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279B1 - 스마트 압박복 - Google Patents

스마트 압박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279B1
KR101985279B1 KR1020180032813A KR20180032813A KR101985279B1 KR 101985279 B1 KR101985279 B1 KR 101985279B1 KR 1020180032813 A KR1020180032813 A KR 1020180032813A KR 20180032813 A KR20180032813 A KR 20180032813A KR 101985279 B1 KR101985279 B1 KR 10198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surgical site
patient
gar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8003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81Patients' garments with incorporated means for medical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45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for measuring the tension across the width of a band-shaped flexible me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스마트 압박복은 신체의 수술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 의류 및 상기 압박 의류와 결합되어 상기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를 검출하고 학습 모집단에 관해 수술 이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생체정보들로 학습된 생체정보 학습내용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생체 정보 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마트 압박복은 압박복에 결합된 센서를 통해 퇴원한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퇴원 이후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압박복{SMART COMPRESSION GARMENT}
본 발명은 스마트 압박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박복에 결합된 센서를 통해 퇴원한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퇴원 이후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압박복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라 불리는 착용 컴퓨터는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컴퓨터를 뜻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점은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처럼 착용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의 신체 변화를 실시간으로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심전도, 근전계 등의 상시 검사하고 기록할 수 있고, 통증완화, 근육치료, 자세 교정 등의 의료 장비로도 활용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4431(2016.03.11)호는 환자용 압박복의 압력을 환자 등이 휴대한 휴대 단말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압박복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용 압박복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환자용 압박복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용 압박복이 환자의 피부에 가하는 압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압력 정보를 근거리 통신으로 송신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에서 근거리 통신으로 송신된 압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압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용 압박복이 환자의 피부에 가하는 압력 상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388(2015.09.04)호는 배출 냉각 특징을 갖는 압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수족에 압박 치료를 제공하는 압박 장치는 착용자의 수족에 배치 가능한 압박복을 포함한다. 압박복은 수족에 압박 치료를 제공하는 팽창식 블래더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팽창식 블래더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채용되고, 압박 사이클 중에 블래더를 팽창 및 수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배출 유체가 착용자의 수족 위로 유동하여 수족을 냉각하도록 블래더를 통해 배출 유체를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배기 포트를 가진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4431(2016.03.11)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388(2015.09.0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박복에 결합된 센서를 통해 퇴원한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퇴원 이후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압박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술 부위로부터 검출된 생체정보들로 학습된 결과를 기초로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압박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박복에 결합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수술 부위의 발열, 부종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환자에게 수술 부위의 경과 회복 정도를 피드백 할 수 있는 스마트 압박복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압박복은 신체의 수술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 의류 및 상기 압박 의류와 결합되어 상기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를 검출하고 학습 모집단에 관해 수술 이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생체정보들로 학습된 생체정보 학습내용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생체 정보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압박 의류는 복부, 허벅지 또는 팔을 감싸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압박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와 직조되어 상기 수술 부위를 횡단하는 신축 가능한 도체 섬유(elastic conductive fiber)를 통해 상기 수술 부위의 장력(tension)을 상기 생체정보로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도체 섬유의 전기 저항을 통해 상기 섬유의 신축량을 검출하여 상기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압박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와 직조되어 상기 수술 부위 인근의 온도를 상기 생체정보로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수술 경과를 스마트폰에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수술 부위의 회복 정도를 환자에게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생체정보를 외부의 학습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검출된 생체정보의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 학습내용은 동일 신체 부위로 그룹핑된 학습 모집단을 관해 상기 동일 신체 부위에 의존적인 시간주기로 해당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환자의 주관적 및 객관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압박복은 압박복에 결합된 센서를 통해 퇴원한 환자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퇴원 이후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압박복은 수술 부위로부터 검출된 생체정보들로 학습된 결과를 기초로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압박복은 압박복에 결합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수술 부위의 발열, 부종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환자에게 수술 부위의 경과 회복 정도를 피드백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압박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압박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스마트 압박복에 의하여 수행되는 환자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압박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스마트 압박복 시스템(100)은 스마트 압박복(110), 스마트폰(120) 및 학습서버(130)를 포함하고,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압박복 시스템(100)은 환자의 복부, 허벅지 또는 팔 등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스마트 압박복(110)을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압박복 시스템(100)은 스마트 압박복(110)을 통해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수집된 환자의 생체신호를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압박복(110)은 압박 의류(112) 및 생체 정보 센서(114)를 포함하여 환자의 복부, 허벅지 또는 팔에 착용될 수 있고,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압박 의류(112)는 환자의 수술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고탄력성의 섬유로 제조되어 생체 정보 센서(114)와 결합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압박 의류(112)를 구성하는 섬유와 직조될 수 있고, 환자의 수술 부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섬유의 장력 변화를 측정하여 환자의 수술 부위의 부종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압박복(110)은 지방흡입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경우 수술한 부위의 미세 혈관 손상 등으로 인한 부종, 멍, 피하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수술 부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부종, 피하출혈 등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스마트 압박복(110)은 지방흡입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퇴원 시에 착용될 수 있고, 퇴원한 환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여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압박복(110)은 학습서버(130)를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의 회복 정도를 알려줄 수 있다.
