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070B1 - 방사선 차폐복 - Google Patents

방사선 차폐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070B1
KR101985070B1 KR1020170026196A KR20170026196A KR101985070B1 KR 101985070 B1 KR101985070 B1 KR 101985070B1 KR 1020170026196 A KR1020170026196 A KR 1020170026196A KR 20170026196 A KR20170026196 A KR 20170026196A KR 101985070 B1 KR101985070 B1 KR 10198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cket
shielding
wearer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147A (ko
Inventor
안성민
이왕희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0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21F3/02Clot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어 전면부에 방사선을 차단하는 차폐재가 수납된 방사선 차폐복에 있어서, 차폐재의 후방으로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분획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포켓; 전면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에어포켓과 연통되고, 에어포켓의 분획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주입 밸브부; 및 에어포켓의 부피 변화에 따라 전면부가 신축성 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전면부의 측방향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유연한 소재의 밴드부를 포함하여, 에어포켓이 차폐재와 착용자의 거리를 증가시킴에 따라 착용자의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피조절이 가능한 공기층을 차폐복과 착용자 사이에 형성시킴으로써 차폐재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투과 또는 산란되는 2차적 방사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차폐복{WEARBLE DEVICE FOR SHIELDING RADIATION}
본 발명은 공기층을 포함한 방사선 차폐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봉 방사 선원을 사용하는 작업 환경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는 방사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다. 이때, 방사선에 노출된작업 환경으로부터 작업자의 피폭을 감소시키고 생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생물학적 방법, 화학적 방법 및 물리학적 방법이 있다.
생물학적 방법으로는 생체를 저온으로 하거나, 체네 산소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활동량을 저하시켜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화학적 방법은 생체에 시안산이나 시스틴 유도체를 공급하여 방사선에 대한 변화가 일어나기 어렵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다만,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보호방법은 현실적으로 인체에 이용하기에는 유효하지 않다.
한편, 물리학적 방법은 방사성 물질과의 물리적 거리를 충분하게 두고, 방사선 취급 속도를 향상시켜 방사선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고, 보호벽 혹은 보호장치를 이용하여 차폐하는 세가지 방법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물리학적 방법의 일환으로 방사선 차폐복은 방사선에 노출된 작업자들이 방사성 물질에 의한 체외 피폭이나 체내 피폭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방사선 차폐복은 목적에 따라 산업용 방사선 차폐복과 의료용 방사선 차폐복으로 구분되어 착용형태 및 구조가 나뉘어 질 수 있다.
산업용 방사선 차폐복은 방사선 시설 내의 관리 구역에서 방사성 물질이 공기를 매개로 하여 인체에 흡수되어 체내에서 피폭을 일으키는 것을 방호하는 수단으로 반면마스크 또는 전면마스크를 포함하는 차폐복을 주로 사용하였고, 방사선 오염의 정도에 따라 오염이 심한 곳에서는 착용자가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받을 수 있도록 공기공급형 마스크가 포함된 차폐복을 사용하였다.
