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924B1 - Portable working table for continuous throwing of a flake in a flake fishing boat - Google Patents

Portable working table for continuous throwing of a flake in a flake fishing bo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924B1
KR101988924B1 KR1020180166372A KR20180166372A KR101988924B1 KR 101988924 B1 KR101988924 B1 KR 101988924B1 KR 1020180166372 A KR1020180166372 A KR 1020180166372A KR 20180166372 A KR20180166372 A KR 20180166372A KR 101988924 B1 KR101988924 B1 KR 10198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main body
table main
frame
fishing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영수
진송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6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9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9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work table for fish trap setting of a costal fish trap ship,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used, and managed. The movable work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ork table body; a base frame; a guide frame; an input end; an angle adjusting stand; a support; a lower assembling stand; a rotation support shaft; and a fish trap.

Description

연안통발어선의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Portable working table for continuous throwing of a flake in a flake fishing boa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fishing boat,

본 발명은 연안해역의 통발어선에 설치되어 통발을 바닷속으로 자동 투입시키도록 한 투승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2개의 레일식 측면판과 1개의 레일식 바닥판이 일체로 연결된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1
"자형 단면의 작업대본체를 전,후방측의 지지다리를 이용하여 통발의 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측면판 중에서 선미측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판의 선단 출구 부분을 선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투입단부로 형성시킴으로서, 통발 출구가 선미측을 향하도록 갑판의 좌,우측에 걸쳐 작업대본체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게 배치한 다음, 작업대본체상에 다수 개의 통발을 일렬로 올려 놓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어선의 선속에 의하여 통발이 차례대로 순차 투승될 수 있도록 한 연안통발어선의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g mechanism installed in a fishing boat on a coastal waterside so as to automatically feed a manhole into the sea, wherein two rail type side plates and one rail type bottom plate are integrally connected,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1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located on the aft direction side of the side plates is inserted into the stern side in the stern side direction, By arranging the worktable main body in a diagonal direction acros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ck so that the port outlet faces the stern side and by arranging a large number of turtles in a row on the worktable main body, To a portable worktable for pumping and transporting a fishing boat on a coastal wharf.

일반적으로 통발은 철사 등을 이용하여 요구하는 형상에 맞는 고정틀을 제작하고, 상기 고정틀의 외측면을 따라 그물감을 덮어 씌우는 한편, 해당 그물감의 상부면이나 측면부에 1개 내지 4개 정도의 트랩(Trap)식 입구를 설치한 어구의 일종으로서, 그물감의 내부에 미끼를 투입하여 포획하고자 하는 대상 어종이 입구를 거쳐 그물감의 내부로 유인되도록 한 것이다.Generally, a pipe is manufactured by using a wire or the like to fill a desired shape, and the paint is cover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paint, one to four traps (Trap) type entrance, where the bait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paint, and the target species to be captured is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paint through the entrance.

상기와 같은 통발 어업은 우리나라의 전국 연안해역에 걸쳐 널리 성행되고 있으며, 포획의 대상이 되는 주요 어종은 동해안의 경우 북쪽분홍새우, 문어, 물레고둥, 붕장어, 붉은 대게 등이 되고, 서해안의 경우는 꽃게, 민꽃게, 조피볼락, 쥐노래미, 피뿔고둥 등이 되며, 남해안의 경우는 꽃게, 낙지, 문어, 꼼치(물메기), 붕장어 등이 되는 바, 통발의 크기와 형상은 대상 어종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고, 미끼는 주로 고등어나 정어리 또는 멸치 등이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fish catch is widely spread throughout the coastal waters of Korea, and the major fish species to be captured are the northern pink shrimp, octopus, mullet, conger eel, red sea anemone, etc. on the east coast. The size and shape of the catch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arget fish specie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catch. In the case of the sea coast, The bait is mainly mackerel, sardines or anchovies.

또한, 통발을 이용한 조업방식은 모릿줄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매달린 통발을 바닷속으로 순차 투입하여 각각의 통발이 해저면으로 드리워지도록 한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의 통발을 모릿줄과 함께 어선으로 인양하여 통발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포획생물을 통발로부터 빼내는 과정으로 수행되며, 포획생물을 빼낸 통발이나 미끼가 없어진 통발에 새로 미끼를 넣은 다음 각각의 통발을 다시 바닷속으로 투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on method using the pot trapping method, the pot trapped at constant intervals along the corrugated lines is sequentially injected into the seawater so that each trap is drained to the seabed surface.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carried out as a process of salvaging the fishermen and catching creatures that enter into the trappings from the catches. It is a process of repeatedly putting the catches into the sea after putting new bait in the catches that have lost catch or bait. .

