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976B1 - 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 - Google Patents

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976B1
KR101988976B1 KR1020180127217A KR20180127217A KR101988976B1 KR 101988976 B1 KR101988976 B1 KR 101988976B1 KR 1020180127217 A KR1020180127217 A KR 1020180127217A KR 20180127217 A KR20180127217 A KR 20180127217A KR 101988976 B1 KR101988976 B1 KR 101988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upport bracket
horizontal bar
ho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기원
Original Assignee
채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기원 filed Critical 채기원
Priority to KR102018012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9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light support apparatus, with excellent aesthetic appearance and structural stability, capable of enhanc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a city and a road, which comprises: a tetrahedral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forming a first holding space (101) therein as a connector (11) is penetrated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a column (10) where one end of a horizontal bar (20) is positioned, both ends are externally exposed by being fastened by the connector (11), one surface exposed wher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is positioned is opened and the other surface is closed; a tetrahedral internal support bracket (200) arranged within the first holding space (101)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and forming a second holding space (201) as one surface wher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is positioned is opened and the other surface is closed; and a support fastening unit (30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as one surface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is coupled and one surface of the internal support bracket (100) is fastened, forming a fastener (302) penetrated through a corresponding position to fasten one surface of the internal support bracket (200) as a first step (301)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o couple a free end of one surface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and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Description

신호등 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 [0002]

본 발명은 신호등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와 가로바의 결합에 있어 외부지지브라켓 및 내부지지브라켓을 통해 지주와 가로바를 상호 결합하면서 가로바의 상하이동을 제어하여 가로바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구조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로바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내부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더욱 높은 강성을 가진 가로바를 제작 및 설치함으로서 기존의 지지와이어가 설치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시 및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a support and a horizontal bar to each other through an outer support bracket and an inner support bracket, And a reinforcing plate is provided inside the transverse bar while integrally forming the transverse bar. By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transverse bar having higher rigidity, the existing supporting w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install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which is excellent in aesthetic appearance and structural safety, which can improve the beauty of a city and a road by solving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beauty of the surroundings.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운반수단은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소로 그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우리의 경우도 이미 1,000만대를 넘어선지 오래 되었다.In general, the purpose of the vehicle is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For this purpose, automobiles are becoming an indispensable element not only for their own life but also for social life beyond the level of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such social trends, the number of automobiles continues to increase, and our case has already exceeded 10 million units.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보유대수가 날로 늘어감에 따라 인력으로는 도저히 교통흐름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이르러 보다 효과적으로 교통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신호등(信號燈)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교통 신호등과 보행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적인 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number of vehicles is increasing day by day, traffic lights can not be controlled by manpower, so traffic lights have been developed to control traffic flow more effectively. These traffic lights can be classified into a traffic ligh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vehicle and a pedestrian signal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pedestrian. The traffic lights constructed in this way are very useful in terms of the functional aspects of ensuring the safety of pedestrians as well as the vehicles by effectively controlling the flow of traffic.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등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의 3색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에서 빨간색(적색등)은 정지신호, 초록색(초록색등)은 진행신호 및 노란색(황색등)은 주의로 표시되나 도로교통에서는 노란색이 우회하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traffic lights represent traffic conditions in color for safe traffic order, and the colors displayed by the traffic lights are composed of three colors of red, green, and yellow. In a traffic light like this, red (red light) is a stop signal, green (green light) is a progress signal, and yellow (yellow light) is a warning.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등은 통상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신호등 지주장치를 통해 설치되어진다.The traffic lights as described above are usually installed through a traffic light holding device on the road side of an intersection or a crossing.

이러한 신호등 지주장치는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과 그 지지지둥 상부에 도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신호등을 지지하는 가로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로보는 지주기둥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통해 지지되어 상하로의 흔들림이 방지된다.Such a signal light holding device is constituted by a supporting column which is installed upright on a road side of an intersection or a crossing, and a beam which is installed in a long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above the supporting column and supports a traffic light. At this time, the lateral supporting column is supported through a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column, so that the up and down shaking is prevented.

하지만,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는 지주기둥의 상단으로부터 가로보의 끝단부를 다수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외관상 와이어가 부채살처럼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미관을 해치게 된다. 즉, 친환경적인 신호등 지주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 외부로 드러난 와이어는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ignal lamp hold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beam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column through a plurality of wires, apparently the w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like a fan. In other words, the wire exposed to the outside is an obstacle to construct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ignal lamp holding device.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는 지주기둥의 상부 외측에 상기 가로보가 용접을 통해서 결합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지주기둥과 가로보의결합성이 다소 취약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노출되는 경우에 지주기둥으로부터 가로보가 분리 낙하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는 구조적인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ignal lamp hold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eam is coupled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column through welding, the coupling of the supporting column and the beam is somewhat fragi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signal lamp holding device in which the crossbow is separated from the column frequently occurs has a low structural safety.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8710호(발명의 명칭 :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38710 (title of invention: supporting device for signal lamp)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6263호(발명의 명칭 : 신호등 지지구조물)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36263 (title of invention: signal lamp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주와 가로바를 결합하는 위치에 가로바를 결속하면서 지주의 내부로 결합되는 외부지지브라켓 및 내부지지브라켓을 통해 볼트와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일체로 지주에 가로바를 결합하게 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가로바의 안정적인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가로바의 상하 방향조절을 위해 간단한 조작으로 수행하여 정위치의 가로바가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a horizontal bar, So that the horizontal bar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horizont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stable supporting force, so that the vertical bar can be maintained by a simple operation for adjusti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ignal light support device for enabling a signal light to be transmitted to a vehicle.

또한, 가로바가 균등한 분할구조로 결합되어 길이가 긴 가로길이방향 또는 점진적인 외경변화에 따라 대응되게 분할하여 제작함으로서 작업성 및 설치 현장에 대응 적용하도록 길이 및 와경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조립구조를 통해 구조적 안정감을 가지며, 게다가 가로바의 내부에 내경에 대응되는 보강판을 설치하여 견고히 결속 지지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가로보가 흔들려 변형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종래의 신호등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시 및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is combined with an evenly divid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longitudinal lengthwise or gradual change in outer diameter, so that the length and the diameter can be adjusted for workability and installation site, And a reinforcement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is provided inside the transverse bar to firmly support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plate. Thus, it is possible to stably prevent the transverse beam from being deformed due to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Which is excellent in aesthetic appearance and structural safety, which can improve the appearance of a city and a road by solving the problem of being exposed and deteriorating the beauty of the surroundings.

