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336B1 -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336B1
KR101983336B1 KR1020190016795A KR20190016795A KR101983336B1 KR 101983336 B1 KR101983336 B1 KR 101983336B1 KR 1020190016795 A KR1020190016795 A KR 1020190016795A KR 20190016795 A KR20190016795 A KR 20190016795A KR 101983336 B1 KR101983336 B1 KR 101983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wave absorbing
layer
attachment reg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섭
김현순
김용덕
배지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1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는, 박리 가능하도록 처리된 몰드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전파를 흡수하는 전파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층은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된 후 상기 전파 흡수층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RADAR ABSORBING SHEET, RADAR ABSORB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ATING METHOD THEREOF}
아래의 실시 예는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군사용 항공기 및 함선 등에는, 적의 탐지수단에 들키지 않도록 스텔스 기능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스텔스 기능을 위하여, 항공기 및 함선 등의 구조체에 전파 흡수 도료(radar absorbing material)를 코팅하게 된다. 전파 흡수 도료는 적의 레이더 전파를 흡수하기 때문에, 레이더 전파가 되돌아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전파 흡수 도료로 코팅된 항공기 및 함선 등의 경우, 부품의 장탈착을 위한 볼트를 해제하기 위해서, 해당 부분의 전파 흡수 도료를 제거하고 부품을 장탈착한 후 다시 전파 흡수 도료를 코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수시 장탈착을 통해 유지보수 및 정비가 필요한 군사용 체계의 경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복합재 구조체의 경우, 기계를 통한 샌딩 작업시, 구조체의 손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시트(sheet) 형태로 제작된 전파 흡수 도료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구조체에 탈부착할 수 있는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수시로 장탈착이 요구되는 장탈착 부위에 적용되는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유지보수 및 정비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는, 박리 가능하도록 처리된 몰드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전파를 흡수하는 전파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층은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된 후 상기 전파 흡수층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층은, 상기 몰드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도료층; 및 상기 도료층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도료층의 일면에 위치되는 유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층은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층은, 상기 몰드층의 일면에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유지층; 및 상기 유지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도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기능을 갖는 구조체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및 상기 전파 흡수 시트가 부착되는 상기 구조체의 부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영역은, 상기 전파 흡수 구조체의 일부인 부품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가 체결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시트는, 상기 부착 영역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 시트 및 부착 영역의 경계의 단차에 도포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에 있어서, 박리 가능하도록 처리된 몰드층의 일면에 전파를 흡수하는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전파 흡수층으로부터 상기 몰드층이 박리되는 단계; 상기 전파 흡수층의 일면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 및 상기 구조체의 부착 영역에 상기 전파 흡수층이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몰드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도료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도료층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도료층의 일면에 유지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몰드층의 일면에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 도포되어 유지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유지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도료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흡수층 및 부착 영역의 경계의 단차에 실링부가 도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영역은, 상기 전파 흡수 구조체의 일부인 부품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가 체결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 해제를 위하여, 상기 부착 영역에서 상기 전파 흡수층이 탈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은, 전파 흡수 시트를 구조체에 탈부착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은, 수시로 장탈착이 요구되는 장탈착 부위에 전파 흡수 시트를 적용함으로써, 유지보수 및 정비의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및 전파 흡수 구조체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및 전파 흡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및 전파 흡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및 전파 흡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및 전파 흡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시트 및 전파 흡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구조체(1) 및 전파 흡수 시트(11)는 전파를 흡수할 수 있다. 전파 흡수 구조체(1)는 예를 들어, 항공기, 함선 또는 차량일 수 있다. 전파 흡수 구조체(1)는, 부착 영역(10), 전파 흡수 시트(11) 및 실링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는 전파를 흡수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는 전파 흡수 구조체(1)에 적용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는 전파 흡수 구조체(1)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시트(11)는 전파 흡수 구조체(1)의 부착 영역(10)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부착 영역(10)은, 전파 흡수 구조체(1)의 일부인 부품(P1, P2)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B)가 체결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영역(10)은 부품(P1, P2)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 부재(B)가 체결된 영역으로,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B)가 위치된 영역일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는 부착 영역(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구조체(1)의 유지 보수 및 정비를 위하여, 부품(P1, P2)의 탈착이 필요한 경우에, 부착 영역(10)에 부착된 전파 흡수 시트(11)를 떼어낸 뒤에 체결 부재(B)를 해제할 수 있다. 