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636B1 -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636B1
KR101983636B1 KR1020160137502A KR20160137502A KR101983636B1 KR 101983636 B1 KR101983636 B1 KR 101983636B1 KR 1020160137502 A KR1020160137502 A KR 1020160137502A KR 20160137502 A KR20160137502 A KR 20160137502A KR 101983636 B1 KR101983636 B1 KR 10198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unit
air
impelle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987A (ko
Inventor
송문선
방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서에이치앤비
송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서에이치앤비, 송문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서에이치앤비
Priority to KR102016013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6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4Portable drying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청량한 공기를 배출하면서 임펠라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사용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줄여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면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청정공기를 배출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의 제거가 매우 용이하며 간편하고 또한,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의 먼지와 이물질을 진공방식으로 간편하게 청소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원신호에 의하여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발열부, 발열부에 접속하고 전원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을 펄스 방식으로 제어 출력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헤어드라이어제어부, 헤어드라이어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전속도를 가변하는 회전구동부, 헤어드라이어제어부에 접속하여 상기 발열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가변조절스위치부 및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며 백색잡음 신호를 생성하는 임펠러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헤어드라이어의 사용시간 경과에 의한 노후와 출력조절 등의 사용환경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대응되도록 백색소음을 가변 발생시켜 소음을 완벽하게 줄이며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출력되는 열풍의 온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선택하고, 사용 중 전자파와 유해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Apparatus of Hairdryer for low noise with clean air}
본 발명은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청량한 공기를 배출하면서 임펠라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사용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줄여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면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청정공기를 배출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의 제거가 매우 용이하며 간편한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의 이물질을 진공청소하므로 환경정화에 응용할 수 있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기 또는 헤어드라이어는 물에 젖은 모발을 말려주거나 모발 손질을 위해 사용되는 생활 가전 기구이며 내부에 설치된 발열부로부터 발생된 열이 강제 배출되어 생성된 뜨거운 바람을 이용하는 도구이다.
헤어드라이어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송풍량을 늘리기 위하여 팬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팬의 회전은 소음을 유발하고 팬 회전속도의 상승은 더 높은 소음을 발생시키므로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는 경우 송풍팬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사용자의 청각을 불쾌하게 자극하여 스트레스 등과 같은 심리적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소음은 사용자 및 주변 사람의 신경을 자극하여 업무 등을 방해할 수 있고 자율신경 자극 등에 의한 생리적 불균형과 같은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헤어드라이기 사용시 소음이 최소화되는 저소음 헤어드라이기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결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68510호(2014.11.27.)에 의한 것으로 ‘공명동을 이용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가 제안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의 구성설명 기능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드라이기 본체(110), 송풍수단(120), 히터(130), 노즐(140), 손잡이(150), 제어부(160), 케이싱(210), 공명동(220), 볼(23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중공형태의 드라이기 본체(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전·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과 배출하는 송풍수단(120)과 히터(130)를 내장 상태로 설치한다.
노즐(140)은 드라이기 본체(110)의 전방에 결합 설치되고, 손잡이(150)는 드라이기 본체(110)의 외주에 형성되며, 케이싱(210)은 드라이기 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된다.
케이싱(210)의 후방측 내부에 공명동(220)을 구비하고 공명동(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울림공간(221) 내부에는 볼(230)을 삽입하는 구성이다.
종래기술은 일정한 진폭의 백색소음을 발생시켜 소음을 감쇄시키므로 사용자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업무능력과 집중력을 높이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시간의 경과 및 환경변화에 따라 백색소음이 변경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히터의 발열용량을 조절하지 못하고, 히터로부터 전자파와 인체에 유해한 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며, 공기의 유입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있다.
