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238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238B1
KR101990238B1 KR1020180002306A KR20180002306A KR101990238B1 KR 101990238 B1 KR101990238 B1 KR 101990238B1 KR 1020180002306 A KR1020180002306 A KR 1020180002306A KR 20180002306 A KR20180002306 A KR 20180002306A KR 101990238 B1 KR101990238 B1 KR 10199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lead
terminals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0474A (en
Inventor
야스유키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2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하우징(2), 및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5)를 구비하고, 복수의 단자(5)의 각각에 상대측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1)를 대상으로 한다. 단자(5)는 상대측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인 접점부를 가지는 컨택트부와, 컨택트부와 다른 부분을 매개로 하여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컨택트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기판에 납땜되는 부분인 리드부(41, 51, 53)를 가지고, 리드부(41, 51, 53)는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커넥터(1)를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PROBLEMS]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an entire surface area on a substrate.
A connector (1) mounted on a board, which has a connector housing (2)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5)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and to which a mating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 The terminal 5 is integrally provided via a contact portion having a contact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ich contacts the mating terminal and another portion via the contact portion or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ontact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lead portion And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are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or housing 2 when the connector 1 mounted on the board is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ard Respectively.

Figure R1020180002306
Figure R1020180002306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측 단자가 접속되는 단자를 가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to which a mating terminal is connected.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5367122호 명세서에서는, 그 일본 특허 제5367122호 명세서의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컨택트(30)의 제1 단자부(36)와 제2 컨택트(40)의 제2 단자부(44)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단자간 거리를 확보하면서, 좌우 방향(커넥터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자부(36)와 제2 단자부(44)와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게 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專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1 and 6 of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5367122, the first terminal portion 36 of the first contact 30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36 of the second contact 40 are provided in the specification of Japanese Patent No. 5367122. For example,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s 44 are arranged to be shif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hort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36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44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hile sec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By doing so, the dedicated area of the connector on the board can be reduced.

그렇지만, 일본 특허 제5367122호 명세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라도,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 면적의 관점에서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However, even a connector having the same construction as the specification of Japanese Patent No. 5367122 may be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total area of the connector on the board.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total internal area on a substrate.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그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단자의 각각에 상대측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인 접점부를 가지는 컨택트부와, 상기 컨택트부와 다른 부분을 통해서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컨택트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부분인 리드부를 가지고, 각 상기 리드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상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1)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nnector according to a certai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electrically connected Wherein the terminal is integrally provided through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contact portion or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ontact portion, the contact portion having a contact portion which is a portion contacting the mating terminal, Wherein each of the lead portions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or housing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ar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is mounted on the board.

이 구성에 의하면, 기판에 납땜되는 리드부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커넥터를 그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리드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ad portion to be soldered to the board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or housing when the connector mounted on the board is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ard.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whole oil-filled area of the connector on the board, for exa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ead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or housing.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total area of oil on the substrate.

(2)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택트부는 상기 상대측 단자의 발거(拔去)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컨택트부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컨택트부와 간격을 두고 그 컨택트부보다도 상기 기판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거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壓入)되어 있는 연장부와, 상기 컨택트부의 기단부(基端部)와 상기 연장부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2) Preferably,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moval direction of the mating terminal, and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An extend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and which extends toward the unloading direction and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nd a base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proximal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의 일부인 연장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압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단자를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extension portion, which is a part of the terminal,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This makes it possible to attach and fix the terminals to the connector housing.

또, 이 구성에서는, 컨택트부의 기단부가,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되는 부분인 연장부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컨택트부와 연장부가,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컨택트부에 있어서의 기단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접점부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컨택트부의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구성에 의하면, 컨택트부의 스프링성을 확보하면서,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which is a portion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via the connection portion. In this configuratio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are provided with a gap therebetween.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contact portion can be bent with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serving as a fulcrum, the spring property of the contact portion can be secured.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otal area of the connector on the substrate while securing the spring property of the contact portion.

(3)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단자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와,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 상대측 단자를 꽂고 발거 방향인 삽발(揷拔)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 있다. (3) Mor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terminals have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nd the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terminal is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the matin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and is displaced in the pull-out direction which is the pull-out direction.

예를 들면, 복수의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의 리드부가 일렬로 늘어서 있으면, 리드부가 기판의 랜드에 납땜된 상태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랜드 사이의 거리(연면(沿面) 거리)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For example, when the lea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a row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lands in a state where the lead portions are soldered to the lands of the board ) Distance) may not be long enough

이 점에 대해,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단자의 리드부와 제2 단자의 리드부가, 상대측 단자의 삽발 방향에 대해서 어긋나 있다. 이렇게 하면,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교호(交互)로 배열함으로써, 리드부가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In this respec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ead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lea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re offset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ting terminal. By arrang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lternately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housing, the creepage distance of the board can be made long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ead portions are arranged in a line.

(4)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단자는 제3 단자를 더 가지고,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3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 및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의 쌍방에 대해서 상기 삽발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 있다. (4) Mor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terminals further include a third terminal, and the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third terminal is such that, in a state where the third terminal is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제1 단자, 제2 단자, 제3 단자, 제1 단자, 제2 단자, 제3 단자, …와 같이 반복되도록 배열함으로써, 리드부가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의 연면 거리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housing,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third terminal, The creepage distance of the substrate can be made long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ead portions are arranged in a row.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 및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5)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lead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lea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lead portion of the third terminal extends from the tip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toward the substrate have.

이 구성에서는, 컨택트부의 기단부와 연장부의 기단부가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연장부의 선단부에 리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리드부에 있어서 납땜되는 부분에서부터 접점부까지의 경로에, 상대측 단자의 삽발 방향을 따라서 왕복하는 경로가 포함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부에 있어서 납땜되는 부분에서부터 접점부까지의 경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 시에 플럭스(flux)가 접점부까지 올라와 버릴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ximal end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roximal end of the extended portion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the lead portion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nded portion. In this case, a path from the soldered portion to the contact portion in the lead portion includes a path that reciprocates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mating terminal. As a result, since the length of the path from the soldered portion to the contact portion in the lead portion can be made longer, the possibility that the flux rises to the contact portion at the time of soldering can be reduced.

(6)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자의 사이에 마련된 구획벽을 더 가지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기판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6) Preferably, the connector housing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adjacent terminals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partition wall is extended to the substrate side .