전파 흡수 구조체(1)의 유지 보수 및 정비가 끝난 후, 체결 부재(B)를 다시 체결하여 부품(P1, P2)을 장착하고, 부착 영역(10) 위에 전파 흡수 시트(11)를 재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파 흡수 구조체(1)의 유지 보수 및 정비를 위하여 수시로 장탈착이 필요한 부위에 전파 흡수 시트(11)를 부착 및 탈착함으르써, 전파 흡수 도료를 쉽게 적용 및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는 전파 흡수층(111) 및 접착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흡수층(111)은 전파를 흡수할 수 있다. 전파 흡수층(111)은 박리 가능하도록 처리된 몰드층(m)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몰드층(m)은 전파 흡수층(111)이 형성된 후 전파 흡수층(111)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전파 흡수층(111)의 일면에는 접착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12)은 도료층(1111)이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파 흡수층(11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12)은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접착층(112)은 전파 흡수층(111)을 부착 영역(10)에 대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전파 흡수층(111)은 도료층(1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1을 참조하면, 몰드층(m)은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이 박리 가능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도 1의 b1을 참조하면, 몰드층(m)의 일면에는 도료층(1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료층(1111)은 몰드층(m)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c1 및 d1을 참조하면, 전파 흡수층(111)이 형성된 후, 몰드층(m)은 전파 흡수층(111)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도 1의 e1 및 e2를 참조하면, 도료층(1111)의 일면에는 접착층(11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112)은 도료층(111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b1에서 도료층(1111)의 상면에 접착층(1112)을 형성한 후, 몰드층(m)을 박리할 수도 있다.
전파 흡수층(111)은 도료층(1111) 및 유지층(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층(1112)은 도료층(1111)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도료층(1111)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유지층(1112)은 도료층(1111)보다 내구성이 강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층(1112)은 전파 흡수 시트(11)가 부착 영역(10)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탈부착될 때, 도료층(1111)이 갈라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층(1112)은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e3을 참조하면, 도료층(1111)의 일면에는 유지층(1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f3을 참조하면, 유지층(1112)의 일면에는 접착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c4를 참조하면, 몰드층(m)의 일면에 형성된 도료층(1111)의 일면에 유지층(1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d4 및 e4를 참조하면, 도료층(1111) 및 유지층(1112)을 포함하는 전파 흡수층(111)이 형성된 후, 몰드층(m)이 박리될 수 있다. 도 1의 f4를 참조하면, 전파 흡수층(111)의 일면, 예를 들어 유지층(1112)의 일면에는 접착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c4에서 유지층(1112)의 상면에 접착층(1112)을 형성한 후, 몰드층(m)을 박리할 수도 있다.
도 1의 b5를 참조하면, 몰드층(m)의 일면에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 도포되어 유지층(1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c5를 참조하면, 유지층(1112)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도료층(1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d5 및 e5를 참조하면, 전파 흡수층(111)이 형성된 후, 몰드층(m)은 전파 흡수층(111)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도 1의 f5를 참조하면, 전파 흡수층(111)의 일면, 예를 들어 유지층(1112)의 일면에는 접착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파 흡수 시트(11)는 부착 영역(10)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시트(11)는 부착 영역(10)의 체결 부재(B)가 위치된 곳에 부착될 수 있다. 전파 흡수 구조체(1)의 부착 영역(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전파 흡수 도료(RAM, Radar Absorbing Material)가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나머지 영역이 전파 흡수 구조(RAS, Radar Absorbing Structure)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착 영역(10)을 마스킹 처리한 후, 전파 흡수 구조체(1)에 전파 흡수 도료를 도포하고, 마스킹을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부착 영역(10)에 대하여는 전파 흡수 시트(11)를 부착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는 부착 영역(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되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부착 영역(10)이 굴곡진 표면을 갖는 경우에도, 전파 흡수 시트(11)는 표면을 고르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층(1112)은 연성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체결 부재(B) 등에 의하여 돌출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압축 변형되고, 그에 따라 도료층(1111)은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역학적으로 유리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 및 부착 영역(10)의 경계에는 실링부(12)가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12)는 전파 흡수 시트(11) 및 부착 영역(10)의 단차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가 전파 흡수 구조체(1)의 표면에 대하여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실링부(12)는 전파 흡수 시트(11) 및 부착 영역(10)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체 역학적으로 유리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12)는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유지층(1112), 접착층(112) 및 실링부(12)가 전기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파 흡수 구조체(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텔스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파 흡수 시트(11)는 부착 영역(10)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부착 영역(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전파 흡수 도료(RAM)가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영역(10)을 마스킹 처리한 후, 전파 흡수 구조체(1)에 전파 흡수 도료(RAM)를 도포하고, 마스킹을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부착 영역(10)에 대하여는 전파 흡수 시트(11)를 부착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는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 및 부착 영역(10)의 경계에는 실링부(12)가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12)는 전파 흡수 시트(11) 및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의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실링부(12)는, 부착 영역(10)에 부착된 전파 흡수 시트(11) 및 부착 영역(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gap)에 적용될 수 있다. 