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39B1 - 수돗물 절약장치 - Google Patents
수돗물 절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9439B1 KR101989439B1 KR1020170106375A KR20170106375A KR101989439B1 KR 101989439 B1 KR101989439 B1 KR 101989439B1 KR 1020170106375 A KR1020170106375 A KR 1020170106375A KR 20170106375 A KR20170106375 A KR 20170106375A KR 101989439 B1 KR101989439 B1 KR 1019894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piston
- pedal
- water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을 이용해 페달을 밟아야 물이 나오도록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하단이 설치부에 연결되고 상단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토출관이 연결되되, 일측면으로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튜브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배출구멍을 온오프되게 하는 피스톤; 상기 몸체의 일측을 통해 와이어가 진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페달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페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을 이용하여 상기 페달을 누르는 동작을 통해 물이 상기 토출관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은 물론이고 물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을 이용해 페달을 밟아야 물이 나오도록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인간을 포함한 지구상의 생명체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물이 반드시 필요함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물의 소중함을 잊고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지금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는 식수조차 부족하여 노지의 오염된 물을 마시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물 부족현상은 머지 않은 미래에 현실화될 것이다.
대한민국 역시 물 부족국가로 지정되어 있으며, 갈수기에는 일부 섬마을 등에서 이미 물 부족으로 인한 제한급수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시설의 노후화와 같은 문제로 인한 물의 낭비도 발생되지만, 물을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들의 잘못된 물 사용 습관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이 낭비되는 것이 보다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수도관의 노후화로 인한 문제는 국가나 자치단체 차원에서 점차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문제이나, 사용자들의 잘못된 습관으로 인한 물 낭비는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수돗물을 사용하는 방식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어 손을 씻거나 샤워를 하는 경우 수도꼭지를 열어두고 손에 물을 묻힌 후 비누칠을 하고 물로 비누물을 씻어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비누칠을 하는 동안에도 수도꼭지를 열어둠으로써 상당량의 물이 불필요하게 낭비가 되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설겆이를 하는 경우에도 많은 사람들은 수돗물이 나오도록 해 둔 상태에서 세제를 이용해 그릇을 씻게 되며, 이로 인해서도 물의 낭비가 발생되고 있고, 대중 목욕탕의 경우는 이러한 낭비가 더욱 많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도꼭지를 여러번에 걸쳐 열고 닫는 것을 귀찮아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물을 그냥 흘러보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센스를 이용하여 터치를 하게 되면 일정 시간동안 물이 나오도록 하는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대중 목욕탕 등 일부 시설에만 사용되고 있으며, 고장이 잦아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쓸데없이 수돗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수돗물의 공급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페달을 밟아 적당한 압력을 가하게 되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도꼭지에 인접되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수돗물 절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수돗물 절약장치는, 하단이 설치부에 연결되고 상단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토출관이 연결되되, 일측면으로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튜브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배출구멍을 온오프되게 하는 피스톤; 상기 몸체의 일측을 통해 와이어가 진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페달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페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을 이용하여 상기 페달을 누르는 동작을 통해 물이 상기 토출관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스톤은, 플랜지; 상기 플랜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콘 형상의 피스톤 헤드; 상기 플랜지 하면에 형성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 하단으로부터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가 형성되는 보조로드; 상기 보조로드 외면을 감싸면서 상단은 상기 피스톤로드 하단면에 걸리게 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 헤드의 하단측 외면에 결합되는 씰링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상기 튜브가 연결되는 튜브 연결구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로드는 관통되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은 통과되지 않고 지지되는 걸림구를 갖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상부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를 포함하게 되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몸체는, 상단에 상기 메인몸체의 하단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내측으로 상기 고정구의 연결을 위한 고정구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는 고무재질의 흡착판인 것으로 하고, 상기 고정구연결부에 결합되도록 상단부에 돌출된 연결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유닛은, 와이어튜브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와이어;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회동되게 설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과 일단이 접촉되며 상기 바닥판 상면에 회동되게 구속되어 상기 누름판이 가압되면 회동되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의 타단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홈을 포함하게 되는 페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몸체의 걸림구 하부로는 상기 보조로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중공의 가이드파이프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끼워서 상기 연결홈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 절약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수돗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손이 아닌 발을 이용하여 페달을 조정함으로써 물이 배출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물이 사용되지 않는 동안 물이 계속 나와 낭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을 사용하여 물의 배출여부를 조정하기 때문에 양손은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사용자들에게 보다 나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도꼭지 근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보급이 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야만 하기 때문에 공중화장실 등에서 수돗물을 사용하고 수도꼭지를 잠그지 않고 가버리는 사람들로 인한 물의 낭비 및 민원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돗물 절약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메인몸체의 절개 사시도.