예를 들면, 연장부의 쪽이 구획벽보다도 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연면 거리는,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해진다. 이것에 대해서, 이 구성과 같이, 구획벽의 쪽이 연장부보다도 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그 만큼,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xtended portion extends to the substrate sid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the creepage distance between adjacent terminals become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terminal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tition wall extends to the substrate side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ortion as in this configuration, the creepag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terminals can be increased correspondingly.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an oil-filled area on a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방(上方)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의 (A)는 누름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의 (B)는 누름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하방(下方)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FFC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도 4의 (A)는 제1 단자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B)는 제2 단자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C)는 제3 단자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을 하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5의 (A)는 사시도, 도 5의 (B)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제1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의 (A)는 사시도, 도 6의 (B)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2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의 (A)는 사시도, 도 7의 (B)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3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의 (A)는 사시도, 도 8의 (B)는 정면도이다.
도 9의 (A)는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횡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IXA-IXA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또, 도 9의 (B)는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횡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Fig. 1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 cover is closed, Fig. 1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below. Fig.
3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Fig.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a state where the FFC is connected, Fig. 4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is seen on the front side, Fig. 4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terminal is seen to the front. Fig.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board mounted with the connector, Fig. 5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5 (B) is a bottom view.
Fig. 6 is a view showing a first terminal, Fig. 6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6 (B) is a front view.
Fig. 7 is a view showing a second terminal, Fig. 7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7 (B) is a front view.
Fig. 8 is a view showing a third terminal, Fig. 8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8 (B) is a front view.
FIG. 9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XA-IXA of FIG. 3; FIG.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and corresponds to Fig. 9A.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applicable to connecto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의 (A)는 누름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의 (B)는 누름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1)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1)의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FFC(60)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의 종단면도이며, 도 4의 (A)는 제1 단자(6)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B)는 제2 단자(7)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C)는 제3 단자(8)가 가장 앞측에 보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5는 커넥터(1)가 실장된 기판(70)을 하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5의 (A)는 사시도, 도 5의 (B)는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FIG. 1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 cover is closed, FIG. 1 (B)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1 shown in Fig. 1 from below. 3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or 1 shown in Fig.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1 in a state where the FFC 60 is connected. FIG. 4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6 is seen to the front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7 is shown on the front side, and FIG. 4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terminal 8 is on the front side. 5 is a bottom view of the board 70 on which the connector 1 is mounted. Fig. 5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5 (B) is a bottom view.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전(前)이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전측(前側) 또는 전방(前方)이라고 칭하고, 후(後)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후측(後側) 또는 후방(後方)이라고 칭하며, 우(右)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우측(右側)이라고 칭하고, 좌(左)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좌측(左側)이라고 칭하고, 상(上)이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상측(上側) 또는 상방이라고 칭하고, 하(下)라고 기재된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을 하측(下側) 또는 하방이라고 칭한다. 전방은 커넥터(1)에 접속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60)(이하, 간단하게 FFC(60)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을 그 커넥터(1)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에 대응한다. 또, 후방은 FFC(60)를 커넥터(1)에 삽입하는 방향에 대응한다. 즉, 전후 방향은 FFC(60)의 삽발 방향에 대응한다.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hea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or the front side, and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described later is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rear sid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right side and a direction indicated by an arrow indicated as a lef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eft side and a direction indicated by an arrow Upper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n upper side or an upper direction and a direction indicated by an arrow indicated by a lower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ower side (lower side) or below. The front side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flat cable 60 (hereinafter also simply referred to as the FFC 60) connected to the connector 1 is pulled out from the connector 1. [ The rear side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FC 6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 [ That i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orrespond to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directions of the FFC 60.

[커넥터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connector]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이른바 FFC용 커넥터로서, FFC(60)를 접속 가능한 커넥터이다.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2)과, 보강탭(3)과, 누름 커버(4)와, 복수의 단자(5)를 가지고, 이들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예를 들면 일례로서, FFC(60)측에 접속된 텔레비전의 전원 기판을, 커넥터(1)가 실장된 기판(70)에 형성된 프린트 배선을 통해서 텔레비전의 내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o-called FFC connector, and is a connector to which the FFC 60 can be connected. The connector 1 has a connector housing 2, a reinforcing tab 3, a pressing cover 4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5, which are assembled together. 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as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board of a television connected to the FFC 60 side to the television 1 through the printed wiring formed on the board 70 on which the connector 1 is mounted And is us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an internal circuit.

[커넥터 하우징의 구성][Configuration of Connector Housing]

커넥터 하우징(2)은 상하 방향으로 얇은 편평(扁平)한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절연성의 부재이다. 커넥터 하우징(2)은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복수의 (본 실시 형태의 경우, 12개의) 단자(5)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connector housing 2 is an insulating member formed in a flat rectangular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or housing 2 has an elongated shap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terminals (12 in this embodiment) at equal intervals in the left-right direction.

커넥터 하우징(2)은 후부(後部, 10) 및 전부(前部, 11)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The connector housing 2 has a rear portion 10 and a front portion 11, which are integrally formed.

후부(10)는 커넥터 하우징(2)의 후측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가늘게 길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편평한 부분이다. 후부(10)의 상부에 있어서의 전측의 부분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누름 커버(4)의 축부(軸部, 33)를 하측으로부터 받는 받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부(12)에서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축부(33)가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누름 커버(4)를 개폐할 수 있다. The rear portion 10 is a portion that constitutes the rear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2 and is a portion that is slend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fla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Receiving portions 12 for receiving the shaft portion 33 of the pressing cover 4 from below are formed at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front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0 respectively. In this receiving portion 12, the cylindrical shaft portion 33 rotates while sliding. As a result, the push cover 4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housing 2.

또, 후부(10)에는, 그 후부(10)의 전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양단 부분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보강탭용 슬릿(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탭용 슬릿(13)은 전방에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rear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slit 13 for reinforcing tab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0. The reinforcing tab slit 13 has an elongated shape in the up-and-down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formed to extend rearward.