실링부(12)는 전파 흡수 시트(11) 및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와 동일한 두께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링부(12)가 전파 흡수 시트(11) 및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표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텔스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파 흡수 시트(11)는 부착 영역(10)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부착 영역(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전파 흡수 도료(RAM)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전파 흡수 도료(RAM)는 부착 영역(10)과의 경계 부분에서, 단부가 부착 영역(1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부착 영역(10)을 향하는 전파 흡수 도료(RAM)의 단부는 두께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도료(RAM)는 도포된 후, 단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챔퍼 가공될 수 있다. 부착 영역(10)에는 전파 흡수 시트(11)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전파 흡수 시트(11)의 단부는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시트(11)의 단부는,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의 단부와 대응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시트(11)의 단부는 상향 경사지도록 챔퍼 가공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의 단부 및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의 단부는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 및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파 흡수 시트(11) 및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 사이의 갭(gap)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파 흡수 시트(11) 및 도포된 전파 흡수 도료(RAM)는 상기 갭(gap)에서 사선 방향으로 접착면을 형성하므로, 상기 갭(gap)으로 레이더 전파가 수직 입사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스텔스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갭(gap)을 실링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파 흡수 시트(11)의 부착 후 실링 처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파 흡수 시트(11)는 부착 영역(10)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전파 흡수 구조체(1)는 전파 흡수 구조(RA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P1)은 전파 흡수 구조(RAS)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 영역(10)에 대하여는 전파 흡수 시트(11)가 부착될 수 있다. 전파 흡수 시트(11)의 단부는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전파 흡수 시트(11)의 단부는 바깥을 향할수록 점차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흡수 시트(11)의 단부는 하향 경사지도록 챔퍼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실링 처리 없이도,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역학적으로 유리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링 처리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200)은, 전파 흡수층 형성 단계(210), 몰드층 박리 단계(220), 접착제 도포 단계(230), 전파 흡수층 부착 단계(240), 실링부 도포 단계(250) 및 전파 흡수층 탈착 단계(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은, 박리 가능하도록 처리된 몰드층의 일면에 전파를 흡수하는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을 참조하면, 단계 210은, 몰드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도료층이 형성되는 단계(211a) 및 도료층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도료층의 일면에 유지층이 형성되는 단계(21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210은, 몰드층의 일면에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 도포되어 유지층이 형성되는 단계(211b) 및 유지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도료층이 형성되는 단계(212b)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0은, 전파 흡수층으로부터 몰드층이 박리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몰드층의 일면에 도료층을 형성하고, 도료층으로부터 몰드층을 먼저 박리한 후에, 도료층의 일면에 유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단계 230은, 전파 흡수층의 일면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일 수 있다. 접착제는 전파 흡수층의 도료층이 외부를 향하도록, 전파 흡수층의 일면에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는 유지층의 일면에 도포될 수 있다.
단계 240은, 구조체의 부착 영역에 전파 흡수층이 부착되는 단계일 수 있다. 부착 영역은, 전파 흡수 구조체의 일부인 부품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가 체결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영역은 볼트 등이 위치된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전파 흡수층은 부착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되어 부착될 수 있다.
단계 250은, 전파 흡수층 및 부착 영역의 경계의 단차에 실링부가 도포되는 단계일 수 있다. 전파 흡수층이 구조체의 표면에 대하여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실링부는 전파 흡수층 및 부착 영역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단계 260은, 체결 부재의 체결 해제를 위하여, 부착 영역에서 전파 흡수층이 탈착되는 단계일 수 있다. 전파 흡수층을 부착 영역에서 탈착하고, 체결 부재의 체결을 해제하여 구조체의 유지 보수 및 정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유지 보수 및 정비 등이 완료되면, 체결 부재를 다시 체결하고, 부착 영역에 전파 흡수층을 재부착할 수 있다. 재부착된 전파 흡수층 및 부착 영역의 경계에 실링부를 재도포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들은 반복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260 이후에 단계 230으로 회귀하여 반복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체결 부재가 위치된 부착 영역에 대하여 전파 흡수 도료를 제거하거나 재도포하는 등의 작업을, 전파 흡수층을 부착 및 탈착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전파 흡수 구조체
10: 부착 영역
11: 전파 흡수 시트
111: 전파 흡수층
1111: 도료층
1112: 유지층
112: 접착층
12: 실링부

Claims (16)

  1. 전파 흡수 기능을 갖는 구조체에 있어서,
    박리 가능하도록 처리된 몰드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전파를 흡수하는 전파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층은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된 후 상기 전파 흡수층으로부터 박리되는 전파 흡수 시트;
    상기 전파 흡수 시트가 부착되는 상기 구조체의 부착 영역; 및
    상기 전파 흡수 시트 및 부착 영역의 경계의 단차에 도포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시트는,
    상기 전파 흡수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층은,
    상기 몰드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도료층; 및
    상기 도료층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도료층의 일면에 위치되는 유지층을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층은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층은,
    상기 몰드층의 일면에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유지층; 및
    상기 유지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도료층을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영역은, 상기 전파 흡수 구조체의 일부인 부품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가 체결된 영역인, 전파 흡수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 시트는, 상기 부착 영역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 가능한, 전파 흡수 구조체.
