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055B1 - 이동형 가림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가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055B1
KR101984055B1 KR1020190035858A KR20190035858A KR101984055B1 KR 101984055 B1 KR101984055 B1 KR 101984055B1 KR 1020190035858 A KR1020190035858 A KR 1020190035858A KR 20190035858 A KR20190035858 A KR 20190035858A KR 101984055 B1 KR101984055 B1 KR 10198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ar
connection part
holder
e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대
Original Assignee
이승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대 filed Critical 이승대
Priority to KR102019003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G12B17/04Screening from visible, ultraviolet, or infrared light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G12B17/06Screening from heat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5/00Adjusting position or attitude, e.g. level,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or of parts thereof; Compensating for the effects of tilting or acceleration, e.g. for optical apparatu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9/00Housing or supporting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 G12B9/02Casings; Housings; Cabinets
    • G12B9/04Details, e.g. cover

Landscapes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림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가림 대상물을 덮는 한편 지면 일 측에 고정되는 가림판과 상기 가림 대상물이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가림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림판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림 대상물의 위치나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가림판을 이동하여 상기 가림 대상물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이동형 가림 장치이다.

Description

이동형 가림 장치{MOVABLE SUNSHADE DEVICE}
본 발명은 가림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가림 대상물을 덮는 한편 지면 일 측에 고정되는 가림판과 상기 가림 대상물이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가림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림판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림 대상물의 위치나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가림판을 이동하여 상기 가림 대상물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이동형 가림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유량계나 압력계 등과 같이 야외에서 사용되는 계측 장치는 햇빛 등의 주변 환경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
예를 들어 고온 환경에서 계측 장치가 배치되는 경우 주위의 열로 인해 정확한 계측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계측 장치에 덮개 등과 같은 가림 장치를 배치하여 햇빛 등이 차단되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계측 장치 즉, 가림 대상물의 설치 D위치나 크기에 따라 가림 장치를 달리 해야 해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림 대상물을 덮는 한편 지면 일 측에 고정되는 가림판과 상기 가림 대상물이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가림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림판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림 대상물의 위치나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가림판을 이동하여 상기 가림 대상물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이동형 가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 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림 대상물(P)을 덮는 한편 지면 일 측에 고정되는 가림판(100)과 상기 가림 대상물(P)이 고정되는 홀더(300) 및 상기 홀더(300)와 가림판(100)을 연결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200)는 상기 가림판(1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형 가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가림판(100) 저면에 배치되고 ㄴ 자 형상이며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레일(210)과, 상기 가림판(100)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210) 사이를 통해 하향 연장되는 고정구(230)와, 상기 레일(210)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구(230)가 관통하는 슬라이딩 판(220)과, 상기 홀더(3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230)가 관통하며 나사 결합하는 조임구(24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홀더(300)는 상기 조임구(240)가 상면에 배치되고 고정구(230)가 관통하는 수평판(310)과, 상기 수평판(310) 양 측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가림 대상물(P)이 설치되는 수직판(320)과, 상기 수평판(310)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임구(240)를 관통한 고정구(230)와 나사 결합하는 마감부(33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수직판(320)은 판체 형상을 가지는 수직판 본체(321)와 상기 수직판 본체(321)에 요홈되어 상기 가림 대상물(P)의 고정 바아(P1)가 삽입되는 삽입홈(322)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 바아(P1)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바아(P1)가 상기 삽입홈(3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로 하는 축수부(4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축수부(400)는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과,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과,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되고,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되며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되며,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되고,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소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림 대상물의 위치나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가림판을 이동하여 상기 가림 대상물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장치의 축수부의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장치의 축수부와 고정 바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장치의 축수부의 유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장치의 축수부의 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 대상물(P)을 덮는 한편 지면 일 측에 고정되는 가림판(100)과 상기 가림 대상물(P)이 고정되는 홀더(300) 및 상기 홀더(300)와 가림판(100)을 연결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홀더(200)는 상기 가림판(1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가림판(100)에 의해 상기 가림 대상물(P)을 덮어 가림 대상물(P)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가림판(100)은 홀더(2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가림 대상물(P)의 크기나 설치 위치가 변동되어도 상기 가림 대상물(P)이 모두 덮이도록 상기 가림판(100)을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가림 대상물(P)의 변동이 있어도 기존의 가림판(100)을 이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가림판(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을 가림판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판 본체(1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림 대상물(P)의 상면을 덮는 수평부(111)와 상기 수평부(111) 일 측에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12)에 의해 가림 대상물(P)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가림판(100) 저면에 배치되고 ㄴ 자 형상이며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레일(210)과, 상기 가림판(100)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210) 사이를 통해 하향 연장되는 고정구(230)와, 상기 레일(210)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구(230)가 관통하는 슬라이딩 판(220)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211)와 수평부(212)를 포함하여 ㄴ 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직부(211)는 상기 가림판(100)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212)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212)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구(230)가 상기 수평부(212) 사이를 관통한다.
