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578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578B1
KR101984578B1 KR1020120091147A KR20120091147A KR101984578B1 KR 101984578 B1 KR101984578 B1 KR 101984578B1 KR 1020120091147 A KR1020120091147 A KR 1020120091147A KR 20120091147 A KR20120091147 A KR 20120091147A KR 101984578 B1 KR101984578 B1 KR 101984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mobile terminal
side key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5065A (en
Inventor
최태화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578B1/en
Publication of KR2014002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0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Abstract

개구부가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며 배면 및 상기 배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경사면에 장착되고 상기 경사면에 대한 수직 방향 인입출되도록 구성된 사이드키 및 상기 사이드키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가압된 경우 제어 신호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둘레의 베젤 폭을 줄여 충분한 디스플레이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A main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front printe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front case at a rear surface of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 rear surface and at least a part of an edge of the rear surface A side key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and configured to be vertically pulled in and out of the inclined surface, and a control key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key and pressed when the main key is presse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witch unit for transmitting the display unit to a printed circuit board can reduce a bezel width around the display module to secure a sufficient display area.

Description

이동단말기 {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화면 둘레의 베젤 폭을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의 넓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alizing a wide-area display screen, and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creasing a width of a display screen by reducing a bezel width around a display screen.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통화음의 크기 조절, 벨소리의 크기 조절 및 터치 스크린 화면 온오프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일측면에 사이드키(sidekey)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한 사이드키를 누르면 사이드키가 이동 단말기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사이드키의 이동에 의해 사이드키와 접하는 스위치가 작동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ide key sidekey on one side thereof for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adjusting the size of a call tone, adjusting the size of a ring tone, and touch screen screen on and off. When the user presses the side key located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the side key moves to the in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witch touching the side key is activated by the movement of the side key, thereby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이러한 사이드키와 스위치 모듈은 대체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배치로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된다.The side key and the switch module are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re provided on the side or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isplay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그러나, 사이드키와 스위치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슬림한 디자인의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However, when the side key and the switch module ar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there is a limit in configur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slim design.

뿐만아니라, 슬림한 디자인의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 사이드키와 스위치 모듈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에 사이드키 및 스위치 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추가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감싸는 베젤의 폭이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de key and the switch module ar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module in order to realize a mobile terminal having a slim design, an additio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ide key and the switch module must be provided around the display modul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dth of the bezel surrounding the display screen is increased.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모듈 둘레에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hich is proposed to meet the above-mentioned need and can be mounted without requiring a space around the display module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며 배면 및 상기 배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경사면에 장착되고 상기 경사면에 대한 수직 방향 인입출되도록 구성된 사이드키 및 상기 사이드키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가압된 경우 제어 신호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ront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display module inserted into the opening,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rear case including a rear face and an inclined face formed at least a part of an edge of the rear face toward the side face of the front case, a side key mounted on the inclined face and configured to be vertically pulled in and out of the inclined face, And a switch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when it is disposed and pressuriz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이드키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이 아닌 후면에서 이동 단말기의 두께 방향에 대한 사선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않으면서 종래에 디스플레이 모듈 둘레에 사이드키의 수용을 위해 구비되던 추가 공간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화면 둘레에 형성되는 베젤의 폭을 줄여 동일한 전면 크기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서 넓은 영역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슬림한 디자인의 이동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side keys in the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back side rather than from the side of the display module, The additional space provided for accommodating the side keys can be elimina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dth of the bezel formed around the display screen, thereby securing a wide display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front size, and at the same time, realizing a slim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 배터리, 리어 케이스 및 사이드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사이드키 및 스위치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사이드키, 돔스위치, 보조 인쇄회로기판 및 브라켓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브라켓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사이드키, 경사 택트스위치 및 보조 인쇄회로기판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경사 택트스위치의 또 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cover, a battery, a rear case, and a side ke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ide key and a switch unit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side key, a dome switch, an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racket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cke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A.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side key, a shift key switch, and an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upling structure of the inclined switch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A.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 module " and " part "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 및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ing 101, 102,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A printed circuit board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등 보조 저장매체(165)와 같이 탈착이 필요한 부품은 외측으로부터 케이스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매체(165)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실장되도록 케이스 측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카드 슬롯(166, 167)이 형성될 수도 있다.A part such as a USIM card and a memory card, which is required to be detached, such as an auxiliary storage medium 165, may include an opening in the case so that the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case from the outside. Slots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e so that the auxiliary storage medium 165 may be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ard slots 166 and 167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It is possible.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101, 102, and 103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1,200),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unit 152, the camera 121, the user input units 131 and 200, the microphone 122, the interface 1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cases 101 and 102.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A sound output unit 152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user input unit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3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2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200)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200)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같이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방식(131)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버튼방식(200)은 주로 이동 단말기의 둘레에 구비되며, 사이드키(sidekey)로 불린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31 and 200. The operation units 131 and 200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The operation units 131 and 200 may include a button system 200 that recognizes when a user applies pressure, And a touch method 131 for receiving a command of the touch screen. The button system 200 is mainly provided around the mobile terminal and is called a sidekey.

