locking portion 145 is locked or unlocked at the connection port 135.

배터리 모듈(150)은 자막 구현부(120)의 자막 구현기(121)에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부(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듈 포켓(1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배터리 모듈(150)에는 그 일측에 이동식 도킹부(151)가 형성된다. 이동식 도킹부(151)는 모듈 포켓(114) 내의 고정식 도킹부(115)에 전기적으로 도킹된다. 배터리 모듈(150)은 충전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150 functions to apply power to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0. The battery module 1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pocket 11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earer 110, as described above. A mobile docking unit 15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50. The movable docking portion 151 is electrically docked to the fixed docking portion 115 in the module pocket 114. The battery module 150 may be rechargeable.

한편, 컨트롤러(160)는 자막 구현기(121)의 화면(121a)에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이 실시간으로 구현되게 자막 구현기(121)의 동작을 컨트롤한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so that subtitles visually describing a voic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21a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in real time.

예컨대, 도 7 및 도 8처럼 영화관람 시 흥겨운 노래가 나오면서 남자배우가 이를 따라 하는 장면이 나온다고 가정할 때, 청각장애인은 이를 귀로 듣지 못하기 때문에 흥겨운 노래가 나오는지 혹은 남자배우가 이를 따라 하는지를 잘 알기 어렵다.For example, suppose that a scene in which a male actor follows a song as a result of an exciting song during a movie view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 and 8, a hearing-impaired person can not hear it with his / her ear, it's difficult.

이때, 컨트롤러(160)는 미리 내장된 프로세서를 통해 흥겨운 노래가 나오면서 남자배우가 이를 따라 하는 장면이 나오면 이의 상황 즉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이 자막 구현기(121)의 화면(121a)에 실시간으로 구현되게 즉 '흥겨운 노래가 나오며 남자배우가 이를 따라 한다. '라는 자막이 표현되게 컨트롤한다. 그러면 청각장애인은 설사 귀로 듣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그 장면을 시각적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a scene in which a male actor follows a song with an exciting song through a built-in processor comes out, a situation where the subtitle describing the voi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121a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in real time To be embodied as' a joyful song comes out and a male actor follows it. 'Is controlled. Then, even if the hearing-impaired person can not hear with his / her ears, he / she can understand the scene visually.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performing such a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61, a memory 162, and a support circuit 16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자막 구현기(121)의 화면(121a)에 자막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구현되게 자막 구현기(121)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 중 하나일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so as to be realized in real time in the form of a subtitle on the screen 121a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in the present embodiment, Processor.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16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 The memory 162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located locally or remotely and may be any of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including, for exampl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OM, a floppy disk, May be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support circuit 16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Such a support circuit 16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 / 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자막 구현기(121)의 화면(121a)에 자막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구현되게 자막 구현기(121)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in real time in the form of a subtitle on the screen 121a of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121, 162 < / RTI > Typically, a software routin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2. The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or by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청각장애인이 영화관람과 같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operates on the basis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with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Therefore,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enjoy the cultural life You can enjoy it.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에서 자막 구현부의 측면 구조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FIG. 11 is a side structural view of a caption implementation unit in a vision provid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ploded view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에 적용되는 자막 구현부(220) 역시, 청각장애인에게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을 시각적으로 구현시키는 장치로서 자막 구현기(121)와 자막 구현기 케이스(22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aption implementation unit 220 applied to the vision provisio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an apparatus for visually embodying a caption that visually describes a voice to a hearing- And includes an implementer 121 and a subtitle implementer case 225.

그리고, 자막 구현기 케이스(225)는 자막 구현기(12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226)와, 착탈 결합부(226)의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확장 커버부(228)를 포함한다.The captive implementer case 225 includes a detachable coupling portion 226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tive implement 121 and an extension cover portion 228 extending out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226. [ ).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확장 커버부(228)의 입구에는 슬롯(228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슬롯(228a)에 교체식 필름(229)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교체식 필름(229)은 예컨대, 자막을 확대할 수 있는 확대 기능용 필름일 수도 있고, 눈의 피를 감소시키는 기능성 필름일 수도 있으며, 일정한 칼라(color)가 포함된 칼라 필름일 수도 있다.In this structure, a slot 228a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extension cover portion 228, and a replaceable film 229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lot 228a. The replaceable film 229 may be, for example, a film for an enlargement function capable of enlarging a caption, a functional film for reducing eye blood, or a color film having a certain color.

