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847B1 - 글라스 글램핑 시설 - Google Patents

글라스 글램핑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847B1
KR101983847B1 KR1020180144765A KR20180144765A KR101983847B1 KR 101983847 B1 KR101983847 B1 KR 101983847B1 KR 1020180144765 A KR1020180144765 A KR 1020180144765A KR 20180144765 A KR20180144765 A KR 20180144765A KR 101983847 B1 KR101983847 B1 KR 10198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glass
frame
glamping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해관광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해관광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해관광개발
Priority to KR102018014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847B1/ko
Priority to PCT/KR2019/016010 priority patent/WO20201060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글라스 글램핑 시설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골조부재; 거실공간과 침실공간을 상하 층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골조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플로어골조부재; 내부에서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골조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부재; 상기 강화유리부재에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를 마련하여 글램핑 시설 내부에서 유리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부재를 통해 외부의 전경 또는 전망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글램핑 시설의 내부 공간을 1층과 2층으로 구획하여 층별로 각각 구분하여 줌으로써 1층에 거실공간과 욕실공간 등을 모두 구비할 수 있으며, 2층에 마련된 침실공간을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식공간과 수면공간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글라스 글램핑 시설{Glass glamping facility}
본 발명은 글라스 글램핑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강화유리로 형성하여 방갈로 내부에서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활한 열 순환으로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글라스 글램핑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갈로는 해변이나 강, 산 또는 기타 휴양지에 설치되어 휴양객이나 야영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식 공간 및 야영 공간 제공하는 간이 건축물로써, 흔히 방갈로라 불리는 주거용 소형 건축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갈로는 그 면적이 1∼ 3평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지상에 설치되는 작은 집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데, 설치지역의 전경 및 일조량과 풍향 등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방갈로의 통풍창 위치를 선정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은 방갈로는 간이 건축물이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 제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립식으로 설계된 방갈로가 일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방갈로는 모듈화 된 플라스틱 및 금속 자재를 시공자가 체결하여 짜 맞출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체결된 자재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통해 분진이나 빗물이 일부 들어와 내부 공간이 쾌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및 금속 자재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무겁고 자재 각각의 부피가 커서 그 이송 및 설치가 불편하고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조립식 방갈로는 내부 공간에 대한 단열을 위해서는 플라스틱 및 금속 자재를 조립 설치한 후 별도의 단열부재를 내벽에 덧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조립식 방갈로 골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조립식 방갈로 골조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지면에 일정각도로 배열되어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유닛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에 형성된 제1지지편에 하단이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며, 호형으로 휘어지는 복수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을 휘어 상단이 모아지게 한 상태에서 지주들의 상단을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고정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지주들의 하단이 결합되는 지지유닛에 이웃하는 지지유닛 쪽으로 절곡 형성된 제2,3지지편 및 이들 제2,3지지편에 고정수단으로 양단을 고정하는 하부고정대들과, 지주의 중상단에 고정수단(10)으로 고정하는 상부고정대 브래킷 및 이들 상부고정대 브래킷에 고정수단으로 양단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대들을 포함한 조립식 방갈로 골조를 구성한다.