상기와 같이 모릿줄에 매달린 통발을 바닷속으로 투입시키는 투승(投繩) 작업은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상당히 많은 갯수의 통발을 어선의 갑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순차적으로 던져내는 고난도의 육체적 작업으로서, 그 작업강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에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조업에 따른 인건비의 부담이 가중됨은 물론이고, 작업자의 발이 모릿줄에 걸려 각종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mentioned above, the throwing operation which puts the catches hanging on the corrugated lines into the sea is a high-level physical work which throws a considerable number of catches in a relatively short time sequentially from the deck of the fishing vess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the strength is very high but also a lot of manpower is required for the work, and the burden of the labor cost due to the operation is increased, and also various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due to the foot of the work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통발의 투승작업을 자동화시키고자 하는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바, 그 대표적인 예로서 어선의 선속(船速)에 의하여 모릿줄이 자동으로 풀려나가면서 당겨지는 힘으로 통발공급부의 플라이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력을 후크개폐장치로 전달하여 통발 연결용 후크의 개폐작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하며, 상기 후크개폐장치의 상부에 회전원판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원판의 외주면상에 다수 개의 통발장착홈을 형성시킨 어로장비 투승장치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35945호(공고일자: 2011년 05월 23일)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development of a technique to automate the projecting operation of the pilot has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ique in which the fishing line is automatically pulled by the fishing line And a rotary disk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opening / closing device, and the rotating disk is mounted on the rotating disk, Is known fro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5945 (published on May 23, 2011), which has a plurality of catch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ishing rod.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로장비 투승장치는 모릿줄의 끝단에 연결된 닻을 부표와 함께 바닷속으로 던져 넣은 상태에서 어선을 일정한 속도로 전진시킴에 따라 어선의 선속에 의하여 모릿줄이 당겨지도록 하고, 상기 모릿줄이 플라이휠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플라이휠의 회전력을 후크개폐장치로 전달시켜 통발용 후크를 모릿줄과 자동 결속시키게 하며, 모릿줄에 후크가 결속된 통발이 회전원판의 통발장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모릿줄과 함께 바닷속으로 투입되게 하는 방식으로 통발의 투승작업을 자동화시킨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fishing gear trainer, ancho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shing line is thrown into the sea together with a buoy, and the fishing line is advanced at a constant speed so that the fishing line is pulled by the fishing line, And the flywheel is rotated, and the rotation force of the flywheel is transmitted to the hook opening / closing device to automatically bind the hook for hooking to the hoop, and the hook having hooks attached to the hoop is detached from the hoop attachment groove of the rotating disk. It is the automation of the transfer of the torpedo in such a way that it is put into the sea with the ridge lin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로장비 투승장치는 플라이휠의 회전력을 후크개폐장치로 전달하는 전동장치와, 플라이휠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통발용 후크를 자동 개폐시키는 후크개폐장치와, 다수 개의 통발을 외주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후크개폐장치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원판 등이 포함된 상태로 하여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고가의 장치가 될 뿐만 아니라, 해당 장치의 능숙한 조작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숙달기간을 거친 작업자, 즉 숙련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조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fishing gear traction device, there are a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lywheel to the hook opening / closing device, a hook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hook for the pilot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lywheel, And a rotating circular plate rotating together with the hook opening / closing device in a state of being mounted, so that it is not only an expensive device having a relatively complicated structure, but also a worker who has undergone a certain proficiency perio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economic burden due to the operation.