본 발명은 도로변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하향된 지주 일면을 관통하여 전측의 가로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가로바를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comprising a strut standing upright on one side of a road and a horizontal bar penetrating through a supporting surface downward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upper part of the strut to be fix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상기 가로바의 일단이 위치하는 지주 외주면 일면 및 타면으로 관통된 연결구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결구로 결속되어 양단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가로바 일단이 위치한 노출된 일면은 개방 그리고 타면은 밀폐되면서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사면체형의 외부지지브라켓과,Wherein the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is opened and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bar is closed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An outer support bracket having a tetrahedral shape in which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상기 외부지지브라켓의 제1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바 일단이 위치한 일면은 개방 그리고 타면은 밀폐되면서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사면체형의 내부지지브라켓과,An inner supporting bracket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and having a first side in which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is located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other side is closed,

상기 외부지지브라켓의 일면을 결합 그리고 내부지지브라켓 일면을 결속하면서 가로바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외부지지브라켓의 일면 자유단을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1단턱부가 형성되면서 내부지지브라켓의 일면을 결속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결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바의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지지결속부를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A first end portion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and a first end portion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And a support coupling part having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reof.

한편, 상기 외부지지브라켓의 타면과 상기 외부지지브라켓의 타면에 마주하는 내부지지브라켓의 타면이 상호 체결구를 통해 체결되도록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가 복수 개 배치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composed of bolts and nuts are arranged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internal support bracket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fasteners.

한편, 상기 지주의 연결구 양측으로 노출된 외부지지브라켓의 상부,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한 쌍씩 구비되면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조절공을 통해 볼트가 결합되어 볼트의 회전으로 볼트의 단부가 조절공에 마주하는 내부지지브라켓의 외주면 일면에 밀착되며, 이때 조절공 외부로 노출된 볼트에 너트가 결합되면서 조절공을 통해 제1수용공간으로 인입된 볼트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된 밀착판을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The bolts are coupled to the upper, lower, o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xternal supporting brackets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hole of the strut through the adjusting holes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And a pair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bolt drawn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screwed through the adjusting hole while the nut is engaged with the bol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djusting hole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act plate is provided.

한편, 상기 지지결속부의 결속구 없이 밀폐되면서 내부지지브라켓의 일면 자유단을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2단턱부가 형성되며,Meanwhile, a second step portion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o engage the one free end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while being closed without a fastener of the support fastening portion,

상기 내부지지브라켓의 제2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제2수용공간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상하로 관통 그리고 외주 양면을 연통하는 제1볼트공이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면체형의 제1보강관과,A first reinforcing tube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and having a first bol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inner peripheries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

상기 제1보강관 일측에 위치하여 제2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면서 일측이 지지결속부를 통과하여 일측 일부가 돌출되며, 중앙의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제1보강관의 제1볼트공에 대응되어 양측으로 관통되는 제2볼트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외주에 가로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보강체와,The first reinforcing tube is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tube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olt hole and protrudes at one side thereof, A reinforcing body composed of a cylindrical support rod having a second bolt hole formed therein and a support piece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jecting in four directions,

상기 보강체의 일측이 지지결속부를 통과하면서 보강체 수직단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제1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결속부의 제1삽입공을 통과하여 가로바의 일단 내부에 위치한 보강체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가로바 일단 내부에 배치되어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가로바의 내부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상하가 관통 그리고 보강체의 제2볼트공에 대응되는 외주 양면을 연통하는 제3볼트공이 형성된 제2보강관 및,A first insertion hole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whi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binding portion and a reinforcement positioned inside the one end of the crossbar passing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of the supporting binding portion And a third bolt hole which is disposed in one side of the transverse bar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lt hole of the reinforcement body whi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verse bar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ends, A second reinforcing tube formed,

상기 제2보강관의 제3볼트공, 보강체의 제2볼트공 및 제1보강관의 제1볼트공을 상호 통과하여 너트로 체결하는 장공볼트가 더 포함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A bolt hole of the second bolt hole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a bolt hol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and a bolt hole of the first reinforcing pipe.

한편, 상기 제2보강관 일측에 일면이 밀착되어 가로바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보강관의 제3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볼트공이 형성된 수직 원판형의 결속판과 상기 결속판 타면의 제4볼트공 주변에 사방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결속판에 연결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타단이 가로바 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 수개의 밀착편으로 구성되는 밀착지지체가 더 포함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reinforcement pipe may include a vertical plate-like binding plate having one side thereof closely attached to the second reinforcing tube and disposed in the horizontal bar, a fourth bolt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bolt hole of the second reinforcing tube, And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support member formed of four adjacent bolt holes on the other surface, the adhesive support member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adhesive pieces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inding plate and extending upwardly inclined and the other e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side the bar, Lt; / RTI >

한편, 상기 가로바 일단의 외주면을 커버하면서 지지결속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로바 일단을 삽입하여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가로바의 수직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삽입공이 형성 그리고 내부에 제3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가로바 일단이 내속되면서 타면은 개방되어 타면 자유단이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결속부에 이음 연결되는 보강브라켓이 더 포함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A second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rizontal ba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inserting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and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binding portion while cover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And a reinforcing bracket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inding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free end of the horizontal bar is opened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open.

한편, 상기 가로바 내부로 삽입되어 가로바의 내부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보강판이 더 포함되며,The reinforc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late inserted into the cross bar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n internal length of the cross bar,

