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597B1 -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597B1
KR101986597B1 KR1020170176891A KR20170176891A KR101986597B1 KR 101986597 B1 KR101986597 B1 KR 101986597B1 KR 1020170176891 A KR1020170176891 A KR 1020170176891A KR 20170176891 A KR20170176891 A KR 20170176891A KR 101986597 B1 KR101986597 B1 KR 101986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unit
load
leve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채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6Steering behaviour; Rolling behavi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와 결합된 상기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의 타측면을 고정하는 하부고정지그; 하부고정지그에 고정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후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일단이 제1 지지부의 종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클러치에 연결되어 고정력 또는 작동력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제1 가력부를 구비하는 제1 시험유닛; 레버를 동작시킬 수 있는 레버작동부를 구비하며, 제1 시험유닛의 측면에 배치되고, 작동내구성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제2 시험유닛; 및 제1 시험유닛 또는 제2 시험유닛에서 제공되는 하중에 따라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상태를 평가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Multi-test apparatus for performing steering column of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를 시험체가 해체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이나 버스 등과 같은 소형트럭에는 운전자 조작에 의해 차량의 조향기능을 수행하는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있다.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스티어링컬럼 브라켓(11)에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와 레버(12b)가 구비되어 레버(12b)의 작동에 따라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의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을 하는 클러치(12)가 결합된다.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는 조립된 후에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프(telescope)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를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각각의 평가를 위해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를 서로 독립된 시험장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를 조립 및 해체를 반복해야 하므로 시간이 증가하여 제품의 적정성 평가를 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71352호, 1999년 05월 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를 시험체가 해체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에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와 레버가 구비되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의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을 하는 클러치가 결합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가를 수행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는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와 결합된 상기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의 타측면을 고정하는 하부고정지그; 하부고정지그에 고정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후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일단이 제1 지지부의 종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클러치에 연결되어 고정력 또는 작동력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제1 가력부를 구비하는 제1 시험유닛; 레버를 동작시킬 수 있는 레버작동부를 구비하며, 제1 시험유닛의 측면에 배치되고, 작동내구성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제2 시험유닛; 및 제1 시험유닛 또는 제2 시험유닛에서 제공되는 하중에 따라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상태를 평가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력부는 중앙관통홀과, 중앙관통홀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이드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판; 일단이 제1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중앙관통홀에 삽입 연장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로드셀; 일단이 제1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사이드관통홀에 삽입 연장되어 로드셀의 작동을 안내하는 실린더; 로드셀 및 실린더의 종단에 결합되는 연결판; 연결판에 소정간격 이격배치되고, 클러치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하중전달부; 및 하중전달부와 연결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압축된 상태에서 실린더에 탄성복원력을 추가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중전달부는 하중전달판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폭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 사이에 끼워지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시험유닛은 제1 지지부의 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부; 일단이 제2 지지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작동내구 평가 하중을 제공하는 제2 가력부; 및 제2 가력부의 종단에 결합되어 제2 가력부의 작동에 따라 소정각도 이내에서 반복 회동구동하는 회동구동부;를 구비하며, 레버작동부는 회동구동부에 결합되어, 측면에 위치하는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레버의 일영역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가력부의 작동에 따라 회동구동부가 작동하면서 레버를 반복 회동구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유닛은 기설정된 하중을 제공하는 하중제어 유닛; 및 입력된 하중과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가 입력된 하중에 대해 반응한 하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는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의 시험을 수생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제품에 대한 현장관리가 가능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스티어링컬럼 브라켓과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와 레버가 구비된 클러치가 결합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의 측면 사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를 시험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의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의 측면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스티어링컬럼 브라켓(11)에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와 레버(12b)가 구비되어 레버(12b)의 작동에 따라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의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을 하는 클러치(12)가 결합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부고정지그(110), 제1 시험유닛(120), 제2 시험유닛(130) 및 제어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고정지그(110)는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1)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와 결합된 스티어링컬럼 브라켓(11)의 타측면(11a)을 고정한다.
제1 시험유닛(120)은 하부고정지그(110)에 고정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의 후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121), 일단이 제1 지지부(121)의 종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클러치(12)에 연결되어 고정력 또는 작동력 평가를 위한 고정력 또는 작동력 하중을 제공하는 하중전달부(126)를 구비한다.