특히, 회전원판의 외주면상에 통발을 수직 방향으로 끼워 넣은 상태에서 해당 통발이 모릿줄과 함께 투입되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에, 붕장어 통발과 같이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형 통발에는 적용이 가능하였으나, 꽃게 통발과 같이 넓고 납작한 원통형 통발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모릿줄에 의하여 비교적 강한 힘으로 회전하는 플라이휠이나 회전원판과 인접한 위치에서 통발을 회전원판상에 주기적으로 끼워주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으로서, 작업자의 발이나 손 부위가 모릿줄에 걸려 투승장치측으로 딸려 들어가는 등의 위험한 상황 및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유발될 소지 또한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ipe-type pilot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such as a conger eardrum, because the pilo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ilot has been inserted along with the corrugation while the pilot has been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disk. It is not possible to apply to a wide and flat cylinder-like projecting such as a cylinder, and it is required to perform a work for periodically fitting the flywheel on a rotating disk at a position adjacent to a flywheel or a rotating disk rotating with relatively strong force by a corrugation line, There is a problem that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foot or a hand part of a foot hanging on a corrugated line and coming into a side of a transmission device and a safety accident resulting therefrom are also very high.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3594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594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2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다수 개의 베이스프레임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하는 한편,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 내측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프레임을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베이스프레임과 일체로 연결시켜 2개의 레일식 측면판과 1개의 레일식 바닥판이 제공된 작업대본체를 제작하는 한편,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방측과 후방측 하부면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다리를 이용하여 작업대본체가 통발의 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며, 상기 측면판 중에서 선미측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판의 선단 출구 부분을 선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투입단부로 형성시킴으로서, 통발 출구가 선미측을 향하도록 갑판의 좌,우측에 걸쳐 작업대본체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게 배치한 다음, 작업대본체상에 다수 개의 통발을 일렬로 올려 놓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어선의 선속에 의하여 통발이 차례대로 순차 투승될 수 있도록 한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2
A plurality of base frames bent in a letter shape are arranged in a line at regular intervals and a guide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respective base frames A worktable main body provided with two rail type side plates and one rail type bottom plate is manufactured and the worktable body is inclined toward the exit direction of the work by using the support legs provided respectively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lower surface of the worktable body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positioned in the af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is formed as a closing end portion rounded in the aft direction so that the work table main body is diagon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ck, , And then a plurality of traps are laid on the work table body in a lin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work bench for a pontoon-ride type in which the pontoon can be successively turned in turn by the speed of the fishing boat with only a simple operation.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방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지지다리를 링크죠인트와 회전지지축이 포함된 각도조절대로 설치하고, 작업대본체의 후방측 하부면에 설치되는 지지다리는 그 높이 조정이 가능한 2개의 막대형 받침대로 설치함으로서, 통발 출구를 기준으로 하는 작업대본체의 기울기와 선미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작업대본체의 경사각도를 통발의 투승방향과 투승거리 등에 맞추어 임의대로 손쉽게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레일식 바닥판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의 수평프레임을 조립파이프로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레일식 측면판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의 수직프레임 하단에는 해당 조립파이프의 양측 내부를 따라 삽입되는 막대형 삽입단부를 설치함으로서, 각각의 레일식 측면판이 레일식 바닥판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길이 또한 임의대로 손쉽게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통발의 직경에 따라 작업대본체의 폭을 용이하게 신축시킬 수 있는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leg provided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is provided as an angle adjustment including a link joint and a rotation support shaft, and a support leg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orktable body based on the tilt of the worktable body with respect to the exit port as a reference and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worktable and the travel distance The horizontal frame of the base frame supporting the rail type bottom plate is installed as an assembly pipe and the lower fram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base frame supporting the rail type side plates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rod-shaped insertion end portions of the rail-type bottom plate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ork bench for a pug-and-foot operation which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protrusions projected to both sides and can easily expand and contract the width of the work table main body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work.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연안의 통발어선에 설치되어 통발을 바닷속으로 자동 투입시키도록 한 투승기구에 있어서, 상기 투승기구는 통발의 출구가 선미측을 향하도록 선체의 갑판 좌,우측에 걸쳐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게 배치되는 이동식 투승작업대가 되고, 상기 투승작업대는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3
"자형 단면의 레일식 가이드가 되는 작업대본체의 전방측 하부면과 후방측 하부면에 지지다리가 각각 제공된 것이며, 상기 작업대본체는 투승작업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최소 3개 이상의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4
"자형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투승작업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이 일체로 연결되어 2개의 레일식 측면판과 1개의 레일식 바닥판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작업대본체의 측면판 중에서 선미측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판의 선단 출구 부분은 선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투입단부로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본체는 각각의 지지다리에 의하여 투입단부가 제공된 선단 출구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swing mechanism provided in a coastal voyage fishing line for automatically inputting a voyage into the sea, the swing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workbench is arranged so as to be transversely diagonally acros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ck,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3
And the support leg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side lower surface and the rear-side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which is a rail-shaped guide of a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work table main body includes at least three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4
Shaped base frame and a guide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uring platform with a predetermined spacing along the inner side of the base frame are integrally connected to provide two rail type side plates and one rail type bottom plate Wherein a front end outlet portion of the side plate located in the aft side direction of the side plat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is formed as a closing end portion rounded in the aft direction and the work table body is provided with a front end outlet And is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이와 더불어,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방측 하부면에 제공되는 지지다리는 각도조정대가 되고, 상기 작업대본체의 후방측 하부면에 제공되는 지지다리는 2개의 막대형 받침대가 되며, 상기 각도조정대는 작업대본체의 하부면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 링크죠인트를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는 작업대본체의 하부면상에 연결 설치되는 메인받침대와, 상기 메인받침대의 하단측을 통하여 스크류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높이 조절용 하부조립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은 하나의 수평프레임과 2개의 수직프레임으로 분할된 것이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조립파이프가 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 하단 일측에는 조립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막대형 삽입단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본체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중 최소 2개 이상의 베이스프레임 바닥면에는 해당 조립파이프를 수직프레임의 삽입단부와 결착시키는 세팅볼트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leg provided on the front-side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becomes an angle adjusting member, and the support leg provided on the lower-side rear surface of the work table body becomes two rod-shaped pedestals, And a rotation support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ith a link joint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each of the support bases is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body And a height adjusting subassembly which is screwed and assembled through a lower end of the main support, wherein each of the base frames is divided into one horizontal frame and two vertical frames And the horizontal frame serves as an assembling pipe, while at the lower end of each vertical frame Wherein the assembly pip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od-shaped insertion en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serted into the assembly pipe, and at least two base frames of the base frame constituting the work base body are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assembly pipe at the insertion en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setting bolt is fastened and install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통발 출구가 선미측을 향하도록 갑판의 좌,우측에 걸쳐 작업대본체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게 배치한 다음, 작업대본체의 후단 입구측에 해당하는 비교적 안전한 위치에서 작업대본체를 따라 다수 개의 통발을 일렬로 밀어 넣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어선의 선속에 의하여 통발이 차례대로 순차 투승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인력에 의한 투승작업에 따른 과도한 작업강도와 인건비 부담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종래의 회전식 투승장치와 달리 누구라도 손쉽게 운반과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고, 그 제작비용도 매우 저렴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의 투승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ork table body is disposed diagonally acros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ck so that the exit port faces the stern side, and then, at a relatively saf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entrance side of the work table body, ,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traps successively by the line speed of the fishing boat only by a simple operation of pushing a plurality of traps along a line in a line. Through this, the excessive work intensity, labor cost burden and safety accid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economical and rational method of a dragging mechanism that can be easily carried, installed, and used by anyone, unlike a conventional rotary knockout apparatus, while minimizing the risk of a knockdown.

