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649B1 - 푸쉬풀 도어 레버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649B1
KR101986649B1 KR1020170173386A KR20170173386A KR101986649B1 KR 101986649 B1 KR101986649 B1 KR 101986649B1 KR 1020170173386 A KR1020170173386 A KR 1020170173386A KR 20170173386 A KR20170173386 A KR 20170173386A KR 101986649 B1 KR101986649 B1 KR 10198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door
pull door
pull
lc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 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군월드 filed Critical (주) 군월드
Priority to KR102017017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09F7/10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and slide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근성이 높고 보행자의 시선이 많이 머무르는 푸쉬풀 도어 레버의 전면에 상업적 광고를 게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푸쉬풀 도어 레버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작동간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작동부재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누름 또는 복원에 의한 회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푸쉬풀(Push-pull) 도어체; 및 상기 푸쉬풀 도어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광고물을 게시하기 위한 광고 게시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 레버{Door lever type of push-pull}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푸쉬풀(Push-pull) 도어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누르고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푸쉬풀 도어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Door Lock)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정키를 비롯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어락 바디(Body)는 도어락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면서 도어의 측단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인 모티스(Mortise)와 연결되어 상기 모티스의 개폐 동작을 위한 주장치로 사용된다.
도어락 바디는 보통 도어의 실외측 및 실내측에 각기 대향 설치되는 작동레버가 각기 일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상태로 작동레버의 회동작용에 따라 스트라이커를 유동시키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형식의 모티스와 연결되어 도어락 기능을 수행하는 회동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회동식 도어락은 도어 개폐를 위해 작동레버를 반드시 회전시켜야 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들고있는 경우나 기타 회전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기가 매우 불편하며, 특히, 일정 각도 이상 회전 동작되어야만 개방이 가능하여 노약자들의 경우 작동레버를 회전 조작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작동레버를 밀거나 혹은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푸쉬풀(Push-pull)형 도어락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4685호(2015.07.01 등록)에는 외부에서 풀레버를 당기거나 내부에서 푸쉬레버를 미는 것만으로 쉽게 도어록을 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도어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는 제1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상에서 푸쉬 동작하는 제1레버를 구비하는 제1본체; 도어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는 제2서포트, 상기 제2서포트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상에서 풀 동작하는 제2레버를 구비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2레버 각각에 도어를 향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2서포트 각각에 제1,2레버의 돌출부 회동에 의해 회동하는 링크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2하우징 각각에 링크부재의 회동에 의해 유동하여 도어에 내장된 잠금구로 이어지는 작동간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6890호(2013.09.04. 등록)에는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열림 방향에 따라 도어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는 제1서포트와, 상기 제1서포트에 결합되어 푸쉬 동작으로 작동간을 회전시켜 도어상의 잠금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본체; 열림 방향에 따라 도어 외측 또는 내측에 결합되는 제2서포트와, 상기 제2서포트에 결합되어 풀 동작으로 작동간을 회전시켜 도어상의 잠금구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도어 잠금장치의 설치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도어 잠금장치 설치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은, 접근성이 높고 보행자의 시선이 많이 머무르는 장치임에도, 광고, 홍보의 수단으로는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4685호(2015.07.01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306890호(2013.09.04.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근성이 높고 보행자의 시선이 많이 머무르는 도어 레버의 전면에 상업적 광고를 게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푸쉬풀 도어 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의 작동간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작동부재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누름 또는 복원에 의한 회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푸쉬풀(Push-pull) 도어체; 및 상기 푸쉬풀 도어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광고물을 게시하기 위한 광고 게시판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 레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시판은, 광고용 영상물을 상영하기 위한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LCD 디스플레이에 인접 배치되어, 인체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고 게시판은, 광고지를 수납하여 게시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테두리가 재봉된 두 장의 투명지로 이루어져, 광고지를 삽입하여 게시하기 위한 수납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고 게시판은, 상기 푸쉬풀 도어체의 전면에 맞닿게 배치되어, 광고지를 덮기 위한 투명판 및 상기 푸쉬풀 도어체의 전면과 선택적으로 접합하여, 상기 투명판의 