전부(11)는 저벽부(底壁部, 15)와, 2개의 측벽부(16), 2개의 상벽부(17)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15)는 후부(10)의 전면(前面)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2개의 측벽부(16)는, 각각 저벽부(15)의 좌우 방향 양단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벽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각 상벽부(17)는 2개의 측벽부(16)의 각각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다. 각 상벽부(17)는 상하 방향으로 얇은 벽 모양의 부분으로서, 측벽부(16)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벽부(17)는 저벽부(15)에 있어서의 우측의 부분 및 좌측의 부분을, 상방에서부터 덮고 있다. The front portion 11 has a bottom wall portion 15, two side wall portions 16, and two top wall portions 17, which are integrally formed. The bottom wall portion 15 is a portion form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a lower por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0. [ The two side wall portions 16 are each provided as a wall-shaped portion having a thickness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ch is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edge portions at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portion 15, respectively. Each upper wall portion 17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side wall portions 16. Each upper wall portion 17 is formed as a thin wall-like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portion 16 slightly inward. Thus, the upper wall portion 17 covers the right side portion and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bottom wall portion 15 from above.

상술한 저벽부(15), 2개의 측벽부(16), 및 2개 상벽부(17)에 의해서 둘러싸인 부분은, 전방으로부터 FFC(60)가 삽입되어 그 FFC(60)의 선단측의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부(18)로서 마련된다. 또한, 저벽부(15)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측의 부분에는, 완만하게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FFC(60)를 스무스하게 수용부(18)로 삽입할 수 있다.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above-described bottom wall portion 15, the two side wall portions 16 and the two top wall portions 17 is a portion where the FFC 60 is inserted from the front and the front end side portion of the FFC 60 And is provided as a receiving portion 18 to be accommodated. 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15a inclined downwardly is formed gently on a fro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15. As a result, the FFC 6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8.

또, 커넥터 하우징(2)에는, 각 단자(5)가 압입되는 12개의 단자용 슬릿(20)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용 슬릿(20)은 좌우 방향으로 얇은 슬릿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단자용 슬릿(20)은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20)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In the connector housing 2, twelve terminal slits 20 into which the respective terminals 5 are inserted are formed. The slits 20 for each terminal are formed in a slit shap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terminal slits 2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eft-right direction. Each of the slits 20 has the same shape.

각 슬릿(20)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슬릿부(21)와, 제2 슬릿부(22)와, 제3 슬릿부(23)와, 제4 슬릿부(24), 및 제5 슬릿부(25)를 가지고 있다. 4, each of the slits 20 includes a first slit portion 21, a second slit portion 22, a third slit portion 23, a fourth slit portion 24, 5 slit portions 25, respectively.

제1 슬릿부(21)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릿부(21)는 커넥터 하우징(2)의 후면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슬릿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방 및 하방으로 개구(開口)되어 있다. The first slit portion (21)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2). The first slit portion 21 is formed in a slit shape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2 and is opened rearward and downward.

제2 슬릿부(22)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있어서의 후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슬릿부(22)는, 제1 슬릿부(21)의 후측의 부분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슬릿부(22)의 하측과 제1 슬릿부(21)의 후측이 연통(連通)되어 있다. 제2 슬릿부(22)는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The second slit portion (22) is formed on a rear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2). The second slit portion 22 is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rear side portion of the first slit portion 21. As a resul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lit portion 22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slit portion 21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slit portion 22 is opened rearward.

제3 슬릿부(23)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3 슬릿부(23)는 제2 슬릿부(22)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약간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3 슬릿부(23)의 후측과 제2 슬릿부(22)의 상측이 연통되어 있다. 제3 슬릿부(2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제1 슬릿부(2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약 반 정도이다. 제3 슬릿부(23)는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The third slit portion 23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2. [ The third slit portion 23 is formed so as to extend slightly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lit portion 22. As a result, the rear side of the third slit portion 23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lit portion 22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third slit portion 23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about half the length of the first slit portion 21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third slit portion 23 is opened rearward.

제4 슬릿부(24)는 제3 슬릿부(23)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4 슬릿부(24)의 후측과 제3 슬릿부(23)의 전측이 연통되어 있다. 제4 슬릿부(24)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The fourth slit portion 24 is form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slit portion 23. As a result, the rear side of the fourth slit portion 24 and the front side of the third slit portion 23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fourth slit portion 24 is opened forward.

제5 슬릿부(25)는 제4 슬릿부(24)보다도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5 슬릿부(25)는 제3 슬릿부(23)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5 슬릿부(25)의 후측과 제3 슬릿부(23)의 전측이 연통되어 있다. 제5 슬릿부(25)는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개구되고, 또한 전측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방으로도 개구되어 있다. The fifth slit portion 25 is formed below the fourth slit portion 24. The fifth slit part (25) is form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the lower side part of the third slit part (23). As a result, the rear side of the fifth slit portion 25 and the front side of the third slit portion 23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fifth slit portion 25 is open to the front as a whole, and the front portion is also opened upward.

또,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20)이 형성됨으로써,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슬릿(20)의 사이에, 구획벽(26)이 형성된다. 상술한 것처럼, 각 슬릿(20)에는 각 단자(5)가 압입되어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 단자(5)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구획벽(26, 26)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각 단자(5)가 한 쌍의 구획벽(26, 26)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각 구획벽(26)은 단자(5)의 배열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단자(5, 5)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2, a plurality of slits 2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a partition wall 26 is formed between adjacent slits 2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each terminal 5 is press-fitted into each slit 20 and fixed. In other words, each terminal 5 is sandwiched and held between a pair of partition walls 26, 26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other words, in a state in which each terminal 5 is sandwiched and hel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 walls 26, 26, the partition walls 26 are arrang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the terminals 5 And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terminals 5, 5.

[보강탭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reinforcement tab]

보강탭(3)은 소정 형상을 가지는 금속제의 플레이트(plate) 모양의 부재이다. 보강탭(3)은 그 일부가 커넥터 하우징(2)의 보강탭용 슬릿(13)에 압입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고정된다. 그리고 커넥터(1)에서는, 그 커넥터(1)를 기판(70)에 실장할 때, 기판(70)에, 각 단자(5)의 리드부(41, 51, 53)뿐만이 아니라, 보강탭(3)의 리드부(3a)도 납땜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70)에 대해서 커넥터(1)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tab 3 is a plate-shaped metal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reinforcing tab 3 is partly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2 by being pressed into the slit 13 for the reinforcing tab of the connector housing 2. [ When the connector 1 is mounted on the board 70, not only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of the terminals 5 but also the reinforcing tabs 3 Is also soldered. As a result, the connector 1 can be firmly fixed to the substrate 70.