제2 시험유닛(130)은 레버(12b)를 동작시킬 수 있는 레버작동부(134)를 구비하며, 제1 시험유닛(120)의 측면에 배치되고, 레버(12b)에 연결되어 작동내구성 평가를 위한 반복 하중(cycling load)을 제공한다.
제어유닛(140)은 제1 시험유닛(120) 또는 제2 시험유닛(130)에서 제공되는 하중에 따라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하중을 작용하며, 작용하중에 따른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의 작동상태를 평가한다.
이하에서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하부고정지그(1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스티어링컬럼 브라켓(11)의 타측면(11a)의 2 곳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하부받침대(111)와 회전고정부(112)를 구비한다.
하부받침대(111)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스티어링컬럼 브라켓(11)의 타측면(11a)고 고정되어 스티어링컬럼 브라켓(11)이 상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고정부(112)는 하부받침대(111)에 연결되어 회전구동하면서 하부받침대(111)에 연결된 스티어링컬럼 브라켓(1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시험유닛(120)은 하부고정지그(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 지지부(121), 지지판(122), 로드셀(123), 실린더(124), 연결판(125), 하중전달부(126) 및 탄성스프링(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지지부(121)는 하부고정지그(110)에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판(122)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1 지지부(121)의 상단에 결합되며, 판상의 중앙에 중앙관통홀(1221)이 형성되고, 중앙관통홀(1221)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이드관통홀(1222)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판(122)은 수평한 하부받침대(111)에 대해서 소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어 로드셀(123)이 기울어져 고정되도록 한다.
로드셀(123)은 일단이 제1 지지부(121)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중앙관통홀(1221)에 삽입 연장되어 연결판(125)과 연결되어 고정력 또는 작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로드셀(123)은 후술하는 레버작동부(134)가 제어유닛(140)을 통해 작동하여 레버(12b)를 전방으로 밀어 고정(locking)된 상태에서 고정력시험을 수행하는 고정력을 제공하고, 레버작동부(134)가 제어유닛(140)을 통해 작동하여 레버(12b)를 후방으로 당겨져 고정이 해제된 오픈(open)된 상태에서 작동력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실린더(124)는 일단이 제1 지지부(121)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사이드관통홀(1222)에 삽입 연장되어 연결판(125)에 결합되며, 로드셀(123)을 통해 하중이 전달될 때에 하중이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로드셀(12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연결판(125)은 로드셀(123) 및 실린더(124)의 종단에 결합된다.
하중전달부(126)는 연결판(125)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고, 클러치(12)에 구비된 연결부(12c)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중전달판(1261), 연결부(1262) 및 핀고정부(1263)를 구비한다.
하중전달판(1261)은 연결판(125)에 대해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탄성스프링(127)을 통해 연결된다. 연결부(1262)는 하중전달판(1261)보다 길이방향으로 짧으며, 전체적으로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평평한 면이 연결판(125)에 연결되고, 타측면이 전방으로 돌출연장되는 연결구를 구비한다. 이때,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구는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폭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영역에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다.
핀고정부(1263)는 하중전달판(1261)의 양단중 일단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연결부(1262)에 형성된 홀과 동일한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봉(1264)은 연결부(1262)와 핀고정부(1263) 각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에 형성된 홀(12c)에 끼워져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에 결합된다.
탄성스프링(127)은 사이드관통홀(1222)이 형성된 위치에서 하중전달부(126)와 연결판(125) 사이에 배치되어 로드셀(123)의 작동에 따라 압축된 상태에서 실린더(124)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보다 손쉽게 로드셀(123)이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2 시험유닛(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시험유닛(130)은 제1 시험유닛(120)의 측면에 배치되고, 레버(12b)에 연결되어 작동내구성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2 지지부(131), 제2 가력부(132), 회동구동부(133) 및 레버작동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지지부(131)는 제1 지지부(121)의 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제2 가력부(132)는 일단이 제2 지지부(13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작동내구 평가 하중을 제공한다. 제2 가력부(132)는 작동내구 평가를 위한 반복하중(cycling load)을 적용한다. 이때, 제2 가력부(132)는 고정(Locking)과 오픈(Open) 작동을 1회로 하여 총100회를 반복하여 작용하도록 한다.