한편, 종래의 의료용 차폐복은 외부 피폭을 막기 위한 차폐재를 구성하는 주요 소재가 납(P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납의 종류와 밀도 질량에 치중하여 개발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의료용 방사선 차폐복은 최소 0.25mm 이상의 연당량을 가지며, 다양한 종류의 방사성 핵종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이 산재한 방사선 작업 환경에서 일관되게 차폐효율을 보여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가 높은 방사선을 차폐하는 경우 차폐 효율을 높이기 위해 차폐복을 구성하는 차폐재의 중량을 무한정 늘릴 수 없는 바, 차폐되지 못하고 투과 또는 산란되는 2차적인 방사선에 착용자가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방사선 차폐복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6628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약칭함)는 공기 주입형 방사선 보호복이 개시되었다. 선행기술은 착용자에게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와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하여 생성된 호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호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산소가 발생 될 수 있는 산소발생 장치가 보호복 내부에 포함되어 착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원 발명자는 의료용 방사선 차폐복을 구성하는 차폐재의 밀도 또는 질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2차적으로 발생되는 방사선으로부터 착용자의 외부 피폭을 줄일 수 있도록, 차폐복을 구성하는 차폐재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한 공기층이 형성된 의료용 차폐복을 고안하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66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복을 구성하는 차폐재 구성물질의 밀도나 질량의 증가 없이 착용자와 차폐복을 구성하는 차폐재 사이의 거리를 이격 시켜, 2차적으로 발생되는 방사선에 의한 외부 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사선 차폐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어 전면부에 방사선을 차단하는 차폐재가 수납된 방사선 차폐복에 있어서, 차폐재의 후방으로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분획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포켓; 전면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에어포켓과 연통되고, 에어포켓의 분획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주입 밸브부; 및 에어포켓의 부피 변화에 따라 전면부가 신축성 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전면부의 측방향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유연한 소재의 밴드부를 포함하여, 에어포켓이 차폐재와 착용자의 거리를 증가시킴에 따라 착용자의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에어포켓은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 중 하단에 위치하고, 차폐재와 착용자의 하복부간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1 포켓;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 중 중단에 위치하고, 차폐재와 착용자의 상복부간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2 포켓; 및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 중 상단에 위치하고, 차폐재와 착용자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3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 밸브부는 에어포켓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주입 펌프; 및 주입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입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입 밸브는 3방향 밸브로 제공되어 제1 포켓 또는 제2 포켓 또는 제3 포켓으로 선택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차폐복은 에어포켓의 저장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피조절이 가능한 공기층을 차폐복과 착용자 사이에 형성시킴으로써 차폐재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투과 또는 산란되는 2차적 방사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폐재를 구성하는 납의 밀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2차 방사선으로부터 유발되는 피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비용없이 제작가능하고 착용자의 피로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형성된 공기층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로 인하여 착용자마다 사용에 용이하도록 모양 및 부피를 변경하여 공기층의 부피로 인한 활동성의 제약과 이질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앞치마형 방사선 차폐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복(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복(1)은 전면부(11)와 후면부(13) 및 밴드부(15)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앞치마형 방사선 차폐복(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사선 차폐복(1) 차폐재(111)가 방사선 차폐복(1)의 전면부(11)에 위치하여 방사선을 차폐하고, 차폐재(111)와 착용자의 이격거리를 향상시켜 착용자의 피폭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형태의 조끼, 앞치마, 가운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면부(11)는 차폐재(111)와 착용자 사이의 거리를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착용자의 가슴방향에 위치한 부분으로 정의된다. 