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058B1 -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 - Google Patents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058B1
KR101988058B1 KR1020130038780A KR20130038780A KR101988058B1 KR 101988058 B1 KR101988058 B1 KR 101988058B1 KR 1020130038780 A KR1020130038780 A KR 1020130038780A KR 20130038780 A KR20130038780 A KR 20130038780A KR 101988058 B1 KR101988058 B1 KR 10198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printing unit
unit
convey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2352A (en
Inventor
문성진
양승준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058B1/en
Publication of KR2014012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3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표출금부와 인자부 및 반송모듈에서 장애 발생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는 수표출금부(170); 상기 수표출금부(170)로부터 분리되는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로(180a)와, 수표에 인자를 하기 위한 프린터가 구비된 인자부(180); 및 상기 제1반송로(180a)에 연결되어 상기 인자부(180)를 경유한 수표의 출금을 위한 반송경로를 제공하는 제2반송로(190a)가 구비된 반송모듈(190);을 포함하되, 상기 수표출금부(170) 상에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적층되고,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은, 상기 수표출금부(17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71)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상기 수표출금부(170)와 인자부(180) 간의 대향되는 면이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대향되는 면이 이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to eliminate a trouble in a check-in / check-out unit, a printing unit, and a conveyance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comprises a check withdrawal unit 170 in which a check to be withdrawn is loaded; A first conveying path 180a for conveying a check separated from the check accepting unit 170; a printing unit 180 provided with a printer for printing a check; And a conveying module 190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path 180a and having a second conveying path 190a for providing a conveying path for withdrawing a check passed through the printing unit 180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stacked on the check accepting unit 170 and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stacked on the check dispensing unit 170, And the opposite face between the check ticket dispenser 170 and the printing unit 180 is spaced apart from the check dispenser 170 and the opposite face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s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표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자부와 그 내부에 구비된 반송로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intain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having a print unit for printing information on a check and a work space for maintenance of a conveying path provid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improved in convenience of maintenance work.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로서, 고객이 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지폐나 수표를 출금하거나, 입금 등의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is an automation device that can assist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ing or withdrawing without any banking staff,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withdraw a check or make a transaction such as a deposit.

최근에는 지폐의 입출금을 처리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이외에도 지폐와 수표를 동시에 입출금 처리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수표가 입출금되는 반송 경로에는 수표의 표면에 입금확인정보 또는 출금확인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자부가 구비되어 있다.In recent years, in addition to financial automatic machines that handle deposit and withdrawal of bills, there are also automated financial machines that can deposit and withdraw bills and checks at the same time, and deposit confirmation information or withdrawal confirmation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check, There is provided a printing unit for printing.

도 1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출금부와 인자부 및 반송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check withdrawal part, a printing part and a conveying module of a conventional banking automation machin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수표를 취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고 수표의 분리부가 구비된 수표출금부(10)와, 상기 수표출금부(10)로부터 분리되는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로(41)와 수표에 출금확인정보를 인자하기 위한 프린터가 구비된 인자부(20)와, 상기 제1반송로(41)에 연결되어 상기 인자부(20)를 경유한 수표의 출금을 위한 반송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모듈(30)이 구비되고, 상기 수표출금부(10)의 상측으로 인자부(20)와 반송모듈(30)이 적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automated teller machine that handles a check includes a check withdrawal unit 10 on which a check to be withdrawn is loaded and provided with a check separating unit, A printing unit 20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path 41 and provided with a check through the printing unit 20, And a conveying module 3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eck withdrawal part 10. The print module 10 is provided with a printing unit 20 and a conveying module 30,