상기 지주와, 상하부고정대는 복원성이 있는 PC강선(prestressing wire)을 2열로 배열하고, 이들 PC강선 사이에 연결편이 형성되도록 합성수지 피복을 형성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달걀형 방갈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달걀형 방갈로는 상/하단부보다는 중간부가 더 불룩한 유선형의 다수의 지지대가 상부고정링과 하부고정링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골조, 전체적으로는 상/하단부가 개방된 달걀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다수의 지지대 대응위치 중간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부위의 사이에는 잠금부재가 각각 구비된 상태로 상기 골조의 외부에 씌워지는 외피, 상기 외피의 절개된 부위 사이의 안쪽에 각각 덧대어지는 내피 및 상기 상부고정링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고, 적어도 상기 상부고정링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환기는 가능하면서 눈이나 비의 유입은 막아주는 삿갓형의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지지대 양측에는 탄성력을 갖는 견인대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견인대 하단부에는 견인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의 내측과 외측에는 다수의 아이들롤러가 고정되어 상기 견인줄 중 외측 견인줄은 상기 지지대 외측의 아이들롤러에 걸쳐지도록 하면서 상기 견인줄 중 내측 견인줄은 상기 지지대 내측의 아이들롤러에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 견인줄은 상기 상부고정링의 안쪽 공간으로 각각 들어와 상부가이드링을 통과한 상태에서 권회롤러에 한꺼번에 권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측 견인줄은 하부가이드링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권회롤러의 외측 견인줄 권회위치와 다른 위치에 상기 외측 견인줄의 권회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한꺼번에 권회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권회롤러의 하부에는 권회롤러 회전손잡이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14791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98986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49829호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방갈로는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방갈로를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나, 방갈로의 내부에서 외부의 조망 시 제한된 시야로 조망해야 되는 불편이 있으며,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는 거실공간과 수면을 취하는 침실공간이 구획되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글램핑 시설 외부의 전망을 내부에서 자유롭게 원하는 방향 및 각도에 제한없이 외부를 폭넓게 조망할 수 있는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는 거실공간과 수면을 취하는 침실공간을 상하로 구획시켜 사용자가 휴식과 수면을 각각의 분리된 공간에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글라스 글램핑 시설은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골조부재; 거실공간과 침실공간을 상하 층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골조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플로어골조부재; 내부에서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골조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부재; 상기 강화유리부재에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글라스 글램핑 시설의 전체적인 형상이 구(球)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골조부재를 보강하도록 상기 강화유리부재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원호파이프부재; 상기 거실공간과 상기 침실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강화유리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계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실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골조부재의 상단에 돔 형태로 설치되는 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조부재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골조; 상기 강화유리부재가 안정되게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지지골조의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보강골조; 상기 침실공간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골조의 소정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플로어골조부재; 상기 돔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골조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돔골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유리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거실공간과 욕실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격벽; 상기 욕실공간을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격벽의 일측에 설치되는 욕실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화유리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거실공간과 분리되는 욕실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연결통로; 상기 연결통로의 일측에 형성되는 욕실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에 의하면, 글램핑 시설 내부에서 유리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부재를 통해 외부의 전경 또는 전망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방갈로의 내부 공간을 1층과 2층으로 구획하여 층별로 각각 구분하여 줌으로써 1층에 거실공간과 욕실공간 등을 모두 구비할 수 있으며, 2층에 마련된 침실공간을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식공간과 수면공간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에 의하면, 글램핑 시설의 상면을 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침실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돔부재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야외에서 밤하늘을 조망할 수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은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골조부재(10), 거실공간(51)과 침실공간(55)을 상하 층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골조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플로어골조부재(15), 내부에서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골조부재(10)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부재(20), 상기 강화유리부재(20)에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은 글램핑 시설 내부에서 외부의 전경 또는 전망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유리를 설치하며, 글램핑 시설의 내부 공간을 1층과 2층으로 구획하여 층별로 각각 구분하여 줌으로써 1층에 거실공간(51)과 욕실공간(53)을 구비하고, 2층에 침실공간(55)을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글램핑 시설의 상면을 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침실공간(55)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돔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야외에서 밤하늘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입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은 소정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골조부재(10)와 글램핑 시설 내부에서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상기 골조부재(10) 사이에 강화유리부재(20) 및 글램핑 시설의 상면에 설치되는 돔부재(27)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조부재(10)는 일정 크기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조부재(1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골조(11), 상기 강화유리부재(20)가 안정되게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지지골조(11)의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보강골조(12), 상기 침실공간(55)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골조(11)의 소정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플로어골조부재(15), 상기 돔부재(27)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골조(11)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돔골조부재(1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골조(11)는 형성하고자 하는 방갈로의 형상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골조(11)의 양 측면에는 외측으로 보강골조(12)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골조(12)에는 강화유리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강화유리부재(20)는 골조부재(10)의 지지골조(12) 사이에 설치되어 방갈로의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골조(11)의 상부에는 1층과 2층으로 각각 플로어가 구분되도록 플로어골조부재(15)가 설치되며, 이러한 플로어골조부재(15)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2~2.5m의 높이에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자유로운 보행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지지골조(11)의 상단에는 돔부재(27)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돔골조부재(16)가 설치된다.
