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755B1 -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755B1
KR101989755B1 KR1020180169195A KR20180169195A KR101989755B1 KR 101989755 B1 KR101989755 B1 KR 101989755B1 KR 1020180169195 A KR1020180169195 A KR 1020180169195A KR 20180169195 A KR20180169195 A KR 20180169195A KR 101989755 B1 KR101989755 B1 KR 10198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m
spool
file
dw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흥철
조선근
Original Assignee
최흥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흥철 filed Critical 최흥철
Priority to KR102018016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755B1/ko
Priority to PCT/KR2019/011118 priority patent/WO20201386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4Pi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도면 자동생성방법은, 프로그램에 로그인하는 제 1단계와, 제작할 파이프 스풀을 위한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는 제 2단계와, 파이프 스풀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기초데이터를 불러오는 제 3단계와, DWG BOM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4단계와, 파이프 스풀 생성을 위한 입력창을 실행하는 제 5단계와, 상기 DWG BOM에서 상기 파이프 스풀을 제작을 위한 각각의 파이프의 일단의 위치와 방위각을 지정하는 제 6단계와, 상기 제 6단계의 입력이 종료되면 저장하는 제 7단계와, 상기 저장된 파일을 오토캐드(Autocad)를 실행하는 제 8단계와, 상기 기초데이터에서 상기 입력된 각 파이프와 관련된 정보를 불러 상기 오토캐드파일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제 9단계와, 최종적으로 오토캐드파일을 저장하는 제 10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A Pipe Spool Drawing Automatic Making System and A Drawing}
본 발명은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하려는 스풀에 관한 도면을 구성요소들의 입력을 통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부문에 있어서, 제작공정은 단순하나 스풀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에 대한 도면을 작성하고, 전체 스풀에 관한 도면을 별개로 작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배관 부문에 있어 도면은 숙련자(최소 3년 실무 경험자)에 의하여 작성이 가능하며, 비 숙련자는 작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프로젝트 진행 시 도면작성에 있어서 시간적 문제와 금전적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도면작성에 있어서 도면 개정 및 작성상의 실수로 인한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4-0100371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스풀의 도면을 제작할 때 한번의 공정으로 전체 스풀의 도면과 스풀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도면을 동시에 작성하는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방법은, 프로그램에 로그인하는 제 1단계와, 제작할 파이프 스풀을 위한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는 제 2단계와, 파이프 스풀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기초데이터를 불러오는 제 3단계와, DWG BOM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4단계와, 파이프 스풀 생성을 위한 입력창을 실행하는 제 5단계와, 상기 DWG BOM에서 상기 파이프 스풀을 제작을 위한 각각의 파이프의 일단의 위치와 방위각을 지정하는 제 6단계와, 상기 제 6단계의 입력이 종료되면 저장하는 제 7단계와, 상기 저장된 파일을 오토캐드(Autocad)를 실행하는 제 8단계와, 상기 기초데이터에서 상기 입력된 각 파이프와 관련된 정보를 불러 상기 오토캐드파일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제 9단계와, 최종적으로 오토캐드파일을 저장하는 제 10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단계의 기초데이터는, 스풀리스트와 BOM 리스트로 구성되며, 상기 스풀리스트는 시리얼번호, 최장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BOM 리스트는 배관을 구성하는 구획된 각각의 파이프 및 연결파이프들의 시리얼번호, 스풀번호, ISO DWG, 길이, 재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기초데이터에서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번호, 상기 연결부위에서 앞에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의 번호와 뒤에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의 번호를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DWG BOM 파일에서 각각의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가 순서대로 자동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단계에서, 첫번째 구성요소의 일단의 위치는 좌표상 (0,0)이 기본적으로 설정되고,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따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단계에서, 두번재 구성요소의 일단은 상기 첫번째 구성요소의 타단에 자동으로 연결되며,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따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단계에서, 파이프를 따라 유체의 흐름이 달라지는 경우, 유체의 흐름의 시작점에 대한 방향을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항에 있어서, 구성요소가 연결파이프 중 T자형 연결파이프인 경우,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단은 다른 구성요소에 자동으로 연결되며,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하고, 나머자 하나의 입구에 대해서는 유체의 흐름 시작점을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은, 파이프 스풀 도면에 관한 기초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서버의 기초데이터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버,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정보를 교환하며, 파이프 스풀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파이프 스풀의 제작에 있어, 스풀을 구성하는 각 파이프와 엘보 등의 방위각과 일단의 위치점을 입력하면 각 구성요소에 관한 도면과 전체 스풀에 관한 도면이 한번에 작성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공정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 중 기초데이터가 기재되는 엑셀파일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로그인 