또한,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진공청소기 기능을 부가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68510호(2014.11.27.) ‘공명동을 이용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의 사용시간과 사용환경 변화에 따라 대응되도록 백색소음을 가변적으로 발생시켜 소음을 완벽하게 줄이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에서 발생되어 출력되는 열풍의 온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선택하고 사용중 전자파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손쉽고 간편하게 제거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하므로 환경정화에 기여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는 헤어드라이어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원신호에 의하여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발열부;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에 접속하고 전원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을 펄스 방식으로 제어 출력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헤어드라이어제어부;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전속도를 가변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에 접속하여 상기 발열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가변조절스위치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며 백색잡음 신호를 생성하는 임펠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 일측 단부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강제유입시키는 제 1 임펠러;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 타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와 상이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제 2 임펠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2 임펠러와 상기 회전구동부 회전축과의 마찰력을 가변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는 임의 선택된 각도로 회전되고 정지되되 균등하게 지정된 각도마다 단계적으로 정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는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전구동부를 최대속도로 역방향 회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지정된 제 1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세라믹 외부 피막이 형성되어 가열시에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니크롬 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열체가 원통지지체에 나선형상으로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신호에 의하여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며 원통형상의 일측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오리 형상으로 회전시키고 가속시켜 타측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임펠러의 최대 길이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에 의한 길이 값의 1.3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 2 임펠러의 최대 길이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에 의한 길이 값의 0.9 배수 이하이고, 상기 제 1 임펠러 최대 길이는 상기 제 2 임펠러 최대 길이의 1.5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 1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두께 중심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인접한 면과의 거리는 상기 제 1 임펠러 최대 길이의 0.3 배수 이상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 2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두께 중심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인접한 면과의 거리는 상기 제 2 임펠러 최대 길이의 0.5 배수 이상 이격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원통지지체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상기 발열체가 나선형상으로 설치되는 각도 값은 7 도 내지 15 도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몸체손잡이부의 하측단 끝 부분에 형성되어 삼각대를 탈부착 시키는 삼각대설치부; 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는 상측면을 하방향으로 푸시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각도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발열부(1100)의 발열량을 조절하고, 상방향으로 잡아 올린 상태에서 회전되는 크기 값에 비례하여 회전구동부(1300)의 풍속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는 상하 2 단으로 적층 구성된 제 1 가변조절부와 제 2 가변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가변조절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발열부(1100)의 발열량을 조절하고, 상기 제 2 가변조절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 1 가변조절부와 제 2 가변조절부를 동시에 회전시키면 회전된 각도 값에 비례하여 상기 발열부(1100)의 발열량과 상기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가 동시에 조절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는 임의 방향 수평으로 소정거리를 밀어주면 모든 기능이 급정지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질 수 있다.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 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결합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하며 상기 회전구동부와 임펠러부가 생성하여 배출하는 바람에 의하여 주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간이진공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이진공청소부는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상방향으로 변환시켜 배출하는 제 1 공기통로; 상기 제 1 공기통로의 끝단부분에 형성된 공기배출부; 상기 제 1 공기통로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키며 이물질의 진행을 차단시키는 차단막부; 상기 제 1 공기통로의 상기 고정결합부와 인접한 일측 부분에 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협하광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좁은 부분이 상기 제 1 공기통로에 연결되는 제 2 공기통로;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 부분에 형성된 이물질흡입부; 상기 제 1 공기통로의 공기 흐름이 상향 방향으로 변환되는 부분이면서 상기 제 2 공기통로가 인접한 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형성 설치되어 이물질이 적재되는 더스트박스;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몸체손잡이부의 일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에 접속하며 3 단으로 구동되어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누름스위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의 사용시간 경과에 의한 노후와 출력조절 등의 사용환경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백색소음을 대응되도록 가변 발생시켜 소음을 완벽하게 줄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출력되는 열풍의 온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선택하고, 사용 중 전자파와 유해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하므로 주변의 환경정화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의 구성설명 기능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의 구성 설명을 위한 기능도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의 회로부 상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발열부의 구성 설명 도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임펠러부의 구성 설명 도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가변조절스위치부의 구성 설명 도시도,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간이진공청소부의 구성 설명 도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헤어드라이어, 헤어드라이기, 헤어드라이기기, 헤어드라이장치는 동일한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의 구성 설명을 위한 기능도시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의 회로부 상세 구성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발열부의 구성 설명 도시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임펠러부의 구성 설명 도시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가변조절스위치부의 구성 설명 도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간이진공청소부의 구성 설명 도시도 이다.
소음은 인간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인간의 건가을 해치는 공해요소이며 다른 공해요소와는 달리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 이외에 정서생활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므로 다른 공해요소 못지않은 중요성을 가지며, 특히 주거지 주변의 교통, 건설과 생활 소음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의 경우에도 줄이거나 제거시킬 필요가 있다.
소음에는 등가소음도(energy equivalent sound level : Leq)와 암소음도가 있으며 다음과 같이 정의 및 측정된다.
이러한 기준은 변동이 심한 소음의 평가방법으로 측정시간 동안의 변동 소음에너지를 시간적으로 평균하여 이를 대수변환시킨것으로, 1972년 채택된 미국의 소음제어규제(Noise ControlAct)에 의하여 미국의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가 채택한 환경소음 측정치 또는 측정방식 중의 하나이다.
등가소음도의 소음측정을 위한 기본 개념은 선정한 시간 동안 변화하는 소음(예: 교통소음 등) 평균 혹은 제곱 평균의 제곱근, 혹은 실효치(RMS : Root Mean Square)로 표시한다.