전면부(11)는 차폐재(111), 에어포켓(113), 주입 밸브부(115) 및 배출 밸브(1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사선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는 본원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조건이 성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폐재(111)는 납(Pb)을 포함한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방사선 차폐복의 경우 납성분의 밀도 및 질량을 증가시켜 방사선 차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복(1)은 전면부(11)에 차폐재가 수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차폐재(111)는 수납시 분할되지 않은 형태 또는 다단으로 분할되어 수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차폐재(111)로 제공되는 성분은 납성분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방사선 차폐복(1)에 수납되어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방사선 피폭량을 감소시키는 소재로 대체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에어포켓(113)은 차폐재(111)의 후방으로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분획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포켓(113)은 차폐재(111)로부터 차단되지 않고 투과 또는 산란되는 2차 방사선을 피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선 보호방법 중 물리학적 방법의 3원칙은 거리, 시간, 차폐로 대표되며 에어포켓(113)은 거리의 원칙에 따라 방사선 차폐물질과 착용자간의 이격 거리를 향상시킴으로써 방사선 피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포켓(113)은 착용자의 편의에 따라 용이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방사선 차폐복(1)을 착용하고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차폐재(111)의 특성상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일한 정도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에어포켓(113)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착용자와 차폐재(111)간 형성되는 이격 거리는 착용자의 체형에 유연하게 적용되어 착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차폐복(1)의 에어포켓(113)은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기 위함뿐 아니라 착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에어포켓(113)은 제1 포켓(1131), 제2 포켓(1133) 및 제3 포켓(11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분획된 에어포켓(113)은 각각의 포켓이 개별적으로 부피가 변화될 수 있다. 다만, 에어포켓(113)은 분획되는 공간이 3개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공간의 개수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제1 포켓(1131)은 에어포켓(113)이 나뉘어진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 중 하단에 위치하고, 차폐재(111)와 착용자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포켓(1131)은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공되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시 외형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포켓(1131)은 제1 주입 밸브(1151)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포켓(1131)은 착용자와 차폐재(111)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포켓(1131)은 착용자의 하복부 부근과 차폐재(111)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포켓(1131)은 공기를 유입 받는 과정을 통해 부피가 증가되며 착용자와 차폐재(111) 간 이격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재(111)를 투과하거나 차폐재(111)로부터 산란되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방사선량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포켓(1131)은 배출 밸브(117)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제1 포켓(1131)은 공기 배출을 통하여 착용자와 차폐재(111)간 이격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착용자가 의도적으로 편의를 위해 부피를 줄이는 과정에서 예상되는 제1 포켓(1131)의 변형유형으로 예측될 수 있는 사항이며, 이와 같은 변형으로 인하여 감소되는 방사선 차폐복(1)의 차폐효과가 본 발명의 에어포켓(113)의 구성으로 인하여 구현되는 방사선 차폐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2 포켓(1133)은 에어포켓(113)이 나뉘어진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 중 중단에 위치하고, 차폐재(111)와 착용자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포켓(1133)은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공되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시 외형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포켓(1133)은 제2 주입 밸브(1153)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2 포켓(1133)은 착용자와 차폐재(111)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포켓(1133)은 착용자의 상복부 부근과 차폐재(111)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포켓(1133)은 공기를 유입 받는 과정을 통해 부피가 증가되며 착용자와 차폐재(111) 간 이격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재(111)를 투과하거나 차폐재(111)로부터 산란되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방사선량이 감소할 수 있다.
제2 포켓(1133)은 배출 밸브(117)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제2 포켓(1133)은 공기 배출을 통하여 착용자와 차폐재(111)간 이격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착용자가 의도적으로 편의를 위해 부피를 줄이는 과정에서 예상되는 제2 포켓(1133)의 변형유형으로 예측될 수 있는 사항이며, 이와 같은 변형으로 인하여 감소되는 방사선 차폐복(1)의 차폐효과가 본 발명의 에어포켓(113)의 구성으로 인하여 구현되는 방사선 차폐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3 포켓(1135)은 에어포켓(113)이 나뉘어진 복수개의 분획된 공간 중 상단에 위치하고, 차폐재(111)와 착용자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포켓(1135)은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공되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시 외형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포켓(1133)은 제3 주입 밸브(1155)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3 포켓(1135)은 착용자와 차폐재(111)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3 포켓(1135)은 착용자의 흉부와 차폐재(111)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포켓(1135)은 공기를 유입 받는 과정을 통해 부피가 증가되며 착용자와 차폐재(111) 간 이격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재(111)를 투과하거나 차폐재(111)로부터 산란되어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방사선량이 감소할 수 있다.