화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프로젝트 등록화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데이터를 불러와 DWG BOM 파일을 제조하는 화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DWG BOM 파일을 제조하는 화면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DWG BOM 파일을 불러와 각 구성요소의 위치와 방위각을 입력하는 화면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오토캐드 파일을 생성하는 화면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오토캐드 파일을 실행하여 화면에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DWG DB와 DWG BOM의 비교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인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스풀 도면에 관한 기초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10)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입력부(20)와, 상기 서버의 기초데이터 및 상기 입력부(20)에 입력된 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서버(10), 입력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와 정보를 교환하며, 파이프 스풀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어부(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을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은, 프로그램에 로그인하는 제 1단계(S10)와, 제작할 파이프 스풀을 위한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는 제 2단계(S20)와, 파이프 스풀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기초데이터를 불러오는 제 3단계(S30)와, DWG BOM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4단계(S40)와, 파이프 스풀 생성을 위한 입력창을 실행하는 제 5단계(S50)와, 상기 DWG BOM에서 상기 파이프 스풀을 제작을 위한 각각의 파이프의 일단의 위치와 방위각을 지정하는 제 6단계(S60)와, 상기 제 6단계(S60)의 입력이 종료되면 저장하는 제 7단계(S70)와, 상기 저장된 파일을 오토캐드(Autocad)를 실행하는 제 8단계(S80)와, 상기 기초데이터에서 상기 입력된 각 파이프와 관련된 정보를 불러 상기 오토캐드파일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제 9단계(S90)와, 최종적으로 오토캐드파일을 저장하는 제 10단계(S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을 이용한 도면 생성방법으로 작업자 단말기에서 입력부(20)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로그인하는 제 1단계(S10)를 진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상기 프로그램에 로그인이 되면, 먼저, 제작할 배관설계 즉 파이프 스풀에 관한 프로젝트명 즉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하는 제 2단계(S20)를 진행한다. 상기 프로젝트명으로 형성되는 파일에 파이프 스풀에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되면서 도면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이프 스풀에 관한 구성요소들의 기초데이터를 불러오는 제 3단계(S30)가 진행된다.
상기 기초데이터는 미리 작성되어 상기 서버(1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셀파일(Excel File)로서, 상기 기초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리스트와 BOM 리스트로 구성되며, 상기 스풀리스트는 시리얼번호, 최장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BOM 리스트는 배관을 구성하는 구획된 각각의 파이프 및 연결파이프들의 시리얼번호, 스풀번호, ISO DWG, 길이, 재질 및 단열여부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파이프 스풀을 구성하는 파이프와 연결파이프에 관한 DWG BOM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 4단계(S40)가 진행된다.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각각의 파이프의 개수와 연결파이프를 파이프 스풀의 구성을 따라 순서대로 파일에 배열하여 DWG BOM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먼저, 상기 DWG BOM 파일을 생성하기 전에, BOM DB 기본데이터를 수정하게 되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 때, 상기 기초데이터인 BOM DB에서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번호, 상기 연결부위에서 앞에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의 번호와 뒤에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의 번호를 기재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OM DB의 각각의 아이템(ITEM)항목에는 JTNO 항목이 있으며, JTNO에는 연결되는 접점을 순서대로 기재하면서 다음 숫자와의 구별은 '/'로 기재하여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BOM DB에는 P1과 P2의 항목이 있으며, P1에는 상기 JTNO의 번호 접점에서 앞의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를 기재하고, P2에는 상기 JTNO의 번호 접점에서 뒤의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를 기재한다.
이때 상기 P1 및 P2 의 항목에서 구별되는 각각의 아이템들의 순서는 '/'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KC0478의 시리얼넘버는 5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점접은 0, 4, 5, 6, 7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4의 접점 앞에는 5번인 90D ELBOW가 위치되며, 상기 4번 점점 뒤에는 1-2번인 PIPE SMLS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5번 접점 앞에는 1-2번인 PIPE SMLS가 위치되고, 상기 5번 접점 뒤에는 4번인 SOCKOLET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6번 접점 앞에는 1-2번인 PIPE SMLS가 위치되고, 상기 6번 접점 뒤에는 3번인 SOCKOLET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7번 접점 앞에는 1-2번인 PIPE SMLS가 위치되고, 상기 7번 접점 뒤에는 8번인 CPLG HALF가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DWG BOM 파일로 변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WG BOM 파일에서는 각각의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가 순서대로 자동으로 배열된다.
다음으로, 파이프 스풀을 위한 입력창을 실행시키는 제 5단계(S50)를 진행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상기 창에는 DWG BOM 파일을 불러 상기 파이프와 연결파이프들을 불러 파이프 스풀의 구조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제 6단계(S60)를 진행한다.
즉, 상기 창에서 상기 DWG BOM에 기재된 파이프와 연결파이프들을 불러 파이프 스풀의 구조대로 순서대로 설계하여 연결한다. 즉 상기 DWG BOM에 기재된 파이프와 연결파이프들을 파이프 스풀에 맞게 캐드도면상에 위치시킨다.
