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548B1 -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 Google Patents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548B1
KR101983548B1 KR1020180109365A KR20180109365A KR101983548B1 KR 101983548 B1 KR101983548 B1 KR 101983548B1 KR 1020180109365 A KR1020180109365 A KR 1020180109365A KR 20180109365 A KR20180109365 A KR 20180109365A KR 101983548 B1 KR101983548 B1 KR 10198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horizontal
vertical
latching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주)스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위텍 filed Critical (주)스위텍
Priority to KR102018010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02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 E04D3/06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of glass or other translucent material; Fix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이나 건축물에 채광 벽체를 이루기 위해 투광성 패널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패널의 단부가 안착되며, 하측면에 수평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양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돌출되는 부위 중 일측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투광성 패널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광성 패널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이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하측에 이격되어 돌출되며, 돌출되는 길이가 제1지지부 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 부위는 'ㄷ'자 형태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는 수평지지체; 상기 수평지지체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와 수평걸림부 사이가 인입되어 수평걸림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지지부가 형성되며, 제1수직지지부의 상측 단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되는 돌출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수직지지체; 상기 제1수직지지체의 안착부가 수평지지체의 제1지지부와 수평걸림부 사이에 인입되었을 때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제1절곡부와 대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1절곡부에 이격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의 내측 상부로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제1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투광성 패널의 하단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인입된 투광성 패널의 옆면을 지지하는 제2수직지지부가 형성되는 제2수직지지체; 상기 돌출걸림턱이 끼움되어 수평지지부와 함께 투광성 패널을 지지하는 실링체; 상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 사이에 충진되어 수평지지체와 제2수직지지체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열체;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Finishing materials of wall infrastructure}
본 발명은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투광성 패널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건축물의 채광 벽체의 양단부를 고정하여 건축물의 채광 벽체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것과 이에 부수되는 시설물, 지하 또는 고가의 공작물에 설치하는 사무소·공연장·점포·차고·창고 등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건축물의 벽체는 건축물 층간의 칸을 수직으로 구획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이는 주로 자갈, 모래 및 시멘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벽돌을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벽돌 또는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쌓은 다음 벽을 만들고, 외부에 타일 또는 기타 마감재를 이용하여 완성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콘크리트를 사용한 벽 구조물의 철거시 산업쓰레기가 발생되어 처리에 따른 경비의 소요는 물론이고, 자연환경을 훼손시키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사용한 벽 구조물의 경우, 내구성이나 내열성이 강한 이점이 있으나, 통기성이 나쁘고 결로(結露)로 인해 실내에 곰팡이나 해충이 서식하기 좋을 뿐 아니라 콘크리트에서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연친화적이면서도 보온, 단열, 채광 등의 효과가 있는 재료를 벽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장 대표적인 벽체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이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출원인 또한 지붕패널을 폴리카보네이트 패널로 구성하여 채광성을 확보하는 기술인 등록특허 제10-1077633호를 개발한 바 있으며, 본 발명 또한 상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에 대한 개량을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광성 패널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수평지지체, 수평지지체의 일측에 끼움되어 투광성 패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수직지지체, 수평지지체의 옆에 구비되는 제2수직지지체, 제1수직지지체에 끼움되는 실링체, 수평지지체와 제2수직지지체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체가 포함되어 투광성 패널을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공기 단축으로 인해 공사비용 및 인력비용 등을 대폭 절감시키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이나 건축물에 채광 벽체를 이루기 위해 투광성 패널의 양단부 또는 상하단부를 고정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양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돌출된 일측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광성 패널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투광성 패널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이걸림부가 형성되고, 제1지지부의 하측과 이격되도록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일측 중단에 돌출되며, 돌출되는 길이가 제1지지부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타측 양단에는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타측과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는 수평지지체; 상기 수평지지체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와 수평걸림부 사이가 인입되어 수평걸림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지지부가 형성되며, 제1수직지지부의 상측 단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되는 돌출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수직지지체; 상기 제1수직지지체의 안착부가 수평지지체의 제1지지부와 수평걸림부 사이에 인입되었을 때 최상단이 제1수직지지체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제1절곡부와 대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1절곡부에 