제3 포켓(1135)은 배출 밸브(117)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제3 포켓(1135)은 공기 배출을 통하여 착용자와 차폐재(111)간 이격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착용자가 의도적으로 편의를 위해 부피를 줄이는 과정에서 예상되는 제3 포켓(1135)의 변형유형으로 예측될 수 있는 사항이며, 이와 같은 변형으로 인하여 감소되는 방사선 차폐복(1)의 차폐효과가 본 발명의 에어포켓(113)의 구성으로 인하여 구현되는 방사선 차폐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주입 밸브부(115)는 전면부(11)의 측면에 마련되어 에어포켓(113)과 연통되고, 에어포켓(113)의 분획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다. 주입 밸브부(115)는 주입 펌프(1157) 및 주입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주입 밸브부(115)와 에어포켓(113)의 분획된 각각의 포켓이 연통되는 방법은 삽관, 접착, 결속 등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입 밸브는 3방향 밸브로 제공되어 제1 포켓(1131) 또는 제2 포켓(1133) 또는 제3 포켓(1135)으로 선택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주입 밸브를 구성하는 각각의 주입 밸브는 에어포켓(113)이 분획된 각각의 포켓과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입 밸브부(115)는 제1 주입 밸브(1151), 제2 주입 밸브(1153), 제3 주입 밸브 및 주입 펌프(1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 밸브(1151)는 제1 포켓(1131)과 연통되어 주입 펌프(1157)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제1 포켓(1131)으로 직접 공급하거나 제2 포켓(1133) 또는 제3 포켓(1135)으로 간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주입 밸브(1151)는 주입 펌프(1157)에서 공급된 공기를 2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방향은 제1 주입 밸브(1151)와 연통된 제1 포켓(1131)을 향한다. 제1 포켓(1131)으로 공기 주입이 필요한 경우 제1 주입 밸브(1151)는 공기가 제1 포켓(1131)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1 주입 밸브(1151)는 제1 포켓(1131)에 용적이 최대로 증가된 상태 또는 착용자의 필요에 의해 공기 주입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제1 포켓(1131)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로를 차단하여 공기의 주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주입 밸브(1151)는 타방향의 경로를 통해 제2 포켓(1133) 또는 제3 포켓 방향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포켓(1133) 또는 제3 포켓(1135)으로 공기 주입이 필요한 경우 제1 주입 밸브(1151)는 공기가 타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1 주입 밸브(1151)는 제2 포켓(1133) 및 제3 포켓(1135)에 용적이 최대로 증가된 상태 또는 착용자의 필요에 의해 제2 포켓 및 제3 포켓(1135)에 공기 주입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타방향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로를 차단하여 공기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주입 밸브(1153)는 제2 포켓(1133)과 연통되어 제1 주입 밸브(1151)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제2 포켓(1133)으로 직접 공급하거나 제3 포켓(1135)으로 간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주입 밸브(1153)는 제1 주입 밸브(1151)의 타방향에서 공급된 공기를 2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방향은 제2 주입 밸브(1153)와 연통된 제2 포켓(1133)을 향한다. 제2 포켓(1133)으로 공기 주입이 필요한 경우 제2 주입 밸브(1153)는 공기가 제2 포켓(1133)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2 주입 밸브(1153)는 제2 포켓(1133)에 용적이 최대로 증가된 상태 또는 착용자의 필요에 의해 공기 주입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제2 포켓(1133)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로를 차단하여 공기의 주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주입 밸브(1153)는 타방향의 경로를 통해 제3 포켓(1135) 방향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제3 포켓(1135)으로 공기 주입이 필요한 경우 제2 주입 밸브(1153)는 공기가 타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2 주입 밸브(1153)는 제3 포켓(1135)에 용적이 최대로 증가된 상태 또는 착용자의 필요에 의해 제3 포켓(1135)에 공기 주입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타방향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로를 차단하여 공기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주입 밸브(1155)는 제3 포켓(1135)과 연통되어 제2 주입 밸브(1153)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제3 포켓(1135)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주입 밸브(1155)는 제2 주입 밸브(1153)의 타방향에서 공급된 공기를 2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방향은 제3 주입 밸브(1155)와 연통된 제3 포켓(1135)을 향한다. 제3 포켓(1135)으로 공기 주입이 필요한 경우 제3 주입 밸브(1155)는 공기가 제3 포켓(1135)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3 주입 밸브(1155)는 제3 포켓(1135)에 용적이 최대로 증가된 상태 또는 착용자의 필요에 의해 공기 주입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제3 포켓(1135)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로를 차단하여 공기의 주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주입 밸브(1155)는 타방향의 경로를 폐쇄할 수 있다. 각각의 주입 밸브가 포켓으로 향하는 일방향이 개방되고 제3 주입 밸브(1155)의 타방향이 폐쇄됨으로써 주입 펌프(1157)와 에어포켓(113)의 공간은 닫힌 하나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시스템은 동일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입 펌프(1157)에 압력을 가하여 주입되는 공기는 균일하게 각 포켓으로 주입될 수 있다.
