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684B1 -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684B1
KR101987684B1 KR1020170173540A KR20170173540A KR101987684B1 KR 101987684 B1 KR101987684 B1 KR 101987684B1 KR 1020170173540 A KR1020170173540 A KR 1020170173540A KR 20170173540 A KR20170173540 A KR 20170173540A KR 101987684 B1 KR101987684 B1 KR 10198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velopment
plate
eggs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식
김애경
강병모
Original Assignee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filed Critical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7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8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livesto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2Weigh pans or other weighing receptacles; Weigh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3Support or suspension of weighing platfo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육실에 구성되어 알이 안착된 난좌가 적층되게 구비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통해 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는 중량 측정장치로서, 발육실 바닥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양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발육실 바닥면과 이격되는 웨이트플레이트; 웨이트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커버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되는 한편 웨이트플레이트 위에 구비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커버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웨이트플레이트에 올려진 발육대차에 의해 하강되면서 로드셀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바;를 포함하는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Measuring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for weight of egg}
본 발명은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의 알을 발육실에서 일정기간 동안 발육시킬 때 알의 중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체크할 수 있도록 한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과 같은 조류들은 수정된 알을 어미가 일정한 기간동안 품어 알을 깨고 부화하여 병아리가 태어난다. 이때, 어미는 알을 품고 있는 동안 일정한 주기로 수정된 알을 굴려주어 부화가 잘 되도록 한다.
이러한 알의 부화를 어미에 의한 모계부화 이외에도 인공으로 부화시킬 수 있으며, 조류의 알 즉 달걀을 인공 부화시킬 때에는 먼저 발육실에서 적정 온도와 적정습도를 유지하고 알의 발육을 촉진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일정시간마다 알의 씨눈이 숨쉬는 방향과 분위기를 변경하여 주는 전란(轉卵)작업을 한 다음, 알을 발생실로 옮겨 부화시키게 된다.
특히, 달걀의 경우에 있어서는 37.1∼37.8℃의 온도와, 60∼80%의 습도를 유지하는 발육실에서 18일 동안 전란작업을 한 다음, 알을 발생실로 옮겨 3일 동안에 알을 까는 부화 기간을 갖게 된다.
이렇게 알을 부화시키고자 할 때에는 씨눈의 발육을 위해 부란기 내부에 적당량의 산소가 공급되어야 하며, 또한 발육실에서의 전란작업은 일정한 시간 단위로 일정한 각도만큼 전란(예를 들면 4시간마다 45도 정도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알의 부화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건강한 병아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인공 부화는 부화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부화기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232064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컨트롤러, 가열기, 증발기, 공기순환기, 전란기, 전란틀 및 수납통을 포함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부화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온도조절기, 습도조절기, 공기순환타이머, 전란타이머 및 공기오염도 측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조절기는 설정한 온도의 범위 이내로 상기 수납통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전압조절기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타이머와 전란타이머는 작동시간과 정지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트윈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는 상기 온도조절기의 전압조절기 또는 스위치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다수 개의 가열전구로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습도조절기와 연결되어 작동 및 회전수가 제어되는 증발팬, 증발팬 하단에 위치하여 증발될 물을 보관하는 수통 및 상기 수납통을 관통하여 상기 수통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순환기는 상기 수납통 상부에 구비된 흡입구, 하부에 구비된 토출구,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흡입구 또는 토출구에 부착되어 상기 공기순환타이머와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순환팬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란기는 상기 전란타이머에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구동모터, 회전가이드 및, 수직가이드 또는 수평가이드 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회전 반경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수직가이드 또는 수평가이드와 연결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연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가이드는 상기 전란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 개의 연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가이드는 상기 전란틀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평 연결축 및 상기 다수 개의 수평 연결축을 상호 고정하는 수직 고정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란틀은 상기 전란기의 수직가이드의 다수 개의 연결구멍 중 하나와 조립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수납통은 전면에 투명재질의 창을 가진 개폐문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오염도 