사이드키(200)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200)의 일부는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다른 일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side key 200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a part of the side key 200 receives a command such as the adjustment of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and the other part receives a command such as activation / deactivation of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Can be inpu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사이드키(200),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66), 메모리카드 장착부(167)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rface of a rear ca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the front case 101, the rear case 102, the side key 200, the rear cover (or battery cover) 103, the camera 121 ', the interface 170, the microphone 122, An audio output unit 152 ', a battery 191, a battery mounting unit 104, a USIM card mounting unit 166, and a memory card mounting unit 167 are show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102)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의 외형을 형성하고, 배면(1021) 및 경사면(1022)을 포함한다. 경사면(1022)은 배면(1021)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서 프론트 케이스(101)의 측면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배면(1021)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경사면(1022)은 배면(102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만 형성되거나 배면(1021)의 네 가장자리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너비 방향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2, the rear case 102 is coupled with the front case 101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back surface 1021 and a slope surface 1022. [ The inclined surface 1022 is inclin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at at least a part of the edge of the back surface 1021 and can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back surface 1021. [ The inclined surface 1022 may be formed only on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back surface 1021 or on all four edges of the back surface 1021, or may be formed only on the widthwise edge.

리어 케이스(102)는 배면(1021) 및 경사면(1022)에 더하여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1022)은 배면(1021)과 측면을 연결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이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경사면(1022)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을 대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사면(1022)이 직접 프론트 케이스(101)에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case 102 may further include a side surface in addition to the back surface 1021 and the inclined surface 1022. [ In this case, the inclined surface 1022 can connect the rear surface 1021 and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can be coupled to the front case 101. Alternatively, the inclined surface 1022 may be replac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and in this case, the inclined surface 1022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front case 101.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배면(1021)과 경사면(1022) 사이에 모서리가 형성되게 배면(1021)과 경사면(1022)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배면(1021)과 경사면(1022)이 배면(1021)과 경사면(1022) 사이에 모서리가 없는 곡면을 이루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리어 케이스(102)가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배면(1021)과 경사면(1022)의 구별이 불분명해지지만,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의 둘레를 이루며 전면과 경사를 형성하는 부분을 경사면(1022), 나머지 부분을 배면(1021)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the back surface 1021 and the sloped surface 1022 are connected so that an edge is formed between the back surface 1021 and the sloped surface 1022. However,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back surface 1021 and the inclined surface 1022 form a curved surface with no edge between the back surface 1021 and the inclined surface 1022. In the case where the rear case 102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the portion that forms the circumference of the mobile terminal by engaging with the front case 101 and forms the inclination with the front surface 101, (1022),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back surface (1021).

