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866B1 - 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866B1
KR101982866B1 KR1020130138774A KR20130138774A KR101982866B1 KR 101982866 B1 KR101982866 B1 KR 101982866B1 KR 1020130138774 A KR1020130138774 A KR 1020130138774A KR 20130138774 A KR20130138774 A KR 20130138774A KR 101982866 B1 KR101982866 B1 KR 10198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carrier
hinge
stopp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6149A (en
Inventor
남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866B1/en
Publication of KR2015005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62D43/045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wheel or its cradle being attached to one or more chains or cables for hand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플로어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시키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로스멤버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며, 스토퍼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 차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고 후단이 후크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중앙 캐리어, 상기 힌지축의 타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캐리어 및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측면 캐리어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스페어 타이어 탈거시 상기 중앙 캐리어 및 측면 캐리어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전하다가 측면 캐리어의 연장부가 스토퍼에 걸려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페어 타이어 탈거시 캐리어가 한번에 회전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운전자가 스페어 타이어 이탈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 spare tire under a rear floo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ir of hinge brackets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ross member, A pair of hinge shafts formed in a direction of the hinge bracket and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respectively. A center carrier extending rearward from one end of the hinge shaft to support a center portion of the spare tire and a rear end detachable from the hook, a pair of side surfaces extending rear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inge shaft and support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spare tire Wherein the central carrier and the side carrier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when the spare tire is detached, and the extension of the side carrier is caught by the stopper and stopp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when the carrier is not rotated at a time when the spare tire is detached, and the driver can adjust the shift time of the spare tire.

Description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0001] 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 [0002]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플로어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시키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를 해제하면 중앙 캐리어 및 측면 캐리어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전하다가 측면 캐리어가 스토퍼에 걸려 정지되고, 그 다음 중앙 캐리어를 하부로 잡아당겨서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시키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 spare tire under a rear floor of a vehicle. More specifically, when a hook is released, a center carrier and a side carrier rotate downward with respect to a hinge axis, And then pulling the center carrier downward to remove the spare tir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예기치 못한 사고의 유발로 인해 타이어가 펑크나 손상을 입게 되어 더 이상의 주행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손상된 타이어와 교체될 수 있는 여분의 스페어 타이어(spare tire)를 구비하고 있다.General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spare tire which can be replaced with a damaged tire in case the tire is punctured or damaged due to unexpected accidents during driving, have.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는 보통 차량의 트렁크 룸 내부에 별도의 수납실을 형성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트럭이나 버스 등의 화물차 및 승합차의 경우 차체 하부에 별도의 캐리어 장치를 설치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보관한다.These spare tires are generally stored in a trunk room of a vehicle in a separate storage room. In the case of trucks and buses such as trucks and vans, a separate carrier device is installed under the vehicle body and is detachably stor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는, 차량의 후방플로어 하부에 차폭방향으로 형성된 크로스멤버(1)의 양측에 힌지 브라켓(2)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2)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 가능한 캐리어(3)를 구비하여 스페어 타이어(4)를 차량에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1, a conventional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hinge bracket 2 on both sides of a cross member 1 formed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below a rear floor of a vehicle, and a hinge bracket 2 is hinge- And a carrier 3 which is rotat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be attached to the vehicle, so that the spare tire 4 is mounted on the vehicle.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3)는 스페어 타이어(4)의 하부 및 측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캐리어(3)의 끝단은 차량의 후방범퍼에 설치된 후크(5)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된다.2A, the carrier 3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spare tire 4, and the end of the carrier 3 is connected to the hook 5 provided on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Detachably.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후크(5)를 풀어 후크(5)와 캐리어(3)의 연결을 해제하면 스페어 타이어(4)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캐리어(3)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2B,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hook 5 and disconnects the hook 5 and the carrier 3, the spare tire 4 is moved downward by the gravity to be separated from the carrier 3 .

그러나 종래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는, 스페어 타이어 이탈시 캐리어를 고정시켜 주는 구조가 없으므로 스페어 타이어가 지면까지 자유낙하하여 이탈된 스페어 타이어에 의해 운전자가 발등이나 발목 등에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since there is no structure for fixing the carrier when the spare tire is detach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re tire tends to be injured on the foot or an ankle by the spare tire that has fallen off to the ground.