회동구동부(133)는 제2 가력부(132)의 종단에 결합되어 제2 가력부(132)의 작동에 따라 소정각도 이내에서 반복하여 회동구동하게 된다. 이때, 회동구동부(133)의 회동각도는 레버(12b)의 회동되는 범위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작동부(134)는 회동구동부(133)에 결합되어, 측면에 위치하는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의 레버(12b)의 일영역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공간에 레버(12b)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레버(12b)를 고정상태 또는 오픈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버작동부(134)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공간에 레버(12b)를 감싸고 있으므로 제2 지지부(131)를 통해 레버(12b)를 전후방으로 반복구동시킬 때에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시험유닛(130)은 레버(12b)를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제2 가력부(132)를 통해 전후방으로 기설정된 횟수로 반복구동시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의 이상 여부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제어유닛(140)은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를 평가할 수 있는 기설정된 하중이 입력된 하중제어유닛(141)을 구비하고, 입력된 하중에 대해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1)가 반응한 하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2)를 구비한다. 따라서 반응한 하중이 목표된 하중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하중이 미치지 못하여 제품에 오류가 있는 경우, 경고음을 통하여 제품에 이상이 있음을 청각적으로도 알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이용하여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표 1과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112017127559528-pat00001
먼저, 고정력(locking force) 시험은 표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험기에 시험편을 장착하여 레버(120b)를 고정(locking)한 상태에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틸팅부(A)에 하중 2500N을 작동시켰을 때, 틸팅부(A)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며, 작동하면 안된다. 이때, 레버(12b)를 고정하는 레버고정부(136)가 상측에 있을 때 레버(12b)가 고정된 상태이다.
그 다음으로, 작동력(opening force) 시험은 표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험기에 시험편을 장착하여 레버(120b)를 오픈(open) 한 상태에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틸팅부(A)에 하중 200N을 작동시켰을 때, 틸팅부(A)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며, 이때 틸팅부(A)는 작동해야 된다. 여기서, 레버(12b)를 고정하는 레버고정부(136)가 하측에 있을 때 레버(12b)가 오픈된 상태에 있다.
마지막으로 작동력평가 시험은 표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험기에 시험편을 장착하여 레버(12b)를 고정(Locking)과 오픈(open) 작동을 1회로 총100 회 반복하여 구동한 후에 시험체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상기 전술한, 작용하중은 일 실시예로 설명한 것으로서,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틸팅부의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시된 하중에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는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의 시험을 수생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제품에 대한 현장관리가 가능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하부고정지그 120 : 제1 시험유닛
130 : 제2 시험유닛 140 : 제어유닛

Claims (5)

  1.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에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와 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의 틸트(tilt) 및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을 하는 클러치가 결합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가를 수행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서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의 타측면(11a)과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하면서 하부받침대에 연결된 상기 스티어링컬럼 브라켓을 고정하는 회전고정부를 구비하는 하부고정지그;
    상기 하부고정지그에 고정된 상기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후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클러치에 연결되어 고정력 또는 작동력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하중전달부를 구비하는 제1 시험유닛;
    상기 레버를 동작시킬 수 있는 레버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시험유닛의 측면에 배치되고, 작동내구성 평가를 위한 하중을 제공하는 제2 시험유닛; 및
    상기 제1 시험유닛 또는 제2 시험유닛에서 제공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고정력 평가, 작동력 평가 및 작동내구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상태를 평가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험유닛은,
    상기 하부고정지그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앙관통홀과, 상기 중앙관통홀을 중심으로 양측에 사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소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되는 지지판;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관통홀에 삽입 연장되어 고정력 또는 작동력을 제공하는 로드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사이드관통홀에 삽입 연장되어 상기 로드셀의 작동을 안내하는 실린더;
    상기 로드셀 및 상기 실린더의 종단에 결합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에 소정간격 이격배치되고, 상기 클러치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하중전달부; 및