이때 상기 보강판은 수직의 물결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파형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일측면 상부 및 타측면 하부에서 좌우로 서로 대칭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반구형의 보강탭이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반구형의 보강탭이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단 및 하단의 길이방향에서 좌우로 서로 대칭의 수평 연결된 지지탭이 형성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설치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reinforcing plate may have a corrugated shape in which the vertical corrugated porti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 shape formed in a vertical plate shape, and a hemispherical shape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symmetrical to each other Shaped reinforcing tabs are formed in the central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reinforcing tabs are formed in the middl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tabs are horizontally connect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signal lamp holding device being provided in a form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shapes in which the signal lamp is form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와 가로바를 결합하는 위치에 가로바를 결속하면서 지주의 내부로 결합되는 외부지지브라켓 및 내부지지브라켓을 통해 볼트와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일체로 지주에 가로바를 결합하게 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가로바의 안정적인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가로바의 상하 방향조절을 위해 간단한 조작으로 수행하여 정위치의 가로바가 유지하며, 가로바가 균등한 분할구조로 결합되어 길이가 긴 가로길이방향 또는 점진적인 외경변화에 따라 대응되게 분할하여 제작함으로서 작업성 및 설치 현장에 대응 적용하도록 길이 및 와경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조립구조를 통해 구조적 안정감을 가지며, 게다가 가로바의 내부에 내경에 대응되는 보강판을 설치하여 견고히 결속 지지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가로보가 흔들려 변형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종래의 신호등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시 및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uter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and a horizontal support bar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bar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nd a nut through the inner support bracket, So that the vertical bars of the horizontal bar can be maintained by a simple operation for adjusti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s so that the horizontal bars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and the diameter to adapt to the workability and the installation site by correspondingly divid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ong transverse direction or the progressive outside diameter. In addition, it has the structural stability feeling through the rigid assembling structure, Stiffening plate is installed by reinforc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W to prevent the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reliably that the cross beam is shaken deformation is to solve the problem damaging the surrounding appearance is the wir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conventional light effect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city and roa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 “A”부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 “A”부위의 조립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에서 결속구가 형성된 지지결속부 사시도(a), 제2단턱부가 형성된 지지결속부 사시도(b) 및 보강브라켓의 사시도(c).
도 6은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 “A”부위에 제1보강관-보강체-제2보강관-장공볼트로 구성되는 구조가 더 포함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 “A”부위에 더 포함된 제1보강관-보강체-제2보강관-장공볼트로 구성되는 구조의 조립 분해시시도.
도 8은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 “A”부위에 제1보강관-보강체-제2보강관-밀착지지체-장공볼트로 구성되는 구조가 더 포함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 “A”부위에 더 포함된 제1보강관-보강체-제2보강관-밀착지지체-장공볼트로 구성되는 구조의 조립 분해시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의 가로바에 물결부가 형성된 보강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가로바에 보강판이 설치된 단면도(a), 지지탭이 형성된 보강판 단면도(b), 중앙의 보강탭이 형성된 보강판 단면도(c) 및 상하부의 보강탭이 형성된 보강판의 단면도(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장치가 설치된 신호등에서 가로바와 지지부에 번호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gnal lamp provided with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ffic light in which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traffic light " A " part in which the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installe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gnal lamp " A " portion provided with a signal lamp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a) of a supporting coupling portion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b) of a supporting coupling portion in which a second step is formed, and a perspective view (c) of the reinforcing bracket.
6 is a cross-sectional view further comprising a structure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pipe-reinforcing member-a second reinforcing pipe-long hole bolt at a traffic light " A " portion in which the signal lamp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irst reinforcing tube-reinforcement-second reinforcing tube-elongated bolt included in the traffic light " A " portion in which the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ry.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the signal lamp " A " in which the signal lamp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urther includes a structure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tube- reinforcing body- a second reinforcing tube- Cross-section.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reinforcing tube-reinforcing body-second reinforcing tube-adhesion supporting body-elongated bolt further included in a traffic light " A " portion in which the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is installed Attempt to disassemble assembly.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reinforcing plate having a corrugated part is installed on a horizontal bar of a traffic light provided with a signal lamp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ectional view (a) in which a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on a horizontal bar provided with a signal lamp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plate cross-sectional view (b) in which support tabs are formed, 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plate formed with the reinforcing tabs (d).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license plate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bar and a support part in a traffic light provided with a signal lamp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변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상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하향된 지주(10) 일면을 관통하여 전측의 가로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가로바(20)를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에 있어서,1 to 5,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 And a horizontal bar (20) fixed in th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20)

상기 가로바(20)의 일단이 위치하는 지주(10) 외주면 일면 및 타면으로 관통된 연결구(11)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결구(11)로 결속되어 양단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가로바(20) 일단이 위치한 노출된 일면은 개방 그리고 타면은 밀폐되면서 내부에 제1수용공간(101)이 형성된 사면체형의 외부지지브라켓(100)과,A connection hole 11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rut 10 where one end of the transverse bar 20 is located is formed and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ar 20 are bound to the connection hole 11, 20), a polygonal outer supporting bracket (100)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101) formed therein and having one side exposed and the other side sealed,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제1수용공간(101)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바(20) 일단이 위치한 일면은 개방 그리고 타면은 밀폐되면서 내부에 제2수용공간(201)이 형성된 사면체형의 내부지지브라켓(200) 및,A first receiving space (101)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is opened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201) is form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The support bracket 200,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일면을 결합 그리고 내부지지브라켓(100) 일면을 결속하면서 가로바(20)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일면 자유단을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1단턱부(301)가 형성되면서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일면을 결속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결속구(302)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바(20)의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지지결속부(300)를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One end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while the other end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1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 binding hole 302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so as to bind one surface of the inner supporting bracket 200 while the first step 301 is formed and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is connected (300).

본 발명의 신호등 지지장치를 상술한 구성요소를 통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The signal lamp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먼저,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바(20) 일단이 마주하는 가로바(20)의 외주면에 양면을 관통하는 연결구(11)가 형성된다.3 and 4, a connecting hole 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20 facing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so as to penetrate both surfaces.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은 지주(10)의 연결구(11)를 연통하여 양측이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가로바(20) 일단이 위치한 노출된 일면은 개방 그리고 타면은 밀폐되면서 내부에 제1수용공간(101)이 형성된 사면체형을 가진다.3 and 4,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is coupled to the support 10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thereof are expos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1 of the support 10, And the other surface is closed and has a slope shape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1 is formed.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지지브라켓(200)은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제1수용공간(101)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바(20) 일단이 위치한 일면은 개방 그리고 타면은 밀폐되면서 내부에 제2수용공간(201)이 형성되는 사면체형을 가지며,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배치된 내부지지브라켓(200)의 밀폐된 타면은 외부지지브라켓(100)의 밀폐된 타면에 면접 또는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상면 및 하면은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제1수용공간(101) 내에 이격된 들뜬상태로 배치 그리고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전면 및 후면은 대응되는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제1수용공간(101) 내주면에 면접되는 형태로 설치된다.3 and 4, the inner supporting bracket 200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of the outer supporting bracket 100, and one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1 is sealed by the sealing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are arranged in an excited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1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nd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is disposed in a space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brackets 100 and 100 are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be inter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of the corresponding external supporting bracket 100.

그리고,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결속부(300)는 일면에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일면을 결합 그리고 내부지지브라켓(200) 일면을 결속하면서 타면에 가로바(20)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일면 자유단을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1단턱부(301)가 형성되며, 이때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일면 자유단이 제1단턱부(301)에 안착되거나 용접을 통한 이음 연결되어 외부지지브라켓(100)과 지지결속부(300)가 일체의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3, 4 and 5, the supporting and coupling part 300 has one side of the outer supporting bracket 100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upporting bracket 2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bracket 100,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first step jaw portion 301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o engage the free end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At this time,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nd the support coupling unit 300 may have an integral connection structure by being seated on the step 301 or joined by welding.