측정기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환기팬을 더 구비한 부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화기는 수관을 통하여 수납통의 개폐문을 열지 않고 부화할 때까지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효율적인 수납통 내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하며, 회전반경 및 전란틀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개조할 수 있으며, 공기오염도를 측정한 환기가 가능하고, 비상시 전원차단이나 알람발생을 가능하여 자동으로 제어되어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부화기에서는 알을 부화기 내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알이 제대로 부화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특히, 부화 과정에서 전란을 통해 알의 중량을 조절하여 건강한 부화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알을 부화기에서 꺼내 알의 중량을 측정하여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알의 중량을 측정하는 등의 검란을 위해서는 알을 부화기에서 꺼내야만 하므로, 검란 시마다 개방되는 부화기로 인해 부화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 유지가 어렵고, 검란을 위해 부화기에서 꺼낸 알 역시도 바뀐 환경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원하는 부화가 더이상 진행되지 못해 부화율이 낮거나 건강한 병아리의 부화를 유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320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조류의 알을 발육실에 입란한 후에는 발육실을 열지 않고서도 발육실에서 일정기간 동안 전란을 통해 발육시킬 때 알의 중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체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육실 내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육실에 구성되어 알이 안착된 난좌가 적층되게 구비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통해 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발육실 바닥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양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발육실 바닥면과 이격되는 웨이트플레이트; 웨이트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커버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되는 한편 웨이트플레이트 위에 구비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커버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웨이트플레이트에 올려진 발육대차에 의해 하강되면서 로드셀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바;를 포함하는 알의 중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는 중량 측정방법으로서, 부화기의 발육실로 알의 입란 전에 난좌와 발육대차의 중량을 각각 개별 측정하는 단계; 알이 안착된 난좌를 발육대차에 적층되게 구비하여 발육대차를 통해 알을 발육실의 측정장치 위로 입란시키는 단계; 입란된 알과 난좌를 포함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발육과정 전에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발육과정에서 알과 난좌를 포함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발육과정 전에 측정한 발육대차의 총중량과 비교하여 알의 중량 변화를 산출하는 단계; 측정된 알의 중량 변화에 따라 발육실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및 발육과정의 완료 후 알을 발생기로 이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중량 측정장치는 웨이트플레이트는 그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발육대차를 안내하는 돌출부와, 돌출부 양편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발육대차의 바퀴가 접하여 구름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중량 측정장치는 측정장치의 단부에는 발육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웨이트플레이트까지 상향 경사진 진입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진입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발육대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알이 안착되는 난좌가 적층되게 구비되는 트롤리를 발육실에 넣어 측정부 상에 구비하면 알과 난좌 및 트롤리의 무게를 포함한 중량이 실시간으로 측정됨으로써 발육실에서 발육되는 일정기간 동안 알의 중량 변화를 발육실을 열지 않고서도 모니터링을 통해 알 수 있고, 알의 중량 변화에 따라 발육실 내의 환경을 적절히 제어하므로 환경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이로 인해 부화율을 높일 수 있고, 건강한 병아리를 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측정장치(100)는 부화기 내의 발육실에 구성되어, 알이 안착된 난좌를 포함하는 발육대차(200)의 총중량을 측정하여 알의 중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측정장치이다.
이를 위해, 중량 측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육실 바닥면(G)에 고정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양 베이스플레이트(110) 사이에 구비되어 발육실 바닥면(G)과 이격되는 웨이트플레이트(120)와, 웨이트플레이트(1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130)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커버플레이트(130)에 의해 커버되어 보호되고 웨이트플레이트(120) 위에 구비되는 발육대차(200)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140)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발육실 바닥면(G)의 양측에 나란하게 고정되어 구비되고, 양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일단부는 조인트브라켓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이러한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여러 쌍이 조인트브라켓을 매개로 연속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웨이트플레이트(120)는 양 베이스플레이트(110) 사이에 구비되되, 웨이트플레이트(120)의 하면이 양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연결부 즉 조인트브라켓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웨이트플레이트(120)는 발육실 바닥면(G)과 이격되게 구비된다.
한편, 이와 같은 웨이트플레이트(120)는 2단 구조로 형성되되, 그 상면 중앙부에 웨이트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121)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동되는 발육대차(200)를 안내하고, 이 돌출부(121)의 양측에는 발육대차(200)의 바퀴(210)가 접하여 구름되는 레일부(122)가 돌출부(121)에서 하방향으로 단차져 형성된다.
