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742B1 -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 Google Patents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742B1
KR101986742B1 KR1020180063158A KR20180063158A KR101986742B1 KR 101986742 B1 KR101986742 B1 KR 101986742B1 KR 1020180063158 A KR1020180063158 A KR 1020180063158A KR 20180063158 A KR20180063158 A KR 20180063158A KR 101986742 B1 KR101986742 B1 KR 10198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air
main body
balloon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관
Original Assignee
이무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관 filed Critical 이무관
Priority to KR102018006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33Inflation devices or methods for inflating balloons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주입부 상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홈을 가지는 연결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와 상기 연결부는 연결공이 구비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플랜지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연결캡 및 상기 격벽의 상면에 놓여 상기 연결공과 상기 통공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의 방향에 의해 상기 격벽의 연결공을 개폐시켜 주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본 발명은 부품들의 제작이 용이하면서 조립성이 양호하고, 소형으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며, 필요시에는 본체를 이용하여 고무풍선은 세워놓거나 거치시킬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본체에 연결수단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어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Air injector for rubber balloon}
본 발명은 고무풍선의 공기 주입구에 끼워 고무풍선 내부로 공기를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는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선은 종이, 고무, 비닐 등으로 만든 크고 작은 주머니 속에 공기, 수소 또는 헬륨 등의 기체를 넣어 부풀게 하여 가지고 노는 완구이며, 놀이용은 물론 행사나 및 파티 등의 장식용 및 광고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고무풍선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풍선의 공기 주입구를 사용자가 입안에 넣은 후 공기를 고무풍선 내부로 불어넣어 고무풍선을 부풀게 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과정에서 호흡의 불편함과 함께 입에 통증을 유발하게 되어 많은 양의 고무풍선을 부풀게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입에서 고무풍선의 공기 주입구가 분리되면 고무풍선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고무풍선의 공기 주입구와 입이 분리될 때 고무풍선의 입구를 손으로 정확하게 파지하여 밀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고무풍선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이용한 공기주입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기주입장치는 가격이 비싸고, 휴대가 불편하며, 유지 관리의 불편함이 있고, 업소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개인적인 사용자가 이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10150033호(1999.07.01)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무풍선의 주입구에 간단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고무풍선에 공기를 주입시 공기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이 용이하며, 휴대성과 내구성이 양호한 한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주입부 상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홈을 가지는 연결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와 상기 연결부는 연결공이 구비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플랜지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연결캡과,
상기 격벽의 상면에 놓여 상기 연결공과 상기 통공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의 방향에 의해 상기 격벽의 연결공을 개폐시켜 주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수용홈 하부 내측둘레에 기밀유지턱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으로 끼워지는 상기 연결캡의 바닥부 저면 외측둘레와 접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격벽 상면은 바깥쪽에서 상기 연결공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거나 하향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수용홈 안쪽면에는 하나 이상의 마찰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으로 끼워지는 상기 연결캡의 바깥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캡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홈에 끼워질 때 상기 본체의 플랜지와 접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턱의 저면 또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환형의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기밀유지링이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원형의 박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캡의 통공은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지름은 서로 마주하는 통공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캡의 바닥부 저면에는 상기 작동부재를 향하여 하향 돌출되는 돌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는 본체와 그러한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연결캡 및 본체와 연결캡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를 한 방향으로만 이동시켜주는 작동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부품들의 제작이 용이하면서 조립성이 양호하고, 소형으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며, 필요시에는 본체를 이용하여 고무풍선은 세워놓거나 거치시킬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본체에 연결수단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어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주입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주입기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주입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주입기의 구성을 결합하여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 의 (a),(b)는 공기 주입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는 크게 한쪽은 고무풍선의 공기 주입구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본체와, 그러한 본체의 한쪽에 결합되는 연결캡과, 본체의 한쪽과 연결캡 사이에 위치하여 본체와 연결캡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제어해주는 작동부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0)는,
상측이 고무풍선(400)의 공기 주입구(410)와 연결되고, 하측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어 고무풍선(40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된다.
본체(100)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 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0)는 파이프 형태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통로가 구비되며, 아래쪽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주입부(110)가 형성되고, 그러한 주입부(110)의 상측으로 주입부(1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면서 확장된 원통형의 연결부(120)가 형성되며, 연결부(12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소정 크기의 수용홈(140)이 구비된다.