상기 슬라이딩 판(220)은 상기 레일(210)의 수평부(212)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판(220)에는 상기 고정구(230)가 관통한다. 상기 슬라이딩 판(220)은 레일(210)의 수평부(212)상에 고정되지 않은 관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판(220)이 이동 가능한 관계로 상기 레일(210) 및 가림판(100)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홀더(300) 상에는 상기 고정구(230)가 관통하며 나사 결합하는 조임구(24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임구(240)는 예를 들어 너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정구(230)는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구(240)를 회전하면 상기 조임구(240)는 가림판(100)에 고정된 고정구(230)에 대해 승하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임구(240)가 상승하면 슬라이딩 판(220)이 레일(210)이 수평부(212)에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판(220)의 이동이 금지된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판(220)을 이동하여 가림판(100)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조임구(240)를 회전 상승하여 상기 슬라이딩 판(22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임구(240)는 홀더(300)와 고정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조임구(240)가 홀더(300)에 고정된 경우 상기 조임구(240)를 회전할 때 상기 홀더(300)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조임구(240)가 홀더(300)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임구(240)를 회전하여 조임한 후 홀더(300)를 다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홀더(300)는 상기 가림 대상물(P)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임구(240)가 상면에 배치되고 고정구(230)가 관통하는 수평판(310)과, 상기 수평판(310) 양 측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가림 대상물(P)이 설치되는 수직판(320)과, 상기 수평판(310)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임구(240)를 관통한 고정구(230)와 나사 결합하는 마감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부(330)는 너트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 등을 이용하는 고정구(230)와 나사 결합한다. 즉, 상기 고정구(230)가 마감부(330)를 관통한 후 상기 조임구(230)를 회전하면 상기 조임구(230)가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한다. 이때, 상기 홀더(300)의 수평판(310)이 조임구(230)에 고정된 경우 상기 조임구(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판(310)과 마감부(330)가 연동되어 상승한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판(220)에 레일(210)에 가압되어 이동이 금지된다. 만일 상기 홀더(300)의 수평판(310)이 조임구(230)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임구(230) 회전과 별도로 추가적으로 상기 홀더(300)를 회전하면 상기 마감부(330)의 승하강에 의해 홀더(300)가 승하강하여 상기 슬라이딩 판(220)을 고정하거나 혹은 이동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수평판(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1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30)가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판(320)은 판체 형상을 가지는 수직판 본체(321)와 상기 수직판 본체(321)에 요홈되어 상기 가림 대상물(P)의 고정 바아(P1)가 삽입되는 삽입홈(3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홈(3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고정 바아(P1)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가림 대상물(P)이 홀더(300)에 용이하게 걸림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300)에 걸림된 가림 대상물(P)의 각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위해 상기 고정 바아(P1)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바아(P1)가 상기 삽입홈(3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로 하는 축수부(4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고정 바아(P1)가 축수부(400)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가림 대상물(P)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수부(400)는 널리 알려진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이 배치되고,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전동볼(440)과 롤러(450)에 의해 상기 볼 스크류(220)에 작용되는 하중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 자체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1413040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본 구조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한다.
즉, 탄성 재질의 유지부 본체(510)는 얇은 두께를 가지고 개방부(511)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511)의 양 측에는 홀더(520)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홀더(520)는 판체 형상이고 양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전동볼(440)이 밀착된다.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된다. 즉, 상기 전동볼(440)은 하나의 개방부(511)를 걸러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412,422)은 외륜(410)과 내륜(42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부 본체(510)는 원호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 배치되고 이를 위해 유지부 본체(510)의 하 측(510A)은 내륜(420)의 삽입홈(422)에 삽입되고 유지부 본체(510) 상 측은(510B)은 외륜(410)의 삽입홈(411)에 삽입된다.
이러한 유지부 본체(510)가 외륜(410)과 내륜(420)에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가 연이어 배치된다.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상부 연결부(535)는 예를 들어 구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된다.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에 의해 상기 홀더(520)가 상호 근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520)에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흡수한다. 이러한 탄성 연결부(EB)에 의해 전동볼(440)이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상하 방향 배치되고 동일 선(I)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II)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III)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IV)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V)에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도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연결부 본체(551)와, 사익 연결부 본체(55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연결부(5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홀더(520)의 상하 방향 작용되는 힘이 흡수되어 축수부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한다.
즉, 지면 일측에 지지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는 본 발명의 가림판(100)에 고정부(200)와 홀더(300)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300)에 가림 대상물(P)이 걸림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림 대상물(P)은 축수부(400)에 의해 상기 홀더(300)의 삽입홈(33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림 대상물(P)의 각도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림판 200 : 고정부
210 : 레일 220 : 슬라이딩 판
230 : 고정구 240 : 조임구
300 : 홀더 310 : 수평판
320 : 수직판 322 : 삽입홈
400 : 축수부 410 : 내륜
420 : 외륜 430 : 분리벽
440 : 전동볼 450 : 롤러
500 : 유지부 510 : 유지부 본체
520 : 홀더 530 : 상부 연결부
540 : 하부 연결부