테두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테두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푸쉬풀 도어 레버의 전면에 상업적 광고를 게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푸쉬풀 도어 레버를 제공함으로써, 접근성이 높고 보행자의 시선이 많이 머무르는 위치에 광고물을 게시하여, 상업적 광고 효과를 높이고 광고 배포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레버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고 게시판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고 게시판을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레버에 관하여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레버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 레버는, 접근성이 높고 보행자의 시선이 많이 머무르는 도어 레버의 전면에 상업적 광고를 게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체(100), 푸쉬풀 도어체(200) 및 광고 게시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의 작동간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작동부재가 장착된다.
도어의 작동간은 일측이 도어의 잠금구와 연결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잠금구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도어가 상기 잠금구의 걸림에 의하여 잠금되거나, 걸림이 풀어져 잠금이 해제되도록 조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의 작동부재는, 일측이 도어의 작동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後述)할 푸쉬풀 도어체(2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치합된 기어(Gear)와 링크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풀 도어체(200)는 상기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누름 또는 복원에 의한 회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구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풀 도어체(200)는 상기 본체(100)에 힌지를 두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누름 또는 당김 동작에 의하여 전후로 회동 간능하다.
상기 푸쉬풀 도어체(200)는 누름 동작에 대하여 일측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작동 부재를 구동하여, 도어가 잠금 해제되도록 작동간을 조작한다. 반면, 상기 푸쉬풀 도어체(200)는 당김 동작에 대하여 일측 전방이 전진하면서, 상기 작동 부재를 구동하여, 도어가 잠금되도록 작동간을 조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풀 도어체(200)는 힌지에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누름 동작이 해제된 이후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밀려난 부위가 전방으로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100) 및 푸쉬풀 도어체(200)는 종래에 개시된 푸쉬풀 도어 레버와 작동 원리 및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광고 게시판(300)은, 상기 푸쉬풀 도어체(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광고물을 게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고 게시판(300)은, 도 1과 같이 광고용 영상물을 상영하기 위한 LCD 디스플레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CD 디스플레이(310)는 녹화된 영상물을 입력받아, 광고성 메시지가 담긴 음성과 함께 영상을 상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LCD 디스플레이(310)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고 게시판(300)은, 도 1과 같이, 상기 LCD 디스플레이(310)에 인접 배치되어, 인체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400)는 적외선 신호에 의하여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보행자가 근접할 경우 상기 LCD 디스플레이(310)의 전원을 온(On)하고,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LCD 디스플레이(310)의 전원을 오프(Off)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푸쉬풀 도어 레버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에만 광고물을 상영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배터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고 게시판(300)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고 게시판(300)은 수납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 및 푸쉬풀 도어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여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납부(320)는 광고지를 수납하여 게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는 수납포켓(321)을 포함하여 상기 개방된 부위로 광고지를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포켓(321)은, 테두리가 재봉된 두 장의 투명지(321-a)(3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포켓(321)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두 개의 아크릴 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아크릴 판의 사이로 광고지를 삽입 또는 인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납포켓(321)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수납된 광고지가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고, 상기 광고지를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다른 변형예로 설계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고 게시판(300)을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고 게시판(300)은 투명판(330) 및 테두리 부재(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 및 푸쉬풀 도어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여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투명판(330)은 광고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푸쉬풀 도어체(200)의 전면과 맞닿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판(330)은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부재(340)는 상기 투명판(340)의 테두리를 고정시키며 상기 푸쉬풀 도어체(340)의 전면과 선택적으로 접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두리 부재(340)는 접착제, 테이프 또는 나사못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푸쉬풀 도어체(340)에 접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푸쉬풀 도어, 광고지를 삽입하고 인출하기에 용이하여, 수시로 광고지를 교체하여 게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본체
200: 푸쉬풀 도어체
300: 광고 게시판
310: LCD 디스플레이
311: 충전식 배터리
320: 수납부
321: 수납포켓
330: 투명판
340: 테두리 부재
400: 적외선 센서