특히, 상기 받침대와 각도조정대를 이용하여 통발 출구를 기준으로 하는 작업대본체의 기울기와 선미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작업대본체의 경사각도 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분할구조와 세팅볼트를 이용하여 작업대본체를 이루는 각각의 측면판이 바닥판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길이 또한 조정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통발의 투승방향과 투승거리를 요구하는 위치에 맞추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여러 가지의 원통형 통발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호환성 높은 투승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ork table body based on the inclination of the work table body and the stern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exit port using the pedestal and the angle adjuster, while using the divided structure of the base frame and the setting bolt So that the length of each side plate of the work table body projecting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can be adjus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more quickly an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position required for the throwing direction At the same time, it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highly compatible haptic device which can be universally used for various cylindrical spouting having various diamet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ork bench for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ure 1;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2;
Fig. 6 is a bottom view of Fig. 2; Fig.
7 is a use stat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는 도 1 내지 도 6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측면판과 1개의 바닥판에 의하여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5
"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레일식 가이드로서의 작업대본체(1)와, 상기 작업대본체(1)를 통발어선의 갑판 상부에 소정 높이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작업대본체(1)의 전방측 하부면과 후방측 하부면에 각각 제공되는 지지다리를 주된 구성요소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첨부된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를 투승작업대(10)로 하여 나타내었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vending and throwing mobil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two side plates and one bottom plate,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5
(1) as a rail-type guide produced so as to have a shape of a cross section, and a lower front side of the work table body (1) so as to arrange the work table main body (1) And a support leg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as main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ortable work bench for pug-and-foot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the pivot table 10.

상기 작업대본체(1)는 투승작업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최소 3개 이상(도면상 총 10개)의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6
"자형 베이스프레임(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투승작업대(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3)이 일체로 연결되어 2개의 레일식 측면판과 1개의 레일식 바닥판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2)을 작업대본체(1)를 이루는 가이드프레임(3)의 외측면 둘레 부분에 걸쳐 연결시킨 이유는, 통발의 투승작업시 모릿줄 등이 걸리기 쉬운 돌출부위가 작업대본체(1)의 내측면에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work table main body 1 includes at least three or more (ten in total) of the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6
And a guide frame 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lating workbench 1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frame 2 to form two rail- The reason why the base frame 2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guide frame 3 constituting the work table main body 1 is that the projecting operation So that protruding portions, which are likely to be caught by the corrugated lines, do not occu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프레임(3)은 통발과의 마찰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원형 막대 또는 원형 파이프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2) 또한 가이드프레임(3)과 동일한 종류의 프레임을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7
"자 형태로 절곡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업대본체(1)의 측면판 중에서 선미측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판(도 1 및 도 2에서 우측 측면판)의 선단 출구 부분은 해당 측면판을 이루는 각각의 가이드프레임(3) 선단측이 선미측 방향을 향하여 부드러운 곡률로 라운드(Round)지는 투입단부(4)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same viewpoint, it is preferable to use a circular rod or a circular pipe frame having a smooth surface so that each of the guide frames 3 can minimize the friction with the shot, A frame of the same type as the frame 3 is referred to as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7
And a front end outlet portion of a side plate (the right side plate in Figs. 1 and 2) located on the aft side direction of the side plates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is used, And the leading end side of each of the guide frames 3 is formed as a feeding end portion 4 which is rounded with a smooth curvature toward the stern side direction.

