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435B1 -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435B1
KR101990435B1 KR1020120106669A KR20120106669A KR101990435B1 KR 101990435 B1 KR101990435 B1 KR 101990435B1 KR 1020120106669 A KR1020120106669 A KR 1020120106669A KR 20120106669 A KR20120106669 A KR 20120106669A KR 101990435 B1 KR101990435 B1 KR 10199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nput
icon
electronic device
ic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989A (ko
Inventor
김규식
우홍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4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고,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패턴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하는 인증부,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되고, 입력받은 패턴 내에 바로 가기 선택이 존재하면, 선택된 바로 가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EXECUTING OF APPLIC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종래에는 입력 장치 중 키보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의 모바일 환경에서는 터치 스크린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사회적으로 보안 및 개인 프라이버시가 중요해 짐에 따라, 전자 기기에서는 보완 관련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모바일 장치 역시 예외가 아니다.
다만, 모바일 장치는 휴대성을 위하여 터치 스크린만을 구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키보드 방식의 인증 방식과 다른 여러 인증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 패턴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패턴 인증 방식이란, 잠금 화면상에서 복수 개의 점을 표시하고, 표시된 복수 개의 점을 연결하는 패턴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증 단계가 구비됨에 따라서, 보안 및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유리한 점이 있지만, 전자 장치의 조작에 있어서 불편한 점도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인증을 위한 패턴을 입력하고, 인증 과정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야 하는 추가 조작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패턴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받은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하는 인증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되고, 상기 입력받은 패턴 내에 바로 가기 선택이 존재하면, 상기 선택된 바로 가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인증부는, 상기 입력받은 패턴 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영역이 존재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받은 패턴에서 상기 기설정된 패턴 이외의 부가 패턴을 구성하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부가 패턴 및 기설정된 패턴을 연속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패턴의 첫 번째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기설정된 패턴 및 부가 패턴을 연속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패턴의 마지막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부는, 상기 입력받은 패턴과 상기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입력되면, 기본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패턴의 시작 아이콘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되면, 상기 시작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패턴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패턴 경로를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의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패턴 입력 영역은 9개의 아이콘을 3행 3열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되고, 상기 입력받은 패턴 내에 바로 가기 선택이 존재하면, 상기 선택된 바로 가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패턴 내에 연속하여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영역이 존재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패턴에서 상기 기설정된 패턴 이외의 부가 패턴을 구성하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는, 부가 패턴 및 기설정된 패턴을 연속으로 입력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패턴의 첫 번째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는, 기설정된 패턴 및 부가 패턴을 연속으로 입력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패턴의 마지막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패턴과 상기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입력되면, 기본 화면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패턴의 시작 아이콘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되면, 상기 시작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패턴 경로를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의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입력 영역은 9개의 아이콘을 3행 3열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되고, 상기 입력받은 패턴 내에 바로 가기 선택이 존재하면, 상기 선택된 바로 가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기설정된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다양한 입력 패턴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인증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동작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구비하는 PC, 노트북, 태블릿, PMP,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영체제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iOS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받을 수 있다. 수신받은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부(150)에 의하여 전자 장치(100)에 설치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부(130)의 기설정된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함과 동시에 마우스 및 모니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후술할 저장부(130)에 저장된 리스트 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9개의 아이콘을 3행 3열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이미지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된 아이콘을 기설정된 방법으로 선택함으로써 인증 동작 이후에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방법은, 기설정된 패턴을 입력하기 직전에 '바로 가기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기설정된 패턴을 입력한 이후에 '바로 가기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기설정된 패턴의 첫 번째 선택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하는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패턴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표시된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복수의 아이콘을 연속적으로 선택받음으로써 패턴을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패턴은 후술할 인증부(14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패턴의 경로를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은 한 번의 끊김 없이 복수의 아이콘을 경유하는 연속적인 터치 경로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선택가능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잠금 해지 모드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패턴 입력 과정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바로 가기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또는 잠금 해지 모드 시의 선택받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기본 화면(또는 바탕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로 가기 선택 없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에서 잠금 해지 모드로 변환되거나, 사용자로부터 홈 버튼을 선택받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기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화면은 홈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사용자가 자주 쓰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운영 체제는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화면 잠김 모드 및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잠금 해지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화면 잠김 모드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기 전의 모드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한다. 