따라서, 웨이트플레이트(120)의 레일부(122)에서 구름되는 발육대차(200)의 바퀴(210)는 그 양측면이 웨이트플레이트(120)의 돌출부(121)와 커버플레이트(130)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됨으로써 정지 후에는 바퀴(210)의 양측면이 웨이트플레이트(120)의 돌출부(121)와 커버플레이트(130)에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발육대차(200)에서 약간의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발육대차(200)가 웨이트플레이트(120) 상에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이와 같이 구비된 발육대차(2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육대차(200)의 각 층에 적층된 난좌를 전란시킬 때에도 발육대차(200)가 웨이트플레이트(12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안정적인 전란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130)는 웨이트플레이트(120)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 측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이 커버플레이트(130)에 의해 양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구비되는 로드셀(140)이 감싸지므로, 도 6에서와 같이 웨이트플레이트(120) 위로 이동되어 오는 발육대차(200)로부터 로드셀(140)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웨이트플레이트(120)가 발육실 바닥면(G)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됨에 따라 측정장치(100)의 양단부에는 발육대차(200)를 웨이트플레이트(120)로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된 진입플레이트(16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진입플레이트(160)는 발육실 바닥면(G)에서 웨이트플레이트(120)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진입플레이트(160)를 이동하는 발육대차(200)의 양 바퀴(210)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되는 바퀴(2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161)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돌부(161)는 전술한 웨이트플레이트(120)의 돌출부(121)와 동일한 가이드기능을 한다.
한편, 로드셀(1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플레이트(120)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양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후술될 스위칭바(150)에 의해 스위칭되는 로드스위치(141)가 구비된다.
또한, 로드셀(140)과 이격된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대(151)가 구비되고, 이 지지대(151)의 상면에는 그 일단부가 결합 고정된 스위칭바(150)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위칭바(150)의 타단부는 로드셀(140)의 상부 측으로 길게 인출되어 구비되고, 로드셀(140) 상부의 스위칭바(150) 타단부는 연결아암(152)을 매개로 커버플레이트(130)에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웨이트플레이트(120) 위에 알과 난좌를 포함하는 발육대차(200)가 구비되면, 웨이트플레이트(120)가 발육대차(200)에 의해 눌려 하강되고, 웨이트플레이트(120)에 고정된 커버플레이트(130) 및 커버플레이트(130)에 고정된 스위칭바(150)의 타단부 역시도 눌리면서 하강되어 스위칭바(150)의 타단부가 로드셀(140) 상면의 로드스위치(141)를 스위칭시켜 로드셀(14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위칭바(150)는 그 일단부가 로드셀(140)과 일정거리 이격된 지지대(15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대(151)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인출된 외팔보와 같은 형태로서, 스위칭바(150)의 타단부 즉 자유단부가 스위칭바(150)의 일단부 즉 고정단부를 기준으로 벤딩(bending)되면서 로드셀(140)의 로드스위치(141)를 스위칭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로드셀(140)은 컴퓨터와 연결되어 로드셀(140)에서 측정되는 모든 중량값이 컴퓨터에 입력되어 저장되고, 발육과정에서 측정되는 중량값을 발육 전의 측정값과 연산하여 비교 판단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발육실을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얼마든지 발육실 내에서 발육되는 알의 중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그에 따라 발육실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알이 환경변화 없이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발육실 내에서 일정 기간동안 발육됨으로써 부화율을 높일 수 있고, 종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중량 측정장치(100)를 이용한 알의 중량 측정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기의 발육실로 알의 입란 전에 난좌와 발육대차(200)의 중량을 각각 개별 측정하는 단계(S1)와, 알이 안착된 난좌를 발육대차(200)에 적층되게 구비하여 발육대차(200)를 통해 알을 발육실 바닥면(G)의 측정장치(100) 위로 입란시키는 단계(S2)와, 입란된 알과 난좌를 포함하는 발육대차(200)의 총중량을 발육과정 전에 측정장치(100)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S3)와, 발육과정에서 알과 난좌를 포함하는 발육대차(200)의 총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발육과정 전에 측정한 발육대차(200)의 총중량과 비교하여 알의 중량 변화를 산출하는 단계(S4)와, 측정된 알의 중량 변화에 따라 발육실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S5)와, 발육과정의 완료 후 알을 발생기로 이란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특히, 발육실에 입란된 알은 발육실에서 18일 동안 발육이 이루어지고, 18일의 발육과정 동안 알 즉 종란의 무게(중량)가 10∼13% 정도 감소(1일 중량 감소율은 0.6∼0.7%)되어야만 종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화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18일의 발육과정 동안 알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실시간 측정된 알의 중량값은 모두 컴퓨터에 저장되어 발육 전의 측정값과 비교 판단하여 알의 중량 변화 즉 중량의 감소율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측정값의 비교 판단은 발육과정 전에 난좌와 발육대차(200)의 중량을 개별 측정하여 저장하고, 알과 난좌를 포함한 발육대차(200)를 측정한 총중량값에서 난좌와 발육대차(200)의 중량을 차례로 빼 알(종란)의 순수 중량만을 산출할 수 있다. 또, 발육과정에서 측정된 알과 난좌를 포함한 발육대차(200)의 총중량값을 발육과정 전에 측정된 발육대차(200)의 총중량값에서 뺀 차이값을 알의 순수 중량과 비교 판단하면 알의 중량 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알의 중량 변화 즉 감소율에 따른 발육실의 환경 제어는, 작업자에 의한 수동 또는 컴퓨터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으로 발육실의 환기팬을 구동시켜 발육실을 환기시켜 주므로 발육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산소를 공급하며, 발육실 내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와 열은 배출시켜 제거함으로써 알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발육과정 동안 알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알의 1일 중량 감소율을 철저히 지켜 부화율을 높일 수 있고, 종란의 품질을 향상시켜 건강한 병아리를 양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알의 중량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인공 부화시키고자 하는 알을 난좌에 각각 안착시켜 구비한 후, 각 난좌를 전란기능을 갖는 발육대차(200)의 각 층으로 삽입하여 적층되게 구비한다.