이들 골조부재(10)는 방갈로의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플로어골조부재(15)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거실공간(51)이 형성되며, 거실공간(51)과 함께 샤워 등을 할 수 있는 욕실공간(53)이 마련된다.
또 상기 플로어골조부재(15)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침실공간(55)이 형성된다. 이러한 침실공간(55)은 플로어골조부재(15)로부터 대략 1~1.5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골조(11)의 상단에는 돔부재(27)를 지지하는 돔골조부재(16)가 설치되며, 상기 골조부재(10)의 외측에는 글램핑 시설의 전체적인 형상이 구(球) 형상을 갖도록 다수의 원호파이프(17)가 설치된다.
상기 글라스 글램핑 시설의 전체적인 형상이 구(球)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골조부재(10)를 보강하도록 상기 강화유리부재(20)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원호파이프부재(17); 상기 거실공간(51)과 상기 침실공간(55)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강화유리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계단부재(26)를 포함한다.
상기 원호파이프(17)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글램핑 시설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원호파이프(17)가 설치됨에 따라 글램핑 시설의 전체적인 형상이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글램핑 시설의 독특한 디자인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강화유리부재(20)는 골조부재(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부재(20)는 외측강화유리(21)와 내측강화유리(22)로 이루어진다.
이들 외측강화유리(21)와 내측강화유리(22)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이들 외측강화유리(21)와 내측강화유리(22)가 이격되어 설치됨에 따라 글램핑 시설의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측강화유리(21)와 내측강화유리(22)가 2중으로 설치됨에 따라 글램핑 시설 외부의 열원과 글램핑 시설 내부의 열원의 열교환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강화유리부재(20)에는 글램핑 시설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폐도어(25)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25)는 지지공조(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강화유리부재(20)의 내부에는 거실공간(51)에서 2층의 침실공간(55)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부재(26)가 설치되며, 상기 계단부재(26)는 거실공간(51)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부재(20)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침실공간(55)의 상부에는 침실공간(55)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돔부재(27)가 설치되며, 상기 돔부재(27)는 외부의 조망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실공간(51)에는 사용자가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소파(52)가 구비되며, 상기 욕실공간(53)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좌변기(54) 등이 설치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욕실공간(53)은 거실공간(51)과 구획되도록 격벽(13)이 설치되며, 상기 격벽(13)에는 욕실공간(53)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미닫이 형태의 욕실도어(14)가 설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은 글램핑 시설의 형상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골조부재(10)를 설치하며, 상기 골조부재(10)의 소정 높이는 거실공간(51)과 침실공간(55)을 구획하는 플로어골조부재(15)를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골조부재(10)의 상면에는 돔부재(27)를 지지하는 돔골조부재(16)를 설치한다.
상기 골조부재(10)의 보강골조(12) 사이에는 강화유리부재(20)를 설치하며, 상기 강화유리부재(20)는 외측강화유리(21)와 내측강화유리(22)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한다.
이는 글램핑 시설의 외부와 내부를 차단시켜 열교환에 따른 내부의 열손실을 줄이게 되며, 강화유리부재(20)를 통해 외부의 햇빛이 방갈로 내부로 입사되어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강화유리부재(20)에는 글램핑 시설의 내부와 외부를 드나들 수 있도록 개폐도어(25)를 설치하며, 거실공간(51)과 욕실공간(53)을 구획하는 격벽(13)을 설치하며, 거실공간(51)과 욕실공간(53)을 출입할 수 있도록 욕실도어(14)를 설치한다.