이는 변화하는 소음을 등가 정상상태(Steady State) 에너지로 환산하였을 때의 음압을 이야기한다고 볼 수도 있다.
즉,
Figure 112016102414160-pat00001
로 표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p0=20 Pa, P는 변화하는 소음의 음압을 가르킨다.
또 다른 등가소음도 계산 방법은 (실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6102414160-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6102414160-pat00003
= A 보정을한 등가음압레벨
Figure 112016102414160-pat00004
= i번째 소음의 중앙(시간)에서의 소음레벨
Figure 112016102414160-pat00005
= 전체 측정시간에 대한 i번째 소음 측정시간의 백분율참고)
Noise Pollution Level : 소음공해레벨
암소음은 어떤 음을 대상으로 할 경우 그 음이 아니면서, 그 장소에 있는 소음을 대상음에 대한 배경소음 또는 암소음이라 한다.
소음 측정을 위한 규정을 설명한다.
먼저 한국공업규격(KSC9311)을 설명하면, 헤어드라이기의 소음 측정방법은 10 mm 두께의 스폰지 위에 노즐을 제거한 헤어드라이기를 설치하고 상면과 손잡이 부분으로부터 1 m 떨어진 거리에서 소음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KS 측정 규정(한국산업표준규정)을 설명하면 소음 시험은 KS A 0701에 준하여 다음의 조건에서 전기 모발 건조기의 소음을 측정한다.
소음 측정은 ‘KSC 1502, KSC1505’에 규정된 소음계 또는 이들과 같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을 사용하고 ‘청감 보정 회로의 A 특성’에 따라 측정한다.
전기 모발 건조기는 공진하지 않도록 ‘두께 5~10mm 정도의 차진재’ 등을 깐 스탠드에 모방 손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정격 주파수의 정격 전압을 가하고 풍량을 최대로 하여 ‘가로 1 m 떨어진 위치’에서 소음을 측정하고 ‘세로 1 m 떨어진 지점’에서 소음을 측정한다.
2 점의 소음 값의 평균을 전기 모발 건조기의 소음으로 한다.
전기 모발 전조기를 운전하지 않는 경우의 암소음은 전기 모발 건조기의 소음보다 적어도 10dB 작아야 한다.
소음을 줄이는 방음의 이론적 고찰은
Figure 112016102414160-pat00006
의 기본식으로부터
Figure 112016102414160-pat00007
의 음압레벨 SPL'을 저감시키는 것이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W 를 작게 한다(발생원 대책) : 드라이어기의 소음원인 모터를 제거할수 없으므로 적용 불가능하다.
- w/w 를 크게 한다(소음장치, 밀폐) : 드라이어기에 공기가 들어가야 하므로 밀폐 할수 없어 적용 불가능하다.
- r 을 크게 한다(거리 감쇠) : 가장 쉬운 방법으로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다.
- Q 를 적게 한다(지향성 대책) : 지향성은 변하지 않으므로 적용이 어렵다.
- Ri 를 적게 한다(환경 대책) : 드라이기의 소음이 저감이 아니므로 적용할 수 없다.
소음 저감을 위해 드라이어기 토출부 앞에 거리감쇠 와 공기유동을 제어하기위한 소음기를 설치하고, 소음기는 지름 80mm, 둘레 250mm, 길이 180mm로 된 플라스틱 통을 만들어 드라이어기 토출부 쪽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헤어드라이어에 장착한 소음기는 헤어드라이어 몸체의 중공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 유동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1000)는 발열부(1100),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 회전구동부(1300), 가변조절스위치부(1400), 임펠러부(1500), 삼각대설치부(1600)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이러한 구성은 헤어드라이어몸체(1050) 또는 하우징의 내부이거나 외부의 일부분이면서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헤어드라이어몸체(1050)를 손 등으로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부분에 몸체손잡이부(106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간이진공청소부(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1100)는 원통지지체(1110)와 발열체(1120)로 이루어지고, 헤어드라이어몸체(1050)의 바람이 토출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각 통 형상을 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발열부(1100)를 구성하는 발열체(1120)는 니크롬 열선이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에는 원적외선을 배출하는 세라믹 또는 세라믹 혼합물질로 둘러 쌓이거나 코팅(도포)된 구성이다.