주입 펌프(1157)는 에어포켓(113)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입 펌프(1157)는 에어포켓(113)으로 연통되는 경로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주입 펌프(1157)는 착용자가 압력을 가함으로써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배출 밸브(117)는 에어포켓(113)의 저장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 밸브(117)는 각각의 포켓(1131, 1133, 1135)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포켓(1131)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1 배출 밸브(1171), 제2 포켓(1133)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2 배출 밸브(1173) 및 제3 포켓(1135)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3 배출 밸브(11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포켓(1131), 제2 포켓(1133) 및 제3 포켓(1135)은 독립적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후면부(13)는 전면부(11)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착용자의 등방향에 위치한 부분으로 정의된다.
밴드부(15)는 에어포켓(113)의 부피 변화에 따라 전면부(11)가 신축성 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전면부(11)의 측방향을 감싸는 형태의 유연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사선 차폐복(1)을 감싸는 끝단의 모든 부분은 신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의 밴드부(15)로 구비될 수 있다. 밴드부(15)는 공기 주입으로 인하여 팽창되는 에어포켓(113)의 부피변화를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기가 배출되면서 본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수축할 수 있다.
이하, 에어포켓(113)의 부피를 변화시킴에 따라 방사선 차폐량이 변화함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를 포함하도록 한다. 실험결과의 이해를 돕기위한 설명으로 실험에서 측정된 선량 값은 표면선량 값을 기준으로 선량을 평가하였으며 사용된 OSLD 소자는 Annealing 후 백그라운드 선량 값을 측정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측정값은 백그라운드 선량 값을 제외한 값을 기록했다. 통계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18 Inc. USA)를 이용하였으며, 단순 회기분석 결과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1
이하인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전술한 p-value는 회귀식이 유의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변수(유의확률)를 의미하며, 하기의 실험예에서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 실험예1 >
본 실험예에서는 1cc 부피의 1110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2
(30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3
)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4
선원을 위치시키고, 선원과 OSLD 선량계 사이에 0.2mm 납판을 위치시킨다. 이때 선원과 선량계 사이의 거리는 30Cm로 고정하고, 선량계를 기준으로 산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0cm, 1cm, 5cm, 10cm, 20cm로 변화시키면서 선량값을 기록한다. 각 거리당 방사능 노출 시간은 2시간으로 설정하고, 재현성 확인을 위해 각 거리당 10회의 실험을 반복한다.