상기 인자부(20)는 반송모듈(3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인자부(20)의 일측면에는 힌지부(51)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제1반송로(4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5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a)는 도어부(50)가 닫힌 상태, 도 1(b)는 도어부(50)가 선회되어 인자부(20)의 일측면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다.The printing unit 20 is integr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module 30 and is rotated around the hinge unit 51 on one side of the printing unit 20 to expose the first conveying path 41 to the outside The door 50 is opened and closed. Fig. 1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part 50 is closed, and Fig. 1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part 50 is turned and one side of the printing part 20 is open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수표의 출금시 잼(jam)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도어부(50)를 외측으로 선회시켜 제1반송로(41)를 개방시켜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automated teller machine thus configured, when a jam occurs during the withdrawal of a check, the door portion 50 is pivoted outward to open the first conveying path 41 to perform maintenance work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에서는 인자부(20)와 반송모듈(30)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도어부(50)를 개방하더라도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제1반송로(41)가 위치하는 인자부(20)의 일측면만이 개방되므로 인자부(20)의 내부는 외부에서 유지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인자부(20) 내부 장치의 장애 발생시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inancial automation machine, the printing unit 20 and the conveying module 30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fore, even if the door unit 50 is opened, Since only one side of the printing unit 20 in which the first conveying path 41 is located is opened, the inside of the printing unit 20 is not provided with a space for external maintenance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is not easy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표출금부와 인자부 및 반송모듈에서 장애 발생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in order to eliminate a trouble in a check money dispenser, a printing unit, and a conveyance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는 수표출금부(170); 상기 수표출금부(170)로부터 분리되는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로(180a)와, 수표에 인자를 하기 위한 프린터가 구비된 인자부(180); 및 상기 제1반송로(180a)에 연결되어 상기 인자부(180)를 경유한 수표의 출금을 위한 반송경로를 제공하는 제2반송로(190a)가 구비된 반송모듈(190);을 포함하되, 상기 수표출금부(170) 상에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적층되고,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은, 상기 수표출금부(17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71)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상기 수표출금부(170)와 인자부(180) 간의 대향되는 면이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대향되는 면이 이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yment automation apparatus having a check withdrawal unit (170) for receiving a check to be withdrawn; A first conveying path 180a for conveying a check separated from the check accepting unit 170; a printing unit 180 provided with a printer for printing a check; And a conveying module 190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path 180a and having a second conveying path 190a for providing a conveying path for withdrawing a check passed through the printing unit 180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stacked on the check accepting unit 170 and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stacked on the check dispensing unit 170, And the opposite face between the check ticket dispenser 170 and the printing unit 180 is spaced apart from the check dispenser 170 and the opposite face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s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힌지부(171)에는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대향된 면에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172)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hinge portion 171 are supported by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so that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first elastic member 172 to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172 is attached.

또한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에는, 걸림돌기(194)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94)에 걸림되는 후크부(184a)가 형성되고 회전축(183)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걸림부재(184) 및 상기 걸림부재(184)를 상기 걸림돌기(194)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85)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hook portion 184a for hooking the hook portion 19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inting portion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and a rotation shaft 183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85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atching member 184 toward the latching protrusion 194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걸림부재(184)에는 상기 걸림부재(184)의 수동조작을 위한 손잡이부(187)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87)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189)에 삽입되어 회전이동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handle 187 for manual operation of the engaging member 184 protrudes outward from the engaging member 184 and the engaging portion 187 is inserted into a guide hole 189 of a long hole shap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인자부(180)에 대향되는 반송모듈(19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인자부(180)의 양측면에 나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자부(180)의 양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슬라이더(192)가 형성된 지지부재(191)가 구비되고, 상기 인자부(180)의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192)가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장공(181)이 형성되어,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 간에 이격되는 간격이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slider 192 formed to be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protruding toward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module 190 facing the printing unit 180 Shaped slots 181 into which the slider 192 is inser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so that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May be limit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자부와 반송모듈이 수표출금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수표출금부의 상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인자부가 반송모듈과 이격되도록 선회됨으로써, 수표출금부와 인자부 및 반송모듈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ance module are pivoted around the hinge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eck-out unit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heck-out unit is opened and the printing unit is rotated around the hinge uni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module.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 working space for maintenance of the loading part, the printing part, and the conveying modu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maintenance work can be improved.