또한, 후크와 캐리어의 연결이 해제될 때 캐리어가 노면과 충돌하여 파손됨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가 캐리어를 지지하여야 하고, 캐리어 하단에 장애물이 있어 캐리어가 완전히 회전되지 않았을 때 운전자가 다시 캐리어를 들어올려 복귀시켜야 하므로 운전자의 허리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river must support the carrier to prevent the carrier from colliding with the road surface when the hook is disconnected from the road surface. When the carrier is not completely rotated due to an obstacle at the bottom of the carrier, the driver lifts the carrier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ck of the driver follows the back of the driv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어 타이어 탈거시 캐리어가 한번에 회전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운전자가 스페어 타이어 이탈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when the carrier is not rotated at a time when the spare tire is removed,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후방플로어(rear floor) 하부에 차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멤버에 일단이 연결되고 후방범퍼에 설치된 후크에 타단이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스페어 타이어(spare tire)를 차량에 장착시키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며, 스토퍼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 차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고 후단이 후크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중앙 캐리어; 상기 힌지축의 타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캐리어; 및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측면 캐리어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며, 스페어 타이어 탈거시 상기 중앙 캐리어 및 측면 캐리어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전하다가 측면 캐리어의 연장부가 스토퍼에 걸려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cycle comprising: a cross floor which is connected to a cross member formed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below a rear floor of a vehicle and is connected to a hook provided on a rear bumper so as to be detachable A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 spare tire on a vehicle, comprising: a pair of hinge brackets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ross member and having a stopper protruded on one side; A pair of hinge shafts formed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s; A center carrier extending rearward from one end of the hinge shaft to support a center portion of the spare tire and a rear end detachable from the hook; A pair of side carriers extending rear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inge shaft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pare tire; And an extension extending forward from a front end of the side carrier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Wherein when the spare tire is detached, the center carrier and the side carrier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and the extension of the side carrier is caught by the stopper and stopp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축은, 상기 측면 캐리어가 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중앙 캐리어가 하부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막대 형태의 토션바스프링(torsion bar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inge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torsion bar spring in the form of a bar that allows the center carrier to be rotated downward when the side carrier is stopped by the stopp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브라켓에 형성되는 스토퍼의 하단면은, 수평방향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topper formed on the hinge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 캐리어는, 상기 중앙 캐리어의 후방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된 걸림부; 를 더 포함하여, 스페어 타이어 이탈시 스페어 타이어가 상기 걸림부에 의해 수회에 걸쳐 나누어 탈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ent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cking part bent from the rear of the center carrier toward the upp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re tire is detached by dividing the spare tire several times by the catching portion when the spare tire is detach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스페어 타이어 탈거시 중앙 캐리어 및 측면 캐리어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전하다가 측면 캐리어의 연장부가 스토퍼에 걸려서 측면 캐리어가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 자유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that when the spare tire is detached, the center carrier and the side carrier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and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ide carrier is caught by the stopper to stop the side carrier, To prevent accidents.

또한,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하기 위해 후크와 캐리어의 연결을 해제시킬 때 캐리어가 노면과 충돌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운전자가 무리하게 캐리어를 지지할 필요성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carrier collides with the road surface when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ok and the carrier in order to remove the spare tir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driver to support the carrier forcibly.

또한, 힌지축이 캐리어의 회전축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비틀림 스프링 역할을 하는 토션바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기능이 통합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일원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Further, the hinge axis is constituted by a torsion bar spring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carrier and acting as a torsion spring, and the functions are integrated,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and managing it as one unit.