주입부(110)와 연결부(120)는 연결부(120)의 수용홈(140) 바닥면을 이루는 격벽(130)에 의해 내부 통로가 서로 구획되며, 주입부(110)와 연결부(120)는 공기의 흐름이 연속될 수 있도록 격벽(130)의 중심부에 연결공(131)이 형성됨에 따라 주입부(110)와 연결부(120)의 수용홈(140)은 서로 연통된다.
연결부(120)에는 고무풍선(400)의 공기 주입구(410)가 연결되며, 이를 위하여 연결부(120)의 상단 테두리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구부러진 플랜지(160)가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120)의 외측둘레에 고무풍선의 공기 주입구(410)를 확장시켜 끼우면 공기 주입구(410)의 선단부가 플랜지(160)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연결부(120)로부터 고무풍선(400)의 공기 주입구(41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20)의 수용홈(140)에는 후술되는 연결캡(200)이 끼워져 설치되는데, 연결부(120)의 수용홈(140)을 이루는 내면에는 필요에 따라 마찰돌기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찰돌기는 수용홈(140)의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부(120)의 수용홈(140) 내면에 마찰돌기가 구비되면 수용홈(140)으로 연결캡(200)이 끼워질 때 연결캡(200)의 외면이 마찰돌기와 접면되면서 마찰력을 가지게 됨에 따라 연결부(120)의 수용홈(140)에서 연결캡(200)이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120)에서 수용홈(140)의 내면 아래쪽에는 내측둘레를 따라 환형의 기밀유지턱(150)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밀유지턱(150)이 구비되면 수용홈(140)으로 연결캡(200)이 끼워질 때 연결캡(200)의 바닥부(210) 저면 테두리가 기밀유지턱(150)에 걸려 고정되면서 연결캡(200)의 바닥부(210) 저면이 격벽(13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소정 크기의 공간을 만들어주게 되며, 이러한 공간에는 후술되는 작동부재(300)가 수용된다.
아울러, 기밀유지턱(150)과 연결캡(200)의 바닥부(210) 저면 테두리가 접면되면서 주입부(110)를 통해 유입되어 연결공(131)을 통과한 공기가 수용홈(140)의 내측둘레와 연결캡(200)의 외측둘레 사이를 통해 불필요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격벽(130)의 상면은 평평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기밀유지턱(150)에서 연결공(13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기밀유지턱(150)에서 연결공(131)을 향하여 하향 만곡지는 곡면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유연성을 가지는 후술되는 작동부재(300)가 격벽(130)의 상면을 놓여 연결공(131)을 차단할 때 불필요한 유격 없이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접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주입부(110)에는 사용자가 입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위생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물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개와 같은 위생커버부재가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캡(200)은,
전술한 연결부(120)의 수용홈에 설치되어 주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통과시키며, 수용홈(14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후술될 작동부재를 보호해주고 이탈을 방지해준다.
연결캡(200)의 실시 예를 도 2 와 도 3 및 도 4 를 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연결캡(200)은 상측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함몰되어 바닥부(210)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연결캡(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20)의 수용홈(140) 내부로 끼워져 결합된다.