그리고, 상기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일면을 결속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결속구(302)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일면 단부가 결속구(302)에 안착되거나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일면이 더 연장되어 결속구(302)를 통과하여 지지결속부(300)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거나 결속구(302)에 면접된 상태로 용접을 통한 이음 연결되어 내부지지브라켓(200)과 지지결속부(300)가 일체의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부지지브라켓(200) 일면이 결속구(302)를 통과하여 가로바(20)의 일단에 용접을 통한 이음 연결되어 내부지지브라켓(200)과 가로바(20)가 일체의 연결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d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may be seated on the binding hole 302 or the end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The support bracket 200 is further extended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302 and protrude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coupling part 300. Alternatively, The support bracket 200 and the support binding portion 300 may have a single connection structure and one side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may be weld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through the binding hole 302 So that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and the horizontal bar 20 can be formed as a single connection structure.

그리고, 상기 가로바(20)의 일단이 지지결속부(300)의 타면에 이음 연결 즉, 용접되어 지지결속부(300)와 가로바(20)가 일체의 연결구조를 가지며, 이때 지지결속부(300)에 가로바(20)의 일단이 연결되는 위치는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일면과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결속부(300) 타면의 결속구(302) 주변에 연결되거나 지지결속부(300) 타면의 결속구(302)에 직접 면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is jointed or wel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binding part 300 so that the support binding part 300 and the horizontal bar 20 have a single connection structure, The position where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is connected to the inner support bracket 300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sid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nd the vicinity of the binding hole 302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inding unit 300 located between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302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coupling part 300. [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타면과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타면에 마주하는 내부지지브라켓(200)의 타면이 상호 체결구(102)를 통해 체결되도록 볼트(31a)와 너트(35)로 구성되는 체결부(30)가 복수 개 배치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3 and 4,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er 102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30) composed of a bolt (31a) and a nut (35) are arranged to be fastened.

상기 체결부(30)는 볼트(31a)와 너트(35)로 구성되어 볼트(31a)가 외브지지브라켓(100)의 밀폐된 타면에 형성된 체결구(102)를 통해 내부지지브라켓(200)의 밀폐된 타면에 형성된 체결구(202)를 통과하여 너트(35)를 체결함으로서 외부지지브라켓(100)과 내부지지브라켓(200)을 상호 고정하게 된다.The fastening part 30 is composed of a bolt 31a and a nut 35 so that the bolt 31a is fastened to the inner supporting bracket 200 through the fastening hole 10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rmetic support bracket 100, The outer supporting bracket 100 and the inner supporting bracket 200 are fix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the nut 35 through the fastening hole 202 formed on the other surface.

그리고,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체결구(102)는 상하의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형태의 체결구(102)를 형성하여 후술되는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조절공(103)을 통한 볼트(31b)와 너트(35)의 체결 조절로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상하 이동에 대응되도록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체결구(102) 형태를 가진다.The fastening hole 102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is formed by fastening a fastener 10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fastening the fastening hole 102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has a shape of a fastener 102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by tightening the nut 31b and the nut 35.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의 연결구(11) 양측으로 노출된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상부,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한 쌍씩 구비되면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조절공(103)을 통해 볼트(31b)가 결합되어 볼트(31b)의 회전으로 볼트(31b)의 단부가 조절공(103)에 마주하는 내부지지브라켓(100)의 외주면 일면에 밀착되며, 이때 조절공(103) 외부로 노출된 볼트(31b)에 너트(35)가 결합되면서 조절공(103)을 통해 제1수용공간(101)으로 인입된 볼트(31b)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한 쌍의 체결공(32-1)이 형성된 밀착판(32)을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air of support brackets 100 are provided on the upper, low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racket 100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hole 11 of the support 10, The bolt 31b is coupl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103 and the end of the bolt 31b is clos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100 facing the adjustment hole 103 by the rotation of the bolt 31b, The nut 35 is coupled to the bolt 31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hole 103 so that the end of the bolt 31b drawn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1 through the adjustment hole 103 is screwed And a tightening plate (32)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32-1) of the fastening hole (32-1).

상기 조절공(103)은 지주(10)의 연결구(11) 양측으로 노출된 외부지지브라켓(100) 양측 각각의 상부,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한 쌍씩 구비되며, 즉 조절공(103)이 상부에 한 쌍 그리고 하부에 한 쌍이 내부지지브라켓(200)을 기준으로 균등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공(103)을 통해 볼트(31b)가 통과 또는 나사결합되어 제1수용공간(101)으로 인입되면서 인입된 볼트(31b)의 단부가 조절공(103)에 대응되는 위치의 내부지지브라켓(200) 외주 일면을 밀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볼트(31b)가 조절공(103)을 통과 전(前)에 너트(35)를 채워 너트(35)가 외부지지브라켓(100)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볼트(31b)와 결합된다.The control hole 10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hole 11 of the support 10, And a bolt 31b is passed or screw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01 through the adjusting hole 103. The bolt 31b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01, The end of the bolt 31b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hole 103. At this time, the bolt 31b passes through the control hole 103 The nut 35 is fitted to the bolt 31b in such a form that the nut 3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

그리고, 상기 조절공(103)을 통해 제1수용공간(101) 내로 인입된 볼트(31b)의 단부가 밀착판(32)에 형성된 체결공(32-1)을 나사결합하면서 통과되어 내부지지브라켓(200) 외주 일면을 밀착하게 되며, 이때 밀착판(32)은 제1수용공간(101)의 내부 폭 길이에 비례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볼트(31b)의 회전시 밀착판(32)이 정위치에 배치되어 나사결합에 의한 상하 이동만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end of the bolt 31b drawn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01 through the adjusting hole 103 is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32-1 formed in the fastening plate 32, The fastening plate 32 is formed to have a length proportional to the inner width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01 so that when the bolt 31b is rotated, So that it can be moved up and down by screw coupling only.

또한, 상기 조절공(103)에 나사결합으로 볼트(31b)가 제1수용공간(101)으로 이동시 볼트(31b)의 단부에 밀착판(32)이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bolt 31b may be screwed to the adjustment hole 103 to move the bolt 31b 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1. The bolt 31b may be fixed to the end of the bolt 31b.

이에, 상기 볼트(31b)의 회전 조절로 인해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한 가로바(20)의 수평상태를 조정하며, 물론 이때 가로바(20)와 내부지지브라켓(200)이 일체의 연결구조로 설치되었을 때 가능한 구조이다.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of the bolt 31b adjus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inner supporting bracket 200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horizontal bar 20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is structure is possible when the support bracket 200 is installed as an integral connection structure.