도 3은 상부몸체 및 피스톤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하부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페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와이어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메인몸체의 절개 사시도.
도 3은 상부몸체 및 피스톤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하부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페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와이어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돗물 절약장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되는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제시되는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돗물 절약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메인몸체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상부몸체 및 피스톤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하부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페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와이어의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 절약장치는 몸체(100), 피스톤(200), 페달유닛(300)을 주요한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수돗물 절약장치는 기존 설치된 수도꼭지(10)에 인접하여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화장실, 주방, 목욕탕 등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하다.
몸체(100)의 하단이 설치부(20)에 연결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설치부(20)란 본 수돗물 절약장치가 시공될 편평한 부위를 의미하며, 기존의 수도꼭지가 설치된 장소의 인접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몸체(100)의 하단이 설치부(20)에 연결되며 몸체(100)의 상단에 물이 배출되는 토출관(30)이 형성되고, 몸체(100)의 일측면으로 수도꼭지(10)와 연결되는 튜브(40)가 연결되도록 한다.
몸체(10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배출구멍을 온오프되게 하는 피스톤(200)이 마련되며, 물이 토출관(30)으로 배출되게 할 때 피스톤(200)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페달유닛(300)이 마련된다. 페달유닛(300)을 이루는 와이어가 몸체(100) 일측을 통해 진입되어 피스톤(200)과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단은 페달과 연결되어 페달을 밟게 되면 피스톤이 하강되어 배출구멍이 열리도록 동작된다.
특히, 피스톤(200)은 플랜지(210), 피스톤 헤드(220), 피스톤로드(230), 보조로드(240), 스프링(250) 및 씰링재(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랜지(210)는 판상체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원형 판상체가 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플랜지(210) 상면으로부터 피스톤 헤드(220)가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헤드(220)는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뿔 형상으로 상부가 뾰족한 콘 형상이 되도록 한다.
플랜지(210) 하면에 피스톤로드(230)가 형성되는데, 피스톤로드(230)는 플랜지(210) 하면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연장된다.
피스톤로드(230)의 하단으로부터 보조로드(240)가 더 연장되어 돌출되는데, 보조로드(240)는 피스톤로드(230) 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보조로드(240)의 끝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와이어 연결구(241)가 형성된다. 즉, 피스톤로드(230)와 보조로드(240)의 연결 경계부위는 외경이 급변함에 따른 지지단(20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로드(240)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스프링(250)이 마련되는데, 스프링(250)의 상단은 피스톤로드(230)의 하단면 즉, 피스톤로드(230)와 보조로드(240)의 경계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단(201)에 걸리게 된다.
한편, 피스톤 헤드(220)의 하단측 외면에는 씰링재(260)가 결합되어 있는데, 씰링재(260)는 오링과 같은 것을 사용하면 된다.
바람직하게 몸체(100)는 메인몸체(100a), 상부몸체(100b) 및 하부몸체(100c)로 이루어지며, 메인몸체(100a)는 튜브(40)가 연결되는 튜브 연결구(110)와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120)가 형성된다.
메인몸체(100a)의 내부에는 걸림구(130)가 형성되는데, 걸림구(130)를 통해 보조로드(240)는 관통하여 하방을 향하게 되며, 보조로드(240)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스프링(250)의 하단은 걸림구(130)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림구(130)에 스프링(250)의 하단이 걸려서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메인몸체(100a)의 걸림구(130) 하부로는 보조로드(240)를 보호하면서 상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중공의 가이드파이프(140)가 형성되도록 한다. 가이드파이프(140)의 외면으로 복수의 지지대(141)가 형성되어 가이드파이프(140)가 메인몸체(100a)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메인몸체(100a)의 상단에 상부몸체(100b)가 결합되며, 상부몸체(100b)에는 배출구멍(150)이 형성된다.