[누름 커버의 구성][Configuration of pressing cover]

누름 커버(4)는 커넥터 하우징(2)의 수용부(18)로 정상적으로 삽입된 FFC(60)를 상방으로부터 눌러 고정하기 위한의 것이다. 이와 같이 누름 커버(4)에 의해서 FFC(60)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FFC(60)의 각 도전부(61)(상대측 단자)를 대응하는 각 단자(5)의 컨택트부(45)로 눌러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FFC(60)의 각 도전부(61)와 대응하는 각 단자(5)를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The pressing cover 4 is for pressing and fixing the FFC 60 normal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8 of the connector housing 2 from above. By pressing the FFC 60 downward by the pressing cover 4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parts 61 (mating terminals) of the FFC 60 are pressed to the corresponding contact parts 45 of the respective terminals 5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conductive portions 61 of the FFC 60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s 5 can be brought into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securely.

누름 커버(4)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를 요동(搖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누름 커버(4)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와, 도 1의 (B)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할 수 있다.The pressing cover 4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wing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Specifically, the pressing cover 4 can swing between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 1A and the open position shown in FIG. 1B.

누름 커버(4)는, 도 1의 (A) 및 도 1의 (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31)와, 평판부(32)와, 축부(33)를 가지고, 이들이 절연성의 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1 (A) and 1 (B), the pressing cover 4 has a base portion 31, a flat plate portion 32, and a shaft portion 33, As shown in Fig.

베이스부(31)는, 누름 커버(4)에 있어서의 후측에 마련된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3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는 원기둥 모양의 축부(3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축부(33)는 커넥터 하우징(2)에 형성된 대응하는 받이부(12)에 의해서 하측으로부터 받아지고 있다. The base portion 31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pressing cover 4 so as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31, a cylindrical shaft portion 33 slightly extending outward from each end is provided. Each shaft portion (33) is received from the lower side by a corresponding receiving portion (12)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2).

또, 베이스부(31)에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장착된 각 단자(5)의 래치부(46)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35)은, 누름 커버(4)가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요동하더라도, 각 단자(5)의 래치부(46)에 의해서 누름 커버(4)의 요동 동작이 저해되지 않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관통공(35)에 각 단자(5)의 래치부(46)가 삽입 통과되어 있음으로써, 누름 커버(4)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through hole 35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3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 portion 46 of each terminal 5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2. These through holes 35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cover 4 is not hindered by the latch portions 46 of the respective terminals 5 even if the pressing cover 4 swings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housing 2 And siz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tch portions 46 of the respective terminals 5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3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ing cover 4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2.

평판부(32)는 베이스부(3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으로 얇은 판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평판부(32)는, 누름 커버(4)가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2)의 저벽부(15)를 상방에서부터 덮고 있다. The flat plate portion 32 is a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thin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base portion 31. The flat plate portion 32 covers the bottom wall portion 15 of the connector housing 2 from above when the pressing cover 4 is located at the closed position.

[단자의 구성][Configuration of terminal]

도 6은 제1 단자(6)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의 (A)는 사시도, 도 6의 (B)는 정면도이다. 또, 도 7은 제2 단자(7)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의 (A)는 사시도, 도 7의 (B)는 정면도이다. 또, 도 8은 제3 단자(8)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의 (A)는 사시도, 도 8의 (B)는 정면도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the first terminal 6, Fig. 6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6 (B) is a front view.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terminal 7, Fig. 7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7 (B) is a front view. Fig. 8 is a view showing the third terminal 8, Fig. 8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8 (B) is a front view.

각 단자(5)는 판 모양의 금속 부재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타발(打拔)됨으로써 소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5)를 구성하는 각 부위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는, 같다. 각 단자(5)는, 각 단자(5)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위가 커넥터 하우징(2)의 슬릿(20)에 압입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장착된다. 커넥터(1)에서는, FFC(60)가 그 커넥터(1)에 적절히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FFC(60)의 각 도전부(61)가, 대응하는 단자(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Each of the terminals 5 is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by punching a plate-shaped metal member by press working. The thickness of each part constituting the terminal 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the same. Each of the terminals 5 is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2 by press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each terminal 5 into the slit 20 of the connector housing 2. In the connector 1, the conductive portions 61 of the FFC 6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5 in a state in which the FFC 6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 properly.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복수의 (구체적으로는 12개의) 단자(5)를 가지고 있다. 이들 복수의 단자(5)는, 3종류의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단자(5)는 4개의 제1 단자(6)와, 4개의 제2 단자(7)와, 4개의 제3 단자(8)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specifically, twelve) terminals 5. These plurality of terminals 5 are composed of three kinds of terminals.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terminals 5 are constituted by four first terminals 6, four second terminals 7, and four third terminals 8.

제1 단자(6)는 3종류의 단자(6, 7, 8) 중, 기판(70)에 대해서 납땜되는 부분인 리드부(41)가 가장 후측에 형성된 단자이다. 제1 단자(6)는 리드부(41)와 제1 수평 연장부(42)(연장부)와, 수직 연장부(43)와, 제2 수평 연장부(44)와, 컨택트부(45)와, 래치부(46)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연장부(43) 및 제2 수평 연장부(44)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인 만곡부(灣曲部)(45a)와 제1 수평 연장부(42)의 기단부(42a)를 연결하는 연결부(47)로서 마련되어 있다. The first terminal 6 is a terminal of the three types of terminals 6, 7 and 8 on which the lead portion 41 which is to be soldered to the substrate 70 is formed on the most rear side. The first terminal 6 includes a lead portion 41 and a first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42 (extension portion),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43, a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44, a contact portion 45, And a latch portion 46, which are integrally formed.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43 and the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44 connect the curved portion 45a as the bas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45 and the base end portion 42a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42 As shown in Fig.

리드부(4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모양의 부분이다. 리드부(41)는 기판(70)에 형성된 리드부용 관통공(71)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그 리드부용 관통공(71) 둘레에 형성된 랜드(72)에 납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부(41)는 컨택트부(45)와, 다른 부분(구체적으로는 제1 수평 연장부(42), 수직 연장부(43), 및 제2 수평 연장부(44))을 매개로 하여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The lead portion 41 is a rod-shaped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ad portion 41 is soldered to the land 72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71 for the lead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lead portion 41 is inserted into the lead portion through hole 71 formed in the substrate 70. [ The lid portion 41 is provided with the contact portion 45 and the other portions (specifically,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2,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and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As shown in Fig.