이격되는 제2절곡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의 상부로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제1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투광성 패널의 하단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인입된 투광성 패널의 옆면을 지지하는 제2수직지지부가 형성되는 제2수직지지체; 상기 돌출걸림턱에 끼움되어 제1지지부, 제2지지부, 제2수직지지부와 함께 투광성 패널을 지지하는 실링체; 상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 사이에 충진되어 수평지지체와 제2수직지지체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열체;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체는 제1지지부의 하부 일측으로 제1걸림홈 및 제1걸림홈의 옆으로 제1걸림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걸림홈과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반대측의 수평걸림부 상부에 제2걸림홈 및 제2걸림홈의 옆으로 제2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지지체는 안착부의 일측 상부로 제1걸림홈에 인입되어 일측이 제1걸림부에 걸림되는 제1걸림돌부 및 안착부의 타측 하부로 제2걸림홈에 인입되어 일측이 제2걸림부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지지체와 제2수직지지체를 통하여 투광성 패널의 하측 양단부를 지지하고, 제1수직지지체에 결합된 실링체와 제2수직지지체를 통하여 투광성 패널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여 투광성 패널을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공기 단축으로 인해 공사비용 및 인력비용 등을 대폭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광성 패널이 간이걸림부와 제2수직지지부에 의해 양면이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실링체가 결합된 제1수직지지체가 제1지지부와 수평걸림부 사이가 인입되어 투광성 패널의 옆면을 가압하면서 설치가 마무리되어 기존의 끼움형태의 설치방식보다 작업이 편리하고 좀 더 견고한 고정구조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부에 형성된 제1, 2걸림돌부가 제1지지부와 수평걸림부에 각각 이중으로 걸림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1수직지지체와 수평지지체 간의 견고한 고정을 구현하고 투광성 패널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지지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지지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구조물이나 건축물에 채광 벽체를 이루기 위해 투광성 패널(5)이 설치되고 이러한 투광성 패널(5)의 양단 또는 상하를 고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투광성 패널(5)을 통한 채광 벽체는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벽면 옆에 설치될 수도 있고,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벽면이 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는 도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성 패널(5)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수평지지체(10), 상기 수평지지체(10)의 일측에 끼움되어 투광성 패널(5)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수직지지체(20), 상기 수평지지체(10)의 옆에 구비되는 제2수직지지체(30), 제1수직지지체(20)에 끼움되는 실링체(40), 상기 수평지지체(10)와 제2수직지지체(30)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체(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수평지지체(10)는 수평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양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돌출된 일측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광성 패널(5)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투광성 패널(5)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1)의 수평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이걸림부(12)가 형성되고, 제1지지부(11)의 하측과 이격되도록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일측 중단에 돌출되며, 돌출되는 길이가 제1지지부(11)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걸림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타측 양단에는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타측과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어 단열체가 충진되는 제1절곡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수평지지체(10)의 간이걸림부(12)는 투광성 패널(5)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옆면을 임시로 걸림시켜 투광성 패널(5)이 설치과정에서 이탈 또는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수평지지체(10)의 하부로 다수의 배출홈(h)이 형성되어 투광성 패널(5)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일괄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제1수직지지체(20)는 상기 수평지지체(10)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11)와 수평걸림부(13) 사이가 인입되어 수평걸림부(13)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제1수직지지체(20)는 상기 안착부(21)의 제1지지부(11)와 수평걸림부(13) 사이에 인입되는 반대측 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지지부(25)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수직지지부(25)의 상측 단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실링체(40)가 끼움설치되는 돌출걸림턱(26)이 형성된다.
제2수직지지체(30)는 제1수직지지체(20)의 안착부(21)가 수평지지체(10)의 제1지지부(11)와 수평걸림부(13) 사이에 인입되었을 때 최상단이 제1수직지지체(20)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제1절곡부(14)와 대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1절곡부(14)에 이격되는 제2절곡부(3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34)의 상부로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제1지지부(11)에 의해 지지되는 투광성 패널(5)의 하단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31)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인입된 투광성 패널(5)의 옆면을 지지하는 제2수직지지부(35)가 형성되는 제2수직지지체(30);
또한, 후술되는 단열체(50)가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 사이에 충진되어 수평지지체(10)와 제2수직지지체를 상호 연결 또는 고정시켜주도록 구성된다.
삭제
또한, 제2수직지지체(30)의 제2수직지지부(35)는 투광성 패널(5)의 옆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실링체(40)는 일측이 상기 돌출걸림턱(26)에 끼움되고, 타측은 제2수직지지부(35)와 함께 투광성 패널(5)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링체(40)는 제1지지부(11), 제2지지부(31), 제2수직지지부(35)와 함께 투광성 패널(5)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단열체(50)는 상기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 사이에 충진되어 수평지지체(10)와 제2수직지지체(30)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면서도 채광 벽체가 설치되는 부위에 단열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열체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200 ~ 250℃로 용융시킨 후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 사이에 충진하여 경화시킨다.