먼저, 상기 DWG BOM에서 상기 파이프 스풀을 제작을 위한 각각의 파이프의 일단의 위치와 방위각을 지정하여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구성요소의 일단의 위치는 좌표상 (0,0)이 기본적으로 설정되고,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따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하게 된다. 상기 방위각은 도 8의 창에서 도면방위표를 클릭하면 N, S, E, W, NS, NW, SE, SW 의 예시가 나타나며, 이 중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하여 클릭하여 입력하면 된다.
또한, 두번재 구성요소의 일단은 상기 첫번째 구성요소의 타단에 자동으로 연결되며,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따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한다. 방위삭을 입력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방위각은 도 8의 창에서 도면방위표를 클릭하면 N, S, E, W, NS, NW, SE, SW 의 예시가 나타나며, 이 중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하여 클릭하여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파이프를 따라 유체의 흐름이 달라지는 경우, 유체의 흐름의 시작점에 대한 방향을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한다. 도 8에 도시된 창에서, Direction:Start Point 의 항목을 통하여 입력하며, 상기 항목을 클릭하면, N, S, E, W, NS, NW, SE, SW 의 예시가 나타나며, 이 중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하여 클릭하여 입력하면 된다.
또한, 구성요소가 연결파이프 중 T자형 연결파이프인 경우,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단은 다른 구성요소에 자동으로 연결되며,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하고, 나머자 하나의 입구에 대해서는 유체의 흐름 시작점을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한다. 상기 방위각은 도 8의 창에서 도면방위표를 클릭하면 N, S, E, W, NS, NW, SE, SW 의 예시가 나타나며, 이 중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하여 클릭하여 입력하면 된다.
이와 같은 순서대로 파이프들을 파이프 스풀의 도면대로 배치를 하고, 각각의 파이프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파이프를 순서대로 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대로 입력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을 저장한다(S70).
그리고, 상기 저장된 파일을 오토캐드(AutoCad)를 실행하면(S8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며, 사용자는 파일의 오류를 수정한다.
그러며, 상기 저장된 오토캐드파일에 상기 기초데이터에서 입력된 상기 각 구성요소들과 관련된 정보를 불러 상기 오토캐드파일에 자동으로 추가하여(S90) 최종적인 오토캐드파일을 저장한다(S100).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관리서버 및/또는 시스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관리서버 및/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서버 20: 입력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제어부
S10: 프로그램에 로그인하는 제 1단계
S20: 제작할 파이프 스풀을 위한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는 제 2단계
S30: 파이프 스풀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기초데이터를 불러오는 제 3단계
S40: DWG BOM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4단계
S50: 파이프 스풀 생성을 위한 입력창을 실행하는 제 5단계
S60: DWG BOM에서 파이프 스풀을 제작을 위한 각각의 파이프의 일단의 위치와 방위각을 지정하는 제 6단계
S70: 상기 제 6단계의 입력이 종료되면 저장하는 제 7단계
S80: 상기 저장된 파일을 오토캐드(Autocad)를 실행하는 제 8단계
S90: 상기 기초데이터에서 상기 입력된 각 파이프와 관련된 정보를 불러 상기 오토캐드파일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제 9단계
S100: 최종적으로 오토캐드파일을 저장하는 제 10단계

Claims (5)

  1. 프로그램에 로그인하는 제 1단계;
    제작할 파이프 스풀을 위한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는 제 2단계;
    파이프 스풀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기초데이터를 불러오는 제 3단계;
    DWG BOM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4단계;
    파이프 스풀 생성을 위한 입력창을 실행하는 제 5단계;
    상기 DWG BOM에서 상기 파이프 스풀을 제작을 위한 각각의 파이프의 일단의 위치와 방위각을 지정하는 제 6단계;
    상기 제 6단계의 입력이 종료되면 저장하는 제 7단계;
    상기 저장된 파일을 오토캐드(Autocad)를 실행하는 제 8단계;
    상기 기초데이터에서 상기 입력된 각 파이프와 관련된 정보를 불러 오토캐드파일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제 9단계; 및
    최종적으로 오토캐드파일을 저장하는 제 10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DWG BOM 파일을 생성하기 전에, BOM DB 기본데이터를 수정하게 되는데, 상기 기초데이터인 BOM DB에서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번호, 상기 연결부위에서 앞에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의 번호와 뒤에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의 번호를 기재하며, 상기 BOM DB의 각각의 아이템(ITEM)항목에는 JTNO 항목이 있으며, JTNO에는 연결되는 접점을 순서대로 기재하면서 다음 숫자와의 구별은 '/'로 기재하여 구분하고,
    상기 BOM DB에는 P1과 P2의 항목이 있으며, P1에는 상기 JTNO의 번호 접점에서 앞의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를 기재하고, P2에는 상기 JTNO의 번호 접점에서 뒤의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를 기재하면,
    상기 DWG BOM 파일로 변환하면 상기 DWG BOM 파일에서는 상기 각각의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가 순서대로 자동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의 기초데이터는,
    스풀리스트와 BOM 리스트로 구성되며,
    상기 스풀리스트는 시리얼번호, 최장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BOM 리스트는 배관을 구성하는 구획된 각각의 파이프 및 연결파이프들의 시리얼번호, 스풀번호, ISO DWG, 길이, 재질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기초데이터에서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번호, 상기 연결부위에서 앞에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의 번호와 뒤에 연결되는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의 번호를 기재한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DWG BOM 파일에서 각각의 파이프 또는 연결파이프가 순서대로 자동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첫번째 구성요소의 일단의 위치는 좌표상 (0,0)이 기본적으로 설정되고, 도면 상의 기본좌표에 따른 동서남북의 방위각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방법.