나아가, 중앙 캐리어의 후방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스페어 타이어 탈거시 중앙 캐리어와 측면 캐리어가 높낮이 차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가 수회에 걸쳐 나누어 이탈되므로 운전자가 스페어 타이어의 이탈 시점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center carrier and the side carrier can be made to have a difference in height during the removal of the spare tire, the spare tire can be divided over a plurality of times, thereby allowing the driver to adjust the departure time of the spare tire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종래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의해 차량에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종래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가 탈거되어 스페어 타이어가 이탈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차량 후방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차량 전방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캐리어 및 측면 캐리어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브라켓에 형성된 스토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스토퍼에 걸려 중앙 캐리어 및 측면 캐리어가 정지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A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캐리어가 하부로 잡아 당겨지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B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가 이탈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2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pare tire is mounted on a vehicle by a conventional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FIG. 2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is removed and a spare tire is removed. FIG.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are tire mounted by a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rear side of the vehicle. FIG.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are tire mounted on a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front side of the vehicle.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view of a center carrier and a side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opper formed on a hing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side view showing the center carrier and the side carrier are stopped when the extension portion is caught by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B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6A. FIG.
7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enter carrier is pulled downw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7A. Fig.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re tire is detach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20) 장착장치는, 차량의 후방플로어(rear floor) 하부에 차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멤버(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후방범퍼에 설치된 후크(12)에 타단이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스페어 타이어(spare tire, 20)를 차량에 장착시키는 스페어 타이어(20)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10)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며, 스토퍼(32)가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30), 차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30)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40), 상기 힌지축(40)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2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고 후단이 후크(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중앙 캐리어(50), 상기 힌지축(40)의 타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20)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캐리어(60) 및 상기 스토퍼(32)에 대응하여 측면 캐리어(6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2)를 포함하며, 스페어 타이어(20) 탈거시 상기 중앙 캐리어(50) 및 측면 캐리어(60)는 힌지축(40)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전하다가 측면 캐리어(60)의 연장부(62)가 스토퍼(32)에 걸려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mounting a spare tir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1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cross member 10 formed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below a rear floor of a vehicle and provided at a rear bumper, And a stopper (32) fixed to one side of the cross member (10), the other end of the spare tire (20) bein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pare tire (20) A pair of hinge brackets 30 protruding from the hinge bracket 30 and a pair of hinge shafts 40 form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30, A center carrier 50 extending rear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inge shaft 40 and extending rear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pare tire 20 to support the center portion of the spare tire 20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ok 12 at the rear end, Both sides of A pair of side carriers 60 for supporting the side carrier 60 and an extension 62 extending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carrier 6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opper 32. When the spare tire 20 is detached, The side carrier 60 and the side carrier 60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40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62 of the side carrier 60 is caught by the stopper 32 and stopped.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플로어 하부에는 다수의 크로스멤버(10)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크로스멤버(10) 중 하나에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30)이 고정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a plurality of cross members 10 are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under the rear floor of the vehicl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and one of the cross members 10 The pair of hinge brackets 30 are fixedly coupled.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브라켓(30)에는 각각 힌지축(40)이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40)은 후술되는 중앙 캐리어(50) 및 측면 캐리어(60)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3A and 3B, the hinge shaft 40 is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30 such that the hinge shaft 40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hinge shaft 40 is connected to the center carrier 50, And the side carrier (60).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40)의 일단에는 중앙 캐리어(50)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힌지축(40)의 타단에는 한 쌍의 측면 캐리어(60)가 후방으로 연장된다.3A and 3B, a central carrier 50 extends rearward at one end of the hinge shaft 40 and a pair of side carriers 60 ) Extend backward.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캐리어(50)는 한 쌍의 힌지축(40) 중 하나의 일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다시 180°로 꺾여서 유사한 방식으로 한 쌍의 힌지축(40) 중 다른 하나의 일단으로 연장된다.Specifically, the center carrier 50 extends downwardly from one end of one of the pair of hinge shafts 40, and then is bent rearwardly and further bent 180 degrees in a similar manner to form a pair of hinge shafts 40, Lt; / RTI >

즉, 상기 중앙 캐리어(50)는 한 쌍의 힌지축(40) 중 하나의 일단과 다른 하나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며 스페어 타이어(20)의 중앙 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U'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enter carrier 50 connects between one end of one of the pair of hinge shafts 40 and one end of the other, and a 'U' shaped member .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캐리어(50)의 후방 끝단은 차량의 후방 범퍼 중앙에 설치된 후크(12)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rear end of the center carrier 50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hook 12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또한,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캐리어(60)는 중앙 캐리어(50)와 유사한 방식으로 절곡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20)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3A, 3B and 4, the side carrier 60 is bent and extend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center carrier 50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pare tire 2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캐리어(60)의 전체 길이는 중앙 캐리어(50)의 전체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면 캐리어(60)는 후방 범퍼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4, the total length of the side carrier 60 is preferably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central carrier 50, and the side carrier 60 is preferably a relatively long length that does not extend to the rear bumper .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캐리어(60)의 전방 끝단은 전방으로 조금더 연장되어 연장부(6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 브라켓(30)의 일측에는 스토퍼(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3A, 3B, and 4, the front end of the side carrier 60 extends slightly forward to form an extended portion 62. At one side of the hinge bracket 30, (32) protruding from the bas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2)는 힌지 브라켓(30)의 일측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32)의 하단면은 수평방향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34)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 the stopper 32 is formed by projecting one side of the hinge bracket 30 forward,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topper 32 is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clined surface 34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2)는 힌지 브라켓(30)의 일측에서 비스듬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62)가 스토퍼(32)의 경사면(34)에 접촉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20)를 지지하는 중앙 캐리어(50) 및 측면 캐리어(60)가 비스듬하게 위치된 상태로 고정된다.5, the stopper 32 has a shape that protrudes obliquely from one side of the hinge bracket 30, and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center carrier 50 supporting the spare tire 20 and the side carrier 60 are fixed at an oblique position by contacting the inclined surface 34 of the stopper 32. [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40)은, 측면 캐리어(60)가 스토퍼(32)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중앙 캐리어(50)가 하부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막대 형태의 토션바스프링(torsion bar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7A and 7B, the hinge shaft 40 is in the form of a bar that allows the center carrier 50 to be rotated downward when the side carrier 60 is stopped by the stopper 32 Of the torsion bar spring.