사이드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102)가 포함하는 경사면(1022) 상에 경사면(1022)과 수직하게 장착된다. 즉, 사이드키(200)는 이동 단말기의 둘레에 구비되되,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1021)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1022)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1022) 상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사이드키(2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경사면(1022)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인입출된다. 사이드키(200)의 상세한 배치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side key 200 is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1022 on the inclined surface 1022 included in the rear case 10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ide key 200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vertically movable on the inclined surface 1022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1022 forming the obtuse angle with the back surface 1021 of the rear case 102. [ Respectively. The side key 200 is pulled in and o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pe 1022 when pressed by the user. The detailed arrangement and operation of the side key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amera 12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102. The camera 121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camera 121 (see FIG. 2), and may be a camera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pixels as the camera 121.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may have a low pixel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camera 121 '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rge number of pixels. The cameras 121 and 12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such that they can be rotated or pop-up.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3 and a mirror 124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 The flash 123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shoot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121 '.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An acoustic output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152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152 (see FIG. 2)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and may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talking and the like, a broadcast signal reception antenna 116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상기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66)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67)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r case 102 may have a space on which external components such as the battery loading unit 104, the USIM card loading unit 166, and the memory card loading unit 167 can be mounted. In general, an external component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is used to extend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order to satisfy diversified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이동 단말기(100)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191)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교체형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배터리 장착부(104)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As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diversified, the battery 191 may be replaced with a battery 191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large power consumption. In the case of the interchangeable type, a battery mounting portion 10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so that a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battery.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04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ponent mounted inside the cas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카드 장착부(166)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67)는 배터리 장착부(104)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장착부(104)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배터리(191)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로부터 분리하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착부(104)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 배터리(191)의 대형화가 가능하다.2, the USIM card mounting portion 166 and the memory card mounting portion 167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04 o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04,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04 can be larger, and the size of the battery 191 can be increased.

도 2에는 USIM카드 장착부(166)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67)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실장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측면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 분리 가능하다. 2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IM card mounting portion 166 and the memory card mounting portion 167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In addition, Do.

상기 후면커버(103)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된 배터리(191), USIM카드, 메모리카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상기 외장부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방수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외장부품에 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는 방수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ar cover 103 covers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103 to secure the battery 191, the USIM card, the memory card, and the lik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rear case 102, Thereby protecting the external component. A waterproof structure (not shown) for sealing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when the rear case 102 and the rear cover 103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water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external components.

이하,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사이드키 장착 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side key mounting structur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B.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프론트 케이스(101), 디스플레이 모듈(1510), 메인 인쇄회로기판(110), 리어 케이스(102), 사이드키(200) 및 스위치부(300)를 포함한다.3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front case 101, a display module 1510,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110, a rear case 102, a side key 200, and a switch unit 300 do.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는 윈도우 글래스(109)가 삽입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체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0) 또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윈도우 글래스(109)의 후면에 결합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0)의 후면에는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메인 인쇄회로기판(110)이 위치하며, 리어 케이스(102)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10)의 후면에서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한다.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는 후면커버(103)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case 101, and a window glass 109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opening to be fastened to the front case 101. The display module 1510 is also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glass 109.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10 is provided with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110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are mounted. 101). The rear cover 103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디스플레이 모듈(1510)은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0)은 액정과 픽셀 별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TFT 패널과 칼라필터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으로 구성된 LCD 패널과, LCD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여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1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In this case, the display module 1510 may include a TFT panel capable of applying signals to liquid crystal and pixels, a color filter, and an LCD panel And a backlight unit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CD panel and irradiating light forward.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102)는 배면(1021)과 배면(10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1022)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1022)에는 사이드키(200)가 수직하게 장착된다. 도 3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키(200)는 가압에 의해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인입되고 가압이 중지되면 경사면(1022)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된다.The rear case 102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ar surface 1021 and an inclined surface 1022 formed at the edge of the rear surface 1021. The side key 200 is vertically Respectively. 3, the side key 200 is draw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1022 of the rear case 102 by pressurization, and when the pressing is stopped, the side key 200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1022 .

본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키(200)를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하면 사이드키(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510)의 측면보다는 후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1510) 측면에 사이드키(200)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모듈(1510)을 감싸는 베젤의 폭(d)을 줄일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에서도 최대 넓이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키(200)가 이동 단말기 두께에 대해 사선 방향 장착되어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사이드키(200)에 대해 그 장착 및 동작을 위해 필요한 이동 단말기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슬림한 디자인의 이동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Since the side key 200 is positioned on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module 1510 rather than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10 when the side key 200 is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dditio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key 200. As a result, the width d of the bezel surrounding the display module 1510 can be reduced, and a display screen having a maximum width can be realized even in a mobile terminal of the same size. Further, since the side key 200 is obliquely mounted relative to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and moves in the obliqu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necessary for its mounting and operation for the side key 200 of the same size, Accordingly, a mobile terminal having a slim design can be constructed.