니크롬은 동작전윈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을 하는 금속이지만 높은 온도로 발열하면서 외측면이 산화되고, 산화된 부분이 미세하게 떨어져 나가면서 인체의 두피 등에 침투하게 된다. 이때 산화된 니크롬은 인체에 유해한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니크롬은 동작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니크롬선의 외피를 세라믹, 세라믹 혼합물, 유리 등과 같은 물질로 도포 또는 코팅하거나 포장하므로 산화 니크롬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니크롬선을 둘러 쌓는 세라믹, 세라믹 혼합물, 유리 등은 자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발생할 수 있고, 원적외선을 배출하는 물질이 혼합되는 경우 인체에 좋은 영향을 주는 원적외선을 대량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파의 배출을 차단시킬 수 있거나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정공기를 배출하는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니크롬선의 외부를 밀폐 상태로 포장하는 피막 또는 외피의 두께는 얇을수록 좋으나 너무 얇으면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0.3 밀리미터(mm) 내지 1 밀리미터 범위로 형성시키되 바람직하게는 평균 0.7 밀리미터(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내구성과 원적외선 방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이러한 발열부(1100)를 구성하는 발열체(1120)는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소정의 폭과 두께로 이루어지는 리본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비교적 매우 바람직하다.
즉,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열체(1120)가 원통지지체(1110)에 나선형상으로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신호에 의하여 발열되면서 전자파 배출을 차단하고 원적외선을 발생하여 발산한다.
원통형지지체(1110)의 내경이 6 센티미터(cm)이고 길이가 12 센티미터이며 원통형지지체(1110)의 외주면과 헤어드라이어몸체(1050)의 사이 공간은 평균 1.5 센치미터가 유지되는 구조를 기준으로 하고, 발열체(1120)가 리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피가 형성되지 않은 리본형상 니크롬선의 폭은 10 밀리미터(mm) 내지 20 밀리미터 범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으로 구성하며, 평균 12 밀리미터의 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발열량이 높으며 나선형으로 배치하면서 회오리 바람을 형성시키는데 효율이 우수하여 비교적 바람직하였다.
이때 니크롬선에 적외선 발산 증진과 산화 니크롬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의 포장은 매우 당연하며 니크롬선의 두께는 평균 1 밀리미터로 형성하였다. 원통형지지체(1110)의 내경 지름이 변경되는 경우 비례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한편, 원통형상을 하는 원통지지체(1110)에 나선형상으로 설치된 발열체(1120)는 원통지지체(1110)의 일측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오리 형상으로 회전시키고 배출속도를 가속시킨 상태로 반대편 쪽인 타측부로 배출시킨다.
원통지지체(1110)는 밀폐된 원통형상 이거나 또는 망체 형상이면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할 수 있다. 발열체(1120)는 원통지지체(1110)의 내주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내주면과 외주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외주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원통지지체(1110)에 나선형상으로 설치된 발열체(1120)는 리본 형상인 경우 통과하는 바람을 회오리 바람 형태로 더 쉽게 변형시킬 수 있으나 코일 형상인 경우에도 나선형상으로 설치됨에 의하여 회오리 바람으로 변형시킬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한편, 코일 형상의 발열체가 나선형상으로 설치되는 경우 난기류를 발생시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더욱 높일 수도 있다.
회오리 바람의 형태는 일반적인 형태의 바람과 비교할 때 풍량과 풍속이 높으므로 헤어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회오리 바람의 형태는 배출되는 바람의 풍속과 풍량을 높이게 된다.
원통지지체의 내부를 이동하는 바람이 최대 풍속의 회오리 바람 형태로 변환되기 위하여서는 원통지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형성하는 중심선과 나선형상으로 설치되는 발열체가 형성하는 각도(A)가 비교적 큰 작용을 하며, 이러한 각도(A) 값은 원통지지체(1110) 중심선을 기준으로 7 도 내지 15 도 범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선택하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9.5 도의 값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회오리바람이 잘 발생되고 최대 풍속과 풍량이 형성되어 배출될 수 있다.
원통지지체(1110)의 일측 끝단 구멍으로 유입되는 바람 또는 공기는 내주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으므로 발열체(1120)의 일부분을 원통지지체의 외주면으로 돌출시키는 것은 바람직 할 수 있다.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 값과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 값 비율은 1 대 3 또는 1 대 4 의 비율로 설정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였다.