또한, 도 5의 (b),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결속부(300)의 결속구(302) 없이 밀폐되면서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일면 자유단을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2단턱부(303)가 형성되며,6 (a) and 6 (b), and 6 (a) and 7 (b), the inner supporting bracket 200 is closed without the coupling hole 302 of the supporting coupling part 300, A second step portion 303 is formed in the second step portion,

상기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제2수용공간(201) 내에 배치되어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제2수용공간(201)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상하로 관통 그리고 외주 양면을 연통하는 제1볼트공(411)이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면체형의 제1보강관(410)과,A first bolt hole 411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01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01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201, A first reinforcing pipe 410 having a cylindrical or tetrahedral shape,

상기 제1보강관(410) 일측에 위치하여 제2수용공간(201) 내에 배치되면서 일측이 지지결속부(300)를 통과하여 일측 일부가 돌출되며, 중앙의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제1보강관(410)의 제1볼트공(411)에 대응되어 양측으로 관통되는 제2볼트공(421-1)이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봉(421)과 상기 지지봉(421)의 외주에 가로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편(422)으로 구성되는 보강체(420)와,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and is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01.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protrudes through the support coupling part 300, A cylindrical support rod 421 having a second bolt hole 421-1 formed on its both sides to correspond to the first bolt hole 411 of the pipe 410, A reinforcing member 420 composed of a support piece 422 projecting in four directions,

상기 보강체(420)의 일측이 지지결속부(300)를 통과하면서 보강체(420) 수직단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제1삽입공(30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결속부(300)의 제1삽입공(304)을 통과하여 가로바(20)의 일단 내부에 위치한 보강체(420)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가로바(20) 일단 내부에 배치되어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가로바(20)의 내부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상하가 관통 그리고 보강체(420)의 제2볼트공(421-1)에 대응되는 외주 양면을 연통하는 제3볼트공(431)이 형성된 원통형의 제2보강관(430) 및,The first insertion hole 304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whi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binding unit 300, 30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420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304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disposed in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a second bolt hole 431 communic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4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olt hole 421-1 of the reinforcing body 420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20, A reinforcing pipe 430,

상기 제2보강관(430)의 제3볼트공(431), 보강체(420)의 제2볼트공(421-1) 및 제1보강관(410)의 제1볼트공(411)을 상호 통과하여 너트(35)로 체결하는 장공볼트(440)가 더 포함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The third bolt hole 431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the second bolt hole 421-1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and the first bolt hole 411 of the first reinforcing pipe 410 And further includes a long hole bolt (440) passing through and fastened with a nut (35).

상기 제1보강관(410)은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제2수용공간(201) 내에 배치되어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제2수용공간(201)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상하로 관통 그리고 외주 양면을 연통하는 제1볼트공(411)이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면체형을 가진다.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is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01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and has an upper and a lower end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as a cylindrical or sloped body shape in which a first bolt hole 411 for communicating is formed.

그리고, 상기 보강체(420)는 가로길이의 지지봉(421)과 상기 지지봉(421)의 외주면 가로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사방(四方)의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편(422)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보강관(410) 일측에 위치하여 타측이 제1보강관(410) 외주 일면에 면접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201) 내에 배치되면서 보강체(420)의 일측이 지지결속부(300)를 통과하여 보강체(420)의 일측 일부가 돌출되며, 상기 지지봉(421)은 중앙의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제1보강관(410)의 제1볼트공(411)에 대응되어 양측으로 관통되는 제2볼트공(42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422)은 지지봉(421)의 외주에 가로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사방(四方)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지지편(422)을 가진다.The reinforcing member 42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upport rod 421 having a transverse length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422 projecting in four direct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d 421,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ody 420 is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201 and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body 4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inding portion 410. [ And the support bar 421 is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ente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bolt hole 411 of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so as to extend to the opposite sides of the first bolt hole 411, And the support pieces 422 are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bar 42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422 projecting in four directions, .

이때, 상기 보강체(420)의 일측이 지지결속부(300)를 통과하면서 보강체(420) 수직단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제1삽입공(304)이 형성되어 보강체(420)의 일측이 제1삽입공(304)을 통과하여 가로바(20)의 일단 내부에 보강체(420)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insertion hole 304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whi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binding unit 300, Is pass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304 and one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is positioned insid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그리고, 상기 제2보강관(430)은 지지결속부(300)의 제1삽입공(304)을 통과하여 가로바(20)의 일단 내부에 위치한 보강체(420)의 일측에 위치하여 보강체(420)의 타측 단부가 제2보강관(430)의 외주 일면에 면접하면서 가로바(20) 일단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보강관(430)의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가로바(20)의 내부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상하가 관통 그리고 보강체(4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볼트공(421-1)에 대응되는 외주 양면을 연통하는 제3볼트공(431)이 형성된다.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located inside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304 of the support binding part 30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is disposed insid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whi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And the third bolt hole 431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lt hole 421-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is formed.

그리고, 상기 장공볼트(440)는 제2보강관(430)의 제3볼트공(431), 보강체(420)의 제2볼트공(421-1) 및 제1보강관(410)의 제1볼트공(411)을 상호 통과하여 제1보강관(410) 외측으로 돌출된 장공볼트(440) 단부에 너트(35)로 체결함으로서 제2보강관(430), 보강체(420) 및 제1보강관(410)을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long bolt 440 is inserted into the third bolt hole 431 of the second reinforcement pipe 430 and the second bolt hole 421-1 of the reinforcement pipe 420 and the second bolt hole 421-1 of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Bolts 411 are mutually passed and fastened to the ends of the long hole bolts 440 protruding outside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with the nuts 35 to form the second reinforcement pipe 430, 1 reinforcing pipe 410 are integrally formed.

이에, 상기 제1보강관(410)은 내부지지브라켓(200)에 밀착 고정되면서 제2보강관(430)은 가로바(20) 내부에 밀착 고정되어 가로바(20)와 외부지지브라켓(100) 및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연결부위의 지지력을 강화하면서 강도를 증대하는 보강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보강체(420)가 상기 제1보강관(410)과 제2보강관(430)을 상호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연결되면서 지지봉(421)을 기준으로 십자형으로 연결되는 지지편(422)을 가진 보강체(420)가 지지결속부(300)의 제1삽입공(304)에 긴밀히 결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가로바(20)의 외력에 의한 저항성을 증대하게 된다.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is tightly fixed to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pipe 430 is tight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bar 20 to support the horizontal bar 20 and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420 has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ipe 4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A reinforcing member 420 having a support piece 422 connected in a cruciform rela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421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hole 304 of the support coupling part 300 so as to have a strong supporting force, The resistance of the horizontal bar 20 due to the external force is increased.