스마트폰(120)은 환자의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 압박복(110)과 블루투스, Wifi 등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스마트 압박복(110)으로부터 생체신호의 변화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폰(120)은 수술을 받은 환자 자신의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 압박복(110)으로부터 본인의 수술 경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학습서버(130)는 스마트폰(120)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써, 스마트폰(120)에서 수집된 환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서버(130)는 스마트 압박복(110)에서 측정된 환자의 생체신호를 기초로 수술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해당 환자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학습서버(130)는 특정 환자의 수술 경과의 위험 정도가 높은 경우, 스마트폰(120) 또는 스마트 압박복(110)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서버(130)는 빅데이터(big data)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를 생성, 수집,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마이닝, 기계학습, 패턴 인식 등을 포함하는 기술로,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분류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분석 기법 중의 하나이다. 학습서버(130)는 스마트 압박복(110)에서 수집된 생체정보, 해당 환자의 신체상태, 환자의 기초 정보(성별, 나이, 병력 등) 및 환자가 받은 수술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환자의 수술 이후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에 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압박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압박복(110)은 압박 의류(112), 알람 센서(113) 및 생체 정보 센서(114)를 포함한다.
압박 의류(112)는 신체의 수술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고탄성의 섬유로 제조될 수 있고, 환자의 수술 부위에 따라 복부, 허벅지 또는 팔을 감싸도록 설계될 수 있다. 압박 의류(112)는 고탄성의 섬유, 도체 섬유(116) 및 온도 감지 섬유(118)를 포함하여 일체형 원통 형태로 직조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면을 포함하여 환자에게 착용될 수 있다. 압박 의류(112)는 생체 정보 센서(114)와 결합되어 환자의 수술 부위의 부종의 발생 여부 또는 발열 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박 의류(112)는 스마트 압박복(110)의 끝단에 생체 정보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고, 도체 섬유(116) 및 온도 감지 섬유(118)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들을 생체 정보 센서(114)에 수집할 수 있다.
알람 센서(113)는 LED(Light Emitting Diode)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를 분석한 결과 위험도가 특정 기준 이상 높은 경우, 정해진 색상으로 발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람 센서(113)는 생체 정보 센서(114)로부터 생체정보의 분석결과가 특정 기준 이상임을 수신하면, 빨간색의 LED 불빛을 발열하여 해당 환자에게 위험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압박 의류(112)와 결합되어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를 검출하고 학습 모집단에 관해 수술 이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생체정보들로 학습된 생체정보 학습내용을 기초로 검출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PCB)(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 위에 제어 모듈,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도체 섬유(116)의 신축 정도, 온도 감지 섬유(118)의 물성 변화 등을 검출하여 해당 부위의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내부에 포함된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120)에 검출된 생체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을 통해 생체 정보 센서(114)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환자들 각각으로부터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수술 이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생체정보들을 기초로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를 분석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특정 시간 주기로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해당 수술 부위, 환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수술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수술 경과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센서(114)는 복부에 스마트 압박복(110)을 착용한 복수의 환자들 각각으로부터 1시간 주기로 측정한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수집된 생체정보들을 기초로 복부를 수술한 환자의 수술 경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압박 의류(112)를 구성하는 섬유와 직조되어 수술 부위를 횡단하는 신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도체 섬유(elastic conductive fiber)(116)를 통해 상기 수술 부위의 장력(tension)을 상기 생체정보로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체 섬유(116)는 전도성 섬유에 해당할 수 있고, 도전성 섬유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피복 유기섬유, 도전체와 중합체를 복합한 복합 섬유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수술 부위의 부종이 발생하는 경우 압박 의류(112)를 구성하는 섬유 및 도체 섬유(116)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도체 섬유(116)의 물성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수술 부위에 부종이 발생하였음을 검출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도체 섬유의 전기 저항을 통해 섬유의 신축량을 검출하여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할 수 있고,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수술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인장 등을 전기 저항의 변화로 전환하여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도체 섬유(116)의 전기 저항의 변화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측정되는 저항을 통해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수술 부위에 따라 사용되는 도체 섬유(116)의 종류, 직조 방법에 따라 다르게 검출되는 저항 변화들을 수집하여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고, 학습서버(130)는 