한편, 메인몸체(100a)의 하단에 하부몸체(100c)가 연결되는데, 하부몸체(100c)는 설치부(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160)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몸체(100c)는 그 상단에 메인몸체(100a)의 하단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170)가 형성되며, 결합부(170) 내측으로 고정구(160)의 연결을 위한 고정구연결부(180)가 형성된다.
고정구(16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흡착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구(160)는 고정구연결부(180)에 결합되며, 이를 위해 고정구(160)의 상단에는 고정구연결부(180)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연결체(161)가 형성되는데, 연결체(161)는 나사로 이루어진 짧은 기둥 형태가 된다.
고정구(160)로서 흡착판을 사용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것이며, 그 외 탈부착 가능한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편평한 설치부(20)에 고정구(160)를 눌렀다 놓게 되면 진공원리에 의해 흡착판은 설치부(20)에 고정이 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구(160) 상측에 돌출된 연결체(161)에 하부몸체(100c)의 고정구연결부(180)를 맞추어 회전시켜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하부몸체(100c)의 구조를 통해서 본 발명의 수돗물 절약장치는 매끈한 평면상의 설치부(20)이면 특별한 도구없이도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수돗물 절약장치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구멍을 뚫거나 하는 번거롭고 힘든 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인 페달유닛(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페달유닛(300)은 와이어(310)와 페달(320)로 구성되며, 와이어(310)는 금속성 와이어로서 와이어튜브(311)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자전거 등의 브레이크선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튜브(311)에 의해 감싸여지는 와이어(310)의 양단은 와이어튜브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와이어(310)의 일단은 메인몸체(100a) 내부로 연결되어 피스톤(200)을 구성하는 보조로드(240)의 하단과 연결되며, 와이어(310)의 타단은 페달(320)과 연결되어 페달(320)을 누름에 따라 와이어(310)가 당겨지면서 피스톤(200)에 힘을 전달하게 된다.
페달(320)은 바닥판(321), 누름판(322), 지렛대(323) 및 연결홈(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바닥판(321)은 지면에 접촉되는 부위이고 바닥판(32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누름판(322)이 마련되는데, 누름판(322)은 하방 가압력에 의해 회동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누름판(322)에 하방 가압력을 작용시켰다가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누름판(322)은 다시 상방으로 회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페달(320)의 구성요소인 지렛대(323)는 바닥판(321) 상면에 대략 그 중간부분이 회동되게 구속되어 있으며, 도면과 같이 ㄴ 자 형상과 같이 절곡된 구조를 이루어 지렛대(323)의 일측 상단은 누름판(322)과 접촉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지렛대(323)의 타단은 와이어(310)의 타단과 연결된다.
와이어(310)의 연결을 위해 지렛대(323)의 타단에는 연결홈(324)이 형성되게 한다. 와이어(310)의 타단을 연결홈(324)에 끼우게 되면 연결홈(324)에 구속될 수 있도록 와이어(310)의 끝단은 뭉툭한 연결블록(312)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바닥판(321)에 와이어(310)를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지지대(325)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지렛대(323)와 인접하여 바닥판(321)에 와이어(310)를 끼워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와이어지지대(325)는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홈과 같은 형태로 와이어(310)의 일단을 와이어지지대(325)로 끼워지게 한 후 끝단을 지렛대(323)의 연결홈(324)에 걸어서 연결시키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돗물 절약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공중화장실에 본 발명의 수돗물 절약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세면대의 수도꼭지는 부주의한 사용에 의해 파손이 잘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자들은 수돗물을 사용한 후 수도꼭지를 제대로 잠그지 않고 가버려 불필요하게 물이 몇시간이고 낭비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수돗물 절약장치가 공중화장실에 설치될 수 있다.
수돗물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수도꼭지와 인접하여 수돗물 절약장치를 설치하도록 하는데, 편평한 설치부에 하부몸체(100c)를 이루는 고정구(160)를 연결시키도록 한 후 메인몸체(100a) 및 상부몸체(100b)를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한다.