발열체(112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온풍이 배출되고 동작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냉풍이 배출된다.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는 발열부(1100)에 접속하고 동작을 위한 전원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을 펄스폭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출력 또는 제어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을 조절한다. 그러나 필요에 의하여 펄스진폭변조(PAM : 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는 몸체손잡이부(1060)의 내부 공간 일부분에 고정상태로 실장되고 각 기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는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전체의 동작을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거나 발열부(1100)의 발열량과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를 선택에 의한 각각 또는 동시에 모두를 선형 가변 상태로 조절한다.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는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로부터 오프(off) 상태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발열부(1100)로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차단함은 매우 당연하고, 회전구동부(1300)에 최대 회전속도이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7 초 내지 15 초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시간 값으로 출력하여, 헤어드라이어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이물질이 자동으로 또는 손쉽게 배출되도록 하고, 반복된 실험에 의하면 10 초 또는 ‘제 1 시간’ 동안 역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이물질 제거와 사용자의 편리한 관리에 매우 바람직하다.
회전구동부(1300)는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전속도를 가변하는 구성이고 스텝(step)모터로 이루어지며 해당 디지털 제어 신호에 의하여 회전속도와 정회전과 역회전의 제어가 용이하며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즉,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는 스텝(step)모터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 시키며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는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에 접속하여 발열부(1100)와 회전구동부(1300)의 온(on)과 오프(off) 상태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발열부(1100)의 발열온도와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를 각각 선택적 또는 동시에 제어한다.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는 몸체손잡이부(1060)의 외주면 일부분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푸시에 의하여 눌려지거나 당겨지며, 회전력이 인가되면 좌회전 또는 우회전되는 구성이다.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는 조이스틱 또는 조그셔틀로 호칭될 수도 있다.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는 푸시(push)에 의하여 토글 스위치와 같이 동작하므로 발열부(110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거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한번 푸시하면 높이가 낮아지면서 발열부(110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열풍이 배출되도록 하고, 다시 한번 푸시하면 높이가 높아지면서 발열부(1100)에 동작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냉풍이 배출되도록 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에 출력하고,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는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인식하고 필요한 해당 제어신호를 발열부(1100)에 출력한다.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는 회전에 의하여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1000) 전체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며, 회전 크기를 제어하므로 발열부의 발열량 크기와 회전구동부의 회전속도 크기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는 임의 선택된 각도로 회전과 정지되되 균등하게 지정된 각도마다 단계적으로 자동 정지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균등한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탄성있는 돌기를 이용하거나 볼베어링을 이용하여 자동정지되도록 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구성이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통상태에서 가변조절스위치부(1400)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되는 각도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발열부(1100)와 회전구동부(1300)가 동시에 구동되어 발열량이 늘어나면서 풍속량이 해당 비례에 의하여 함께 늘어나고 발열량이 줄어드는 경우는 풍속량도 해당 비례에 의하여 함께 줄어드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가변조절스위치부(1400)의 상단면을 하방향으로 푸시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각도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발열부(1100)의 발열량 만이 조절되고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는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또한,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를 상방향으로 잡아 올린 상태에서 회전되는 크기 값에 비례하여 회전구동부의 회전속도 값 만 조절되어 풍속량을 조절하고 발열부(1100)의 발열량은 현재 상태를 그대로 휴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푸시한 상태의 제어방식과 잡아당긴 상태의 제어방식은 필요에 의하여 상호 대응되는 상태로 교체될 수 도 있다.
한편, 필요에 의하여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를 각각 구동되는 상하 2 단의 가변조절부로 구성하고, 어느 하나의 일측단에 의한 가변조절부는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발열부(1100)의 발열량을 조절하고, 나머지 일측단에 의한 가변조절부는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조절스위치부(1400)의 상하 2 단으로 이루어지는 가변조절부를 각각 조절한 후, 가변조절스위치부(1400) 전체를 동시에 회전각도를 가변시키면 각각 발열량과 풍속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가변조절스위치부(1400) 전체가 회전되는 각도 값에 비례하여 각각의 발열량과 풍속량이 동시에 해당 비율로 조절된다. 여기서 조절은 상향 또는 하향 조절을 의미한다.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는 상측면을 하방향으로 푸시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각도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발열부(1100)의 발열량을 조절하고, 상방향으로 잡아 올린 상태에서 회전되는 크기 값에 비례하여 회전구동부(1300)의 풍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는 상하 2 단으로 적층 구성된 제 1 가변조절부(1401)와 제 2 가변조절부(140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가변조절부(1401)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발열부(1100)의 발열량을 조절하고, 제 2 가변조절부(1402)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를 각각 조절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가변조절부(1401)와 제 2 가변조절부(1402)를 동시에 회전시키면 회전된 각도 값에 비례하여 발열부(1100)의 발열량과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가 동시에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를 일방향으로 즉, 360도 방향 중 임의의 어느 한 방향으로 밀어주면,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1000)의 모든 동작이 급 정지하면서 초기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를 임의 선택된 어느 한 방향의 수평으로 직선거리 4 밀리미터 내지 1 센티미터 범위로 밀어주면 급 정지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5 밀리미터 이상 수평 방향 직선으로 이동되는 경우 급정지 상태로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를 상 방향으로 일정시간(약 1 초 이상) 밀면 그 때부터 온도와 풍속이 미는 힘이 인가된 시간에 비례하여 올라가고, 반대로 하 방향으로 소정시간(약 1 초 이상) 당기면 그 때부터 온도와 풍속이 당기는 힘이 인가된 시간에 비례하여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는 가변조절스위치부(140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모두 인식하여 필요한 해당 제어신호를 발열부(1100)와 회전구동부(1300) 및 필요한 각 기능부에 각각 출력함은 매우 당연하다.