또한,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보강관(430) 일측에 일면이 밀착되어 가로바(2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보강관(430)의 제3볼트공(4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볼트공(451-1)이 형성된 수직 원판형의 결속판(451)과 상기 결속판(451) 타면의 제4볼트공(451-1) 주변에 사방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결속판(451)에 연결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타단이 가로바(20) 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 수개의 밀착편(452)으로 구성되는 밀착지지체(450)가 더 포함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8 and 9, one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transverse bar 20, and the third bolt hole 431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And a fourth bolt hole 451-1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451. The fourth bolt hole 451-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lt hole 451-1, And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support member (450) connected to the binding plate (451) and having a plurality of close contact pieces (452) extending upward at an inclination and whos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bar (20) Lt; / RTI >

상기 밀착지지체(450)는 수직 원판형의 결속판(451)과 상기 결속판(451)의 타면에 사방(四方)으로 경사지게 확장된 형태의 밀착편(452)이 일체의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원판형의 결속판(451) 타면에 경사진 형태의 밀착편(452)이 형성되어 밀착편(452)의 타단이 가로바(20)의 내부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가압한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바(20) 일단의 연결부위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면서 외력에 의한 가로바(20)의 변형 방지 그리고 가로바(20)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adhesive support member 450 has a vertically circular binding plate 451 and an adhesive member 452 extending obliquely in four direction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inding plate 451, The tightening piece 452 having an inclined shap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451 in the form of a vertical disk and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piece 452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pressed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20, Preventing the horizontal bar 20 from being deformed due to an external force while enhan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horizontal bar 20 while preventing the connection bar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또한, 도 3, 도 4 및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상기 가로바(20) 일단의 외주면을 커버하면서 지지결속부(300)에 연결되며, 상기 가로바(20) 일단을 삽입하여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가로바(20)의 수직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삽입공(501)이 형성 그리고 내부에 제3수용공간(502)이 형성되어 가로바(20) 일단이 내속되면서 타면은 개방되어 타면 자유단이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결속부(300)에 이음 연결되는 보강브라켓(500)이 더 포함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3, 4 and 5 (c), the horizontal bar 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inding part 300 while cover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is inserted A second insertion hole 50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rizontal bar 20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hird accommodation space 502 is formed therein, And a reinforcing bracket (500) joined to the supporting coupling part (3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thereof.

상기 보강브라켓(500)은 일면 중앙에 제2삽입공(501)이 형성되어 가로바(20)의 일단을 삽입하게 되며, 타면은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제3수용공간(502)을 형성하여 제2삽입공(501)으로부터 삽입된 가로바(20)의 일단 외주면이 위치되면서 보강브라켓(500)의 타면 단부가 지지결속부(300)의 타면에 용접을 통한 이음 연결되어 보강브라켓(500)과 지지결속부(300)가 일체의 연결구조를 가진다.The reinforcement bracket 500 is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hole 501 at the center of one side thereof to insert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a third accommodation space 502 in an opened state on the other side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bracket 5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ing coupling part 300 by welding so that the reinforcement bracket 5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coupling part 300, And the support binding portion 300 have a single connection structure.

이에, 상기 보강브라켓(500)은 제3수용공간(502) 내에 가로바(20) 일단 외주가 수용되면서 제2삽입공(501) 내주에 가로바(20) 일면 외주가 긴밀히 밀착되어 외력에 의한 가로바(2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가로바(20)가 외부지지브라켓(100), 내부지지브라켓(200) 또는 지지결속부(300)의 연결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게 된다.The reinforcement bracket 500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2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501 whi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rizontal bar 20 is received in the third accommodation space 502, The horizontal bar 20 strengthen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or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300 while preventing the horizontal bar 20 from being deformed.

또한,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바(20) 내부로 삽입되어 가로바(20)의 내부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보강판(40)이 더 포함되며,10 and 11, it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40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r 20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inner length of the horizontal bar 20,

이때 상기 보강판(40)은 수직의 물결부(41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파형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일측면 상부 및 타측면 하부에서 좌우로 서로 대칭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반구형의 보강탭(41b)이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반구형의 보강탭(41b)이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단 및 하단의 길이방향에서 좌우로 서로 대칭의 수평 연결된 지지탭(41c)이 형성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설치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late 40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in which the vertical wave portions 41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shape formed in a vertical plate shape, and a vertical plate shape, Shaped reinforcing tab 41b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shape in which a hemispherical reinforcing tab 41b is formed in a central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formed in a vertical plate shape, And a shape in which horizontally connected support tabs 41c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보강판(40)을 설치시 가로바(20) 내부로 긴밀히 삽입되거나 가로바(20)가 가로길이방향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등분되어 보강판(40)을 설치 후 이등분된 가로바(20)를 상호 일체의 연결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하게 된다.When the reinforcing plate 40 is installed, the reinforcing plate 4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r 20 or the horizontal bar 20 is vertically or horizontally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mbined so as to have a mutually connected structure.

상기 보강판(40)은 가로바(20)의 변형력에 대항하도록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상술한 보강판(40)에 형성된 물결부(41a), 보강탭(41b)과 지지탭(41c)은 보강판(40) 자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reinforcing plate 40 serves to reinforce the rigidity against the deformation force of the transverse bar 20. The reinforcing plate 40 has the corrugated portion 41a formed on the reinforcing plate 40 and the reinforcing tab 41b and the supporting tab 41c Serves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reinforcing plate 40 itself.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바(20)와 지주(10)가 직교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로바(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편(21)과 상기 지주(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결합편(12)이 설치되어 상기 제1결합편(21)에 상단이 결합되면서 일측면이 제2결합편(12)에 결함되는 관리용 번호판(50)이 더 포함되는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한다.12, the first joining piece 21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transverse bar 20 and the post 10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ransverse bar 20, A management plate 50 having a first end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piece 21 and a second side coupled to the second engagement piece 12 is provided with a second engagement piece 12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engagement piece 2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lamp support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지주 10 연결구 11 가로바 20
체결부 30 볼트 31a, 31b 밀착판 32
체결공 32-1 너트 35 보강판 40
물결부 41a 보강탭 42b 지지탭 41c
외부지지브라켓 100 제1수용공간 101 체결구 102
조절공 103 내부지지브라켓 200 제2수용공간 201
체결구 202 지지결속부 300 제1단턱부 301
결속구 302 제2단턱부 303 제1삽입공 304
제1보강관 410 제1볼트공 411 보강체 420
지지봉 421 제2볼트공 421-1 지지편 422
제2보강관 430 제3볼트공 431 장공볼트 440
밀착지지체 450 결속판 451 제4볼트공 451-1
밀착편 452 보강브라켓 500 제2삽입공 501
제3수용공간 502
Support 10 Connection 11 Horizontal bar 20
Fastening portion 30 bolts 31a, 31b fastening plate 32
Fastening hole 32-1 nut 35 reinforcing plate 40
Wave portion 41a reinforcing tab 42b supporting tab 41c
External supporting bracket 100 first receiving space 101 fastener 102
Adjustable ball 103 Inner support bracket 200 Second accommodation space 201
Fastening tool 202 Supporting fastening part 300 First step jaw 301
Bonding section 302 Second step jaw 303 First insertion hole 304
First reinforcing pipe 410 First bolt hole 411 Reinforcing body 420
The supporting rod 421 the second bolt hole 421-1 the supporting piece 422
Second reinforcing pipe 430 Third bolt hole 431 Long bolt 440
Adhered support body 450 Bond plate 451 Fourth bolt hole 451-1
Tight fitting piece 452 reinforcing bracket 500 second insertion hole 501
The third accommodation space 502