연결캡(200)의 상단 외측둘레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걸림턱(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걸림턱(220)은 연결캡(200)이 연결부(120)의 수용홈(140)으로 끼워질 때 연결부(120)의 상단에 구비된 플랜지(160)와 접면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수용홈(140)에서 연결캡(200)을 분리시킬 때 파지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 예로 연결캡(200)의 걸림턱(220) 저면 또는 플랜지(160)의 상면에 환형의 설치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설치홈에 환형의 기밀유지링을 설치함으로써, 걸림턱(220)과 플랜지(160)간의 기밀유지력이 더욱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연결캡(200)의 바닥부(210)에는 연결부(120)의 격벽(130)에 구비된 연결공(131)을 통하여 주입되는 공기가 연결부(120)의 수용홈(140)에 결합된 연결캡(20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연결캡(200)을 통과하여 고무풍선(40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통공(211)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캡(200)의 바닥부(210)에 형성되는 통공(211)은 바람직하게 바닥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환형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공(211)이 방사형으로 배열될 때 바닥부(210)의 중심을 가로지르면서 서로 마주하는 통공(211) 사이의 길이는 후술되는 작동부재(300)가 원형일 때 작동부재(300)의 지름보다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형인 작동부재(300)의 지름이 마주하는 통공(211) 사이의 길이보다 길면 주입부(11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때 작동부재(300)가 통공(211)을 모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무풍선(400) 내부로 공기기 주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작동부재(300)는,
연결부(120)의 수용홈(140)에 끼워지는 연결캡(200)의 바닥부(210)와 연결부(120)의 격벽(130) 사이 공간에 위치하여 격벽(130)의 연결공(131)과 연결캡(200)의 통공(211)을 통과하는 공기를 한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작동부재(300)의 실시 예를 도 2 와 도 3 과 도 4 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작동부재(300)는 주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유연성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는 얇은 박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형은 원형이 될 수 있지만, 원형으로 한정될 필요 없이 다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작동부재(300)는 약한 공기의 흐름에도 유동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얇은 금속판이나 얇은 섬유나 얇은 합성수지, 얇은 종이(필요에 따라 표면이 코팅될 수도 있음), 얇은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동부재(300)는 격벽(130)의 상면과 연결부(120)의 수용홈(140)에 끼워져 있는 연결캡(200)의 바닥부(21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자중에 의해 격벽(130)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주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위쪽으로 들려지면서 유입된 공기는 통공(211)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반대로 고무풍선(400)의 내부에서 연결캡(200)의 통공(211)을 통해 주입부(110)로 역류하여 빠져나오려는 공기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져 격벽(130)의 상면에 닿아 격벽(130)의 연결공(131)을 폐쇄시킴에 따라 역류되는 공기는 주입부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부(210)의 저면 중심에 통공(211)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구(212)를 구비하게 되면 연결공(13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작동부재(300)가 들려질 때 작동부재(300)의 중심부는 돌출구(212)에 닿고 상대적으로 작동부재(300)의 외측둘레가 위쪽으로 구부러져 들려짐에 따라 공기가 바닥부(210)의 통공(211)쪽으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수분 등의 유입에 따라 작동부재(300)가 들려진 후 바닥부(210)의 저면에 그대로 붙어 있게 될 경우 역류되는 공기가 격벽(130)의 연결공(131)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게 되지만, 바닥부(210)의 저면에 돌출구(212)가 구비될 경우 작동부재(300)가 바닥부(210)의 저면에 수분 또는 마찰력 등에 의해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과정을 도 5 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기는 도 3 과 같이 본체(100)와 작동부재(300)와 연결캡(200)으로 구성되어 도 4 와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연결부(120)에 고무풍선(400)의 공기 주입구(410)를 벌려 끼우면 고무풍선(400)의 공기 주입구(410)가 연결부(120)의 플랜지(160)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도 5 의 (a)와 같이 본체(100)의 주입부(110)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주입되는 공기가 격벽(130)의 연결공(131)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이때 격벽(130)의 상면에 놓여 있는 작동부재(300)는 연결공(131)을 통해 빠져나오는 공기의 힘에 의해 들리게 되면서 결국 공기는 연결캡(200)의 통공(211)으로 빠져나가 고무풍선(40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입부(11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다가 공기의 주입이 멈추게 되면 도 5 의 (b)와 같이 고무풍선(400)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연결캡(200)의 통공(211)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이때 빠져나오는 공기의 힘은 작동부재(300)에 전달되어 작동부재(300)가 격벽(130)의 상면에 하향 밀착되면서 작동부재(300)에 의해 연결공(131)이 폐쇄됨에 따라 고무풍선(400)의 공기는 본체(100)의 주입부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공기 주입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주입에 사용될 수 있으며, 고무풍선(400)에 공기를 필요한 만큼 주입한 후 고무풍선(400)의 공기 주입구(410)로부터 공기 주입기를 분리한 다음 고무풍선(400)의 공기 주입구(410)를 매듭지어 사용할 수도 있지만, 고무풍선(400)에 공기 주입기를 그대로 연결 시킨 상태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본체(100)의 주입부(110)를 이용하여 고무풍선(400)을 필요한 설치면에 세워놓을 수도 있으며,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고무풍선에 유동이 발생되는 경우, 세워놓은 주입부(110)가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주입부(110)의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구비된 설치부위에 거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주입부(110)의 구멍에 막대와 같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장부재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주입부(110)에 실이나 리본 및 장식물 등 연결시킬 수도 있고, 주입부(110)에 안내 및 설명을 위한 안내부재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무풍선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기의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며, 휴대가 간편하고, 내구성이 좋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고무풍선에 공기를 주입시 공기가 고무풍선에 쉽게 들어가고 들어간 공기는 다시 빠져나가지 않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 110 : 주입부