메인몸체(100a) 내부로 와이어(310)의 일단이 연결되며, 와이어(310)의 타단은 페달(320)과 연결되고 페달은 공중화장실 바닥에 설치되게 한다.
피스톤헤드(220)는 메인몸체(100a)와 상부몸체(100b) 사이에 위치되며, 상부몸체(100b)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멍(150)은 피스톤헤드(2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물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피스톤헤드(220)는 스프링(250)의 힘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받아 배출구멍(150)을 막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피스톤헤드(220) 외면에 결합되는 씰링재(260)가 배출구멍(150)을 밀폐되게 함으로써 물은 배출구멍(150)을 통과하지 못한다.
누군가가 물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한쪽 발을 가볍게 페달(320)의 누름판(322) 위에 올려두도록 하고, 하방으로 가볍게 누르도록 한다. 페달의 누름판(322)이 눌려지면 지렛대(323)와 연결된 와이어(310)가 당겨지게 되며, 와이어가 당겨지면 와이어(310)가 연결되는 피스톤(200)의 보조로드(240)를 하방으로 당겨지게 하고, 이로 인해 피스톤(200)은 하방으로 이동된다.
배출구멍(150)을 막고 있던 피스톤헤드(2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배출구멍(150)이 열리게 되며 이로 인해 배출구멍을 통해 물이 공급되며, 배출구멍(150)을 통과한 물은 상부몸체(100b)에 연결되는 토출관(30)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 절약장치는 가정은 물론이고 공중 화장실, 목욕탕 등 물의 낭비가 심한 곳에 설치되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00 : 몸체
100a: 메인몸체 100b: 상부몸체
100c: 하부몸체
110 : 튜브 연결구 120 : 와이어 연결구
130 : 걸림구 140 : 가이드 파이프
141 : 지지대 150 : 배출구멍
160 : 고정구 161 : 연결체
170 : 결합부 180 : 고정구 연결부
200 : 피스톤
210 : 플랜지 220 : 피스톤 헤드
230 : 피스톤 로드 240 : 보조 로드
241 : 와이어 연결구 250 : 스프링
260 : 씰링재 201 : 지지단
300 : 페달유닛
310 : 와이어 311 : 와이어 튜브
320 : 페달 321 : 바닥판
322 : 누름판 323 : 지렛대
324 : 연결홈 325 : 와이어지지대
10 : 수도꼭지 20 : 설치부
30 : 토출관 40 : 튜브
100a: 메인몸체 100b: 상부몸체
100c: 하부몸체
110 : 튜브 연결구 120 : 와이어 연결구
130 : 걸림구 140 : 가이드 파이프
141 : 지지대 150 : 배출구멍
160 : 고정구 161 : 연결체
170 : 결합부 180 : 고정구 연결부
200 : 피스톤
210 : 플랜지 220 : 피스톤 헤드
230 : 피스톤 로드 240 : 보조 로드
241 : 와이어 연결구 250 : 스프링
260 : 씰링재 201 : 지지단
300 : 페달유닛
310 : 와이어 311 : 와이어 튜브
320 : 페달 321 : 바닥판
322 : 누름판 323 : 지렛대
324 : 연결홈 325 : 와이어지지대
10 : 수도꼭지 20 : 설치부
30 : 토출관 40 : 튜브
Claims (7)
- 하단이 설치부에 연결되고 상단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토출관이 연결되되, 일측면으로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튜브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배출구멍을 온오프되게 하는 피스톤;
상기 몸체의 일측을 통해 와이어가 진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페달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페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을 이용하여 상기 페달을 누르는 동작을 통해 물이 상기 토출관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은,
플랜지;
상기 플랜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콘 형상의 피스톤 헤드;
상기 플랜지 하면에 형성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 하단으로부터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가 형성되는 보조로드;
상기 보조로드 외면을 감싸면서 상단은 상기 피스톤로드 하단면에 걸리게 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 헤드의 하단측 외면에 결합되는 씰링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는,
상기 튜브가 연결되는 튜브 연결구와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로드는 관통되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은 통과되지 않고 지지되는 걸림구를 갖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상부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를 포함하게 되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단에 상기 메인몸체의 하단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내측으로 상기 고정구의 연결을 위한 고정구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는 고무재질의 흡착판인 것으로 하고, 상기 고정구연결부에 결합되도록 상단부에 돌출된 연결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유닛은,