이때, 단열체(50)를 이루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강성을 지니면서도 유연질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가 하중을 받아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단열체(50)는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밀착되어 안정된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높은 단열성능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이 포함된 본 발명은 수평지지체(10)와 제2수직지지체(30)를 통하여 투광성 패널(5)의 하측 양단부를 지지하고, 제1수직지지체(20)에 결합된 실링체(40)와 제2수직지지체(30)를 통하여 투광성 패널(5)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여 투광성 패널(5)을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공기 단축으로 인해 공사비용 및 인력비용 등을 대폭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에 투광성 패널(5)을 설치할 때 투광성 패널(5)이 간이걸림부(12)와 제2수직지지부(35)에 의해 양면이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실링체(40)가 결합된 제1수직지지체(20)가 제1지지부(11)와 수평걸림부(13) 사이가 인입되어 투광성 패널(5)의 옆면을 가압하면서 설치가 마무리되어 기존의 끼움형태의 설치방식보다 작업이 편리하고 좀 더 견고한 고정구조를 구현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체(10)는 제1지지부(11)의 하부 일측으로 제1걸림홈(15) 및 제1걸림홈(15)의 옆으로 제1걸림부(16)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제1걸림홈(15)과 제1걸림부(16)가 형성되는 반대측의 수평걸림부(13) 상부에 제2걸림홈(17) 및 제2걸림홈(17)의 옆으로 제2걸림부(18)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지지체(20)는 안착부(21)의 일측 상부로 제1걸림홈(15)에 인입되어 일측이 제1걸림부(16)에 걸림되는 제1걸림돌부(22) 및 안착부(21)의 타측 하부로 제2걸림홈(17)에 인입되어 일측이 제2걸림부(18)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부(23)가 형성된다.
즉, 안착부(21)에 형성된 제1, 2걸림돌부(22, 23)가 제1지지부(11)와 수평걸림부(13)에 각각 이중으로 걸림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투광성 패널(5)에 의한 하중이 발생하여도 제1수직지지체(20)와 수평지지체(10) 간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투광성 패널(5)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시에 안착부(21)와 제1지지부(11) 및 수평걸림부(13)의 걸림구조를 해제시키면 보다 용이한 해체가 구현되어 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는 각 단부가 상, 하측으로 일부 절곡되는 고정부(p)가 각각 형성되어, 고정부(p)가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 사이에 충진되어 경화되는 단열체(5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체(10)의 하부와 제2수직지지체(30)의 하부를 각각 감싸는 형태로 마감하는 후레싱(Flashing, 60)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걸림부(1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후레싱의 단부가 인입되는 후레싱걸림부(19)가 형성된다.
상기 후레싱(60)의 단부가 후레싱걸림부(19)에 걸림된 상태에서 볼트(미도시)로 체결되어 고정시킨다.
5 : 투광성 패널
10 : 수평지지체 11 : 제1지지부
12 : 간이걸림부 13 : 수평걸림부
14 : 제1절곡부 15 : 제1걸림홈
16 : 제1걸림부 17 : 제2걸림홈
18 : 제2걸림부 19 : 후레싱걸림부
20 : 제1수직지지체 21 : 안착부
25 : 제1수직지지부 26 : 돌출걸림턱
30 : 제1수직지지체 31 : 제2지지부
34 : 제2절곡부 35 : 제2수직지지부
40 : 실링체 50 : 단열체

Claims (5)

  1. 구조물이나 건축물에 채광 벽체를 이루기 위해 투광성 패널의 양단부 또는 상하단부를 고정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양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 돌출된 일측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광성 패널(5)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투광성 패널(5)의 하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11)의 수평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간이걸림부(12)가 형성되고, 제1지지부(11)의 하측과 이격되도록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일측 중단에 돌출되며, 돌출되는 길이가 제1지지부(11)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걸림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타측 양단에는 상기 상측으로 돌출된 타측과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수평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절곡부(14)가 형성되는 수평지지체(10);
    상기 수평지지체(10)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11)와 수평걸림부(13) 사이가 인입되어 수평걸림부(13)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의 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지지부(25)가 형성되며, 제1수직지지부(25)의 상측 단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되는 돌출걸림턱(26)이 형성되는 제1수직지지체(20);
    상기 제1수직지지체(20)의 안착부(21)가 수평지지체(10)의 제1지지부(11)와 수평걸림부(13) 사이에 인입되었을 때 최상단이 제1수직지지체(20)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제1절곡부(14)와 대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1절곡부(14)에 이격되는 제2절곡부(3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34)의 상부로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제1지지부(11)에 의해 지지되는 투광성 패널(5)의 하단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31)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인입된 투광성 패널(5)의 옆면을 지지하는 제2수직지지부(35)가 형성되는 제2수직지지체(30);
    상기 돌출걸림턱(26)에 끼움되어 제1지지부(11), 제2지지부(31), 제2수직지지부(35)와 함께 투광성 패널(5)을 지지하는 실링체(40);
    상기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 사이에 충진되어 수평지지체(10)와 제2수직지지체(30)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열체(50);