상기 투입단부(4)를 이루는 각각의 가이드프레임(3) 선단측은 가이드본체(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통발의 투승작업시 통발용 모릿줄이 투입단부(4)의 선단측에 걸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투입단부(4)의 선단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이 각각의 가이드프레임(3) 외측면이 아닌 해당 프레임의 최선단면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leading end side of each guide frame 3 constituting the charging end portion 4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guide main body 1 so that the charging corrugation is caught by the leading end side of the charging end portion 4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end side of the insertion end portion 4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ase end portion of the base end portion of the frame does not have to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each guide frame 3 Respectively.

이와 더불어, 상기 작업대본체(1)는 통발의 투승작업이 보다 더 매끄럽게 수행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지다리에 의하여 투입단부(4)가 제공된 선단 출구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작업대본체(1)의 전방측 하부면에 제공되는 지지다리는 링크식 각도조정대(5)가 되도록 하고, 상기 작업대본체(1)의 후방측 하부면에 제공되는 지지다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2개의 막대형 받침대(6)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ork table main body 1 is installed so as to be slant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end outlet side provided with the insertion end portion 4 by the respective support legs so that the shooting operation of the shot work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The supporting leg provided o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work table body 1 is a link type angle adjuster 5 and the support leg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work table body 1 is a height adjustabl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wo rod-shaped pedestals 6 be two.

상기 각도조정대(5)는 도 3 내지 도 5에 걸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본체(1)의 하부면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받침판(14)과, 상기 받침판(14)의 하부면에 링크죠인트(15)를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회전지지축(16)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6)는 도 1 및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본체(1)의 하부면상에 연결 설치되는 메인받침대(9)와, 상기 메인받침대(9)의 하단측을 통하여 스크류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높이 조절용 하부조립대(1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3 to 5, the angle adjuster 5 includes a support plate 1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and a lower plate 1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main body 1, And a rotary support shaft (16) connected and provided with a link joint (15)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of the pedestals (6) comprises a work table body 1), and a height-adjustable lower assembly 11, which is screwed and assembl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main mount 9, as shown in FIG.

상기 각도조정대(5)의 회전지지축(16)은 도 5에서와 같이 통발어선의 선체 난간 또는 그 내측에 제공된 불워크(Bulwark: 선체 난간용 보루)(17)의 상단면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투입단부(4)가 제공된 작업대본체(1)의 선단 출구 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통발어선의 선체 외부로 돌출되는 한편, 불워크(17)와 연결된 각도조정대(5)의 링크죠인트(15)를 중심으로 작업대본체(1)의 상,하 방향 각운동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도 6에서와 같이 각도조정대(5)의 회전지지축(16)을 중심으로 하는 작업대본체(1)의 좌,우 방향 각운동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rotation support shaft 16 of the angle adjuster 5 penetrate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bulwark 17 provided in the hull rail or the inner side of the hull fishing bo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provided with the insertion end portion 4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of the fishing boat by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the angled guide 5 connected to the bulwark 17 The work table main body 1 can be angularly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ink joint 15 of the work table 15 as shown in FIG. The left and right angular movement of the main body 1 becomes possible.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대(6)의 하부조립대(11) 상단면에는 소정 길이의 스크류축(12)이 하부조립대(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4의 확대된 부분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받침대(9)의 하부 중앙 내측에는 하부조립대(11)의 스크류축(12)이 나사체결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만큼 너트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도조정대(5)를 중심으로 하는 작업대본체(1)의 상,하 방향 각운동에 맞추어 각각의 받침대(6)가 수직 방향으로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받침대(9)의 상단부 역시 작업대본체(1)의 하부면과 링크죠인트(15)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1, a screw shaft 1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assembly 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assembly 11 of the support 6, A nut hol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inside the lower center of the main pedestal 9 so that the screw shaft 12 of the lower assemblies 11 can be inserted into the screw shaft 12, The upper end of the main pedestal 9 is also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so that the pedestals 6 can be vertically erecte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angular movements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Plane and the link joint 15 method.

본 발명에 따른 투승작업대(10)의 최적 실시예로서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2)을 하나의 수평프레임과 2개의 수직프레임으로 분할시키되, 상기 수평프레임은 중공형(中空形)의 조립파이프(7)가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 하단 일측에는 조립파이프(7)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막대형 삽입단부(8)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각각의 수직프레임이 삽입단부(8)에 의하여 조립파이프(7)의 좌,우 양측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 and 4, each of the base frames 2 is divided into one horizontal frame and two vertical frames, and the horizontal frame is hollow And a rod-shaped insertion end portion 8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serted into the assembly pipe 7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vertical frames, So that the vertical frame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ssembly pipe 7 by the insertion end portion 8.