Claims (8)

도로변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상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하향된 지주(10) 일면을 관통하여 전측의 가로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가로바(20)를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20)의 일단이 위치하는 지주(10) 외주면 일면 및 타면으로 관통된 연결구(11)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결구(11)로 결속되어 양단이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가로바(20) 일단이 위치한 노출된 일면은 개방 그리고 타면은 밀폐되면서 내부에 제1수용공간(101)이 형성된 사면체형의 외부지지브라켓(100)과,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제1수용공간(101)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바(20) 일단이 위치한 일면은 개방 그리고 타면은 밀폐되면서 내부에 제2수용공간(201)이 형성된 사면체형의 내부지지브라켓(200)와,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일면을 결합 그리고 내부지지브라켓(100) 일면을 결속하면서 가로바(20)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일면 자유단을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1단턱부(301)가 형성되면서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일면 자유단을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2단턱부(303)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바(20)의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지지결속부(300)와,
상기 내부지지브라켓(200)의 제2수용공간(201) 내에 배치되어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제2수용공간(201)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상하로 관통 그리고 외주 양면을 연통하는 제1볼트공(411)이 형성된 원통형 또는 사면체형의 제1보강관(410)과,
상기 제1보강관(410) 일측에 위치하여 제2수용공간(201) 내에 배치되면서 일측이 지지결속부(300)를 통과하여 일측 일부가 돌출되며, 중앙의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제1보강관(410)의 제1볼트공(411)에 대응되어 양측으로 관통되는 제2볼트공(421-1)이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봉(421)과 상기 지지봉(421)의 외주에 가로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사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편(422)으로 구성되는 보강체(420)와,
상기 보강체(420)의 일측이 지지결속부(300)를 통과하면서 보강체(420) 수직단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제1삽입공(30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결속부(300)의 제1삽입공(304)을 통과하여 가로바(20)의 일단 내부에 위치한 보강체(420)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가로바(20) 일단 내부에 배치되어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가로바(20)의 내부 내주면을 밀착하면서 상하가 관통 그리고 보강체(420)의 제2볼트공(421-1)에 대응되는 외주 양면을 연통하는 제3볼트공(431)이 형성된 원통형의 제2보강관(430) 및,
상기 제2보강관(430)의 제3볼트공(431), 보강체(420)의 제2볼트공(421-1) 및 제1보강관(410)의 제1볼트공(411)을 상호 통과하여 너트(35)로 체결하는 장공볼트(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장치.
And a horizontal bar 20 which is installed and fix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through a side of the support 10 which is downwardly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top of the support 10 Wherein the signal lamp supporting device comprises:
A connection hole 11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rut 10 where one end of the transverse bar 20 is located is formed and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ar 20 are bound to the connection hole 11, 20), a polygonal outer supporting bracket (100)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101) formed therein and having one side exposed and the other side sealed,
A first receiving space (101)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is opened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201) is form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A support bracket 200,
One end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while the other end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1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 second stepped portion 303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o engage one free end of the inner supporting bracket 200 while the first stepped portion 301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is connected A support binding portion 300,
A first bolt hole 411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01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01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201, A first reinforcing pipe 410 having a cylindrical or tetrahedral shape,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and is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01.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ement pipe 410 protrudes through the support coupling part 300, A cylindrical support rod 421 having a second bolt hole 421-1 formed on its both sides to correspond to the first bolt hole 411 of the pipe 410, A reinforcing member 420 composed of a support piece 422 projecting in four directions,
The first insertion hole 304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whi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binding unit 300, 30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420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304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disposed in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And a second bolt hole 431 communic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4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bolt hole 421-1 of the reinforcing body 420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20, A reinforcing pipe 430,
The third bolt hole 431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the second bolt hole 421-1 of the reinforcing member 420 and the first bolt hole 411 of the first reinforcing pipe 410 And an elongated bolt (440) passing through and fastened to the nut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타면과 상기 외부지지브라켓(100)의 타면에 마주하는 내부지지브라켓(200)의 타면이 상호 체결구(102)를 통해 체결되도록 볼트(31a)와 너트(35)로 구성되는 체결부(30)가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장치.The bra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bolts (31a) are fasten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nd the other surfaces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200) facing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bracket (10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30) composed of a nut (35) and a nut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연결구(11) 양측으로 노출된 외부지지브라켓(100)의 상부,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한 쌍씩 구비되면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조절공(103)을 통해 볼트(31b)가 결합되어 볼트(31b)의 회전으로 볼트(31b)의 단부가 조절공(103)에 마주하는 내부지지브라켓(100)의 외주면 일면에 밀착되며, 이때 조절공(103) 외부로 노출된 볼트(31b)에 너트(35)가 결합되면서 조절공(103)을 통해 제1수용공간(101)으로 인입된 볼트(31b)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한 쌍의 체결공(32-1)이 형성된 밀착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장치.The support bracke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hole (103) formed at an upper portion, a lower portion, or both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rnal support bracket (100) expos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hole (11) The end of the bolt 31b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bracket 100 facing the adjustment hole 103 by the rotation of the bolt 31b, The nut 35 is coupled to the externally exposed bolt 31b so that the end of the bolt 31b drawn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01 is screwed through the adjusting hole 103 into a pair of fastening holes 32 -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2).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관(430) 일측에 일면이 밀착되어 가로바(2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보강관(430)의 제3볼트공(4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볼트공(451-1)이 형성된 수직 원판형의 결속판(451)과 상기 결속판(451) 타면의 제4볼트공(451-1) 주변에 사방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결속판(451)에 연결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타단이 가로바(20) 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 수개의 밀착편(452)으로 구성되는 밀착지지체(4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장치.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pipe (430) And a fourth bolt hole 451-1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451. The first bolt hole 451-1 and the second bolt hole 452-1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fourth bolt hole 451-1,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supporting member (450) connected to the inner bar (451) and having a plurality of close contact pieces (452) extending upward at an inclination and the other e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20) 일단의 외주면을 커버하면서 지지결속부(300)에 연결되며, 상기 가로바(20) 일단을 삽입하여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가로바(20)의 수직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삽입공(501)이 형성 그리고 내부에 제3수용공간(502)이 형성되어 가로바(20) 일단이 내속되면서 타면은 개방되어 타면 자유단이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결속부(300)에 이음 연결되는 보강브라켓(5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장치.The vertical bar (20) as set forth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rizontal bar (20) connected to the support binding part (300) while cover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A second insertion hole 501 corresponding to the shape is formed and a third accommodating space 502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third accommodating space 502 so that one end of the transverse bar 20 is extended to open the other surface, And a reinforcing bracket (500)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20) 내부로 삽입되어 가로바(20)의 내부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보강판(40)이 더 포함되며,
이때 상기 보강판(40)은 수직의 물결부(41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파형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일측면 상부 및 타측면 하부에서 좌우로 서로 대칭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반구형의 보강탭(41b)이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반구형의 보강탭(41b)이 형성되는 형태, 수직판재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단 및 하단의 길이방향에서 좌우로 서로 대칭의 수평 연결된 지지탭(41c)이 형성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장치.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plate (40) inserted into the cross bar (20)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n internal length of the cross bar (2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late 40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in which the vertical wave portions 41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shape formed in a vertical plate shape, and a vertical plate shape, Shaped reinforcing tab 41b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shape in which a hemispherical reinforcing tab 41b is formed in a central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formed in a vertical plate shape, And a shape in which horizontally connected support tabs (41c)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20)와 지주(10)가 직교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로바(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편(21)과 상기 지주(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결합편(12)이 설치되어 상기 제1결합편(21)에 상단이 결합되면서 일측면이 제2결합편(12)에 결함되는 관리용 번호판(5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장치.The horizontal bar (20)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engaging piece (21)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bar (20) and the strut (10)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management plate (50) provided with a second engagement piece (12) to be coupled to one side surface an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piece (21) and one side of the second engagement piece (12) And the signal light is reflected by the signal light.
KR1020180127217A 2018-10-24 2018-10-24 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 KR101988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17A KR101988976B1 (en) 2018-10-24 2018-10-24 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17A KR101988976B1 (en) 2018-10-24 2018-10-24 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976B1 true KR101988976B1 (en) 2019-06-13

