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600B1 -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9600B1 KR101989600B1 KR1020170175758A KR20170175758A KR101989600B1 KR 101989600 B1 KR101989600 B1 KR 101989600B1 KR 1020170175758 A KR1020170175758 A KR 1020170175758A KR 20170175758 A KR20170175758 A KR 20170175758A KR 101989600 B1 KR101989600 B1 KR 1019896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functional
- substrate
- region
- functional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중 서로 다른 쉐도우 마스크가 사용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중 서로 같은 쉐도우 마스크가 사용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패턴 방법에 사용되는 베이스 패턴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0: 마스터 패턴
200: 베이스 기판
210: 베이스 패턴
220: 접착 필름
300: 타겟 기판
320: IDE 패턴
400: 컨트롤 기판
410: 컨트롤 패턴
500: 쉐도우 마스크
510, 520, 530, 540: 제1 내지 제4 쉐도우 마스크
M1, M2, M3, M4, M5: 제1 내지 제5 기능성 물질
A1, A2, A3, A4: 제1 내지 제4 영역
Claims (5)
- 베이스 기판의 베이스 패턴 상에 제1 기능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패턴의 제1 영역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 제1 쉐도우 마스크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제1 영역 상의 상기 제1 기능성 물질 상에 제2 기능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쉐도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상기 베이스 패턴의 제2 영역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 제2 쉐도우 마스크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제2 영역 상의 상기 제1 기능성 물질 상에 제3 기능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2 쉐도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3 기능성 물질이 제공된 상기 베이스 기판을 타겟 기판과 접촉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기능성 물질을 동시에 상기 타겟 기판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마스터 패턴이 형성된 마스터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기판 상에 연성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성 물질을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마스터 패턴의 역상을 갖는 상기 베이스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성 물질은, 상기 제1 영역 상의 상기 제1 기능성 물질 상에 한정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3 기능성 물질은, 상기 제2 영역 상의 제1 기능성 물질 상에 한정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쉐도우 마스크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영역을 덮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덮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의 두께의 합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5758A KR101989600B1 (ko) | 2017-12-20 | 2017-12-20 |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5758A KR101989600B1 (ko) | 2017-12-20 | 2017-12-20 |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9600B1 true KR101989600B1 (ko) | 2019-09-30 |
Family
ID=6809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5758A Active KR101989600B1 (ko) | 2017-12-20 | 2017-12-20 |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9600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1145A (ko) * | 2006-02-10 | 2007-08-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노광장치 및 노광방법 |
KR20100009568A (ko) * | 2007-04-18 | 2010-01-27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 스탬프 형성 방법, 기판 패터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탬프와 패터닝 시스템 |
KR20100015571A (ko) * | 2007-04-05 | 2010-02-12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마스크 재료를 사용하여 기판 상에 기능성 재료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
KR20100111318A (ko) * | 2008-02-05 | 2010-10-14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 조립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피처를 제조하는 방법 |
KR20130108856A (ko) * | 2012-03-26 | 2013-10-07 | 한국기계연구원 | 열전 반도체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50118916A (ko) | 2014-04-15 | 2015-10-23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임프린트 장치 및 물품의 제조 방법 |
KR20160121733A (ko) * | 2015-04-10 | 2016-10-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방법, 이를 이용한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마스터 템플릿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마스터 템플릿 |
KR20170131766A (ko) * | 2016-05-19 | 2017-11-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방법, 임프린트용 마스터 템플릿,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
-
2017
- 2017-12-20 KR KR1020170175758A patent/KR10198960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1145A (ko) * | 2006-02-10 | 2007-08-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노광장치 및 노광방법 |
KR20100015571A (ko) * | 2007-04-05 | 2010-02-12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마스크 재료를 사용하여 기판 상에 기능성 재료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
KR20100009568A (ko) * | 2007-04-18 | 2010-01-27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 스탬프 형성 방법, 기판 패터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탬프와 패터닝 시스템 |
KR20100111318A (ko) * | 2008-02-05 | 2010-10-14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 조립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피처를 제조하는 방법 |
KR20130108856A (ko) * | 2012-03-26 | 2013-10-07 | 한국기계연구원 | 열전 반도체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50118916A (ko) | 2014-04-15 | 2015-10-23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임프린트 장치 및 물품의 제조 방법 |
KR20160121733A (ko) * | 2015-04-10 | 2016-10-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방법, 이를 이용한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마스터 템플릿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마스터 템플릿 |
KR20170131766A (ko) * | 2016-05-19 | 2017-11-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방법, 임프린트용 마스터 템플릿,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10150B (zh) | 製造導電網孔圖樣之方法、以該方法製造之網狀電極及層板 | |
JP5525707B2 (ja) | 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一組の構造を形成する方法 | |
TWI338615B (en) | Self-aligned process for fabricating imprint templates containing variously etched features | |
JP5383114B2 (ja) | ブロック共重合体を利用した微細パターンの形成方法 | |
US2015010200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flexible multilayer structures | |
TW200849413A (en) | Methods for fabricating complex micro and nanoscale structures and electronic devices and components made by the same | |
TW200848960A (en) | Donor films with pattern-directing layers | |
TW200933699A (en) | Method of creating a template employing a lift-off process | |
JP6538804B2 (ja) | フォト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04092836A1 (en) | Fabrication of nanostructures | |
AU2018262130B2 (en) | Methods for micro and nano fabrication by selective template removal | |
US8574792B2 (en) | Photomask including super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989600B1 (ko) | 다층구조의 기능성 패턴 형성 방법. | |
TWI419233B (zh) | 圖案化金屬層製作方法 | |
JP6742711B2 (ja) | 凹凸表面貼付用フィルムを用いた表面凹凸被処理物への微細パターン転写方法 | |
US9034766B2 (en) | Pattern formation method | |
US11906457B2 (en) | Light-activated gas sensor based on 3D nanostructure operable at low temperature with high perform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7141275B2 (en) | Imprinting lithography using the liquid/solid transition of metals and their alloys | |
KR101385070B1 (ko) | 레이저간섭 노광을 이용한 대면적 미세패턴 제작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미세패턴의 비평면적 전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 패턴을 전사한 물품 | |
JP2008543105A (ja) | クロスバー回路装置の製造方法 | |
TW200933223A (en) | Method for preparing photonic crystal slab waveguides | |
CN110658677B (zh) | 一种压印方法、压印结构及显示基板 | |
KR101984054B1 (ko) | 미세 패턴의 형상 제어 방법 | |
KR101987622B1 (ko) | 다기능 미세 패턴의 제조 방법 | |
KR102014103B1 (ko) | 자기조립 패턴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