또한 인자부와 반송모듈의 대향면에 양단이 지지되는 제1탄성부재가 힌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인자부와 반송모듈의 상향 선회시 인자부와 반송모듈이 자동으로 이격되어 작업 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elastic member, which is suppor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ing module, is coupled to the hinge unit,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ing module are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ing module are turned upward, have.

또한 인자부와 반송모듈의 대향되는 측에는 걸림돌기와 후크 형상의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걸림부재에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인자부와 반송모듈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Further,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arrying module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printing portion and the hook-shaped engaging member, and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handle portion, whereby the printing portion and the carrying modul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또한 반송모듈과 인자부에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장공을 구비함으로써, 인자부와 반송모듈의 이격되는 각도가 일정 간격 범위 내로 제한되어 작업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onveying module and the printing unit are provided with arc-shaped slots into which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slider formed in the supporting member are inserted, the angle of separation between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ance module is limited within a certain interval, have.

도 1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출금부와 인자부 및 반송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수표출금부 상에 인자부와 반송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수표출금부의 상측으로 인자부와 반송모듈이 선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인자부와 반송모듈 사이가 벌어져 반송로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이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인자부와 반송모듈 간의 걸림 및 걸림해제를 위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7은 걸림돌기에 걸림부재가 걸림되어 인자부와 반송모듈의 대향면이 밀착된 상태, 도 8은 걸림부재가 선회되어 걸림돌기와 걸림부재 간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 도 9는 인자부와 반송모듈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 도 10은 걸림돌기에 걸림부재가 걸림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heck withdrawal part, a printing part,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inting unit and a conveyance module are coupled to a check withdrawal unit,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ance module are tur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heck withdrawal unit,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spac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a conveying path is provided between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ing modul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5,
7 to 10 are plan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for engaging and releasing between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ance module, Fig. 7 is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posed faces of the printing unit and the conveyance modu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입금될 매체(지폐 및/또는 수표)를 투입받거나 출금된 매체를 반출하는 입출금부(110), 입금 또는 출금되는 매체의 권종 및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매체 감별부(120), 입금된 수표가 일시 수납되는 수표전용 일시수납부(130), 입금 수표에 대해 입금확인정보를 인쇄하는 인자부(131), 입금된 지폐가 일시 수납되는 지폐전용 일시수납부(140), 입금되는 수표를 수납하는 수표입금박스(150), 지폐를 권종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카세트(160), 출금 수표를 저장하는 수표출금부(170)와 출금 수표에 대해 출금확인정보를 인쇄하는 인자부(180), 상기 지폐카세트(160) 및 수표출금부(170)로부터 출금되는 지폐와 수표 중 이상이 있는 매체가 회수되는 리젝트박스(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10 for receiving a deposited medium (bills and / or checks) or for taking out a withdrawn medium, a denomination of a deposited or withdrawn medium, A check only temporary storage unit 13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eposited check, a printing unit 131 for printing deposit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deposit check, a paper currency temporary storage unit 14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eposited paper currency A check deposit box 150 for storing checks to be deposited, a plurality of banknote cassettes 160 for accommodating banknotes for each denomination, a check withdrawal portion 170 for storing withdrawal checks, and withdrawal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withdrawal checks And a reject box 151 in which the banknote which is withdrawn from the bill cassette 160 and the check money paying unit 170 and the medium in which the check is abnormal is collected.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나타내고, 미설명부호 G1,G2,G3는 매체가 반송되는 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게이트를 나타낸다.In Fig. 3, a dotted line represents a transport path on which the medium is transported, and G1, G2 and G3 denote gates for switching the transport path of the medium.

상기 수표출금부(170)에는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고, 수표의 분리를 위한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 분리부(미도시됨)가 구비된다. 수표출금부(170)로부터 분리되는 수표는 제1반송로(180a)를 따라 인자부(180)로 반송되고, 인자부(180)에 구비된 프린터(미도시됨)에 의해 출금확인정보가 인자된 후에 상기 제1반송로(180a)에 연결된 제2반송로(190a)를 따라 반송되어 출금된다. The check money dispenser 170 is equipped with a separator (not shown),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llers for separating check, on which checkbeds to be dispensed are loaded. The check separated from the check-in / check-out unit 170 is conveyed to the printing unit 180 along the first conveying path 180a and is conveyed by a printer (not shown) provided in the printing unit 180, And is conveyed along the second conveying path 190a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path 180a and discharged.