사이드키(200)의 내측에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부(300)가 구비되는데, 스위치부(300)는 사이드키(200)가 인입 시 사이드키(200)와의 접촉에 의해 가압되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 신호를 메인 인쇄회로기판(110)으로 전달하여 사이드키(200)에 할당된 동작을 실행시킨다. 스위치부(300)는 사이드키(200)와 접하여 가압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가 가압되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witch unit 3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110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ide key 200. The switch unit 30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key 200 in a state where the side key 20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key 2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main PCB 110 to execute the operation assigned to the side key 200. The switch unit 300 may include a movable unit that is pressed against the side key 200 and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when the movable unit is press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부(300)의 가동부는 경사면(102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이드키(200)가 인입되는 경우 사이드키(200)의 내측과 수직으로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키(200)의 단면 중심을 지나며 사이드키(200)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축과 스위치부(300)의 가동부의 종축을 일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vable portion of the switch portion 30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surface 1022,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inside of the side key 200 vertically when the side key 200 is draw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axis form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ide key 200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movable portion of the switch unit 300 can be aligned with each other,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ide key 200.

스위치부(300)의 가동부를 경사면(1022)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사이드키(200)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부(300)의 가동부가 사이드키(200)와의 접촉을 통해 전달 받는 힘의 방향과 사이드키(200)의 이동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사이드키(200)의 인입 시 가동부가 효과적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스위치부(3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오차 없이 발생될 수 있다.The moving part of the switch part 30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surface 1022 so that the movable part of the switch part 300 can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ide key 200 even though the side key 200 is arrang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he direction of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ontact with the side key 200 can be made to coincid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ide key 200. As a result, the movable part can be effectively pressed upon entry of the side key 200 disposed obliquely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witch part 300 can be generated without error.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사이드키(200) 및 스위치부(3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전술된 스위치부(300)가 돔스위치(312) 및 보조 인쇄회로기판(314)으로 구성될 수 있다.4A and 4B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ide key 200 and the switch unit 300, respectively,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A,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switch unit 300 may be constituted by the dome switch 312 and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14.

본 실시예에서는, 돔스위치(312)는 스위치부(300)의 가동부이고, 보조 인쇄회로기판(314)은 신호 발생부이다. 스위치부(300)의 가동부인 돔스위치(312)는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이드키(200)가 인입되는 경우 사이드키(200)의 내측과 수직하게 접할 수 있다. 돔스위치(312)는 보조 인쇄회로기판(3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이드키(200)에 의해 가압되면 보조 인쇄회로기판(314)에 시그널 신호를 전달하여 보조 인쇄회로기판(314)이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한다. 보조 인쇄회로기판(314)은 연성회로기판(FPCB) 또는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ome switch 312 is a moving part of the switch part 300, and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14 is a signal generating part. The dome switch 312 which is the movable part of the switch unit 30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surface 1022 of the rear case 102 so that when the side key 200 is drawn in, have. The dome switch 3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14 and transmits a signal signal to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14 when pressed by the side key 200 so that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14 is controlled Signal.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14 may be a flexible circuit board (FPCB) o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상기와 같이 스위치부(300)의 가동부로서 돔스위치(312)를 포함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돔스위치(312)를 이동 단말기 내에서 두께에 대한 사선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브라켓(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10)은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에 고정되는 제1 단부(4101),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1021)에 고정되는 제2 단부(4102) 및 상기 제1 단부(4101)와 상기 제2 단부(4102) 사이에 구비된 고정 빗면(4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102)가 배면(1021)과 경사면(1022) 외에 측면도 포함하는 경우, 제1 단부(4101)는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410)은 절곡된 스테인리스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bracket 410 for fixing the dome switch 312 in the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in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the dome switch 312 as the moving part of the switch part 300. [ can do. 4A, the bracket 410 includes a first end 4101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1022 of the rear case 102, a second end fixed to the rear surface 1021 of the rear case 102 And a fixed oblique surface 4103 provided between the first end 4101 and the second end 4102. The first end portion 4101 may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when the rear case 102 includes side surfaces other than the back surface 1021 and the inclined surface 1022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racket 410 may be formed of a bent stainless steel plate.