와이어튜브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와이어;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회동되게 설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과 일단이 접촉되며 상기 바닥판 상면에 회동되게 구속되어 상기 누름판이 가압되면 회동되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의 타단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홈을 포함하게 되는 페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걸림구 하부로는 상기 보조로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중공의 가이드파이프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끼워서 상기 연결홈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절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375A KR101989439B1 (ko) | 2017-08-23 | 2017-08-23 | 수돗물 절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375A KR101989439B1 (ko) | 2017-08-23 | 2017-08-23 | 수돗물 절약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1535A KR20190021535A (ko) | 2019-03-06 |
KR101989439B1 true KR101989439B1 (ko) | 2019-06-14 |
Family
ID=6576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6375A KR101989439B1 (ko) | 2017-08-23 | 2017-08-23 | 수돗물 절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943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376Y1 (ko) | 2001-04-24 | 2001-10-31 | 류수택 | 싱크대 급수개폐 조작장치. |
KR100875274B1 (ko) * | 2007-03-07 | 2008-12-23 | 안찬용 | 발 누름장치를 이용한 씽크대 절수 수전장치 |
KR101021439B1 (ko) | 2010-06-08 | 2011-03-11 | 진명홈바스(주) | 수도밸브 개폐장치 |
JP2016113797A (ja) | 2014-12-13 | 2016-06-23 | 幸平 米田 | 水栓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5706B1 (ko) * | 1999-11-22 | 2002-12-31 | 안상호 | 풋-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
KR101444222B1 (ko) | 2011-10-17 | 2014-10-01 | 권우현 | 수돗물 절수장치 |
-
2017
- 2017-08-23 KR KR1020170106375A patent/KR1019894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376Y1 (ko) | 2001-04-24 | 2001-10-31 | 류수택 | 싱크대 급수개폐 조작장치. |
KR100875274B1 (ko) * | 2007-03-07 | 2008-12-23 | 안찬용 | 발 누름장치를 이용한 씽크대 절수 수전장치 |
KR101021439B1 (ko) | 2010-06-08 | 2011-03-11 | 진명홈바스(주) | 수도밸브 개폐장치 |
JP2016113797A (ja) | 2014-12-13 | 2016-06-23 | 幸平 米田 | 水栓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1535A (ko) | 2019-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46747A (en) | Passageway valve for toilet with two flush modalities | |
CA2845819C (en) | Handheld bidet | |
US6185755B1 (en) | Apparatus for flushing drain pipes | |
KR101989439B1 (ko) | 수돗물 절약장치 | |
KR101169771B1 (ko) |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 |
KR101784906B1 (ko) | 원홀 싱크와 원홀 세면기의 팝업용 체결장치 | |
WO2006102662A1 (en) | Offset grid drain and drain closure mechanism | |
KR101371894B1 (ko) | 세면대용 배수관장치 | |
FR2969912A1 (fr) | Adaptateur de lave-mains pour wc | |
JP2016113797A (ja) | 水栓装置 | |
US7017197B1 (en) | Adjustable plunger apparatus | |
KR101478792B1 (ko) | 절수형 변기 세척밸브 | |
KR200320595Y1 (ko) | 대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 |
CN203307886U (zh) | 一种组合卫生洁具 | |
US2611135A (en) | Combination shower stool and drain fitting | |
KR100465098B1 (ko) | 샤워 겸 세면기의 절수용 혼합수전 | |
US20140259385A1 (en) | Decorative pop-up flange replacement | |
KR20010077633A (ko) | 다기능 수도꼭지 | |
KR101609108B1 (ko) | 누름버튼이 구비되어 자동으로 물내림되는 수도꼭지용 물절약기 | |
JP5412611B2 (ja) |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 |
KR200311711Y1 (ko) | 절수장치 | |
KR101243894B1 (ko) | 위생기의 트랩과 오배수관의 연결구조 | |
JP2013213326A (ja) | レリースワイヤ挿通固定具 | |
KR200480200Y1 (ko) | 세면기의 팝업 밸브용 배수관 | |
RU79902U1 (ru) |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душевая установк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