    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체(10)는 제1지지부(11)의 하부 일측으로 제1걸림홈(15) 및 제1걸림홈(15)의 옆으로 제1걸림부(16)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걸림홈(15)과 제1걸림부(16)가 형성되는 반대측의 수평걸림부(13) 상부에 제2걸림홈(17) 및 제2걸림홈(17)의 옆으로 제2걸림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지지체(20)는 안착부(21)의 일측 상부로 제1걸림홈(15)에 인입되어 일측이 제1걸림부(16)에 걸림되는 제1걸림돌부(22) 및 안착부(21)의 타측 하부로 제2걸림홈(17)에 인입되어 일측이 제2걸림부(18)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부(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는 각 단부가 상, 하측으로 일부 절곡되는 고정부(p)가 각각 형성되어, 고정부(p)가 제1절곡부(14)와 제2절곡부(34)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체(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체(10)의 하부와 제2수직지지체(30)의 하부를 각각 감싸는 형태로 마감하는 후레싱(60)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걸림부(13)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후레싱걸림부(19)가 형성되며,
    상기 후레싱(60)의 단부가 후레싱걸림부(19)에 걸림된 상태에서 후레싱(60)과 수평지지체(10)의 하부가 볼트(미도시)로 체결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체(10)의 하부로 다수의 배출홈(h)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KR1020180109365A 2018-09-13 2018-09-13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KR10198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365A KR101983548B1 (ko) 2018-09-13 2018-09-13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365A KR101983548B1 (ko) 2018-09-13 2018-09-13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548B1 true KR101983548B1 (ko) 2019-05-29

Family

ID=6667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365A KR101983548B1 (ko) 2018-09-13 2018-09-13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5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09Y1 (ko) * 2004-06-22 2004-09-23 (주)엘엔비 조립식 건축물의 박공 및 처마 후레싱
KR100717568B1 (ko) * 2006-07-05 2007-05-15 안태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KR20100007820U (ko) * 2009-01-28 2010-08-05 성훈경 온실 프레임용 루프 빔
KR20120021459A (ko) * 2010-08-02 2012-03-09 김순석 창호용 유리 마감테 결합구조
KR101574426B1 (ko) * 2014-05-19 2015-12-03 김덕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KR101745314B1 (ko) * 2016-03-16 2017-06-09 (주) 스위텍 투광성 패널의 무 피스 체결방식용 마감재
KR20180058480A (ko) * 2016-11-24 2018-06-01 송주근 지붕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09Y1 (ko) * 2004-06-22 2004-09-23 (주)엘엔비 조립식 건축물의 박공 및 처마 후레싱
KR100717568B1 (ko) * 2006-07-05 2007-05-15 안태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KR20100007820U (ko) * 2009-01-28 2010-08-05 성훈경 온실 프레임용 루프 빔
KR20120021459A (ko) * 2010-08-02 2012-03-09 김순석 창호용 유리 마감테 결합구조
KR101574426B1 (ko) * 2014-05-19 2015-12-03 김덕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KR101745314B1 (ko) * 2016-03-16 2017-06-09 (주) 스위텍 투광성 패널의 무 피스 체결방식용 마감재
KR20180058480A (ko) * 2016-11-24 2018-06-01 송주근 지붕패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131B2 (en) Filling gaps in a curtain wall system
US8191325B2 (en) 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ystem
US9441378B1 (en) Pedestal paver and skylight walkway
CN114341445B (zh) 外装板设置结构
KR20190044783A (ko) 원가절감 극대화를 위한 pc공법의 지하 주차장 분할 구조
US8764235B2 (en) Building material and built-up building material structure
KR101983548B1 (ko) 투광성 패널의 마감재
JP2008255612A (ja) U字溝の改修方法
KR20090045825A (ko) 에이취형 단면의 채널브리지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CN1448600A (zh) 阶梯构造和阶梯构筑方法
KR101842150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패널 고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6183453A (ja) プリズム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US10066383B1 (e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KR20200068358A (ko) 터널의 분절형 풍도 슬래브 설치구조
KR101745314B1 (ko) 투광성 패널의 무 피스 체결방식용 마감재
AU2021237982B2 (en) Prefabricated wall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KR101952530B1 (ko) 테두리 분리방지 몰딩구조를 갖는 건축용 바닥판재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TW201706486A (zh) 預鑄外牆工法
KR102664920B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전산볼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N212099911U (zh) 一种用于运输不规则装配式建筑预制板的垫板
KR102194738B1 (ko) 건축 판넬용 고정 브라켓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A2666294C (en) 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GB2468161A (en) A cladding element with integral hook-shaped mounting member
KR930008797B1 (ko) 조립식 욕실용 바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