브라켓(410)의 양 단부가 각각 다른 높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양 단부 사이의 고정 빗면(4103)은 이동 단말기의 두께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빗면(4103)에 돔스위치(312)를 고정시킴으로써 스위치부(300)의 가동부를 사선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고정 빗면(4103)이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제1 단부(4101)와 제2 단부(4102)의 길이 또는 고정 높이 등이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Since both ends of the bracket 410 are fixed at different heights, the fixed beveled surface 4103 between the both ends can be arrang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vable portion of the switch portion 300 can be maintained in the oblique direction by fixing the switch portion 312. The length or fixed height of the first end portion 4101 and the second end portion 4102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fixed oblique oblique surface 4103 is kept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1022 of the rear case 10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에 홈(10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1020)에 브라켓(410)의 제1 단부(4101)를 삽입하여 제1 단부(4101)를 경사면(1022)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브라켓(410)의 제2 단부(4102)는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1021)에 나사(42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된 나사(420)가 리어 케이스(102) 배면(102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102) 배면(1021)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51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부분(1021')의 높이 또한 고정 빗면(4103)이 경사면(1022)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알맞게 조정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가 측면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홈(1020)은 경사면(1022)이 아닌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1020)에 제1 단부(4101)를 삽입하여 브라켓(410)의 일단을 리어 케이스(102) 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4B, a groove 1020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1022 of the rear case 102. A first end 4101 of the bracket 410 may be formed in the groove 1020, So that the first end portion 4101 can be easily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1022. The second end portion 4102 of the bracket 410 can be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1021 of the rear case 102 through the screw 420. 4B, a part of the back surface 1021 of the rear case 102 i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1021 of the rear case 102 through the rear surface 1021 of the rear case 102, And may protrude toward the module 1510 side.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1021 'may also be adjusted properly so that the fixed beveled surface 4103 remains parallel to the beveled surface 1022. When the rear case 102 further includes a side surface, the groove 102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ther than the inclined surface 1022 and the first end 4101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020, Can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본 실시예에 따라 브라켓(410)과 리어 케이스(102)를 고정하는 경우, 제1 단부(4101)는 별 다른 조립 과정 없이 단순히 제1 단부(4101)를 홈(1020)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단부는 나사(4102)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즉, 복잡한 조립 과정 없이 이동 단말기의 브라켓(410)을 리어 케이스(102)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bracket 410 and the rear case 102 are fix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nd portion 4101 is fixed by simply inserting the first end portion 4101 into the groove 1020 without a different assembly process. And the second end can be simply and firmly fixed using screws 4102. [ That is, the bracket 410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firmly fixed to the rear case 102 without complicated assembling process.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사이드키(200) 및 스위치부(30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스위치부(300)가 경사 택트스위치(322)와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으로 구성될 수 있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structures of a side key 200 and a switch unit 300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A,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tch unit 300 may be composed of an inclined tact switch 322 and an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이 경우, 경사 택트스위치(322)는 스위치부(300)의 가동부이고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이 신호 발생부이다. 경사 택트스위치(322)는 그 접촉면이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스템(stem, 322b)과, 스템(322b)이 삽입된 본체(322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키(200)의 인입에 의해 스템(322b)은 본체(322a) 내에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때 스템(322b)의 이동 방향은 경사면(1022)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은 경사 택트스위치(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경사 택트스위치(322)의 스템(322b)이 눌리는 경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is the moving part of the switch part 300 and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is the signal generating part.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may include a stem 322b whose contact surface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surface 1022 of the rear case 102 and a main body 322a into which the stem 322b is inserted. The stem 322b can be resiliently moved within the body 322a by the pulling of the side key 200 whil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tem 322b can be perpendicular to the slope 1022. [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when the stem 322b of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is depressed.