그리고, 3 단계로 동작 또는 토글 스위치와 같이 동작하는 누름스위치(1420)를 더 구비하고 몸체손잡이부(1060)의 일부분에 형성하며 헤어드라이어 제어부(1200)에 접속시켜 보통(평상) 시 또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중립 상태로 자동 설정되고, 상방향에 외력에 의하여 누르면, 온도와 풍속이 누르는 해당 시간에 비례하여 올라가고, 반대로 하방향을 외력에 의하여 누르면 누르는 해당 시간에 비례하여 온도와 풍속이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누름스위치(1420)에는 점자를 형성하여 장애인의 사용을 배려할 수 있다.
임펠러부(1500)는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축(131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백색잡음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제 1 임펠러(1510)와 베어링부(1520)와 제 2 임펠러(15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1 임펠러(1510)는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축(1310) 일측 단부에 고정상태로 설치되고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베어링부(1520)는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타측 단부에 내측베어링부가 고정 설치되고 외측베어링부는 베어링 기능(작용)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자유 회전한다. 베어링부(1520)의 구성은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구성이 사용 또는 적용될 수 있다.
제 2 임펠러(1530)는 베어링부(1520)의 외측베어링부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고 회전축(1310)의 회전 속도와 상이하거나 또는 동일 유사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백색잡음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 2 임펠러(1530)는 두께, 빗살 형상으로 다수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홀을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을 돌출 상태로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백색잡음의 종류, 음색, 세기, 높낮이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 1 임펠러의 고속 회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제 2 임펠러에 의하여 소거 또는 줄이거나 제거하므로 저소음 또는 무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백색잡음 신호는 물소리, 새소리, 바람소리 등과 같은 자연의 소리가 포함되며 인공적인 소리도 포함되며, 회전속도에 따라 음의 주파수, 강도 등이 변경됨은 당연하다. 백색잡음은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성 잡음을 약화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잡음신호이고 그 기능과 작용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베어링부(1520)는 헤어드라이어제어부(12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내측베어링부와 외측베어링부의 마찰력을 가변 조정하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마찰조절솔레노이드밸브를 더 구비하여 제 2 임펠러(1530)와 회전축(1310)과의 마찰력을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조절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하여 발생되는 백색잡음을 선택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제 1 임펠러(1510)와 제 2 임펠러(1530)의 설치 위치는 대응되는 상태로 서로 바뀔 수 있다.
제 1 임펠러(1510)의 최대 길이(L1)는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축(1310)과 직각 방향에 의한 평균 길이(L2) 값의 1.3 배수 이상으로 구성되고, 제 2 임펠러(1530)의 최대 길이(L3)는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에 의한 평균 길이(L2) 값의 0.9 배수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필요한 풍량 및 풍속의 송풍과 백색잡음을 각각 발생시키기에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구동부(1300)를 구성하는 몸체는 단면이 원 형상을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제조사와 모델에 따라 상이하므로 단면의 평균 길이(L2) 값을 사용하기로 한다.
제 1 임펠러(1510)의 최대 길이(L1)는 제 2 임펠러(1530)의 최대 길이(L3)의 1.5 배수 이상에 해당하는 길이 값이고, 제 1 임펠러(1510)의 회전에 의한 두께 중심과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인접한 면과의 평균 거리(L4)는 제 1 임펠러(1510)의 최대 길이의 0.3 배수 이상 이격 설치되는 것이 필요한 풍량과 풍속 발생에 매우 바람직하다.
제 2 임펠러(1530)의 회전에 의한 두께 중심과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인접한 면과의 평균 거리(L5)는 제 2 임펠러(1530)의 최대 길이(L3) 값의 0.5 배수 이상 이격 설치되는 구성이 백색잡음이 원활하게 발생되기 위하여 매우 바람직하다.