Claims (5)

  1.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의 작동간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작동부재가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누름 또는 복원에 의한 회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푸쉬풀(Push-pull) 도어체; 및
    상기 푸쉬풀 도어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광고물을 게시하기 위한 광고 게시판을 포함하되,
    상기 광고 게시판은,
    광고용 영상물을 상영하기 위한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LCD 디스플레이에 인접 배치되어, 인체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신호에 의하여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보행자가 근접할 경우 상기 LCD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온(On)하고,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LCD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Off)하되,
    상기 광고 게시판은,
    광고지를 수납하여 게시하기 위한 수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두 개의 아크릴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크릴 판 사이로 광고지를 삽입하여 게시하기 위한 수납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 레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게시판은,
    상기 푸쉬풀 도어체의 전면에 맞닿게 배치되어, 광고지를 덮기 위한 투명판 및
    상기 푸쉬풀 도어체의 전면과 선택적으로 접합하여, 상기 투명판의 테두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테두리 부재를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 레버.

KR1020170173386A 2017-12-15 2017-12-15 푸쉬풀 도어 레버 KR10198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86A KR101986649B1 (ko) 2017-12-15 2017-12-15 푸쉬풀 도어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86A KR101986649B1 (ko) 2017-12-15 2017-12-15 푸쉬풀 도어 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649B1 true KR101986649B1 (ko) 2019-06-07

Family

ID=6684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386A KR101986649B1 (ko) 2017-12-15 2017-12-15 푸쉬풀 도어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6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8612A1 (en) * 2005-10-19 2008-06-26 Thompson Peter J Display panel for a door handle
JP2010085850A (ja) * 2008-10-01 2010-04-15 Moriyama Kasei Kk 掲示物収納袋
KR101306890B1 (ko) 2012-05-23 2013-09-10 (주)혜강씨큐리티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534685B1 (ko) 2013-11-22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제품의 소형화를 위한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KR20160042296A (ko) * 2014-10-08 2016-04-19 주식회사 디에스아이텍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8612A1 (en) * 2005-10-19 2008-06-26 Thompson Peter J Display panel for a door handle
JP2010085850A (ja) * 2008-10-01 2010-04-15 Moriyama Kasei Kk 掲示物収納袋
KR101306890B1 (ko) 2012-05-23 2013-09-10 (주)혜강씨큐리티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534685B1 (ko) 2013-11-22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제품의 소형화를 위한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KR20160042296A (ko) * 2014-10-08 2016-04-19 주식회사 디에스아이텍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412B2 (en) Mirror having a portion in the form of an information provider
US6424387B2 (en) Recording medium including liquid crystal layer
EP2164060B1 (en) System for selectively revealing indicia
CN102640073B (zh) 便携式计算系统
BRPI0903924A2 (pt) distribuidor e sistema e método para revelar seletivamente informações a um observador
JP2008517394A5 (ko)
KR101986649B1 (ko) 푸쉬풀 도어 레버
CN205706968U (zh) 公共自行车租还车多功能锁桩
CN208938265U (zh) 警务自助办理终端
CN201128303Y (zh) 风琴式公文包
CN210429229U (zh) 一种社区宣传装置
CN210977220U (zh) 一种开度可调节的缓闭式单元门
CN210722289U (zh) 一种高可靠性广告牌框
CN210931103U (zh) 一种可限制出纸量的厕纸盒
CN209483098U (zh) 一种便于更换广告牌的社区门
CN209780473U (zh) 一种具有多功能开锁方式的电子锁
CN201383136Y (zh) 一种红外触摸显示器
WO2006061749A3 (en) A rollable bi-stable display
CN219895542U (zh) 一种多功能广告抽纸盒
KR20200061511A (ko) 화이트보드 겸용 전자칠판
CA2666072A1 (en) Folder with card-receiving recess
CN201231761Y (zh) 购物车或行李车用多媒体播放器
JPH10146252A (ja) 額縁兼用鏡
TWM555795U (zh) 自助機用具鎖鑰式前開換紙裝置的印表機及該自助機
KR200384322Y1 (ko) 회전식 주차스티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