따라서, 상기 삽입단부(8)의 길이는 조립파이프(7) 전체 길이의 1/2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삽입단부(8)에 의하여 조립파이프(7)의 좌,우 양측 방향으로 신축되는 수직프레임의 위치를 요구하는 위치에 맞추어 견고히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2)의 바닥면 좌,우측에는 조립파이프(7)를 수직프레임의 삽입단부(8)와 결착시키는 세팅볼트(Setting bolt)(13)가 각각 체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팅볼트(13)는 작업대본체(1)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2) 전체에 걸쳐 적용시킬 수도 있으나, 작업대본체(1)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위치하는 2개의 베이스프레임(2) 또는 작업대본체(1)의 선단측과 후단측 및 중앙측에 위치하는 3개의 베이스프레임(2) 정도에만 적용시키더라도 무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insertion end portion 8 is about 1/2 of the total length of the assembly pipe 7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ipe portion 8 A setting bolt (not shown) for binding the assembling pipe 7 to the insertion end portion 8 of the vertical frame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2 so as to firmly fix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frame, Setting bolts 13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base frame 2. The setting bolts 13 may be applied to the whole of the base frame 2 constituting the work table main body 1, It may be applied only to the two base frames 2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work table body 1 or about the three base frames 2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the center sid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상기와 같은 베이스프레임(2)의 분할구조와 세팅볼트(13)에 의하여 작업대본체(1)의 바닥판으로부터 좌,우측 측면판을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됨으로서, 작업대본체(1)의 폭을 통발의 크기(직경)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며, 각각의 측면판을 바닥판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빼낼 경우, 해당 부분에는 가이드프레임(3)이 적용되지 아니한 상태가 되지만, 통발의 대부분이 바닥판을 이루는 가이드프레임(3)상에 놓이기 때문에 작업대본체(1)를 따라 통발이 이동되는 데에는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다.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can be taken out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divided structure of the base frame 2 and the setting bolts 13, The guide frame 3 is not appli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ottom plate when the side plates are pulled out from the bottom plate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placed on the guide frame (3) constituting the bottom plate, so that there is no trouble in the movement of the bolt along the work table main body (1).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투승작업대(10)를 이용하여 통발어선으로부터 통발을 바닷속으로 순차 투입시키는 과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sequentially inputting the catch from the catching fishing boat into the sea using the touring platform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투승작업대(10)를 이루는 전방측 각도조정대(5)와 후방측 받침대(6)를 이용하여 작업대본체(1)가 통발(18)의 출구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투승작업대(10)를 통발어선(20)의 갑판상에 설치하는 한편, 통발(18)의 출구가 선미측을 향하도록 통발어선(20)의 갑판 좌,우측에 걸쳐 투승작업대(10)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게 배치한 다음, 도 8에서와 같이 작업대본체(1)의 후방 입구측에서 작업대본체(1)를 따라 다수 개의 통발(10)을 일렬로 가지런히 올려 놓게 된다.7, by using the front side angle adjuster 5 and the rear side pedestal 6 constituting the throwing work tab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table body 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exit of the handwash 18 (10) is installed on the deck of the fishing boat (20) so as to incline the fishing boat (20) toward the stern side so that the exit of the fishing boat (18) The worktable 10 is arranged to be transversely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n a plurality of projections 10 are aligned in a line along the work table main body 1 on the rear entrance sid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as shown in Fig. .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모릿줄의 끝단에 연결된 닻을 부표와 함께 바닷속으로 던져 넣은 다음, 통발어선(20)을 일정한 속도로 전진시키게 되면, 통발어선(20)의 선속에 의하여 모릿줄이 당겨지면서 작업대본체(1)의 선단 출구측에 위치한 통발(18)이 최초로 투승되고, 통발(18)과 통발(18)을 연결하는 모릿줄이 풀려 나가는 시간적 인터발(Interval)을 두고 그 다음의 통발(18)이 투승되는 식으로 하여 작업대본체(1)상에 올려 놓은 통발(18)이 순차적으로 투승되는 바, 이러한 통발(18)의 투승작업이 작업대본체(1) 선단측의 라운드진 투입단부(4)를 따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작업자는 통발(18)이 하나씩 투승될 때마다 작업대본체(1)의 후방 입구측으로 통발(18)을 하나씩 올려 놓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When the anchor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corrugated lines are thrown into the sea together with the buoys and the forward fishing boats 20 are advanced at a constant speed in the above state, the corrugated lines are pulled by the line speed of the fishing boats 20 The turret 18 located at the front end outlet sid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is first engaged and the next turret 18 (18) is intermittently released at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corrugation connecting the turret 18 and the turret 18 is released The projecting operation of the projecting shaft 18 is carried out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jecting operation of the projecting shaft 18 is carried out by the rounded projecting end 4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And the operator can only place the cylinder 18 one by one to the rear inlet side of the work table body 1 whenever the cylinder 18 is inserted one by one.