토션바스프링은 차량에 주로 사용되는 스프링으로, 비틀었을 때 강성(剛性)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이용한 막대 모양의 스프링 강재를 말한다. The torsion bar spring is a spring used mainly in a vehicle. It is a rod-like spring steel which tries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stiffness when it is twisted.

토션바스프링의 힘은 바(bar)의 길이와 단면적, 재질에 의해 결정되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공간이 넓지 않아도 되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흡수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The force of the torsion bar spring is determined by the length, cross-sectional area, and material of the bar, and the structure is simple, the installation space is not wide, and the energy absorption rate per unit weight is high.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캐리어(60) 및 중앙 캐리어(50)가 스토퍼(3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토션바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힌지축(40)에 의해 회전 가능한 중앙 캐리어(50)를 하부로 잡아당겨 스페어 타이어(20)를 탈거시킨다.7A, in a state where the side carrier 60 and the center carrier 50 are fixed by the stopper 32, the driver rotates the center carrier 50 rotatable by the hinge shaft 40 made of the torsion bar spring 50 are pulled down to detach the spare tire 2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캐리어(50)에는 중앙 캐리어(50)의 후방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된 걸림부(52)를 포함하여 스페어 타이어(20) 탈거시 스페어 타이어(20)가 상기 걸림부(52)에 걸려 수회에 걸쳐 조금씩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8, the center carrier 50 includes an engagement portion 52 bent from the rear side of the central carrier 50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carrier 50. When the spare tire 20 is detached from the center carrier 50 during the removal of the spare tire 2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52 and is gradually released a plurality of time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측면 캐리어(60)와 중앙 캐리어(50) 사이에는 높낮이 차이가 형성되며 중앙 캐리어(50)는 힌지축(40)의 비틀림 탄력에 의해 계속해서 상부로 회전되려는 성향을 가지므로 스페어 타이어(20)는 계속해서 걸림부(52)에 걸리게 된다.8, a difference in height is formed between the side carrier 60 and the center carrier 50, and the center carrier 50 is continuously rotated upward by the torsional elastic force of the hinge shaft 40 The spare tire 20 continues to be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52. As a result,

즉, 운전자는 스페어 타이어(20)를 잡아당겨서 이탈시킬 때 걸림부(52)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20)가 걸리면서 일정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20) 이탈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river pulls the spare tire 20 and pulls it away, the spare tire 20 is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52, so that the driver can sense a certain degree of shedding. Accordingly,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20) 장착구조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tructure for mounting the spare tir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스페어 타이어(20)는 일단이 힌지 브라켓(30)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크(12)에 걸려있는 중앙 캐리어(50) 및 측면 캐리어(60)에 의해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3A and 3B, the spare tire 20 is normally supported by the center carrier 50 and the side carrier 6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30 and the other end is hooked to the hook 12 And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스페어 타이어(20)를 탈거하기 위해 후크(12)와 중앙 캐리어(50)의 연결을 해제하면 중앙 캐리어(50) 및 측면 캐리어(60)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다가 연장부(62)가 스토퍼(32)에 걸리면서 고정된다.6A and 6B, when the driver disconnects the hook 12 and the center carrier 50 to detach the spare tire 20, the center carrier 50 and the side carrier 6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gravity The extension portion 62 is fixed to the stopper 32 while being hung.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캐리어(60)가 스토퍼(3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비틀림 스프링 역할을 하는 힌지축(40)에 연결된 중앙 캐리어(50)를 하부로 잡아당겨 스페어 타이어(20)가 중력에 의해 조금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7A and 7B,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carrier 60 is fixed by the stopper 32, the driver grips the central carrier 50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40 serving as a torsion spring So that the spare tire 20 can be slightly released by gravity.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20)는 중력에 의해 이탈되다가 걸림부(52)에 걸려 이탈이 중지되고 그 후 운전자는 스페어 타이어(20)가 걸림부(52)에 걸린 상태로 조금씩 이탈될 수 있도록 스페어 타이어(20)를 잡아당겨 완전히 탈거시킨다.8, the spare tire 20 is released by the gravity and is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52 to stop releasing the vehicle. Thereafter, the driver places the spare tire 20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52 Pull out the spare tire (20) so that it can be detached, and remove it complete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크로스멤버
12 : 후크
20 : 스페어 타이어
30 : 힌지 브라켓
32 : 스토퍼
34 : 경사면
40 : 힌지축
50 : 중앙 캐리어
52 : 걸림부
60 : 측면 캐리어
62 : 연장부
10: Cross member
12: Hook
20: Spare tire
30: Hinge bracket
32: Stopper
34:
40: Hinge shaft
50: center carrier
52:
60: side carrier
62: extension part