< 실험예1 > 의 결과
<표 1> 실험예1의 선량계별 누적 선량(단위: mSv)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5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량감소를 보였으며,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가 없을 때 측정된 10개의 선량계의 평균값은 0.515mSv이고,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20cm로 떨어뜨린 경우 10개의 측정값의 평균이 0.138mSv로 약 0.377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통계 분석 결과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6
의 회기식이 도출된다. 상관계수 -.871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t=-12.277, p-value=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전술한 t는 검정통계량을 의미하는 t-value로 이해되며, 후술되는 t값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회기식에서 y는 선량계별 누적선량을, x는 납판과 선량계 간 이격된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표 2> 실험예1의 기술 통계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7
<표 3> 실험예 1의 상관 관계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8
<표 4> 실험예1의 계수
Figure 112017020403652-pat00009
< 실험예2 >
본 실험예에서는 차폐재의 두께별 차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0.5mm의 납판으로 교체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다른 변인은 <실험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 실험예2 > 의 결과
<표 5> 실험예2의 선량계별 누적 선량(단위: mSv)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0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량감소를 보였으며,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가 없을 때 측정된 10개의 선량계의 평균값은 0.296mSv이고,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20cm로 떨어뜨린 경우 10개의 측정값의 평균이 0.075mSv로 약 0.221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통계 분석 결과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1
의 회기식이 도출된다. 상관계수 -.780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t=-8.635, p-value=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전술한 회기식에서 y는 선량계별 누적선량을, x는 납판과 선량계 간 이격된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표 6> 실험예2의 기술 통계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2
<표 7> 실험예2의 상관 관계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3
<표 8> 실험예2의 계수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4
< 실험예3 >
본 실험예에서는 납당량 0.5mm인 차폐복 2개를 준비하여, 첫번째 차폐복(a)은 전면부(11)의 뒷면에 OSLD 선량계 5개를 부착하고, 다른 하나의 차폐복(b)은 전면부(11)의 뒷면에 두께 8cm의 에어쿠션을 위치시킨 뒤 에어쿠션 후방에 OSLD 선량계 5개를 부착하여, 하루에 4시간씩 3일간 방사능에 노출시켜 누적선량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OSLD 선량계를 오름차순으로 1번 내지 5번으로 정의하여 하기의 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 실험예3 > 의 결과
<표 9> 실험예3의 선량계별 누적 선량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5
3일 간의 누적선량을 측정한 결과, 공기층이 없는 차폐복(a)의 경우 0.238mSv, 공기층이 있는 차폐복(b)의 경우 0.176mSv로 0.062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통계 분석 결과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6
의 회기식이 도출된다. 상관계수 -.661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t=-2.4905, p-value= 0.03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술한 회기식에서 y는 선량계별 누적선량을, x는 납판과 선량계 간 이격된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표 10> 실험예3의 기술 통계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7
<표 11> 실험예3의 계수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8
< 실험예4 >
본 실험예에서는 납당량 0.5mm인 차폐복 2개를 준비한다. 첫 번째 차폐복(a)은 전면부와 착용자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OSLD 선량계를 3개 부착하고, 두 번째 차폐복(b)은 전면부와 착용자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시켜 공기층과 착용자 사이에 OSLD 선량계를 3개 부착하였다. 착용자가 각각의 납치마를 30일씩 착용하고 핵의학과 업무를 수행한 뒤, 30일 간의 누적선량을 측정하였다.
< 실험예4 > 의 결과
<표 12> 실험예4의 선량계별 누적 선량
Figure 112017020403652-pat00019
30일 간의 누적선량을 측정한 결과, 차폐복(a)의 경우 누적선량의 평균은 0.59mSv, 차폐복(b)의 누적선량은 0.54mSv로 0.05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방사선 차폐복
11: 전면부
111: 차폐재
113: 에어포켓
1131: 제1 포켓
1133: 제2 포켓
1135: 제3 포켓
115: 주입 밸브부
1151: 제1 주입 밸브
1153: 제2 주입 밸브
1155: 제3 주입 밸브
1157: 주입 펌프
117: 배출 밸브
1171: 제1 배출 밸브
1173: 제2 배출 밸브
1175: 제3 배출 밸브
13: 후면부
15: 밴드부

Claims (5)

  1.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부에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재가 수납된 방사선 차폐복에 있어서,
    상기 차폐재의 후방으로 3개의 분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분획된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포켓;
    상기 전면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에어포켓과 연통되고, 상기 에어포켓의 분획된 공간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주입 밸브부; 및
    상기 에어포켓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전면부가 신축성 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전면부의 측방향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유연한 소재의 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포켓이 상기 차폐재와 착용자의 거리를 10 내지 20 cm로 증가시킴에 따라 착용자의 피폭 선량을 56% 내지 75%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복이되,

    상기 에어포켓은,
    상기 3개의 분획된 공간 중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차폐재와 착용자의 하복부간 이격 거리를 10 내지 20 cm로 조절하는 제1 포켓;
    상기 3개의 분획된 공간 중 중단에 위치하고, 상기 차폐재와 착용자의 상복부간 이격 거리를 10 내지 20 cm로 조절하는 제2 포켓; 및
    상기 3개의 분획된 공간 중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차폐재와 착용자의 흉부간 이격 거리를 10 내지 20 cm로 조절하는 제3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밸브부는,
    상기 에어포켓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주입 펌프; 및
    상기 주입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입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밸브는,
    3방향 밸브로 제공되어 상기 제1 포켓 또는 상기 제2 포켓 또는 상기 제3 포켓으로 선택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의 저장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복.