수집된 생체정보들을 신체 부위, 도체 섬유(116)의 종류 또는 직조 방법별로 분류하여 학습 모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압박 의류(112)를 구성하는 섬유와 직조되어 수술 부위 인근의 온도를 생체정보로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압박 의류(112)와 함께 직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섬유(118)를 통해 환자의 수술 부위를 감싸는 압박 의류(112)의 섬유의 장력 변화를 통해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의 부종 또는 발열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온도 감응 전도성 고분자 잉크로 염색된 섬유로 구현되어 압박 의류(112)를 구성하는 섬유와 같이 직조될 수 있고, 환자의 수술 부위의 온도를 감지하여 수술 부위의 감염 또는 출현 등으로 인한 발열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수술 경과를 스마트폰(120)에 제공하여 스마트폰(120)이 수술 부위의 회복 정도를 환자에게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들을 수집하여 스마트폰(120)에 제공할 수 있고 수술 이후 시간경과에 따른 생체정보들의 변화를 검출하여 회복 정도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센서(114)는 스마트 압박복(110)을 착용한 환자가 퇴원한 이후 주기적으로 도체 섬유(116)에서 측정된 저항 변화 또는 온도 감지 섬유(118)에서 측정된 온도 변화 등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들을 수집하여 스마트폰(120)에 제공할 수 있고, 스마트폰(120)은 수집된 생체정보들을 기초로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의 회복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환자의 수술 부위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들을 분석하여 수술 경과가 좋지 않거나 특정 생체정보의 측정값이 평균 이상인 경우 알람 센서(113)을 통해 해당 환자에게 위험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센서(114)는 특정 환자의 수술 부위의 체온이 37.5℃ 이상을 1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경우, 해당 수술 부위에 출현 또는 부종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여 알람 센서(113)로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생체정보를 외부의 학습 서버(130)에 제공하여 검출된 생체정보의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수집된 생체정보들을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고,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는 수신된 생체정보들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다시 생체 정보 센서(114)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동일 신체 부위로 그룹핑된 학습 모집단을 관해 상기 동일 신체 부위에 의존적인 시간주기로 해당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환자의 주관적 및 객관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스마트 압박복(110)이 착용된 신체 부위별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신체 부위별로 수집된 생체정보들을 기초로 해당 수술 부위에 관한 피드백을 수신하여 수술 경과에 대한 생체정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스마트 압박복(110)을 착용한 환자로부터 주관적 피드백을 통해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고, 환자 스스로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한 신체 부위에 대한 생체정보들을 기초로 해당 부위에 대한 수술 경과에 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신체 부위에서 검출된 생체정보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도출된 객관적 피드백을 통해 수술 부위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스마트 압박복(110)을 착용한 환자의 주관적 피드백을 통해 이상 상황임을 감지한 후, 검출된 생체정보들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도출된 객관적 피드백을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주관적 피드백에 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서버(130)는 생체 정보 센서(114)를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고,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 수술시간, 추출된 지방의 양, 추출된 지방과 함께 추출된 혈액의 양 등의 기본 정보들을 함께 분석하여 동일한 신체 부위별로 그룹핑된 학습 모집단을 생성할 수 있다. 학습서버(130)는 환자의 기본 정보들을 기초로 수술 부위에 대한 시간에 따른 수술 경과 정도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특정 환자의 이상 상황이 발생 가능성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학습서버(130)는 특정 환자의 생체정보의 시간에 따른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한 결과가 비정상적인 동향이 검출된 경우, 생체 정보 센서(114) 또는 환자의 스마트폰(120)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스마트 압박복에 의하여 수행되는 환자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압박복(110)은 생체 정보 센서(114)를 통해 환자의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310).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압박복(110)은 생체 정보 센서(114)를 통해 환자의 수술 부위에 관한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압박 의류(112)를 구성하는 섬유와 직조되는 도체 섬유(116) 및 온도 감지 섬유(118)를 통해 측정되는 측정값을 기초로 수술 부위의 부종 또는 발열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정보 센서(114)는 도체 섬유(116)의 저항 변화를 통해 압박 의류(112)의 장력 변화를 검출하여 수술 부위 부종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온도 감지 섬유(118)를 통해 수술 부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해당 부위 발열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압박복(110)은 생체 정보 센서(114)를 통해 수술 부위의 이상 상황(부종, 발열 등)이 발생하였음을 감지되면 환자의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에 제공할 수 있고, 알람 센서(113)를 통해 이상 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수술한 신체 부위 별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센서(114)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시간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T = T_criteria * Ω[Part_body, Mass_fat, Volume_blood]