상기 거실공간(51)에는 침실공간(55)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부재(26)를 설치하며, 침실공간(55)의 상부에는 침실공간(55)의 내부 공간 확보 및 외부 조망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돔부재(27)를 설치한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입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글라스 글램핑 시설은 지지골조(11)와 보강골조(12)로 이루어진 골조부재(10) 및 상기 골조부재(10)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골조(11)와 보강골조(12)로 이루어진 골조부재(10)는 글램핑 시설을 형성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글램핑 시설은 원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방갈로는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골조부재(10)에는 욕실공간(53)을 형성하도록 골조부재(10)의 외측에 욕실공간(53)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욕실공간(53)을 출입할 수 있도록 욕실도어(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골조부재(10)의 소정 높이에는 플로어골조부재(15)가 설치되며, 상기 플로어골조부재(15)는 거실공간(51)과 침실공간(55)을 1층과 2층으로 구획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플로어골조부재(15)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2.2~2.5m의 높이에 설치되며, 골조부재(10)의 상단에는 돌부재(27)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돔골조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골조부재(10)의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원호파이프(17)가 설치되며, 상기 원호파이프(17)는 방갈로의 외측에 설치되어 글램핑 시설의 외관을 독특한 형상으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 강화유리부재(20)는 골조부재(10)의 보강골조(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강화유리부재(20)는 도 7에서와 같이 방갈로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강화유리(21)와 방갈로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강화유리(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화유리부재(20)는 골조부재(10) 사이에 설치되며, 글램핑 시설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강화유리부재(20)에는 글램핑 시설의 내부와 외부를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층강화유리부재(20)의 내부에는 거실공간(51)과 침실공간(55)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계단부재(26)가 설치된다.
상기 침실공간(55)의 상부에는 침실공간(55)의 내부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돔부재(27)가 설치되며, 상기 돔부재(27)는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강성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re-reinforced plas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욕실공간(53)은 글램핑 시설의 외측에 별도로 구비되는데, 상기 욕실공간(53)과 거실공간(51)을 연결하는 연결통로(31)가 형성된다.
상기 골조부재(10) 및 강화유리부재(20)로 이루어진 방갈로에는 1층에 거실공간(51)이 형성되고, 거실공간(51)과 연결된 연결통로(31)에 의해 욕실공간(53)이 형성된다.
아울러 거실공간(51)의 상부에는 플로어골조부재(15)에 의해 1층과 구획된 2층에 침실공간(55)이 형성된다.
상기 거실공간(51)에는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소파(52) 또는 테이블 등의 가구가 배치되며, 상기 욕실공간(53)에는 샤워 등을 할 수 있도록 세면대 또는 좌변기(54) 등이 배치되고, 침실공간(55)에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침대(56) 등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글램핑 시설은 강화유리부재(20)로 이루어져 거실공간(51)에서 방갈로의 외부를 조망하게 되면, 제한된 크기를 갖는 창문을 통하지 않고서 외부를 조망하게 되어 방갈로의 외부 환경을 파노라마와 같이 조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돔부재(27)가 투명하게 형성된 경우, 침대(56)에 누운 상태에서도 밤하늘을 폭넓게 조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골조부재 11: 지지골조
12: 보강골조 13: 격벽
14: 욕실도어 15: 플로어골조부재
16: 돔골조부재 17: 원호파이프
20: 강화유리부재 21: 외측강화유리
22: 내측강화유리 25: 개폐도어
26: 계단부재 27: 돔부재
31: 연결통로
51: 거실공간 52: 소파
53: 욕실공간 54: 좌변기
55: 침실공간 56: 침대

Claims (6)

  1.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골조부재(10);
    거실공간(51)과 침실공간(55)을 상하 층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골조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되는 플로어골조부재(15);
    내부에서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골조부재(10)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로 설치되며,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면서 외부의 열원과 내부의 열원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강화유리부재(20);
    상기 강화유리부재(20)에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25);
    상기 거실공간(51)과 상기 침실공간(55)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강화유리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는 계단부재(26);
    상기 침실공간(55)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골조부재(10)의 상단에 돔 형태로 설치되며, 외부의 조망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돔부재(27);를 포함하되,
    상기 골조부재(1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골조(11);
    상기 강화유리부재(20)가 안정되게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상기 지지골조(11)의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보강골조(12);
    상기 침실공간(55)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골조(11)의 소정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플로어골조부재(15);
    상기 돔부재(27)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골조(11)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돔골조부재(16);를 포함하며,
    전체적인 형상이 구(球)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골조부재(10)를 보강하도록 상기 강화유리부재(20)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원호파이프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글램핑 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부재(20)의 내부에는 상기 거실공간(51)과 욕실공간(53)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격벽(13);
    상기 욕실공간(53)을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격벽(13)의 일측에 설치되는 욕실도어(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글램핑 시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부재(20)의 외측에는 상기 거실공간(51)과 분리되는 욕실공간(53)이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연결통로(31);
    상기 연결통로(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욕실공간(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글램핑 시설.