상기와 같이 작업대본체(1)의 후단 입구측에 해당하는 비교적 안전한 위치에서 작업대본체(1)를 따라 다수 개의 통발(18)을 일렬로 밀어 넣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통발어선(20)의 선속에 의하여 통발(18)이 차례대로 순차 투승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인력에 의한 투승작업에 따른 과도한 작업강도와 인건비 부담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종래의 회전식 투승장치와 달리 누구라도 손쉽게 운반과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며, 그 제작비용도 매우 저렴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의 투승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simple operation of push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18 in a line along the work table main body 1 at a relatively saf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entrance sid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isk of excessive work intensity, labor cost burden and safety accident due to the maneuvering operation by the manpower, and in addition, Can be easily transported, installed and u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economically and reasonably afforded.

특히, 상기 받침대(6)와 각도조정대(5)를 이용하여 통발(18)의 출구를 기준으로 하는 작업대본체(1)의 기울기와 선미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작업대본체(1)의 경사각도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분할구조와 세팅볼트(13)를 이용하여 작업대본체(1)를 이루는 각각의 측면판이 바닥판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길이 또한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발(18)의 투승방향과 투승거리를 요구하는 위치에 맞추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여러 가지의 원통형 통발(18)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호환성 높은 투승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with reference to the tilting and stern direction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with reference to the exit of the port 18 using the above-mentioned pedestal 6 and the angle adjusting table 5 Since the length of each side plate of the work table body 1 protruding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can be adjusted using the divided structure of the base frame 2 and the setting bolts 13, It is possible to adjust more quickly an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required position of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projectile 18 and the travel distanc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highly compatible projection mechanism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for various cylindrical projectile 18 having various diameters You can do it.

1 : 작업대본체 2 : 베이스프레임 3 : 가이드프레임
4 : 투입단부 5 : 각도조정대 6 : 받침대
7 : 조립파이프 8 : 삽입단부 9 : 메인받침대
10 : 투승작업대 11 : 하부조립대 12 : 스크류축
13 : 세팅볼트 14 : 받침판 15 : 링크죠인트
16 : 회전지지축 17 : 불워크 18 : 통발
19 : 선체 20 : 통발어선
1: work table body 2: base frame 3: guide frame
4: Input end 5: Angle guide 6: Bracket
7: Assembly pipe 8: Insertion end 9: Main stand
10: Casting platform 11: Lower assembly 12: Screw shaft
13: Setting bolt 14: Support plate 15: Link joint
16: rotation support shaft 17: bulwark 18:
19: Hull 20: Fishing boats

Claims (3)

연안의 통발어선(20)에 설치되어 통발(18)을 바닷속으로 자동 투입시키도록 한 투승기구에 있어서,
상기 투승기구는 통발(18)의 출구가 선미측을 향하도록 선체(19)의 갑판 좌,우측에 걸쳐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게 배치되는 이동식 투승작업대(10)가 되고, 상기 투승작업대(10)는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8
"자형 단면의 레일식 가이드가 되는 작업대본체(1)의 전방측 하부면과 후방측 하부면에 지지다리가 각각 제공된 것이며,
상기 작업대본체(1)는 투승작업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최소 3개 이상의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9
"자형 베이스프레임(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투승작업대(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3)이 일체로 연결되어 2개의 레일식 측면판과 1개의 레일식 바닥판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작업대본체(1)의 측면판 중에서 선미측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판의 선단 출구 부분은 선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투입단부(4)로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본체(1)는 각각의 지지다리에 의하여 투입단부(4)가 제공된 선단 출구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통발어선의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
A touring mechanism provided on a coastal fishing boat (20) for automatically feeding a manhole (18) into the sea,
The driving mechanism 10 is a movable type workbench 10 disposed so as to cross diagonally acros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ck of the hull 19 so that the outlet of the vortex 18 faces the stern side.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8
The support legs are provided on the front-side lower surface and the rear-side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The work table main body 1 includes at least three or more "
Figure 112018128539854-pat00009
And a guide frame 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lating workbench 1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frame 2 to form two rail- A side plate and a rail type bottom plate are provide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located on the aft side direction of the side plat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end portion 4 which is rounded in the aft direction and the work table main body 1 is supported by the respective support legs Is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ading end outlet side provided with the feeding end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본체(1)의 전방측 하부면에 제공되는 지지다리는 각도조정대(5)가 되고, 상기 작업대본체(1)의 후방측 하부면에 제공되는 지지다리는 2개의 막대형 받침대(6)가 되며,
상기 각도조정대(5)는 작업대본체(1)의 하부면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받침판(14)과, 상기 받침판(14)의 하부면에 링크죠인트(15)를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회전지지축(16)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6)는 작업대본체(1)의 하부면상에 연결 설치되는 메인받침대(9)와, 상기 메인받침대(9)의 하단측을 통하여 스크류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높이 조절용 하부조립대(1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통발어선의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
2. The workt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leg provided on the front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body (1) is an angle adjuster (5), and the support leg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work table body Becomes a rod-shaped pedestal 6,
The angle adjuster 5 includes a support plate 1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and a rotary joint 15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4 via a link joint 15. And a support shaft (16)
Each of the pedestals 6 includes a main pedestal 9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table main body 1 and a height adjusting subassembly 11. The portable workt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shing boat is a fishing boa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베이스프레임(2)은 하나의 수평프레임과 2개의 수직프레임으로 분할된 것이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조립파이프(7)가 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 하단 일측에는 조립파이프(7)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막대형 삽입단부(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본체(1)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2) 중 최소 2개 이상의 베이스프레임(2) 바닥면에는 해당 조립파이프(7)를 수직프레임의 삽입단부(8)와 결착시키는 세팅볼트(13)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통발어선의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
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each said base frame (2) is divided into one horizontal frame and two vertical frames, said horizontal frame being an assembly pipe (7) A rod-shaped insertion end portion 8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ssembly pipe 7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At least two or more base frames 2 of the base frame 2 constituting the work table main body 1 are provided with setting bolts 13 for fixing the assembly pipe 7 to the insertion end portions 8 of the vertical frame Wherein the fishing boat is connected to the fishing boat.
KR1020180166372A 2018-12-20 2018-12-20 Portable working table for continuous throwing of a flake in a flake fishing boat KR1019889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72A KR101988924B1 (en) 2018-12-20 2018-12-20 Portable working table for continuous throwing of a flake in a flake fishing b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72A KR101988924B1 (en) 2018-12-20 2018-12-20 Portable working table for continuous throwing of a flake in a flake fishing bo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924B1 true KR101988924B1 (en) 2019-06-13