그리고 잠금 해지 모드는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이후의 모드로, 기본 화면을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기설정된 패턴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후술할 인증부(140)에서 인증시 사용하는 기설정된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리스트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패턴 입력 영역에 표시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될 어플리케이션 중 바로 가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이용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스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수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빈도에 대응하여 수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리스트 내의 어플리케이션의 개수는 패턴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입력 영역 내에 3행 3열의 아이콘이 표시가능한 경우, 리스트는 최대 9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리스트는 패턴 입력 영역 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각종 아이콘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 플레쉬 메모리 등을 포함한 Remobable Disk, 촬상장치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부(140)는 입력받은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증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패턴과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패턴을 포함하는 확장된 패턴이 입력된 경우, 인증부(140)는 입력된 패턴이 인증된 사용자의 패턴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된 패턴(augmented pattern)은 기설정된 패턴 및 부가 패턴이 연속적으로 입력된 패턴이다. 여기서 부가 패턴은 사용자의 바로 가기 선택에 대응되는 패턴이다. 이와 같은 확장 패턴의 예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인증부(140)는 인증 결과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인증부(140)는 입력된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거나, 입력된 패턴에 기설정된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화면 잠김 모드에서 잠금 해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입력된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하지 않고, 기설정된 패턴을 포함하지 않은 패턴이 입력되면, 인증부(140)는 입력된 패턴을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패턴 입력으로 판단하고, 패턴을 재차 입력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김 해지 모드에서 화면 잠김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조건은 시스템이 켜지거나, 기설정된 시간 동안 명령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절전 모드로 진입한 경우)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잠김 해지 모드에서 잠김 모드로의 전환에는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인증된 사용자 패턴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화면 잠김 모드에서 잠김 해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패턴 입력 영역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패턴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입력된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인증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인증부(140)의 인증 결과가 입력된 패턴 입력이 인증된 사용자의 패턴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잠김 해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입력받은 패턴 내에 바로 가기 선택이 존재하면, 선택된 바로 가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잠금 해지 모드로 변환되고, 입력된 패턴이 확장된 패턴이거나 시작 아이콘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된 기설정된 패턴이면, 부가 패턴 또는 시작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패턴 입력을 통하여 잠금 해제와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인증부(140) 및 제어부(15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인증부(140)의 기능 및 제어부(150)의 기능을 하나의 구성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00)은 패턴 입력 영역(2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00)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표시되는 창으로,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21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입력 영역(210)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패턴 입력 영역(210)은 사용자로부터 패턴을 입력받는 영역으로, 복수의 아이콘을 행 및 열로 표시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9개의 아이콘이 3행 3열으로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아이콘의 종류와 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3행 3열의 9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N행 M열의 N*M개의 점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패턴 입력 영역(230)은 종래의 패턴 입력 방식에서의 점들의 위치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패턴 입력 영역(230) 상에서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바로 가기 실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입력할 수 있으며, 바로 가기 실행이 필요한 경우, 바로 실행하려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선택 및 기설정된 패턴이 조합된 패턴, 즉, 확장된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입력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확장된 패턴이 입력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기설정된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패턴의 예로 Z 형상의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패턴은 복수의 위치(구체적으로, 점)를 끊김 없이 연속으로 선택받는 터치 경로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7개의 점 영역이 연속적으로 선택되었지만, 구현시에 다른 개수의 복수의 점 영역이 연속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다양한 입력 패턴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바로 가기 실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입력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패턴 입력 영역 내의 9개 아이콘 위치를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좌상 측에 위치하는 전화 아이콘을 아이콘 7로 지칭하고, 우하 측에 위치하는 동영상 재생 아이콘을 아이콘 3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금 모드인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순차적으로 아이콘을 선택한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설정된 패턴(아이콘 7 -> 아이콘 8 -> 아이콘 9 -> 아이콘 5 -> 아이콘 1 -> 아이콘 2 -> 아이콘 3)과 동일한바, 전자 장치(100)는 인증된 사용자의 패턴 입력인 것으로 판단하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입력된 패턴에 바로 가기 선택이 존재하지 않는바, 동작 모드 전환 이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는 기본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경우에, 전자 장치(100)가 기본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함과 동시에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기설정된 패턴의 시작 아이콘과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바로 가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기설정된 패턴의 시작 아이콘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예를 들어, 1초) 선택한 이후에, 나머지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이콘 7을 1초 이상 터치 유지한 이후에 순차적으로 아이콘 8 -> 아이콘 9 -> 아이콘 5 -> 아이콘 1 -> 아이콘 2 -> 아이콘 3의 순서로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시작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 전환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과 동시에 아이콘 7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부가 패턴 및 기설정된 패턴을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 후에 바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이후에 기설정된 패턴을 연속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바로 가기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 6을 먼저 선택하고, 이후에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아이콘 6 -> 아이콘 7 -> 아이콘 8 -> 아이콘 9 -> 아이콘 5 -> 아이콘 1 -> 아이콘 2 -> 아이콘 3의 순서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 6에서 아이콘 7로의 터치 이동이 부가 패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설정된 패턴을 포함하는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잠금 해지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입력된 패턴에 부가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바, 전자 장치(100)는 부가 패턴의 첫 번째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동작 모드의 전환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잠금 해지 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아이콘 6에 대응되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아이콘 6에서 아이콘 7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른 아이콘이 경유 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이 3이라면, 사용자의 터치는 아이콘 3 -> 아이콘 5 -> 아이콘 7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부가 패턴의 경로는 아이콘 3 -> 아이콘 5 -> 아이콘 7이 되며, 전자 장치(100)는 부가 패턴의 첫 번째 아이콘(즉, 아이콘 7)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시에 바로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기설정된 패턴 및 부가 패턴을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사용자 인증 후에 바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연속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이콘 7 -> 아이콘 8 -> 아이콘 9 -> 아이콘 5 -> 아이콘 1 -> 아이콘 2 -> 아이콘 3 -> 아이콘 6의 순서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 3에서 아이콘 6으로의 터치 이동이 부가 패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설정된 패턴을 포함하는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잠금 해지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입력된 패턴에 부가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바, 부가 패턴의 마지막 아이콘(즉, 아이콘 6)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모드의 전환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한다(S710). 