Family

ID=6684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217A KR101988976B1 (en) 2018-10-24 2018-10-24 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9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8269A (en) * 2019-07-23 2019-11-22 安徽智立通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adar velocity measurement device with bottom thread charging crane
KR102089413B1 (en) * 2019-09-30 2020-03-16 (주)세광산업조명 The post structure of traffic signa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932A (en) * 2000-04-07 2001-10-19 Mitsuo Sato Swingingly drawing-type flag pole
KR100836263B1 (en) 2008-03-27 2008-06-10 (주)한길엔지니어링 Structure for installing a signal lamp
KR100838710B1 (en) 2008-01-22 2008-06-1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Traffic lights bolt holding device
KR101085031B1 (en) * 2011-03-18 2011-11-18 (주) 조영 Install mount for street facility
KR101328059B1 (en) * 2013-09-04 2013-11-08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Utilizing existing holding cross beam connections
KR20160041587A (en) * 2014-10-08 2016-04-18 가나안전주식회사 The installatoin of the cross beam structure
KR101635769B1 (en) * 2015-08-20 2016-07-04 태경이엔씨 주식회사 Column Structu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932A (en) * 2000-04-07 2001-10-19 Mitsuo Sato Swingingly drawing-type flag pole
KR100838710B1 (en) 2008-01-22 2008-06-1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Traffic lights bolt holding device
KR100836263B1 (en) 2008-03-27 2008-06-10 (주)한길엔지니어링 Structure for installing a signal lamp
KR101085031B1 (en) * 2011-03-18 2011-11-18 (주) 조영 Install mount for street facility
KR101328059B1 (en) * 2013-09-04 2013-11-08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Utilizing existing holding cross beam connections
KR20160041587A (en) * 2014-10-08 2016-04-18 가나안전주식회사 The installatoin of the cross beam structure
KR101635769B1 (en) * 2015-08-20 2016-07-04 태경이엔씨 주식회사 Column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8269A (en) * 2019-07-23 2019-11-22 安徽智立通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adar velocity measurement device with bottom thread charging crane
CN110488269B (en) * 2019-07-23 2021-12-21 安徽智立通科技股份有限公司 Radar speed measuring device with bottom screw thread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KR102089413B1 (en) * 2019-09-30 2020-03-16 (주)세광산업조명 The post structure of traffic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976B1 (en) Support apparatus of traffic light
KR100838710B1 (en) Traffic lights bolt holding device
KR101137602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treet light prop
KR102190352B1 (en) Traffic lamp pole structure
JP7020932B2 (en) Roof body
KR200430523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a street lamp post
KR20080015200A (en) A multistage frame-structure for a vinyl house
KR101581837B1 (en) Structural safety has excellen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KR101074743B1 (en) a multipurpose lamppost with installation the several direction
KR200429769Y1 (en) A multistage frame-structure for a vinyl house
KR20200109957A (en) Fence post structure
KR200357076Y1 (en) A safety fence
KR101354084B1 (en) Light of the holding device structure without ribs
KR101143981B1 (en) Angle control apparatus of cross pipe
JP3223499B2 (en) Fence
KR200422797Y1 (en) Connector for Upper Pole and Lower Pole of Street Light
JP7020934B2 (en) Roof body
JP2829819B2 (en) Protective fence for falling rocks
JP7470002B2 (en) Fall prevention device and fall prevention body
JPH0712517U (en) Guard pipe mounting bracket for guard fence
KR101011536B1 (en) Post assembly for hanging signal lamp
KR200479073Y1 (en) Steel prop for vehicle signal light
JP4183239B2 (en) Fence joint structure
KR102575245B1 (en) Fixing bracket for mounting garden light to fence post
KR100515387B1 (en) Median strip for r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