T는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주기에 해당하고, T_criteria는 평균적인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주기에 해당하고, Ω[x, y, z]는 (x, y, z)에 대한 학습내용을 기초로 도출되는 변화율을 산출하는 함수에 해당하고, Part_body는 신체 부위, Mass_fat은 지방흡입 수술시에 추출된 지방의 총 질량, Volume_blood은 지방흡입 수술시에 추출된 혈액의 총량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위의 수학식을 통해 평균적으로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주기를 1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신체 부위와 환자에 따라 수술 시에 추출된 지방 및 혈액의 질량에 따른 변화율을 학습된 결과를 기초로 환자와 신체 부위마다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주기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압박복(110)은 검출된 생체정보를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20).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압박복(110)은 생체 정보 센서(114)를 통해 검출된 생체정보를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고, 스마트폰(120) 또는 학습서버(130)는 수신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체 정보 센서(114)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20)은 생체 정보 센서(114)를 통해 수신된 생체정보를 기초로 시간 흐름에 따라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 수술 경과 정도를 그래프 또는 표의 형태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학습서버(130)는 수신된 생체정보를 신체 부위별로 분류하여 학습 모집단을 생성할 수 있고, 환자의 수술 부위, 수술시간, 추출된 지방의 질량 및 수술 시 추출된 혈액의 질량 등의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술 부위에 따른 수술 경과 정도를 학습할 수 있다. 학습서버(130)는 학습결과를 기초로 특정 환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 및 기본 정보들을 분석하여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의 회복 정보를 생체 정보 센서(114)에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서버(130)는 신체 부위에 따라 그룹핑된 학습 모집단을 생성하여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해당 환자의 주관적 또는 객관적 피드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서버(130)는 스마트 압박복(110)을 착용한 환자의 주관적 피드백을 수신하여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에서 수집한 생체정보들을 분석할 수 있고, 해당 수술 부위에 관한 생체정보 학습을 수행하여 해당 환자의 수술 경과 추이를 예측할 수 있다. 학습서버(130)는 신체 부위에 대한 생체정보를 학습한 결과를 기초로 객관적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고, 특정 환자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객관적 피드백을 기초로 해당 환자의 수술 경과 정도를 생체 정보 센서(114)에 알려줄 수 있다.
스마트 압박복(110)은 생체 정보 센서(114) 또는 학습서버(130)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의 회복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330).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압박복(110)은 생체 정보 센서(114) 또는 학습서버(130)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해당 환자의 수술 부위에 따른 수술 경과를 예측할 수 있고, 알람 센서(113) 또는 환자의 스마트폰(120)을 통해 수술 부위의 회복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센서(114)는 학습서버(130)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수신하여 환자의 수술 경과의 위험군에 따라 알람 센서(113)의 색상을 설정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정보 센서(114)는 학습서버(130)로부터 특정 환자의 생체정보 분석결과가 평균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알람 센서(113)를 통해 노란색의 LED 불빛을 발열하여 해당 환자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센서(114)는 특정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한 결과가 매우 나쁜 상황으로 판단되면, 알람 센서(113)를 통해 알람을 제공함과 동시에 환자의 스마트폰(120)에도 환자가 위급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 또는 진동으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 압박복 시스템
110: 스마트 압박복 112: 압박 의류
113: 알람 센서 114: 생체 정보 센서
116: 도체 섬유 118: 온도 감지 섬유
120: 스마트폰 130: 학습서버

Claims (8)

  1. 신체의 수술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 의류; 및
    상기 수술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및 인장을 전기 저항의 변화로 전환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및 상기 압박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와 직조되어 상기 수술 부위 인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저항의 변화 및 상기 온도의 변화를 기초로 수술 부위의 생체정보를 검출하고, 동일 신체 부위로 그룹핑된 학습 모집단을 관해 수술 이후의 시간경과에 따른 생체정보들로 학습된 생체정보 학습내용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수술 부위의 수술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생체 정보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압박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의류는
    복부, 허벅지 또는 팔을 감싸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박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압박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와 직조되어 상기 수술 부위를 횡단하는 신축 가능한 도체 섬유(elastic conductive fiber)를 통해 상기 수술 부위의 장력(tension)을 상기 생체정보로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박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도체 섬유의 전기 저항을 통해 상기 섬유의 신축량을 검출하여 상기 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박복.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수술 경과를 스마트폰에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수술 부위의 회복 정도를 환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박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센서는
    상기 생체정보를 외부의 학습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검출된 생체정보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박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학습내용은
    상기 동일 신체 부위로 그룹핑된 학습 모집단을 관해 상기 동일 신체 부위에 의존적인 시간주기로 해당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환자의 주관적 및 객관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박복.