이와 같은 기능성을 보유한 교체식 필름(229)이 적용됨으로써 자막 구현기(121)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using the replaceable film 229 having such a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not only the subtitle implement 121 but also various functions.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청각장애인이 영화관람과 같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다.Even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viewing environ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with a compact and efficient structure,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enjoy the cultural life such as movie watching without difficulty.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시각 제공장치 110 : 착용부
111 : 강화 플라스틱 몸체 112 : 미끄럼 방지용 외피
113 : 하중 감소형 내장 쿠션 114 : 모듈 포켓
115 : 고정식 도킹부 116 : 전선
120 : 자막 구현부 121 : 자막 구현기
122 : 자막 구현기 전원 버튼 123 : 외부 통신 연결 버튼
124 : 안테나 125 : 자막 구현기 케이스
126 : 착탈 결합부 127 : 탄성 지지부
128 : 확장 커버부 129 : 빛 흡수부
131 : 제1 노출부 132 : 제2 노출부
133 : 제3 노출부 134 : 도킹 스테이션
135 : 연결구 140 : 자막 구현부 지지부
141 : 고정 지지대 142 : 가동 지지대
143 : 단계 조절홈 144 : 스토퍼 버튼부
145 : 탄성 로킹부 146 : 로킹 조작부
150 : 배터리 모듈 151 : 이동식 도킹부
160 : 컨트롤러
100: time providing device 110: wearing part
111: Reinforced plastic body 112: Non-slip cover
113: Built-in load cushion cushion 114: Module pocket
115: fixed docking portion 116: wire
120: Subtitle Implementation Unit 121: Subtitle Implementation Unit
122: Subtitle implementation power button 123: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button
124: Antenna 125: Subtitle Implementation Case
126: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7: elastic support portion
128: extension cover part 129: light absorption part
131: first exposed portion 132: second exposed portion
133: third exposed portion 134: docking station
135: connector 140: captive implement part support
141: fixed support 142: movable support
143: step adjustment groove 144: stopper button section
145: elastic locking part 146: locking operation part
150: Battery module 151: Portable docking part
160: Controller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신체에 착용하는 착용부;
청각장애인에게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을 시각적으로 구현시키는 자막 구현부;
상기 착용부에 대하여 상기 자막 구현부를 위치 조정할 수 있게 지지하는 자막 구현부 지지부;
상기 자막 구현부에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착용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일측에 이동식 도킹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자막 구현부에 음성을 시각적으로 기술한 자막이 실시간으로 구현되게 상기 자막 구현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는,
상기 청각장애인의 어깨에 걸치게 배치되되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자막 구현부로 도달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강화 플라스틱 몸체;
상기 강화 플라스틱 몸체의 외피를 형성하되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미끄럼 방지용 외피;
상기 강화 플라스틱 몸체 내에 형성되며, 상기 청각장애인의 어깨에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중량을 감소시키는 하중 감소형 내장 쿠션;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이 수납되게 상기 강화 플라스틱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수납될 때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이동식 도킹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식 도킹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모듈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자막 구현부는,
자막 구현을 위한 화면이 일측에 형성되는 자막 구현기;
상기 자막 구현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자막 구현기 전원 버튼;
상기 자막 구현기의 외부 통신을 위해 상기 자막 구현기에 결합하는 외부 통신 연결 버튼;
상기 자막 구현기의 외부 통신을 위한 안테나;
상기 자막 구현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와, 상기 착탈 결합부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막 구현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와, 상기 착탈 결합부의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확장 커버부와, 상기 확장 커버부의 내면에 형성되되 빛을 흡수하는 텍스 타일 재질의 빛 흡수부를 구비하는 자막 구현기 케이스;
상기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착탈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자막 구현기 전원 버튼이 노출되게 하는 제1 노출부;
상기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착탈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통신 연결 버튼이 노출되게 하는 제2 노출부;
상기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착탈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가 노출되게 하는 제3 노출부;
상기 자막 구현기 케이스의 착탈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단부가 도킹되는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자막 구현부 지지부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자막 구현기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자막 구현부 지지부는,
상기 착용부 쪽에 연결되는 고정 지지대;
상기 자막 구현부 쪽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 지지대에서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지지대와 연결되는 가동 지지대;
상기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가동 지지대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지지대에 대한 상기 가동 지지대의 길이 조절 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 버튼부;
상기 가동 지지대에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 버튼부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는 복수의 단계 조절홈;
상기 가동 지지대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자막 구현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로킹되는 탄성 로킹부; 및
상기 탄성 로킹부가 상기 연결구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게 상기 탄성 로킹부를 조작하는 로킹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개선용 시각 제공장치.
Wearable parts to wear on the body;
A caption implementation unit for visually embodying a visual description of a voice to a hearing-impaired person;
A capturing implement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capturing implement on the wearer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apturing implement;
A battery modul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capturing implemen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wearer, and a movable dock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ption implementer so that a caption describing a voice visually is implemented in real time in the caption implementer,
[0027]
A reinforced plastic body disposed on the shoulder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nd made of reinforced plastic and having an internal hollow structure to form a place where a wir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reaches the captioned implement;
An anti-slip skirt having a skid-proof function to form an outer skin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A load-reducing type built-in cushion formed in the reinforced plastic body, the weight reducing type cushion providing a sense of cushion to the shoulder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nd
And a module pocket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ed plastic body so as to receive the battery module and having a fixed docking portion inside which the movable docking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battery module is received,
The subtitle implementation unit,
A subtitle implementation unit in which a screen for implementing subtitles is formed on one side;
A subtitle implementing unit power button for applying power to the subtitle implementing unit;
An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button coupled to the caption implementer for external communication of the caption implementer;
An antenna for external communication of the subtitle implementer;
An elastic supporting portion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captive element, and an extension cover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nd a light absorb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cover portion, the light absorbing portion being made of a textil material for absorbing light.
A first exposure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to expose the captive implementer power button;
A second expos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to expose the external communication connection button;
A third exposing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to expose the antenna;
A docking sta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captive implementer case and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is docked; And
And a plurality of connector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aptive implementer for connection to the captive implement implement,
Wherein the capturing implement unit support comprises:
A fixed support connected to the wearer side;
A movable supporter connected to the captive implement part and connected to the fixed supporter so a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xed supporter;
A stopper button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xed support and the movable support, the stopper button fixing the length of the movable support to the fixed support;
A plurality of step adjusting grooves formed on the movable support and selectively holding one side of the stopper button part;
An elastic locking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movable support and detachably locked to the connector formed at the capturing implement; And
And a locking operation portion for operating the elastic locking portion such that the elastic locking portion is locked or unlocked to the connecting opening.
KR1020190030649A 2019-03-18 2019-03-18 Viewing Providing system for Deafness KR101990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49A KR101990826B1 (en) 2019-03-18 2019-03-18 Viewing Providing system for Deaf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49A KR101990826B1 (en) 2019-03-18 2019-03-18 Viewing Providing system for Deafn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826B1 true KR101990826B1 (en) 2019-06-19