삼각대설치부(1600)는 몸체손잡이부(1060)의 하측부 끝단에 형성되며 도면에서는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되지 않고 내장 설치되어 하측부 끝단이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삼각대설치부(1600)는 카메라용 삼각다리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일반적인 삼각다리와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삼각다리를 결합시키므로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1000)를 세워놓거나 또는 화장대, 책상 등에 임시 고정상태로 설치하고 방향 조절 등을 통하여 타인의 도움 없이도 양손을 이용하여 머리 손질을 하면서 머리(모발)을 손질하거나 말리거나 드라이 하는 등과 같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삼각다리는 크기 등에 관계없고 삼각대설치부(1600)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면 되고,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삼각대설치부(1600)도 카메라용과 동일 유사한 삼각다리와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이러한 구성은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며 매우 일반적이므로 구체적인 설명과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간이진공청소부(1700)는 헤어드라이어몸체(1050)의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 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결합 설치되고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에 의하여 임펠러부(1500)가 생성한 바람에 의하여 주변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간이진공청소부(1700)는 외형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지하다.
간이진공청소부(17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하고 측면을 통하여 헤어드라이어몸체(1050)의 공기 배출 부분에 탈부착 설치되며 고정결합부(1710), 제 1 공기통로(1720), 공기배출부(1730), 차단막부(1740), 제 2 공기통로(1750), 이물질흡입부(1760), 더스트박스(17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고정결합부(1710)는 헤어드라이어몸체(1050)의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결합 고정시키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공기통로(1720)는 고정결합부(1710)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상방향으로 변환시켜 배출한다.
공기배출부(1730)는 제 1 공기통로(1720)의 끝단부분에 형성된다.
차단막부(1740)는 제 1 공기통로(1720)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키며 이물질이 에어배출부(1730)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시킨다.
제 2 공기통로(1750)는 제 1 공기통로(1720)의 고정결합부(1710)와 인접한 일측 부분에 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협하광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좁은 부분이 제 1 공기통로(1720)에 관통되어 연결된다.
이물질흡입부(1760)는 공기통로의 입구 부분에 형성되어 넓은 부분으로 외부의 이물질을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가 된다.
더스트박스(1770)는 제 1 공기통로(1720)의 공기 흐름이 상향 방향으로 변환되는 부분이면서 제 2 공기통로(1760)와 인접한 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형성 설치되어 이물질이 적재되고, 탈부착에 의하여 적재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탈부착을 위한 손잡이 부분은 도면 도시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헤어드라이어 장치는 주변의 이물질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 또는 청소하므로 환경정화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0 :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1050 : 헤어드라이어몸체 1060 : 몸체손잡이부
1100 : 발열부 1200 : 헤어드라이어 제어부
1300 : 회전구동부 1400 : 가변조절스위치부
1420 : 누름스위치 1500 : 임펠러부
1600 : 삼각대설치부 1700 : 간이진공청소부

Claims (15)

  1. 헤어드라이어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설치되고 인가되는 전원신호에 의하여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발열부;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에 접속하고 전원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을 펄스 방식으로 제어 출력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헤어드라이어제어부;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전속도를 가변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에 접속하여 상기 발열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가변조절스위치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며 백색잡음 신호를 생성하는 임펠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 일측 단부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강제유입시키는 제 1 임펠러;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 타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와 상이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제 2 임펠러; 를 포함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는 임의 선택된 각도로 회전되고 정지되되 균등하게 지정된 각도마다 단계적으로 정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는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로부터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전구동부를 최대속도로 역방향 회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지정된 제 1 시간 동안 출력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세라믹류의 외부 피막이 밀폐상태로 형성되어 가열시에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니크롬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리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열체가 원통지지체에 나선형상으로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신호에 의하여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발산하며 원통형상의 일측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오리 형상으로 회전시키고 가속시켜 타측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펠러의 최대 길이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에 의한 길이 값의 1.3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 2 임펠러의 최대 길이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에 의한 길이 값의 0.9 배수 이하이고,