KR1020180169195A 2018-12-26 2018-12-26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KR10198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195A KR101989755B1 (ko) 2018-12-26 2018-12-26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PCT/KR2019/011118 WO2020138638A1 (ko) 2018-12-26 2019-08-30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195A KR101989755B1 (ko) 2018-12-26 2018-12-26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755B1 true KR101989755B1 (ko) 2019-06-14

Family

ID=6684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195A KR101989755B1 (ko) 2018-12-26 2018-12-26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9755B1 (ko)
WO (1) WO20201386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38A1 (ko) * 2018-12-26 2020-07-02 최흥철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KR102230813B1 (ko) * 2020-11-05 2021-03-22 방홍철 배관 및 이의 도면 설계 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 설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004B1 (ko) * 1999-06-07 2003-01-14 주식회사 제이.이.씨 배관 설계에 사용되는 아이소메트릭 및 스풀 도면, 및 자재 명세서 자동 작성 장치 및 방법
KR20040100371A (ko) 2003-05-22 2004-12-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제작 도면의 통합 작성 방법
JP2012242984A (ja) * 2011-05-18 2012-12-10 Hitachi Ltd スプール図作成支援方法及びスプール図作成支援装置
KR20140076873A (ko) * 2012-12-13 2014-06-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제작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KR20150000606A (ko) * 2013-06-25 2015-0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풀 제작도면 상에 생산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동적으로 결합하는 동적 결합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755B1 (ko) * 2018-12-26 2019-06-14 최흥철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004B1 (ko) * 1999-06-07 2003-01-14 주식회사 제이.이.씨 배관 설계에 사용되는 아이소메트릭 및 스풀 도면, 및 자재 명세서 자동 작성 장치 및 방법
KR20040100371A (ko) 2003-05-22 2004-12-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제작 도면의 통합 작성 방법
JP2012242984A (ja) * 2011-05-18 2012-12-10 Hitachi Ltd スプール図作成支援方法及びスプール図作成支援装置
KR20140076873A (ko) * 2012-12-13 2014-06-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제작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KR20150000606A (ko) * 2013-06-25 2015-0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풀 제작도면 상에 생산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동적으로 결합하는 동적 결합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38A1 (ko) * 2018-12-26 2020-07-02 최흥철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KR102230813B1 (ko) * 2020-11-05 2021-03-22 방홍철 배관 및 이의 도면 설계 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 설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638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9478B1 (en) Generating technical drawings from building information models
US8605090B2 (en) Modifying and formatting a chart using pictorially provided chart elements
US11182513B2 (en) Generating technical drawings from building information models
US11893316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ordination issues in construction projects
KR101989755B1 (ko) 파이프 스풀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JP2018525738A (ja) 仮想機械配管の共同開発システムおよび共同開発方法
WO2020167562A1 (en) Generating technical drawings from building information models
US20120284735A1 (en) Interaction-Based Interface to a Logical Client
US8812965B2 (en) Creation and publishing of virtual components
US10990505B2 (en) Stipulated overrides with violation resolution
US20230185984A1 (en) Generating Technical Drawings From Building Information Models
US10534872B2 (en) Piping data transform method and system
Rana et al. Incremental software version release planning for adaptive maintenance
CN110750818B (zh) 一种用于排水井设计的高度标注方法、系统和存储介质
US20150066444A1 (en) User interface and software tool for architectural processes
JP2023102067A (ja) 公差設計支援装置、公差設計支援システム、公差設計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539010A (ja) 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現されるヒューマンマシーン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2022171566A (ja) 3dモデルのビュー/状態のリンク付けとその更新の伝播
CN111611782A (zh) 一种连接点生成方法和装置
JPH03266177A (ja) 部品仕様一括変更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