Family

ID=6684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372A KR101988924B1 (en) 2018-12-20 2018-12-20 Portable working table for continuous throwing of a flake in a flake fishing bo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92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765U (en) * 1985-02-04 1986-08-18
KR920014547U (en) * 1991-01-11 1992-08-14 조규택 Fishing hook
KR200272767Y1 (en) * 2002-01-29 2002-04-19 서인식 Structure for bar jointing and feed supply of a nursery
KR101035945B1 (en) 2008-07-23 2011-05-23 박명오 Fishing device throwing machine
KR20160137460A (en) * 2016-08-23 2016-11-30 정지현 Loading apparatus of seeding box
KR101817900B1 (en) * 2017-07-06 2018-01-1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Line caster for hairtail fish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765U (en) * 1985-02-04 1986-08-18
KR920014547U (en) * 1991-01-11 1992-08-14 조규택 Fishing hook
KR200272767Y1 (en) * 2002-01-29 2002-04-19 서인식 Structure for bar jointing and feed supply of a nursery
KR101035945B1 (en) 2008-07-23 2011-05-23 박명오 Fishing device throwing machine
KR20160137460A (en) * 2016-08-23 2016-11-30 정지현 Loading apparatus of seeding box
KR101817900B1 (en) * 2017-07-06 2018-01-1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Line caster for hairtail fi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1287B1 (en) Device for holding and positioning equipment at - and method for feeding fish in - a cage.
US20110209382A1 (en) System to catch fish and the respective method of use
EP0168959A1 (en) Bi-planar pontoon paravane seismic source system
EP3687286B1 (en) Semi-submersible spar-type offshore fish farm with detachable and pivotable coupling assembly
DE102012008074A1 (en) Recovery method for recovering an underwater vehicle, recovery device, submarine with recovery device, underwater vehicle therefor and system therewith
NO140892B (en)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A ZINC-CONTAINING PAINT WHICH CONTAINS A HYDROLYSIZED TRI (HYDROCARBONOXY) SILAN AND AN ORGANIC TITANIUM COMPOUND AS A BINDER
CN211657205U (en) Automatic fishing net for fishing fishes in marine ranching
KR101988924B1 (en) Portable working table for continuous throwing of a flake in a flake fishing boat
WO20040751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elling and combating pirates
JP6840484B2 (en) Feeding equipment, aquaculture equipment and feeding methods
EP3046833B1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ship's boat or other additional component to be carried along, and use of said device
DE3246555A1 (en) Rescue system for a sea station
JP6837684B2 (en) Control device for fishing paddles equipped on fishing boats
US7354323B1 (en) Motor mount for watercraft
CA2703725C (en) Stacker clamp
US2741052A (en) Mechanical fishing apparatus
CN220032162U (en) Slide type recovery device of high sea condition fishing robot
RU2119144C1 (en) Underwater shooting-gallery
EP3897119B1 (en) Conical roller
DK180632B1 (en) Mobile yarn and line setter
SU765102A1 (en) Device for securing and paying off the bridle of underwater object
GB2152341A (en) Fishing apparatus and method
RU2210890C2 (en) Fishing gear
DE18330C (en) Innovations to torpedo boats
DE19959074A1 (en) Artificial bait for fishing is fastened to line near front, allowing it to assume slanting position in water and assisting in placing it using curr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