제1 수평 연장부(42)는, 리드부(41)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제1 수평 연장부(42)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42)는, 컨택트부(45)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그 컨택트부(45)보다도 하측(기판(70)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42)는, 커넥터 하우징(2)의 슬릿(20)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2 is a portion form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ad portion 41.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2 is disposed below the contact portion 45 (on the side of the substrate 70) with an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ntact portion 45. The first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42 is a portion press-fitted into the slit 20 of the connector housing 2 and fixed.

수직 연장부(43)는, 제1 수평 연장부(42)에 있어서의 후측의 부분에서부터 상방으로 약간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수직 연장부(43)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리드부(41)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is a portion formed so as to slightly extend upward from a rear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2. The dimension of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lead portion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 수평 연장부(44)는, 수직 연장부(43)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제2 수평 연장부(44)는,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수평 연장부(44)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제1 수평 연장부(42)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또, 제2 수평 연장부(44)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4a)는 제1 단자(6)가 슬릿(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3 슬릿부(23)에 있어서의 하측의 면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슬릿(20)으로부터 제1 단자(6)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is a portion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that is slightly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mension of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protruding portion 44a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The projecting portion 44a is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lit portion 2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6 is mounted on the slit 20. [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first terminal 6 to escape from the slit 20.

컨택트부(45)는, 제2 수평 연장부(44)에 있어서의 전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부(45)는 만곡부(45a), 컨택트 본체부(45b), 및 접점부(45c)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45a)는, 제2 수평 연장부(44)의 전측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으로부터, 하방이면서 또한 전방을 향해 만곡하면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만곡부(45a)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컨택트 본체부(45b)는, 만곡부(45a)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컨택트 본체부(45b)의 선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는, FFC(60)의 도전부(61)가 접촉하는 접점부(45c)로서 마련되어 있다. The contact portion 45 is form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The contact portion 45 has a curved portion 45a, a contact main body portion 45b, and a contact portion 45c, which are integrally formed. The curved portion 45a is a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while curving downward and forward. The curved portion 45a is provided as a bas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45. [ The contact main body portion 45b is a portion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the tip end of the curved portion 45a. At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main body portion 45b, two projecting portions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These projecting portions are provided as contact portions 45c to which the conductive portions 61 of the FFC 60 contact.

래치부(46)는 제2 수평 연장부(44)의 전측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래치부(46)의 선단에는, 하방을 향해 구부러진 갈고리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갈고리부(46a)는, 누름 커버(4)가 커넥터 하우징(2)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누름 커버(4)의 축부(33)에 형성된 관통공(35)에 삽입 통과한다. The latch portion 46 is form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 A claw portion 46a bent downward is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latch portion 46. As shown in Fig. The claw portion 46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5 formed in the shaft portion 33 of the pressing cover 4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cover 4 is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2.

제2 단자(7)는 리드부(51)와, 제1 수평 연장부(52)와, 수직 연장부(43)와, 제2 수평 연장부(44)와, 컨택트부(45)와, 래치부(46)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수직 연장부(43), 제2 수평 연장부(44), 컨택트부(45) 및 래치부(46)에 대해서는, 제1 단자(6)와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 단자(7)에서도, 제1 단자(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직 연장부(43) 및 제2 수평 연장부(44)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인 만곡부(45a)와 제1 수평 연장부(52)의 기단부(52a)를 연결하는 연결부(47)로서 마련되어 있다.The second terminal 7 includes a lead portion 51, a first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52,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43, a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44, a contact portion 45, (46), which are integrally formed. Of these,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the contact portion 45 and the latch portion 46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erminal 6,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and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of the second terminal 7 are bent at the curved portion 45a which is the bas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45 as in the case of the first terminal 6, And a base portion 52a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The connecting portion 47 connects the base portion 52a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with the base portion 52a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

리드부(51)는 제1 단자(6)가 가지는 리드부(41)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모양의 부분으로서, 기판(70)에 형성된 리드부용 관통공(71)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랜드(72)에 납땜된다. 그러나, 제2 단자(7)의 리드부(51)는, 제1 단자(6)의 리드부(41)의 경우와 달리, 제1 수평 연장부(52)의 선단부(52b)로부터 하방으로(기판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드부(51)는, 컨택트부(45)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제1 단자(6)의 리드부(41)보다도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Like the lead portion 41 of the first terminal 6, the lead portion 51 is a rod-like portion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lead portion 5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71 for the lead portion formed in the substrate 70 And is soldered to the land 72 in the state of FIG. Unlike the case of the lead portion 41 of the first terminal 6, however, the lead portion 51 of the second terminal 7 extends downward from the leading end portion 52b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Toward the substrate side). The lead portion 5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lead portion 41 of the first terminal 6 when the contact portion 45 is taken as a reference.

제1 수평 연장부(52)는, 리드부(41)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수직 연장부(43)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수평 연장부(52)는, 리드부(51)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52)는, 제1 단자(6)가 가지는 제1 수평 연장부(4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conn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portion 4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with each other.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is formed so as to extend rea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ad portion 51. [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in the case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2 of the first terminal 6.

제3 단자(8)는 리드부(53)와, 제1 수평 연장부(54)와, 수직 연장부(43)와, 제2 수평 연장부(44)와, 컨택트부(45)와, 래치부(46)를 가지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수직 연장부(43), 제2 수평 연장부(44), 컨택트부(45), 및 래치부(46)에 대해서는, 제1 단자(6) 및 제2 단자(7)와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3 단자(8)에서도, 제1 단자(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직 연장부(43) 및 제2 수평 연장부(44)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인 만곡부(45a)와 제1 수평 연장부(54)의 기단부(54a)를 연결하는 연결부(47)로서 마련되어 있다. The third terminal 8 includes a lead portion 53, a first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54,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43, a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44, a contact portion 45, (46), which are integrally formed. Of these,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the contact portion 45, and the latch portion 46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erminal 6 and the second terminal 7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and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of the third terminal 8 are bent at the curved portion 45a which is the bas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45 as in the case of the first terminal 6, And a base portion 54a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The connecting portion 47 connects the base portion 54a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with the base portion 54a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