Family

ID=6710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649A KR101990826B1 (en) 2019-03-18 2019-03-18 Viewing Providing system for Deaf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82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507U (en) * 1998-08-31 1998-11-25 유민도 Detachable shade for monitor
KR20070005676A (en) 2004-04-13 2007-01-10 아르끄마 프랑스 Use of organic polysulfides against corrosion by acid crudes
KR20130133932A (en) * 2012-05-30 2013-12-10 에이알비전 (주) A wearable typ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hearing impaired person
KR20130136862A (en) 2012-06-05 2013-12-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Nucleic acid delivery complex comprising poly nucleic acid and biopolymer
KR20170029144A (en) * 2015-09-07 2017-03-15 주식회사 라온텍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smart phone
KR20170060976A (en) 2015-11-25 2017-06-02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us for reducing impact of seat and Method thereof
KR20170060974A (en) 2015-11-25 2017-06-02 이로운 Self speaking feedback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507U (en) * 1998-08-31 1998-11-25 유민도 Detachable shade for monitor
KR20070005676A (en) 2004-04-13 2007-01-10 아르끄마 프랑스 Use of organic polysulfides against corrosion by acid crudes
KR20130133932A (en) * 2012-05-30 2013-12-10 에이알비전 (주) A wearable typ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hearing impaired person
KR20130136862A (en) 2012-06-05 2013-12-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Nucleic acid delivery complex comprising poly nucleic acid and biopolymer
KR20170029144A (en) * 2015-09-07 2017-03-15 주식회사 라온텍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smart phone
KR20170060976A (en) 2015-11-25 2017-06-02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us for reducing impact of seat and Method thereof
KR20170060974A (en) 2015-11-25 2017-06-02 이로운 Self speaking feedback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oulder Mount Monitor Stand, [online], 2016.04.18., 인터넷 : <URL : https://www.youtube.com/watch?v=t-b7ut6mlo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891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11601538B2 (en) Headset having right- and left-ear sound output units with through-holes formed therein
CN103053147B (en) Transmitter/receiver Unit And Receiver Unit
EP3525031A1 (en) Display device
US7784583B1 (en) Deep insertion vented earpiece system
WO2017161726A1 (en) Virtual reality device and virtual reality system
US10401913B2 (en) Mixed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N116338983A (en) Modular eyewear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140253866A1 (en) Spectacles having a built-in computer
TW201733330A (en) Pen-type transceiver device
US20060109350A1 (en) Glasses type audio-visual recording apparatus
US20180241863A1 (en) Earset, earset system, and earset control method
CN114727212B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201518084U (en) Spectacle having function of hearing aid
EP3376752A1 (en) Headset
JP2013522953A (en) Communication glasses
KR101990826B1 (en) Viewing Providing system for Deafness
JP2012186684A (en) Receiving unit
WO2019237426A1 (en) Audio conversion device
CN105050016A (en) In-ear hearing aid control system
CN211043856U (en) Intelligent glasses
CN206585725U (en) A kind of earphone
CN205353491U (en) Eyeshield intelligence glasses
JP201402745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CN211741726U (en) Lead sound intelligence glasses leg and intelligent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