120 : 연결부 130 : 격벽
131 : 연결공 140 : 수용홈
150 : 기밀유지턱 160 : 플랜지
200 : 연결캡 210 : 바닥부
211 : 통공 212 : 돌출구
220 : 걸림턱 300 : 작동부재
400 : 고무풍선 410 : 공기 주입구

Claims (9)

  1. 소정 길이의 주입부 상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홈을 가지는 연결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와 상기 연결부는 연결공이 구비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플랜지로 구성된 본체;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연결캡; 및
    상기 격벽의 상면에 놓여 상기 연결공과 상기 통공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의 방향에 의해 상기 격벽의 연결공을 개폐시켜 주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캡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홈에 끼워질 때 상기 본체의 플랜지와 접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저면 또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는 환형의 설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기밀유지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용홈 하부 내측둘레에 기밀유지턱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으로 끼워지는 상기 연결캡의 바닥부 저면 외측둘레와 접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격벽 상면은 바깥쪽에서 상기 연결공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거나 하향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용홈 안쪽면에는 하나 이상의 마찰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으로 끼워지는 상기 연결캡의 바깥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원형의 박판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의 통공은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지름은 서로 마주하는 통공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의 바닥부 저면에는 상기 작동부재를 향하여 하향 돌출되는 돌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KR1020180063158A 2018-06-01 2018-06-01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KR10198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158A KR101986742B1 (ko) 2018-06-01 2018-06-01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158A KR101986742B1 (ko) 2018-06-01 2018-06-01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742B1 true KR101986742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158A KR101986742B1 (ko) 2018-06-01 2018-06-01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7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100A (ja) * 1989-12-20 1991-08-20 Fuji Electric Co Ltd 加速リングの偏向電磁石
KR200150033Y1 (ko) 1997-02-15 1999-07-01 김세곤 풍선용 공기주입기
KR20070032953A (ko) * 2004-06-05 2007-03-23 푸 뉴엔 풍선을 밀봉하고 조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92777A (ko) * 2007-04-13 2008-10-16 김동명 조난시 위치알림기구
JP2014097218A (ja) * 2012-11-15 2014-05-29 Tiger Gomme:Kk 飛行ゴム風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100A (ja) * 1989-12-20 1991-08-20 Fuji Electric Co Ltd 加速リングの偏向電磁石
KR200150033Y1 (ko) 1997-02-15 1999-07-01 김세곤 풍선용 공기주입기
KR20070032953A (ko) * 2004-06-05 2007-03-23 푸 뉴엔 풍선을 밀봉하고 조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92777A (ko) * 2007-04-13 2008-10-16 김동명 조난시 위치알림기구
JP2014097218A (ja) * 2012-11-15 2014-05-29 Tiger Gomme:Kk 飛行ゴム風船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0100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107B (zh) 防溢饮用容器
US6959840B2 (en) Cap for double container
KR101335570B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US6929135B1 (en) Stopper and straw within a bottle preventing leakage and providing for drinking a beverage
US4681138A (en) Valvular device for the inflation of balloons, particularly balloons supported by tubular shafts
WO2018068007A1 (en) Diffus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1986742B1 (ko) 고무풍선용 공기 주입기
KR102206987B1 (ko)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100005468U (ko)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구조
US5469842A (en) CPR face mask
JP2006342958A (ja) 流体注入/排出バルブ装置
CN201632358U (zh) 一种防漏气囊喷雾泵装置
JP5079305B2 (ja) 液体吐出器
US2644467A (en) Smoke siphoning ash tray
DE60332336D1 (de) Behälter mit einlassmechanismus
CN205938006U (zh) 一种双塞头气嘴
JP3323330B2 (ja) 泡噴出容器
CN206745629U (zh) 轻量化不倒翁奶瓶
CN211462063U (zh) 一种苹果形气球及其支撑杆
JP3752205B2 (ja) 泡噴出ポンプ容器
US10919059B2 (en) Diffus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1426326B1 (ko) 수도꼭지 연장탭
CN203763795U (zh) 一种具有封堵结构的气球
CN206534879U (zh) 不倒翁奶瓶
CN210772630U (zh) 一种加湿器的折叠水箱及其加湿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