리드부(53)는 제1 단자(6)가 가지는 리드부(41)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모양의 부분으로서, 기판(70)에 형성된 리드부용 관통공(71)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랜드(72)에 납땜된다. 그러나, 제3 단자(8)의 리드부(53)는, 제1 단자(6)의 리드부(41)의 경우와 달리, 제1 수평 연장부(54)의 선단부(54b)로부터 하방으로(기판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드부(53)는, 컨택트부(45)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제1 단자(6)의 리드부(41), 및 제2 단자(7)의 리드부(51)보다도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Like the lead portion 41 of the first terminal 6, the lead portion 53 is a rod-like portion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And is soldered to the land 72 in the state of FIG. Unlike the case of the lead portion 41 of the first terminal 6, the lead portion 53 of the third terminal 8 extends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portion 54b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Toward the substrate side). The lead portion 53 is provided in front of the lead portion 41 of the first terminal 6 and the lead portion 51 of the second terminal 7 when the contact portion 45 is taken as a reference have.

제1 수평 연장부(54)는, 리드부(53)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수직 연장부(43)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수평 연장부(54)는, 리드부(53)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 연장부(54)는, 제2 단자(7)가 가지는 제1 수평 연장부(5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쭉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수평 연장부(54)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제2 단자(7)의 제1 수평 연장부(5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보다도 크다.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is a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ead portion 5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is formed so as to extend rea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ad portion 53.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in the case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of the second terminal 7. However, the dimension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of the second terminal 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각 단자의 장착 위치에 대해][Mounting position of each terminal to connector housing]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서는, 각 단자(6, 7, 8)는, 이하와 같은 상태로 슬릿(20)에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자(6)에서는,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수평 연장부(42)가 제1 슬릿부(21)에 배치되고, 수직 연장부(43)가 제2 슬릿부(22)에 배치되고, 제2 수평 연장부(44)가 제3 슬릿부(23)에 배치되고, 래치부(46)가 제4 슬릿부(24)에 배치되고, 컨택트부(45)가 제5 슬릿부(25)에 배치된다. In 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s 6, 7, and 8 are accommodated in the slit 20 in the following state. 4 (A),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2 is disposed on the first slit portion 21 and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is disposed on the first slit portion 21. In the first terminal 6,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is disposed on the third slit portion 23 and the latch portion 46 is disposed on the fourth slit portion 24 and the contact portion 45 are disposed on the fifth slit portion 25. [

또, 제2 단자(7)에서는,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1 수평 연장부(52)가 제1 슬릿부(21)에 배치되고, 수직 연장부(43)가 제2 슬릿부(22)에 배치되고, 제2 수평 연장부(44)가 제3 슬릿부(23)에 배치되고, 래치부(46)가 제4 슬릿부(24)에 배치되고, 컨택트부(45)가 제5 슬릿부(25)에 배치된다. 4 (B),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2 is disposed on the first slit portion 21 and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is disposed on the second slit portion 21. In the second terminal 7,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is disposed on the third slit portion 23 and the latch portion 46 is disposed on the fourth slit portion 24 and the contact portion 45 is disposed on the fourth slit portion 24, Is disposed on the fifth slit portion 25.

또, 제3 단자(8)에서는,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1 수평 연장부(54)가 제1 슬릿부(21)에 배치되고, 수직 연장부(43)가 제2 슬릿부(22)에 배치되고, 제2 수평 연장부(44)가 제3 슬릿부(23)에 배치되고, 래치부(46)가 제4 슬릿부(24)에 배치되고, 컨택트부(45)가 제5 슬릿부(25)에 배치된다. 4 (C),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54 is disposed on the first slit portion 21 and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43 is disposed on the second slit portion 21. In the third terminal 8, The second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44 is disposed on the third slit portion 23 and the latch portion 46 is disposed on the fourth slit portion 24 and the contact portion 45 is disposed on the fourth slit portion 24, Is disposed on the fifth slit portion 25.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자(6), 제2 단자(7), 및 제3 단자(8)는, 커넥터 하우징(2)에 형성된 12개의 슬릿(20)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된 12개의 슬릿(20)에 대해서, 좌측에서부터 우측을 향해서, 각 단자(6, 7, 8)가,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의 순으로 고정되어 있다. 2, the first terminal 6, the second terminal 7, and the third terminal 8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2 through twelve The slit 20 is accommodated as follows.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terminals 6, 7, 8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6, the second terminal 6, the third terminal 7, and the second terminal 6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twelve slits 20 formed so as to lie in the left- The first terminal 6 and the second terminal 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erminal 7, a third terminal 8, a first terminal 6, a second terminal 7, a third terminal 8, a first terminal 6, The first terminal 6, the second terminal 7, and the third terminal 8 in this order.

상술한 바와 같이, 3종류의 단자(6, 7, 8)를, 상술과 같은 순서로 각 슬릿(20)에 장착함으로써, 각 리드부(41, 51, 53) 사이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부가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서도록 배열되면, 리드부의 간격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슬릿(20)의 간격과 같게 되기 때문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여, 기판의 연면 거리가 짧아져 버린다. 이 점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리드부(41, 51, 53)가, 좌우 방향 뿐만이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이간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리드부(41, 51, 53)의 위치와, 다른 종류의 리드부(41, 51, 53)의 위치는, 각 단자(6, 7, 8)가 커넥터 하우징(2)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 뿐만이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어긋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리드부(41, 51, 53)의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고, 그 결과, 기판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hree kinds of terminals 6, 7 and 8 are attached to the respective slits 20 in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so that th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lead portions 41, 51 and 53 . For example, if the lead portion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ead portions become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lits 20 in the left-right direction. It is lost. In this respec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jacent lead portions 41, 51, and 5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re separated not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In other words, the positions of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and the positions of the other lead portions 41, 51 and 53 are determined such that the terminals 6, 7 and 8 are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2 Not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can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creepage distance of the substrate can be increased.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단자(5)가 슬릿(20)에 적절히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각 단자(6, 7, 8)의 리드부(41, 51, 53)는,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2a) 보다도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3에서는, 도면의 보기 쉬움의 관점으로부터, 굵은선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2a)를, 실제의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약간 외측으로 어긋나게 도시하고 있다. 또, 도 3에서는, 리드부(41, 51, 53)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도트 해칭(dot hatching)을 부여하고 있다. 3,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of the terminals 6, 7, and 8,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s 5 are properly mounted on the slit 20 as described above, , And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2a) of the connector housing (2). 3, the outer edge 2a of the connector housing 2 shown by the broken line of the thick line is shifted slightly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ctual connector housing 2 from the viewpoint of the viewability of the drawing have. In Fig. 3,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are indicated by broken lines and dot hatching is given.