도 3을 참조하면, 수표출금부(170) 상에는 인자부(180)와 상기 제2반송로(190a)가 내부에 구비된 반송모듈(190)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3, on the check-out unit 170, a print module 190 having a printing unit 180 and the second conveying path 190a is stacked.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표출금부(17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71)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수표출금부(170)의 상부가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선회되는 각도는 상측으로 완전히 선회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표출금부(170)의 상면을 기준으로 90°이상 선회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ance module 190 are rotated around the hinge part 17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heck money withdrawal part 170 as shown in FIG.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closed. In this case, the turning angle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ance module 190 is configured to be rotated 90 degrees or more with referen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eck-out unit 170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state of being completely turned to the upper side .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은 힌지부(171)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선회되어 수표출금부(170)의 상면과 인자부(180)의 저면이 이격됨과 아울러, 인자부(180)의 상면과 이에 대향되는 반송모듈(190)의 저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5 and 6,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pivoted upward with the hinge part 171 as the cent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heck-out part 17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unit 180 The top surface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ort module 190 opposed to the top surface of the printing unit 180 can be fixed in a state where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인자부(180)에 대향되는 반송모듈(190)의 일측면에는, 인자부(180)의 양측면에 나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자부(180)의 양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슬라이더(192)가 형성된 지지부재(191)가 구비되고, 상기 인자부(180)의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192)가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장공(18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공(181)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더(192)보다 큰 직경의 원형홀(182)이 형성되어,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밀착된 상태로부터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선회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 slider protruding toward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module 190 facing the printing unit 180 so as to be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19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The printing unit 180 has arc-shaped slots 181 through which the slider 192 is inserted. A circular hole 18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lider 19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elongated hole 181 so that the printing portion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smoothly moved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자부(180)가 반송모듈(19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더(192)가 장공(181)의 선단부에 걸리게 되므로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 간에 이격되는 간격이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부(180)는 상면과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반송모듈(190)은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제1반송로(180a)와 제2반송로(190a) 뿐만 아니라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 내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The slider 192 is caught by the leading end of the elongated hole 181 when the printing unit 180 is pivoted away from the conveying module 190 so that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 Is limit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nd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inting unit 180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veying module 190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printing unit 180 as well as the first conveying path 180a and the second conveying path 190a, And a work space for maintenance inside the transfer module 190 can be secured widely.

또한 상기 힌지부(171)에는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대향된 면에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172)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상측으로 선회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172)의 탄성력에 의해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벌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하측으로 선회되어 수표출금부(170) 상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반송모듈(190)의 하중에 의해 제1탄성부재(172)의 양단이 눌려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대향되는 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수표출금부(170) 상에 결합된다.Both ends of the hinge unit 171 are supported on opposite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to apply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elastic member 172 can be engaged. Therefore, when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turned upward, the force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72 I will get it. In contrast, when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rotated downward and are placed on the check-out unit 170, both end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72 are moved by the load of the conveying module 190 And is pressed onto the check-out portion 170 in a state in which the printing portion 180 and the opposing surface of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에는,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 간의 착탈수단이 구비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반송모듈(190)의 저면 일측에는 인자부(180)를 향하는 방향으로 플랜지부(19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93)에는 걸림돌기(193)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인자부(18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94)에 걸림되는 후크부(184a)가 형성되고 회전축(183)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걸림부재(184) 및 상기 걸림부재(184)를 상기 걸림돌기(194)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8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85)의 양단은 걸림부재(184)와 인자부(180)에 형성된 고정돌기(186)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are provided with detachment means between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6 to 10, a flange portion 19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ort module 190 in a direction toward the printing portion 180, and the flange portion 193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 hook member 184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ing unit 180 so as to be hooked to the hooking protrusion 194 and the hooking member 184 is pivoted about the rotation axis 183,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85 elastically supporting the latching member 184 toward the latching protrusion 194 side. Both ends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85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engaging member 184 and the fixing protrusion 186 formed on the printing unit 180.