    상기 하중전달부와 상기 연결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에 탄성복원력을 추가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중전달부는,
    상기 연결판에 대해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통해 연결되는 하중전달판과, 상기 하중전달판보다 길이방향으로 짧으며, '⊥'자로 형성되어 평평한 면이 상기 연결판에 연결되고, 타측면이 전방으로 돌출연장되는 연결구를 구비하여, 상기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구는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폭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영역에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연결부(1262)와, 상기 하중전달판의 양단중 일단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홀의 형성되는 핀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핀고정부 각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에 형성된 홀(12c)에 끼워져 상기 스티어링컬럼 슬라이더(12a)에 결합되는 고정봉을 구비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레버작동부가 작동하여 상기 레버를 전방으로 밀어 고정(locking)된 상태에서 고정력시험을 수행하는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레버작동부가 작동하여 상기 레버를 후방으로 당겨져 고정이 해제된 오픈(open)된 상태에서 작동력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험유닛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부;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작동내구 평가 하중을 제공하는 제2 가력부; 및
    상기 제2 가력부의 종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가력부의 작동에 따라 소정각도 이내에서 반복 회동구동하는 회동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작동부는,
    상기 회동구동부에 결합되어,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의 레버의 일영역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가력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동구동부가 작동하면서 상기 레버를 반복 회동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기설정된 하중을 제공하는 하중제어 유닛; 및
    입력된 하중과 상기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가 입력된 하중에 대해 반응한 하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KR1020170176891A 2017-12-21 2017-12-21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KR10198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891A KR101986597B1 (ko) 2017-12-21 2017-12-21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891A KR101986597B1 (ko) 2017-12-21 2017-12-21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597B1 true KR101986597B1 (ko) 2019-09-30

Family

ID=6809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891A KR101986597B1 (ko) 2017-12-21 2017-12-21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427B1 (ko) 2024-04-03 2024-05-23 주식회사 에스엔에스랜드 텔레스티어링 컬럼의 자동 습동하중 측정 및 튜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352B1 (ko) 1996-09-30 1999-05-15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조향휠의 내구성 테스트장치
JP2007155337A (ja) * 2005-11-30 2007-06-21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アッセンブリーの動作試験装置
KR20140100061A (ko) * 2013-02-05 2014-08-14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성능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352B1 (ko) 1996-09-30 1999-05-15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조향휠의 내구성 테스트장치
JP2007155337A (ja) * 2005-11-30 2007-06-21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アッセンブリーの動作試験装置
KR20140100061A (ko) * 2013-02-05 2014-08-14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성능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427B1 (ko) 2024-04-03 2024-05-23 주식회사 에스엔에스랜드 텔레스티어링 컬럼의 자동 습동하중 측정 및 튜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578B2 (en) Quick release pivot module and supporting device
CN102455754B (zh) 硬盘支架
US9234816B2 (en) Engine test device
US7966891B2 (en) Fatigue test apparatus for thin element of electronic device
US8464991B2 (en) Fixing device for planar display panel
US8495923B2 (en) Testing device for testing rivets
US20180116398A1 (en) Bracket device
KR101986597B1 (ko) 상용차용 스티어링컬럼 어셈블리 복합성능 시험장치
CN112683678A (zh) 一种尼龙绳抗拉抗扭性能检测器
KR20130073167A (ko) 착륙장치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TWI712799B (zh) 兩段式行程之檢測裝置及使用該檢測裝置的檢測平台
US20120063067A1 (en) Panel fixing mechanism and displaying device thereof
CN105445016B (zh) 汽车操纵机构耐久性能试验装置
CN111751124A (zh) 一种汽车底盘测试装置和汽车底盘测试组件结构
KR101251965B1 (ko) 토크센서용 토크 측정장치
JP200715325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71656B1 (ko) 검사품 고정장치
CN114397114B (zh) 试验台架
CN220481489U (zh) 一种通配测试安装治具
US20230417086A1 (en) Vehicle latch testing assembly
KR20200093022A (ko) 인장계 구조체
JP2019178882A (ja) インターミディエイトシャフトのねじり試験装置
CN104914921B (zh) 安装有活动致动零件的操作元件
CN114199902B (zh) 用于电子显微镜的样品承载装置
CN215065295U (zh) 试验台架和试验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