이때, 알을 난좌에 구비하기 전에 난좌와 발육대차(200)의 중량을 각각 개별 측정하여 저장해 둔다(S1).
이후, 상기와 같이 알과 난좌를 구비한 발육대차(200)를 발육실 내의 측정장치(100) 위로 이동시키고, 측정장치(100) 위로 이동되는 발육대차(200)는 측정장치(100)의 진입플레이트(160)를 통해 발육실 바닥면(G)과 이격된 웨이트플레이트(120) 위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구비된다(S2).
이와 같이 발육대차(200)가 웨이트플레이트(120) 위에 구비되면, 발육대차(200)의 무게에 의해 웨이트플레이트(120)가 하강되고, 웨이트플레이트(120)에 연결된 커버플레이트(130)와 스위칭바(150) 역시도 웨이트플레이트(120)와 같이 하강된다.
이 과정에서 스위칭바(150)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구비된 로드셀(140) 상면의 로드스위치(141)에 접하여 로드셀(140)을 스위칭온 시킴으로써 로드셀(140)이 작동되어 웨이트플레이트(120) 위에 올려진 발육대차(200)의 총중량을 발육과정 전에 측정하고 이에 연결된 컴퓨터로 출력하여 저장한다(S3).
이와 같이 웨이트플레이트(120)에 구비된 발육대차(200)는 바퀴(210)의 양측면이 각각 웨이트플레이트(120)의 돌출부(121)와 커버플레이트(130)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발육대차(200)의 전란기능이 일정 시간마다 작동되어 발육실 내에서 18일 동안 알을 발육시키게 된다.
이러한 발육과정을 통해 알은 그 중량이 매일 0.6∼0.7%씩 감소되어야 하되, 이는 로드셀(14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발육대차(200)의 총중량을 통해서 발육과정 전에 측정된 발육대차(200)의 총중량값과 비교 판단되어 디스플레이되고(S4), 이를 모니터링하여 발육실 내의 환경 조건을 알의 중량 감소율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S5).