도 5a의 부분확대도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포함하는 경사 택트스위치(322)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택트스위치(322)의 본체(322a)는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에 실장될 수 있는데, 이 때 도 5a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322b)은 스템(322b)이 이동하는 방향과 본체(322a)와 보조 인쇄회로기판(324) 사이의 실장면(3240)이 예각을 이루는 배치로 본체(322a)에 삽입될 수 있다. 통상적인 택트스위치에서는 스템(322b)의 이동 방향이 본체(322a)의 실장면(3240)과 직각을 이루는 데 반해, 본 실시예의 경사 택트스위치(322)에서는 스템(322b)의 이동 방향과 본체(322a)의 실장면(3240) 사이 각도(θ)가 직각보다 작은 각을 형성할 수 있다.5A is a side view of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A, the main body 322a of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may be mounted on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where the stem 322b, as shown in the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5A,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m 322b moves and the mounting scene 3240 between the main body 322a and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322a at an acute angl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m 322b is orthogonal to the mounting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322a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act switch, 322a may be less than a right angle.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사 택트스위치(322)를 이용하면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기존의 구조에 경사 택트스위치(322)를 단순 결합시켜 스템(322b)의 이동 방향을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에 대해 수직이 되게 할 수 있다. When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used,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is simply coupled to the existing structure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m 322b is inclined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Lt; RTI ID = 0.0 > 1022 < / RTI >

일 예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경사 택트스위치(322)의 경우 본체(322a)가 실장된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을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평행하게 고정시키면 스템(322b)의 이동 방향이 이동 단말기의 두께에 대해 사선 방향이 된다. 스템(322b)의 경사진 이동 방향을 사이드키(200)의 이동 방향, 즉 스텝(322b)과 접촉 시 스템(322b)에 힘을 가하는 방향과 일치시키면 스템(322b)이 효과적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스위치부(300)가 오차 없이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shown in FIGS. 5A and 5B, when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mounted with the main body 322a is fixed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m 322b Is diagonal to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The stem 322b can be effectively pressed if the inclined moving direction of the stem 322b is matched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ide key 200,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the stem 322b in contact with the step 322b, As a result, the switch unit 300 can operate without error.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이 고정되는 위치 및 고정 각도 등은 본체(322a)의 실장면(3240)과 스템(322b)의 이동 방향 사이의 각도(θ)와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과 배면(1021)이 형성하는 둔각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The position and fixed angle of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to be fixed and the like are determined by the angle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322a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m 322b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022 And the obtuse angle formed by the back surface 1021 can be adjus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510)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1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51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 택트스위치(322)가 실장된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은 지지 프레임(1512)과 평행하게 지지 프레임(15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프레임(1512)은 두께가 얇은 스테인레스 판재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510)을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5a,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rame 1512 that supports the display module 1510 at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510, and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The mounted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can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1512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frame 1512. [ In this case, the support frame 1512 may be a thin stainless steel plate, and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15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 택트스위치(322)가 실장된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을 디스플레이 모듈(1510)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기존 부재인 지지 프레임(1512)에 간단히 고정함으로써 스위치부(300)가 리어 케이스(102)의 경사면(1022)에 수직하게 장착된 사이드키(200)와 수직으로 접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동 단말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simply fixing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on which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is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1512, which is an existing member provided for supporting the display module 1510, Can vertically contact the side key 200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1022 of the rear case 102. As a result, the assembl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improv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택트스위치(322)가 실장되는 보조 인쇄회로기판(324)과 이동 단말기 내부에 수용된 메인 인쇄회로기판(11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보조 인쇄회로기판(324)과 메인 인쇄회로기판(11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의 높이를 통해 경사 택트스위치(322)의 스템(322b)이 사이드키(200)와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경사 택트스위치(322)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5B,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on which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is mounted and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110 hous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hav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B,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and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110 integrally formed.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tem 322b of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is opposed to the side key 200 through the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을 다른 부재에 고정할 필요 없이, 경사 택트스위치(322)를 보조 인쇄회로기판(324)에 실장하는 것 만으로 경사 택트스위치(322)를 이동 단말기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조립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can be mounted on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only by mounting the inclined tact switch 322 on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without fixing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324 to another member. . Accordingl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simplified, and the assembl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프론트 케이스 1510: 디스플레이 모듈
1512: 지지 프레임 110: 메인 인쇄회로기판
102: 리어 케이스 103: 후면커버
200: 사이드키 300: 스위치부
312: 돔스위치 314, 324: 보조 인쇄회로기판
410: 브라켓 322: 경사 택트스위치
322a: 본체 322b: 스템
101: front case 1510: display module
1512: Support frame 110: Main printed circuit board
102: rear case 103: rear cover
200: side key 300: switch part
312: dome switch 314, 324: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410: Bracket 322: Angle tact switch
322a: main body 322b: stem