[기판][Board]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가 실장되는 기판(70)에는, 커넥터 하우징(2)에 장착된 상태의 각 단자(6, 7, 8)의 리드부(41, 51, 53)가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본 실시 형태의 경우, 12개의) 리드부용 관통공(71)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리드부용 관통공(71)의 주위에 형성된 랜드(72)는, 각 단자(6, 7, 8)의 리드부(41, 51, 5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of the respective terminals 6, 7 and 8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2 are inserted into the board 70 on which 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A plurality of (12 in this embodiment) through-hole 71 for the lead portion are formed. That is, the land 72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71 for each lead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41, 51, 53 of each terminal 6, 7, 8.

상술한 것처럼, 커넥터(1)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리드부(41, 51, 53)는, 좌우 방향 뿐만이 아니라,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이간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각 랜드(72) 사이의 거리 d1, d2, d3 (즉, 기판(70)의 연면 거리)를 넓힐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nector 1, the adjacent lead portions 41, 51 and 53 in the left-right direction are separated not on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but also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is way, the distances d1, d2, and d3 between the lands 72 (i.e., the creepage distance of the substrate 70) can be widened.

[효과][effect]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 의하면, 기판(70)에 납땜되는 리드부(41, 51, 53)가, 기판(70)에 실장된 상태의 커넥터(1)를 그 기판(70)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커넥터 하우징(2)의 바깥 가장자리(2a) 보다도, 내측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리드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to be soldered to the board 70 are mounted on the board 70, (2a) of the connector housing (2)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70) of the connector housing (2).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whole oil-filled area of the connector on the board, for exa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ead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or housing.

따라서, 커넥터(1)에 의하면,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nector 1,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an oil-filled area on a substrate.

또, 커넥터(1)에 의하면, 단자(5)의 일부인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가, 커넥터 하우징(2)에 형성된 슬릿(20)의 제1 슬릿부(21)에 대해서 압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단자(5)를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nector 1,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42, 52 and 54 which are part of the terminal 5 are connected to the first slit portion 21 of the slit 20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2 And is press-fitted. As a result, the terminal 5 can be mounted and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2.

또, 커넥터(1)에서는, 컨택트부(45)의 기단부로서 마련된 만곡부(45a)가, 연결부(47)를 매개로 하여,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고정되는 부분인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커넥터(1)에서는, 컨택트부(45)와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컨택트부(45)에 있어서의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접점부(45c)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컨택트부(45)의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1)에 의하면, 컨택트부(45)의 스프링성을 확보하면서, 기판(70)상에 있어서의 커넥터(1)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In the connector 1, the curved portion 45a provided as the proximal end of the contact portion 45 is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42, which is a portion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2 via the connection portion 47 , 52 and 54, respectively. In the connector 1, the contact portion 45 and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42, 52, 54 are provided with a gap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tact portion 45c can be bent with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45 as a fulcrum, the spring property of the contact portion 45 can be secured.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connector 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otal area of the connector 1 on the board 70 while securing the spring property of the contact portion 45.

또, 커넥터(1)에 의하면, 제1 단자(6)의 리드부(41)와 제2 단자의 리드부(51)가, FFC(60)의 삽발 방향에 대해서 어긋나 있다. 이렇게 하면,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서 제1 단자(6) 및 제2 단자(7)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 교호로 배열함으로써, 리드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nector 1, the lead portion 41 of the first terminal 6 and the lead portion 51 of the second terminal are offset with respect to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FFC 60. By arranging the first terminal 6 and the second terminal 7 alternate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housing 2 in this way,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ead portion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left-right direction, Creepage distance can be extended.

또, 커넥터(1)과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제1 단자(6), 제2 단자(7), 제3 단자(8), …와 같이 반복되도록 배열함으로써, 리드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늘어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의 연면 거리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6, the second terminal 7, the third terminal 8, the first terminal 6, the second terminal 6, the first terminal 6, The terminal 7, the third terminal 8, ... The creepage distance of the substrate can be made longer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ead portions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또, 커넥터(1)의 제2 단자(7) 및 제3 단자(8)에서는, 컨택트부(45)의 만곡부(45a)와 제1 수평 연장부(52, 54)의 기단부(52a, 54a)가 연결부(47)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수평 연장부(52, 54)의 선단부(52b, 54b)에 리드부(51, 53)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도 7의 (B)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리드부(51, 53)에 있어서 납땜되는 부분 P1에서부터 접점부 P2까지의 경로(도 7의 (B) 및 도 8의 (B)에서는 파선으로 도시)에, FFC(60)의 삽발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왕복하는 경로가 포함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부(51, 53)에 있어서 납땜되는 부분 P1에서부터 접점부 P2까지의 경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시에 플럭스가 접점부까지 올라와 버릴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In the second terminal 7 and the third terminal 8 of the connector 1, the curved portion 45a of the contact portion 45 and the proximal ends 52a, 54a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52, The lead portions 51 and 53 are provided at the distal end portions 52b and 54b of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52 and 54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52 and 54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47. [ 7 (B) and 8 (B), the path from the soldered portion P1 to the contact portion P2 in the lead portions 51 and 53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FFC 60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Fig. This makes it possible to lengthen the length of the path from the soldering portion P1 to the contact portion P2 in the lead portions 51 and 53, so that the possibility that the flux rises to the contact portion during soldering can be reduced.