또한 상기 걸림부재(184)에는 걸림부재(184)의 수동조작을 위한 손잡이부(187)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87)는 가이드부재(188)에 형성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189)에 삽입되어 회전조작시 손잡이부(187)는 상기 가이드홀(189)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A handle 187 for manual operation of the engaging member 184 is protruded outward from the engaging member 184 and the engaging portion 187 is formed in a guide hole 188 formed in the guide member 188 189 so that the handle 187 moves along the shape of the guide hole 189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도 7 내지 도 9는 손잡이부(187)의 회전조작에 의해 걸림부재(184)의 후크부(184a)와 걸림돌기(194) 간의 걸림이 해제되어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대향되는 면이 서로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7 to 9 show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between the hook portion 184a of the engaging member 184 and the engaging projection 194 is releas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andle portion 187, And the opposed surfaces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184)에는 걸림돌기(194)에 대향되는 측에 경사면(184b)이 형성되어,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을 하측으로 선회시켜 수표출금부(170) 상에 안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경사면(184b)이 걸림돌기(194)를 타고 이동되면서 걸림돌기(194)에 후크부(184a)가 자동으로 걸림되므로 손잡이부(187)를 회전조작할 필요없이 걸림상태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engaging member 184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184b on the side oppos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194 to rotate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downward The hook portion 184a is automatically hooked on the hooking protrusion 194 while the inclined surface 184b is moved on the hooking protrusion 194 so that the hook portion 187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the jamming state without having to operat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수표출금부(170)의 상측으로 선회되어 수표출금부(170)의 상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 또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수표출금부(170)와 인자부(180) 및 반송모듈(190)에서 장애 발생시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turned to the upper side of the check-out unit 17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heck-out unit 170 is opened and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can also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work space for maintenance can be secured widely in the event of a trouble in the check-out unit 170,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There is an advantage.

10 : 수표출금부 20 : 인자부
30 : 반송모듈 41 : 제1반송로
42 : 제2반송로 50 : 도어부
51 : 힌지부 110 : 입출금부
120 : 매체 감별부 130 : 수표전용 일시수납부
140 : 지폐전용 일시수납부 150 : 수표입금박스
151 : 리젝트박스 160 : 지폐카세트
170 : 수표출금부 171 : 힌지부
172 : 제1탄성부재 180 : 인자부
180a : 제1반송로 181 : 장공
182 : 원형홀 183 : 회전축
184 : 걸림부재 184a : 후크부
184b : 경사면 185 : 제2탄성부재
186 : 고정돌기 187 : 손잡이부
188 : 가이드플레이트 189 : 가이드홀
190 : 반송모듈 190a : 제2반송로
191 : 지지부재 192 : 슬라이더
193 : 플랜지부 194 : 걸림돌기
10: Check withdrawal unit 20:
30: conveying module 41: first conveying route
42: second conveying path 50: door part
51: hinge part 110: deposit and withdrawal part
120: Medium discrimination unit 130: Temporary check-only storage unit
140: Temporary banknote storage part 150: Check deposit box
151: Reject box 160: Paper currency cassette
170: Check withdrawal portion 171: Hinge portion
172: first elastic member 180:
180a: first transport path 181: long hole
182: circular hole 183: rotary shaft
184: Retaining member 184a:
184b: inclined surface 185: second elastic member
186: Fixing projection 187: Handle part
188: guide plate 189: guide hole
190: conveying module 190a: second conveying path
191: Support member 192: Slider
193: flange portion 194:

Claims (5)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는 수표출금부(170);
상기 수표출금부(170)로부터 분리되는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로(180a)와, 수표에 인자를 하기 위한 프린터가 구비된 인자부(180); 및
상기 제1반송로(180a)에 연결되어 상기 인자부(180)를 경유한 수표의 출금을 위한 반송경로를 제공하는 제2반송로(190a)가 구비된 반송모듈(190);을 포함하되,
상기 수표출금부(170) 상에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적층되고,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은, 상기 수표출금부(17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71)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상기 수표출금부(170)와 인자부(180) 간의 대향되는 면이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대향되는 면이 이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A check withdrawal unit 170 on which a check to be withdrawn is loaded;
A first conveying path 180a for conveying a check separated from the check accepting unit 170; a printing unit 180 provided with a printer for printing a check; And
And a conveying module 190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path 180a and having a second conveying path 190a for providing a conveying path for withdrawing the check passed through the printing unit 180,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stacked on the check accepting unit 170,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ance module 190 are pivoted around the hinge unit 171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eck money dispensing unit 170 and the check dispense unit 170 and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71)에는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의 대향된 면에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17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oth ends of the hinge unit 171 are supported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to apply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172) is coupl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17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에는, 걸림돌기(194)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94)에 걸림되는 후크부(184a)가 형성되고 회전축(183)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걸림부재(184) 및 상기 걸림부재(184)를 상기 걸림돌기(194)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8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hook portion 184a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conveying module 190 so that the hook portion 184a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194,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85)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engaging member (184) toward the engaging protrusion (194),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member (184)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84)에는 상기 걸림부재(184)의 수동조작을 위한 손잡이부(187)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87)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189)에 삽입되어 회전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The method of claim 3,
A handle 187 for manual operation of the engaging member 184 protrudes outward from the engaging member 184 and the engaging member 187 is inserted into a guide hole 189 having a long hole shape, Wherein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maint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180)에 대향되는 반송모듈(19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인자부(180)의 양측면에 나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자부(180)의 양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슬라이더(192)가 형성된 지지부재(191)가 구비되고,
상기 인자부(180)의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192)가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장공(181)이 형성되어, 상기 인자부(180)와 반송모듈(190) 간에 이격되는 간격이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lider 19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module 190 facing the printing unit 180 so as to be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and protruded toward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A support member 191 is provided,
Circular slots 181 into which the slider 192 is inser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180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printing unit 180 and the transport module 190 is se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0130038780A 2013-04-09 2013-04-09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 KR101988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80A KR101988058B1 (en) 2013-04-09 2013-04-09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80A KR101988058B1 (en) 2013-04-09 2013-04-09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52A KR20140122352A (en) 2014-10-20
KR101988058B1 true KR101988058B1 (en) 2019-06-12

Family

ID=5199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780A KR101988058B1 (en) 2013-04-09 2013-04-09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0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9B1 (en)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nancial device
CN112017354B (en) * 2020-09-07 2022-11-2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Cash recyc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52A (en)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8831B1 (en)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apparatus
EP2472481B1 (en) Paper money transmission and storage device
EP2600322B1 (en) Medium storage box
JP3914807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KR100799460B1 (en) Apparatus of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KR20060131619A (en) Bill handling machine
KR20070028058A (en) Bill stacking unit of a.t.m
KR101250693B1 (en)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JP2013175171A (en) Conveyance control device and paper sheet discrimination device with recycling box
JP5157078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KR101016245B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120078770A (en) Bill stacking apparatus of a.t.m
JP5615391B2 (en) Paper sheet recycle box
JP2019177971A (en) Paper feed tray, paper feed device, and reflux type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1988058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
KR101016460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a rejecting function and reject box for the cash transaction machine
JP6547344B2 (en) Medium storage and medium handling device
JP5898041B2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with transport unit
KR20190131727A (en) Medium stacking cassette, financi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6241363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storage cassette
KR101628204B1 (en) Teller cash recycler
KR20160077908A (en) Teller cash recycler
JP2001240294A (en) Paper sheet stacking device, paper sheet storage and paper sheet handling device
KR200389004Y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070052048A (en) Device for drawing bill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