따라서, 알의 중량 변화를 발육실을 열지 않고서도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파악할 수 있고, 알의 중량 감소율에 따라 발육실 내의 환경 조건을 제어하여 발육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산소를 공급하며, 발육실 내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와 열은 배출시켜 제거함으로써 알의 중량을 조절하므로, 18일의 발육과정 동안 알의 중량을 최종적으로 10∼13% 정도로 감소시켜 종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발육과정을 마친 종란을 발생기로 이란시켜 3일 후에 병아리를 부화시키게 됨으로써 종란의 부화율을 높일 수 있고, 건강한 병아리를 양산할 수 있게 된다(S6).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측정장치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웨이트플레이트 121 : 돌출부
122 : 레일부 130 : 커버플레이트
140 : 로드셀 141 : 로드스위치
150 : 스위칭바 151 : 지지대
152 : 연결아암 160 : 진입플레이트
161 : 가이드돌부 200 : 발육대차
210 : 바퀴 G : 바닥면
S1 : 입란전 난좌와 발육대차의 중량을 개별 측정하는 단계
S2 : 알이 구비된 난좌를 발육대차를 통해 발육실의 측정장치 위로 입란하는 단계
S3 : 입란 직후 알과 난좌를 포함한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S4 : 발육과정에서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측정하여 입란 직후 측정한 발육대차의 총중량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S5 : 알의 중량 감소율에 따라 발육실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S6 : 발생기로 이란하는 단계

Claims (4)

  1. 발육실에 구성되어 알이 안착된 난좌가 적층되게 구비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통해 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발육실 바닥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양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발육실 바닥면과 이격되는 웨이트플레이트; 웨이트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커버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되는 한편 웨이트플레이트 위에 구비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커버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웨이트플레이트에 올려진 발육대차에 의해 하강되면서 로드셀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바;를 포함하는 알의 중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는 중량 측정방법으로서,
    부화기의 발육실로 알의 입란 전에 난좌와 발육대차의 중량을 각각 개별 측정하는 단계;
    알이 안착된 난좌를 발육대차에 적층되게 구비하여 발육대차를 통해 알을 발육실의 측정장치 위로 입란시키는 단계;
    입란된 알과 난좌를 포함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발육과정 전에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발육과정에서 알과 난좌를 포함하는 발육대차의 총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발육과정 전에 측정한 발육대차의 총중량과 비교하여 알의 중량 변화를 산출하는 단계;
    측정된 알의 중량 변화에 따라 발육실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및
    발육과정의 완료 후 알을 발생기로 이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의 중량 측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웨이트플레이트는 그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발육대차를 안내하는 돌출부와, 돌출부 양편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발육대차의 바퀴가 접하여 구름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알의 중량 측정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측정장치의 단부에는 발육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웨이트플레이트까지 상향 경사진 진입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진입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발육대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알의 중량 측정방법.
  4. 삭제
KR1020170173540A 2017-12-15 2017-12-15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987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40A KR101987684B1 (ko) 2017-12-15 2017-12-15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40A KR101987684B1 (ko) 2017-12-15 2017-12-15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684B1 true KR101987684B1 (ko) 2019-06-12

Family

ID=6684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540A KR101987684B1 (ko) 2017-12-15 2017-12-15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6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977A (ja) * 2003-09-12 2005-04-07 Ishida Co Ltd 計量秤用台板
KR101232064B1 (ko) 2011-01-26 2013-02-12 이상두 부화기
JP2017003564A (ja) * 2015-06-12 2017-01-05 ミネベア株式会社 荷重検出器及び荷重検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977A (ja) * 2003-09-12 2005-04-07 Ishida Co Ltd 計量秤用台板
KR101232064B1 (ko) 2011-01-26 2013-02-12 이상두 부화기
JP2017003564A (ja) * 2015-06-12 2017-01-05 ミネベア株式会社 荷重検出器及び荷重検出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673B2 (en) Egg incubation transport system and methods regarding same
US10912284B2 (en) Broiler container with a base and side walls, which is designed and set up for receiving and holding at least five living broilers, in particular as part of a unit, and an arrangement of a transport trailer
Adegbulugbe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ic electric egg incubator
KR101987684B1 (ko) 알의 중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4274364A (en) Incubation method
CN106489788A (zh) 禽类种蛋孵化系统及使用其的孵蛋方法
CN105941189A (zh) 一种全自动孵化机
Korsheva et al. The influence of incubator design features on the incubation result
RU2286056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ой в камере с управляемым климатом
CN104137790A (zh) 一种自动控制孵出提醒的孵蛋装置
KR101880501B1 (ko) 달걀 부화장치
US5005523A (en) Hatcher with internally mounted exhaust duct and exhaust damper control means
EP1711050B1 (en) Method for holding poikilothermic poultry, and device for holding poikilothermic poultry
US20230070030A1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using carbon dioxide in poultry egg incubation to improve characteristics of poultry
CN109329211A (zh) 一种肉鸭恒温叉花孵化方法
CN206963716U (zh) 一种蛇类保温孵化箱
CN113951150A (zh) 一种用于野猪分娩养殖棚
AU24438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ubating and hatching eggs
AU611497B2 (en) Hatcher with internally mounted exhaust duct and exhaust damper control means
CN216492768U (zh) 一种鹧鸪用恒温孵化箱
JPH06209670A (ja) 養鶏装置
CN220777000U (zh) 一种养鸡场用育雏取暖保温装置
CN215648796U (zh) 一种基于鸡苗孵化的温控装置
Ogunwande et al. Development of a Still-Air Incubator with a Non-Thermostatic Control
CN109566431A (zh) 一种狗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