또, 커넥터(1)에서는, 각 단자(6, 7, 8)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슬릿(20)이 서로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기판(70)에 있어서 랜드(72)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어느 정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변경된 랜드(7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6, 7, 8)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거나, 혹은 각 단자(6, 7, 8)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리드부(41, 51, 5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단자(6, 7, 8)가 압입되는 슬릿(20)의 형상을 서로 같게 함으로써, 기판(70)에 형성 가능한 패턴 배선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In the connector 1, the slits 20 to which the terminals 6, 7 and 8 are press-fitted and fixed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In this way, even if the position of the land 72 is changed on the substrate 70, it is possible to cope with it to some extent. Specifically,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terminals 6, 7, 8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ch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changed land 72, The positions of the lead portions 41, 51, and 53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can be changed. In other words, by making the shapes of the slits 20 into which the terminals 6, 7, and 8 are press-fitted to each other,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layout of the pattern wiring that can be formed on the substrate 70 can be increas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변형예][Modifications]

(1) 도 9의 (A)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의 횡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IXA-IXA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또, 도 9의 (B)는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횡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1) Fig. 9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XA-IXA in Fig.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and corresponds to Fig. 9A.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 단자(5)의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도 9의 (A)에서는, 제1 수평 연장부(52, 54)만을 도시하고 있음)는, 구획벽(26)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단자(5, 5)의 연면 거리는, dh가 된다. 9 (A),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42, 52, and 54 of the respective terminals 5 (in FIG. 9 (A),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52 , 54) are extended downward from the partition wall 26.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reepage distances of the adjacent terminals 5 and 5 are d h .

이것에 대해서, 본 변형예에서는, 각 구획벽(26a)은 각 단자(5)의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단자(5, 5)의 연면 거리는, dh+2×d가 되어, 도 9의 (A)의 경우보다도 길어진다. In contrast, in this modification, each of the partition walls 26a extends downward beyond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42, 52, and 54 of the terminals 5,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reepage distance of the adjacent terminals 5 and 5 becomes d h + 2 x d v , which is longer than that of Fig. 9A.

이상, 본 변형예와 같이, 구획벽(26a)을 제1 수평 연장부(42, 52, 54)보다도 하방으로 연장시킴으로써, 그 만큼, 인접하는 단자(6, 7, 8) 사이의 연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즉, 커넥터의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extending the partition wall 26a downward beyond the first horizontal extending portions 42, 52, and 54, the creepag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terminals 6, 7, It can be long. That is, the creepage distance of the connector can be secured.

(2)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본 발명을 FFC용 커넥터에 적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은 FFC용 커넥터 이외의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odified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FC connec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nnectors other than the FFC connector.

(3)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컨택트부(45)와 리드부(41, 51, 53)가 연결부(47)를 매개로 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컨택트부와 리드부가 직접 이어져 일체화되어 있는 단자를 가지는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3) In the embodiment and the modification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ortion 45 and the lead portions 41, 51, 53 are integra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47,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in which a contact portion and a lead portion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은 커넥터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applicable to connectors.

1: 커넥터
2: 커넥터 하우징
2a: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
5: 단자
6: 제1 단자(단자)
7: 제2 단자(단자)
8: 제 3 단자(단자)
41, 51, 53: 리드부
45: 컨택트부
45c: 접점부
61: 도전부(상대측 단자)
70: 기판
1: Connector
2: Connector housing
2a: outer edge (of the connector housing)
5: Terminal
6: first terminal (terminal)
7: Second terminal (terminal)
8: Third terminal (terminal)
41, 51, 53:
45:
45c:
61: Conductive part (opposing terminal)
70: substrate

Claims (6)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단자의 각각에 상대측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의 발거(拔去)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측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인 접점부를 가지는 컨택트부와,
상기 컨택트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컨택트부보다도 상기 기판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거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압입되어 있는 연장부와,
상기 컨택트부의 기단부와 상기 연장부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컨택트부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컨택트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부분인 리드부를 가지고,
각 상기 리드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상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바깥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단자는,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와,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와,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리드부의 위치는, 상기 제1 단자,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 상대측 단자를 꽂고 발거하는 방향인 삽발(揷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어긋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comprising: a connector housing;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wherein a mating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terminal includes:
A contact portion which is form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mating terminal and has a contact portion which is formed at the tip end portion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An extended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at a distance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extends to the ejecting direction and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proximal end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roximal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a lead portion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via the contact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r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ontact portion and is a portion to be soldered to the substrate,
Each of the lead portions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or housing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ar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is mounted on the board,
Where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have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nd a third terminal,
Wherein a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a posi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third terminal are such that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connector is sequentially shifted in a pulling-out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for inserting and ejecting the mating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while being mounted on the housing, and is sequentially shif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conne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리드부,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리드부, 및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리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ead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lead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lead portion of the third terminal extends from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toward the substra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자의 사이에 마련된 구획벽을 더 가지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연장부보다도 상기 기판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connector housing further has a partition wall provid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terminals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Wherein the partition wall extends to the substrate side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portion.
KR1020180002306A 2017-03-01 2018-01-08 Connector KR1019902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8353 2017-03-01
JP2017038353A JP6815635B2 (en) 2017-03-01 2017-03-01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474A KR20180100474A (en) 2018-09-11
KR101990238B1 true KR101990238B1 (en) 2019-06-17

Family

ID=6359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306A KR101990238B1 (en) 2017-03-01 2018-01-08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15635B2 (en)
KR (1) KR10199023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08B2 (en) * 1990-09-10 2000-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Laser light scanning device
KR200424560Y1 (en) * 2006-06-09 2006-08-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A surface mountin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08U (en) * 1998-12-25 1999-09-07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Right angle connector
JP4597416B2 (en) * 2001-04-20 2010-12-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08B2 (en) * 1990-09-10 2000-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Laser light scanning device
KR200424560Y1 (en) * 2006-06-09 2006-08-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A surface mountin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15635B2 (en) 2021-01-20
KR20180100474A (en) 2018-09-11
JP2018147575A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55073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2624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rosstalk prevention member
US20110034079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90023336A1 (en) Electric connector
US7431617B2 (en) Connector
JP2000003744A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EP2434589B1 (en) Shield case, connector having the shield cas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connector
US20090170354A1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EP1950839A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2009151939A (en) Terminal press-fit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or
KR101042120B1 (en) Electric connector
EP1775796A2 (en) Board Connector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21327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US10965051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for easier insertion of a terminal into a housing
KR101313748B1 (en) Connector
US782422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insert molded to a base board
JP7038172B2 (en) connector
JP4289606B2 (en) connector
KR101990238B1 (en) Connector
US9240641B2 (en) Electric connector and fixer used therefor
JP5203989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0710062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US7465193B2 (en) Shielded surface moun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