KR1020180032813A 2018-03-21 2018-03-21 스마트 압박복 KR10198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13A KR101985279B1 (ko) 2018-03-21 2018-03-21 스마트 압박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13A KR101985279B1 (ko) 2018-03-21 2018-03-21 스마트 압박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279B1 true KR101985279B1 (ko) 2019-06-04

Family

ID=6681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13A KR101985279B1 (ko) 2018-03-21 2018-03-21 스마트 압박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2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607A (ko) * 2012-03-28 2013-10-08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생체신호측정용 의복
KR101552388B1 (ko) 2012-06-18 2015-09-10 코비디엔 엘피 배출 냉각 특징을 갖는 압박 시스템
KR20150117308A (ko) * 2014-04-09 2015-10-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신호 측정 모듈 및 생체 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기능성 속옷
KR20150117824A (ko) * 2014-04-11 2015-10-21 (주)티엔비웍그룹 환자용 압박복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20160089193A (ko) * 2015-01-19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적응적 제어가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16847B1 (ko) * 2016-10-27 2018-01-09 주식회사 메텔 직물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 장치 및 생체 활동정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607A (ko) * 2012-03-28 2013-10-08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생체신호측정용 의복
KR101552388B1 (ko) 2012-06-18 2015-09-10 코비디엔 엘피 배출 냉각 특징을 갖는 압박 시스템
KR20150117308A (ko) * 2014-04-09 2015-10-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신호 측정 모듈 및 생체 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기능성 속옷
KR20150117824A (ko) * 2014-04-11 2015-10-21 (주)티엔비웍그룹 환자용 압박복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101604431B1 (ko) 2014-04-11 2016-03-17 (주)티엔비웍그룹 환자용 압박복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20160089193A (ko) * 2015-01-19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적응적 제어가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16847B1 (ko) * 2016-10-27 2018-01-09 주식회사 메텔 직물 센서를 이용한 압력 측정 장치 및 생체 활동정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1394A1 (en) Bio-mechanical sensor system
US11696693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pulse of a person and a method thereof
US20090234262A1 (en) Health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JP2016539672A (ja) コンフォーマルセンサを含むユーティリティギア
WO2017190965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whether to change a determined wearing status of a device
KR20110131661A (ko) 생체신호 수집이 가능한 의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Li et al. Development of patch-type sensor module for wireless monitoring of heart rate and movement index
CN102494825B (zh) 面向多点位压力监测的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985279B1 (ko) 스마트 압박복
US20210068752A1 (en) Tubular compression garment for monitoring the therap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a person
KR20100048741A (ko) 안경을 이용한 실시간 건강 및 감성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46566B1 (ko)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심전도 신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N202735008U (zh) 面向多点位压力监测的数据处理装置及系统
KR20170123133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감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55362A1 (en) Self-monitoring compression supports
US11672288B2 (en) Matter of manufacture of compression legging system and associated uses
CN108392193A (zh) 一种实时监测心率的可穿戴设备及其工作方法
KR20190067590A (ko)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EP42625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recovery score for a user
KR101455207B1 (ko)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
WO2020180919A1 (en) Matter of manufacture of compression legging system and associated uses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D’Acquisto et al.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contact pressure on the accuracy of heart rate monitoring by wearable PPG wrist band
US115172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susceptibility
WO2024103547A1 (zh) 一种可穿戴设备
KR101275779B1 (ko) 휴대용 어지럼증 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