예를 들어, 9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9개의 아이콘을 3열 3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패턴을 입력받는다(S720). 이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패턴 경로를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받은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730).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패턴에 기설정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 입력받은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된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이거나, 기설정된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인증된 사용자로 판단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한다. 그리고 입력된 패턴에 바고 가기 선택이 포함되어 있으면(S740-Y), 선택된 바로 가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75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하나의 패턴 입력을 통하여 잠금 해제와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인증부 150: 제어부

Claims (20)

  1.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받은 제1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하는 인증부; 및
    상기 입력받은 제2 패턴 내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기설정된 아이콘이 존재하면, 상기 잠금 해지 모드에서 기설정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연속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패턴의 첫 번째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연속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패턴의 마지막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1 패턴이 상기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기본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패턴의 시작 아이콘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되면, 상기 시작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상기 패턴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패턴 경로를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의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패턴 입력 영역은 9개의 아이콘을 3행 3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제1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제2 패턴 내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기설정된 아이콘이 존재하면, 상기 잠금 해지 모드에서 상기 기설정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연속으로 입력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패턴의 첫 번째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연속으로 입력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패턴의 마지막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제1 패턴과 상기 기설정된 패턴이 동일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한 제1 패턴이 입력되면, 기본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패턴의 시작 아이콘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되면, 상기 시작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패턴의 패턴 경로를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의 복수의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입력 영역은 9개의 아이콘을 3행 3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0.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화면 잠김 모드인 경우에,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패턴 입력 영역 상에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제1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에 대응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잠금 해지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제2 패턴 내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기설정된 아이콘이 존재하면, 상기 잠금 해지 모드에서 상기 기설정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20106669A 2012-09-25 2012-09-25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99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669A KR101990435B1 (ko) 2012-09-25 2012-09-25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669A KR101990435B1 (ko) 2012-09-25 2012-09-25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989A KR20140044989A (ko) 2014-04-16
KR101990435B1 true KR101990435B1 (ko) 2019-06-18

Family

ID=5065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669A KR101990435B1 (ko) 2012-09-25 2012-09-25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3461A (zh) * 2015-08-24 2015-1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457921A (zh) * 2019-08-01 2019-11-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权限管理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967B1 (ko) * 2008-07-07 201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4970B1 (ko) * 2010-08-18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3812B1 (ko) * 2011-01-12 2018-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잠금 해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989A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26077B (zh) 一种应用程序图标的显示控制方法和移动终端
CN107209620B (zh) 一种电子设备和指纹识别方法
EP2746921B1 (en) Method for managing per-application security level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7219988B (zh) 一种界面操作引导方法及移动终端
US92802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20278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icon in touch screen terminal
US20160035118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5224276A (zh) 一种分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130039586A (ko) 터치 디바이스의 잠금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96127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CN106354373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CN107395884B (zh) 一种应用通知消息的显示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6874046B (zh) 一种应用程序的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7103224B (zh) 一种解锁方法及移动终端
KR20150012889A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133564A (ko) 전자 장치, 키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40124499A (ko) 터치 디바이스의 문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80810B1 (ko) 전자 장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7678813B (zh) 一种桌面图标的主题的切换方法及移动终端
KR20130126430A (ko) 멀티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90435B1 (ko) 전자 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579038B1 (ko) 보안 키패드
CN106650442B (zh) 一种信息的安全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5159542A (zh) 一种智能设备的桌面图标显示方法和装置
KR101364376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