Claims (8)

  1. 가림 대상물(P)을 덮는 한편 지면 일 측에 고정되는 가림판(100)과 상기 가림 대상물(P)이 고정되는 홀더(300) 및 상기 홀더(300)와 가림판(100)을 연결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300)는 상기 가림판(1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가림판(100) 저면에 배치되고 ㄴ 자 형상이며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레일(210)과, 상기 가림판(100)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210) 사이를 통해 하향 연장되는 고정구(230)와, 상기 레일(210)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구(230)가 관통하는 슬라이딩 판(220)과, 상기 홀더(3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230)가 관통하며 나사 결합하는 조임구(24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300)는 상기 조임구(240)가 상면에 배치되고 고정구(230)가 관통하는 수평판(310)과, 상기 수평판(310) 양 측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가림 대상물(P)이 설치되는 수직판(320)과, 상기 수평판(310)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임구(240)를 관통한 고정구(230)와 나사 결합하는 마감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판(320)은 판체 형상을 가지는 수직판 본체(321)와 상기 수직판 본체(321)에 요홈되어 상기 가림 대상물(P)의 고정 바아(P1)가 삽입되는 삽입홈(32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바아(P1)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바아(P1)가 상기 삽입홈(3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로 하는 축수부(400)를 포함하는 이동형 가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부(400)는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과,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과,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되고,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되며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되는 이동형 가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되며,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되는 이동형 가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되고,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이동형 가림 장치.
KR1020190035858A 2019-03-28 2019-03-28 이동형 가림 장치 KR10198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58A KR101984055B1 (ko) 2019-03-28 2019-03-28 이동형 가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58A KR101984055B1 (ko) 2019-03-28 2019-03-28 이동형 가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055B1 true KR101984055B1 (ko) 2019-05-30

Family

ID=6667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858A KR101984055B1 (ko) 2019-03-28 2019-03-28 이동형 가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0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67B1 (ko) * 2008-09-11 2011-01-26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200468418Y1 (ko) * 2013-06-03 2013-08-12 트랜솔루션 (주) 햇빛 가림장치
KR101349802B1 (ko) * 2012-04-25 2014-01-09 김도환 볼 베어링
KR20170095585A (ko) * 2016-02-15 2017-08-23 셰플러코리아(유) 볼 베어링용 케이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67B1 (ko) * 2008-09-11 2011-01-26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101349802B1 (ko) * 2012-04-25 2014-01-09 김도환 볼 베어링
KR200468418Y1 (ko) * 2013-06-03 2013-08-12 트랜솔루션 (주) 햇빛 가림장치
KR20170095585A (ko) * 2016-02-15 2017-08-23 셰플러코리아(유) 볼 베어링용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65602B2 (ja) ロツドレスシリンダ
DE69826355T2 (de) Höhenverstell- oder Nivelliereinrichtung
KR101984055B1 (ko) 이동형 가림 장치
US20160287027A1 (en) Adjustable curved door assembly
US6702246B1 (en) Machine leveler
US20150327683A1 (en) Support assembly
DE19717580C2 (de) Neigungssensor
CN107860413A (zh) 一种多功能多传感器检测设备及其检测装置
CN105894961B (zh) 一种交通指示牌的安全紧固装置
US4548230A (en) Surface box
CN212131906U (zh) 空气检测设备用移动式容置平台
EP0826127B1 (en) Machine leveler
CN209962411U (zh) 一种交通管制用信号检测器
CN213896883U (zh) 一种新型全高旋转闸门
CN209296456U (zh) 一种基于硬度计的硬度测试工装夹具
CN208520658U (zh) 污染地下水样品采集装置
CN215004245U (zh) 一种抗震支架检测用固定装置
CN218932940U (zh) 一种栏杆、栏杆底座和移动栏杆组件
CN207882253U (zh) 一种紧凑型检测器定位装置
CN207289876U (zh) 一种用于夹具转动的承载平台
CN210376108U (zh) 一种管道检测机
KR102583408B1 (ko) 저압접속함 위치표시기 설치공법
KR101813959B1 (ko) 유체동압 베어링 시험 장치
CN215847733U (zh) 密封件定位装置
CN217543505U (zh) 一种磁力吸附的便捷式棱镜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