KR1020180144765A 2018-11-21 2018-11-21 글라스 글램핑 시설 KR10198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65A KR101983847B1 (ko) 2018-11-21 2018-11-21 글라스 글램핑 시설
PCT/KR2019/016010 WO2020106073A1 (ko) 2018-11-21 2019-11-21 글라스 글램핑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65A KR101983847B1 (ko) 2018-11-21 2018-11-21 글라스 글램핑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847B1 true KR101983847B1 (ko) 2019-09-03

Family

ID=6795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765A KR101983847B1 (ko) 2018-11-21 2018-11-21 글라스 글램핑 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3847B1 (ko)
WO (1) WO20201060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6073A1 (ko) * 2018-11-21 2020-05-28 주식회사 서해관광개발 글라스 글램핑 시설
CN114086798A (zh) * 2021-11-16 2022-02-25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一种莲花景区观景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791A (ko) 2013-07-30 2015-02-09 김규복 조립식 방갈로 골조
KR20150049829A (ko) 2013-10-31 2015-05-08 신운철 방갈로용 조립식 구조체 및 이에 의한 조립식 방갈로
KR20150098986A (ko) 2014-02-21 2015-08-31 벽화수주식회사 달걀형 방갈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45Y1 (ko) * 2011-04-28 2013-03-26 안종원 외기둥 고정 방갈로
KR200489291Y1 (ko) * 2017-03-17 2019-06-13 주식회사 비파종합건설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CN107514175A (zh) * 2017-09-13 2017-12-26 王雨 卵圆薄壳框架晃动式抗地震波建筑结构
KR101983847B1 (ko) * 2018-11-21 2019-09-03 주식회사 서해관광개발 글라스 글램핑 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791A (ko) 2013-07-30 2015-02-09 김규복 조립식 방갈로 골조
KR20150049829A (ko) 2013-10-31 2015-05-08 신운철 방갈로용 조립식 구조체 및 이에 의한 조립식 방갈로
KR20150098986A (ko) 2014-02-21 2015-08-31 벽화수주식회사 달걀형 방갈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글루 호텔, [online], 2017년 03월 03일, [2019년 01월 16일 검색], 인터넷 : <URL: http://nordicn.kr/travel/7286> *
트리 호텔, [online], 2011년 12월 06일, [2019년 01월 16일 검색],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hsp02/9013048695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6073A1 (ko) * 2018-11-21 2020-05-28 주식회사 서해관광개발 글라스 글램핑 시설
CN114086798A (zh) * 2021-11-16 2022-02-25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一种莲花景区观景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6073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3427A (en) Outdoor swimming pool with dome
US4404980A (en) Arched support structure with cover
KR101983847B1 (ko) 글라스 글램핑 시설
US3082780A (en) Portable shelter
CN108699854B (zh) 具有窗户的充气穹顶
KR100601790B1 (ko)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
US4073101A (en) Unit and combined housing structures
CA2779760C (en) Low cost hurricane and earthquake resistant house
EP0695387B1 (en) Emergency shelter
KR100993949B1 (ko) 역마차형 케빈
RU123429U1 (ru) Каркас юрты -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го жилища
DE202005009769U1 (de) Sonnenkollektor
KR101449668B1 (ko) 실내 마감작업이 용이한 골조 일체형 돔 하우스
KR200489291Y1 (ko)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KR200322910Y1 (ko) 다각 입체형 소주택의 차양막 결합구조
KR20110107047A (ko) 조립식 주택
CN108360843A (zh) 一种预制可移动便捷酒桶木屋
KR19990041403U (ko) 조립식 방갈로 텐트
CN220203562U (zh) 一种可以发电的旅行帐篷屋
WO2018013059A1 (en) A shelter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06988428A (zh) 可移动组合胶囊公寓
KR200488280Y1 (ko) 차양 방갈로 프레임
CN208718427U (zh) 一种预制可移动便捷酒桶木屋
KR200475937Y1 (ko) 내수성이 향상된 카바나
JPH07259187A (ja) ハイパーストリングドー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