    상기 제 1 임펠러 최대 길이는 상기 제 2 임펠러 최대 길이의 1.5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 1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두께 중심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인접한 면과의 거리는 상기 제 1 임펠러 최대 길이의 0.3 배수 이상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 2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두께 중심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인접한 면과의 거리는 상기 제 2 임펠러 최대 길이의 0.5 배수 이상 이격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원통지지체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상기 발열체가 나선형상으로 설치되는 각도 값은 7 도 내지 15 도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몸체손잡이부의 하측단 끝 부분에 형성되어 삼각대를 탈부착 시키는 삼각대설치부; 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는
    상측면을 하방향으로 푸시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각도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발열부(1100)의 발열량을 조절하고, 상방향으로 잡아 올린 상태에서 회전되는 크기 값에 비례하여 회전구동부(1300)의 풍속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는 상하 2 단으로 적층 구성된 제 1 가변조절부와 제 2 가변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가변조절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발열부(1100)의 발열량을 조절하고, 상기 제 2 가변조절부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 1 가변조절부와 제 2 가변조절부를 동시에 회전시키면 회전된 각도 값에 비례하여 상기 발열부(1100)의 발열량과 상기 회전구동부(1300)의 회전속도가 동시에 조절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조절스위치부는
    임의 방향 수평으로 소정거리를 밀어주면 모든 기능이 급정지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 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결합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하며 상기 회전구동부와 임펠러부가 생성하여 배출하는 바람에 의하여 주변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간이진공청소부; 를 더 포함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진공청소부는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상방향으로 변환시켜 배출하는 제 1 공기통로;
    상기 제 1 공기통로의 끝단부분에 형성된 공기배출부;
    상기 제 1 공기통로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방향을 변환시키며 이물질의 진행을 차단시키는 차단막부;
    상기 제 1 공기통로의 상기 고정결합부와 인접한 일측 부분에 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협하광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좁은 부분이 상기 제 1 공기통로에 연결되는 제 2 공기통로;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 부분에 형성된 이물질흡입부;
    상기 제 1 공기통로의 공기 흐름이 상향 방향으로 변환되는 부분이면서 상기 제 2 공기통로가 인접한 부분에 탈부착 상태로 형성 설치되어 이물질이 적재되는 더스트박스; 를 포함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몸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몸체손잡이부의 일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헤어드라이어제어부에 접속하며 3 단으로 구동되어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과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누름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KR1020160137502A 2016-10-21 2016-10-21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KR10198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502A KR101983636B1 (ko) 2016-10-21 2016-10-21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502A KR101983636B1 (ko) 2016-10-21 2016-10-21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87A KR20180043987A (ko) 2018-05-02
KR101983636B1 true KR101983636B1 (ko) 2019-05-29

Family

ID=621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502A KR101983636B1 (ko) 2016-10-21 2016-10-21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465A (ko) 2019-07-30 2021-02-09 임다은 바람 건조기를 부착한 샤워커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71B1 (ko) * 2018-07-02 2019-11-07 한국과학기술원 저소음 고음질 헤어드라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32Y1 (ko) * 2007-07-11 2008-10-10 박봉현 고정형 드라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549U (ko) * 1999-06-25 2001-01-15 송인구 머리카락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드라이
CN201341552Y (zh) * 2008-12-29 2009-11-11 刘亚福 电吹风
KR20110131861A (ko) * 2010-06-01 2011-12-07 불루세라믹 주식회사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1468510B1 (ko) 2013-11-08 2014-12-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명동을 이용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32Y1 (ko) * 2007-07-11 2008-10-10 박봉현 고정형 드라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465A (ko) 2019-07-30 2021-02-09 임다은 바람 건조기를 부착한 샤워커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87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458B2 (en) Air blowing device and air blowing method
CN101909432B (zh) 宠物干燥装置
TWI787663B (zh) 擴散器及具有擴散器的吹風機
JP5891547B2 (ja) ファン組立体
JP5723918B2 (ja) 加熱装置
KR101983636B1 (ko) 청정공기 배출용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장치
US20110016737A1 (en) Silencer for drying appliance and quiet hairdryer
US20100064542A1 (en) Hair drying apparatus
KR100813032B1 (ko) 직진형 송풍 방식의 이온 블로어
JP2016173102A (ja) 電気送風機のための雑音低減ディフューザ
KR20090117070A (ko) 헤어드라이어
KR101563468B1 (ko) 헤어 드라이어
AU714530B3 (en) An improved structure of an infrared hair drier
KR101265490B1 (ko)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CN210901813U (zh) 一种节能型超低辐射长寿命智能恒温吹风机
US9883763B1 (en) Heating curtain rod with integrated speakers
KR102120283B1 (ko) 반려동물 건조장치
US7404297B2 (en) Air conditioner with a light wave unit for auxiliary heating and sterilizing
KR20090127204A (ko) 모발 건조장치
AU2012200112B2 (en) A fan assembly
CN210407480U (zh) 一种铂金等离子智能型吹风机
KR101468510B1 (ko) 공명동을 이용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
KR100850531B1 (ko) 애완동물용 횡류형 건조장치
JP2012521259A (ja) ヘアドライヤ装置
GB2527028A (en) Hair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