KR1020170026196A 2017-02-28 2017-02-28 방사선 차폐복 KR10198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96A KR101985070B1 (ko) 2017-02-28 2017-02-28 방사선 차폐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96A KR101985070B1 (ko) 2017-02-28 2017-02-28 방사선 차폐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47A KR20180099147A (ko) 2018-09-05
KR101985070B1 true KR101985070B1 (ko) 2019-05-31

Family

ID=6359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196A KR101985070B1 (ko) 2017-02-28 2017-02-28 방사선 차폐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466B1 (ko) * 2020-05-07 2022-08-22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검사용 가변형 차폐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636Y1 (ko) * 2001-11-09 2002-01-23 세안기술 주식회사 방사선 차폐용 의복
KR200446628Y1 (ko) * 2009-04-09 2009-11-18 (주)코스코텍 공기 주입형 방사선 방호복
JP2014002029A (ja) * 2012-06-18 2014-01-09 Kureha Ltd 放射線防護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636Y1 (ko) * 2001-11-09 2002-01-23 세안기술 주식회사 방사선 차폐용 의복
KR200446628Y1 (ko) * 2009-04-09 2009-11-18 (주)코스코텍 공기 주입형 방사선 방호복
JP2014002029A (ja) * 2012-06-18 2014-01-09 Kureha Ltd 放射線防護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47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41848B (zh) 辐射防护装置及其方法
US11167053B1 (en) Antivirus and radiation detection system
KR101985070B1 (ko) 방사선 차폐복
US11576630B1 (en) Radiation shielding eye mask
Dunne-Daly Principles of radiotherapy and radiobiology
KR102041052B1 (ko) 방사선 차폐 방호복
RU2197761C2 (ru) Спецодежда для защиты от радиоактивного излучения
CN215025382U (zh) 一种用于乳腺癌放疗的剂量补偿物固定器
CN213751999U (zh) 一种甲状腺核素治疗后防护装置
NL1031670C2 (nl) Een kraagvormige afscherming rondom het halsgebied, opgebouwd uit lood en/of loodequivalent materiaal gecombineerd met weefselequivalent materiaal met als primair doel het verminderen van uitgezonden gammastraling vanuit de schildklier na behandeling met Jodium 131, Stapelkraag genoemd.
KR20120001630U (ko) 방사선 차폐조끼
CN215017795U (zh) 一种防辐射铅围脖外护套
RU2538458C1 (ru) Одежда спасателей для защиты от радиоактивного излучения в сейсмически-опасных зонах
RU2514428C2 (ru) Одежда спасателей для защиты о радиоактивного излучения в сейсмически-опасных зонах
KR200261636Y1 (ko) 방사선 차폐용 의복
CN213545933U (zh) 一种用于核医学科的防辐射面罩
SE449043B (sv) Operationsdrekt som forhindrar spridning av luftburna kroppsfragment eller mikroorganismer
CN209451166U (zh) 一种穿戴式颈部肿瘤放疗装置
KR100857230B1 (ko) 중성자 차폐복
CN212570418U (zh) 核电控制区连体服
CN214156277U (zh) 一种新型防割服
Auterinen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shoulder recesses into the beam aperture shields for improved patient positioning at the FiR 1 BNCT facility
KR19980065500U (ko) 방사선 중성자 방어복
CN208926411U (zh) 一种ct检查防护罩
CN207137177U (zh) 一种透气散热化学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