Claims (8)

개구부가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며, 배면 및 상기 배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배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면에 장착되고, 상기 경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인입출되도록 구성된 사이드키; 및
상기 사이드키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가압된 경우 제어 신호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리어 케이스의 측면 또는 상기 경사면에 고정되는 제1 단부, 상기 리어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가 고정되는 고정 빗면을 포함하는 브라켓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절곡된 스테인리스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front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 display module inserted into the opening;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rear case coupled to the front case at a rear surface of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and including a rear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at an obtuse angle with the rear surface on at least a part of an edge of the rear surface;
A side key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the side key being configured to be pulled in and o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And
A switch unit disposed inside the side key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when pressed; And
A second e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and a second end fix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surface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the switch portion is fixed And a bracket including a fixed beveled surface,
Wherein the bracket is made of a bent stainless steel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키의 내측과 수직으로 접하며 상기 사이드키의 인입 시 가압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unit
A movable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and contacting the inside of the side key vertically and being pressed when the side key is pulled in,
And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when the movable part is pres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돔스위치이고,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돔스위치 및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vable portion is a dome switch,
Wherein the signal generator comprises an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me switch and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 측면 또는 상기 경사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리어 케이스 배면에 나사 체결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A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or the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first e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second end is screw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실장면에 대한 예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스템(stem)을 포함하는 경사 택트스위치이며,
상기 스템은 상기 사이드키의 인입 시 상기 경사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ignal generator is an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movable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mounted on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tem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elastically movable in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a mounting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stem is disposed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side key is retrac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지지 프레임과 평행하게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display module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fr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일체로 형성된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KR1020120091147A 2012-08-21 2012-08-21 Mobile terminal KR101984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147A KR101984578B1 (en) 2012-08-21 2012-08-21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147A KR101984578B1 (en) 2012-08-21 2012-08-21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065A KR20140025065A (en) 2014-03-04
KR101984578B1 true KR101984578B1 (en) 2019-05-31

Family

ID=5064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147A KR101984578B1 (en) 2012-08-21 2012-08-21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5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1715A (en) * 2017-08-04 2019-02-26 深圳市掌阅科技有限公司 Mobile terminal with metallic support
CN210778356U (en) * 2019-09-19 2020-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420A (en) * 2005-06-02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Button assembly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s
KR101620043B1 (en) * 2009-11-20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key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065A (en)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795B1 (en)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rin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US10558833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923472B1 (en) Socket module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80364763A1 (en) Electronic device
US9177738B2 (en) Mobile terminal
KR101977079B1 (en) Mobile terminal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KR20130122160A (en) Mobile terminal
KR101984578B1 (en) Mobile terminal
KR102019120B1 (en) Butto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assembly
KR101271540B1 (en) Mobile terminal
KR101976464B1 (e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molding a battery equipped therein
KR20140062225A (en) Mobile terminal
KR101919774B1 (en) Mobile Terminal
KR101918989B1 (en) Mobile terminal
KR101474440B1 (en) mobile terminal
KR101850387B1 (en) Mobile terminal
KR101804915B1 (en) Mobile terminal
KR101980708B1 (en) Mobile terminal
KR101336710B1 (en) Mobile terminal
KR101981315B1 (en) Mobile terminal
KR101474449B1 (en) Portable terminal
KR20140045818A (en) Mobile terminal
KR20150067671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