  9. 삭제
  10.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에 있어서,
    박리 가능하도록 처리된 몰드층의 일면에 전파를 흡수하는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전파 흡수층으로부터 상기 몰드층이 박리되는 단계;
    상기 전파 흡수층의 일면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
    상기 구조체의 부착 영역에 상기 전파 흡수층이 부착되는 단계; 및
    상기 전파 흡수층 및 부착 영역의 경계의 단차에 실링부가 도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몰드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도료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도료층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도료층의 일면에 유지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흡수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몰드층의 일면에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 도포되어 유지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유지층의 일면에 전파 흡수 도료가 도포되어 도료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영역은, 상기 전파 흡수 구조체의 일부인 부품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 부재가 체결된 영역인,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 해제를 위하여, 상기 부착 영역에서 상기 전파 흡수층이 탈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의 코팅 방법.
KR1020190016795A 2019-02-13 2019-02-13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 KR101983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95A KR101983336B1 (ko) 2019-02-13 2019-02-13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95A KR101983336B1 (ko) 2019-02-13 2019-02-13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336B1 true KR101983336B1 (ko) 2019-05-28

Family

ID=6665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95A KR101983336B1 (ko) 2019-02-13 2019-02-13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3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299A (ko) * 2004-10-13 2007-05-17 돗빤호무즈가부시기가이샤 비접촉 ic 라벨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제조 장치
KR20070084284A (ko) * 2004-12-03 2007-08-24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간섭 억제체, 안테나 장치, 및 전자 정보 전달 장치
KR20160004817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299A (ko) * 2004-10-13 2007-05-17 돗빤호무즈가부시기가이샤 비접촉 ic 라벨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제조 장치
KR20070084284A (ko) * 2004-12-03 2007-08-24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간섭 억제체, 안테나 장치, 및 전자 정보 전달 장치
KR20160004817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9984A (en) Aircraft lightning protection means
KR20110113180A (ko) 형상 기억 리블렛
JP6120291B2 (ja) 導電層を有する複合パネルのための修復装置及び方法
US58653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etail surfaces on composite aircraft structures
EP2960987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adoms
KR101983336B1 (ko) 전파 흡수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전파 흡수 구조체 및 그 코팅 방법
EP3425272B1 (en) Device and method for placement of light source on a heat sink
EP0345607B1 (en) Corrosion protection element for parts, particularly automotive parts, to be connected by screws, bolts, etc.
CN101276730A (zh) 一种采用化学镀制造半导体装置的方法
US20080191423A1 (en) Sealant template for use in sealing joints and method of sealing joints
US10000019B2 (en) Installation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or forming a bonded joint
EP3357758B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6068958A3 (en) Non-contact discrete removal of substrate surface contaminants/coatings, an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EP2390537A1 (en) Sealed structure
DE102008041259B4 (de) Klebehalter zur Anbindung eines leichtgewichtigen Bauteils
WO2012110873A1 (en) Equipment for the reduction of the radar marking for aircrafts
CA2168003A1 (en) Large aircraft critical surface covers
CA2848081C (en) Peel-resistant mechanism for use in bonding components
EP3511384A1 (en) Improved adhesive lay-up and method for attaching pneumatic de-icers
CN111656026B (zh) 自粘连接组件
EP196372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releasable seal with a sealing compound and use of adhesive strip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03270015U (zh) 热熔射保护夹具
JP2002353572A (ja) 多ピー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00223128A1 (en) Method for deposition of multi-material coatings on a carrier sheet
CN215088258U (zh) 一种小工件批量喷涂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