Claims (4)

크로스멤버(10)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며, 스토퍼(32)가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30); 및
차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30)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축(40)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축(40)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2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고 후단이 후크(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중앙 캐리어(50);
상기 힌지축(40)의 타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페어 타이어(20)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캐리어(60); 및
상기 스토퍼(32)에 대응하여 측면 캐리어(6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2); 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어 타이어(20) 탈거시 상기 중앙 캐리어(50) 및 측면 캐리어(60)는 상기 힌지축(40)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전하다가 측면 캐리어의 연장부(62)가 스토퍼(32)에 걸려서 정지되되도록 차량의 후방플로어(rear floor) 하부에 장착시키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40)은,
상기 측면 캐리어(60)가 스토퍼(32)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중앙 캐리어(50)가 하부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막대 형태의 토션바스프링(torsion bar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A pair of hinge brackets (30)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ross member (10) and having a stopper (32) protruded on one side; And
And a pair of hinge shafts 40 form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30 so as to be rotatable,
A center carrier (50) extending rearward from one end of the hinge shaft (40) and supporting a center portion of the spare tire (20) and having a rear end detachable from the hook (12);
A pair of side carriers (60) extending rear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inge shaft (40)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pare tire (20); And
An extension 62 extending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carrier 60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32; / RTI >
When the spare tire 20 is detached, the center carrier 50 and the side carrier 60 ar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40, and the extended portion 62 of the side carrier is caught by the stopper 32, The rear floor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rear floor of the vehicle,
The hinge shaft (40)
Is a torsion bar spring in the form of a rod that allows the center carrier (50) to be rotated down while the side carrier (60) is stopped by the stopper (32)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 형성되는 스토퍼의 하단면은, 수평방향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topper formed on the hinge bracket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ing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캐리어는,
상기 중앙 캐리어의 후방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된 걸림부; 를 더 포함하여,
스페어 타이어 탈거시 스페어 타이어가 상기 걸림부에 의해 수회에 걸쳐 나누어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 engaging portion bent from the rear of the central carrier toward the upper porti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when the spare tire is detached, the spare tire is separated and separated by a plurality of times by the catching portion.
KR1020130138774A 2013-11-15 2013-11-15 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 KR101982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774A KR101982866B1 (en) 2013-11-15 2013-11-15 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774A KR101982866B1 (en) 2013-11-15 2013-11-15 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49A KR20150056149A (en) 2015-05-26
KR101982866B1 true KR101982866B1 (en) 2019-05-28

Family

ID=5339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774A KR101982866B1 (en) 2013-11-15 2013-11-15 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8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92A (en)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동방수산 Apparatus for processing cucumber and method of the same
KR20200061932A (en)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동방수산 Apparatus for processing cucumber and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5165B1 (en) * 1987-12-23 1990-05-18 Peugeot DEVICE FOR STORING A SPARE WHEEL OF A MOTOR VEHICLE
JPH0739736Y2 (en) * 1990-07-10 1995-09-13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Spare tire hanger mounting structure
KR100337825B1 (en) * 2000-04-26 2002-05-24 류정열 Spare tire safekeep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49A (en)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3641B1 (en) Arrangement for a vehicle side fairing,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side fairing
US5316328A (en) Bumper mounted anti-tip stabilizers for chair-mounting vehicles utilized by physically disadvantaged persons and others desiring mobility assistance, and methods of stabilizing such vehicles
US5076600A (en) Bicycle trailer
CN102264595A (en) Snowmobile frame
KR101982866B1 (en) Apparatus for mounting spare tire
CA2777976A1 (en)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mud flaps
US10384617B1 (en) ATV loader/carrier system
US2179163A (en) Pickup fender
US20130264805A1 (en) Wheelie bar for leaf spring equipped cars
JP5514576B2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s
US3149738A (en) Trailer for endless track vehicle
US863124A (en) Fender for motor-vehicles.
US1422646A (en) Antiskid device
US1533717A (en) Safety device for automobiles
CN217022422U (en) Side beam support piece with shock resistance for frame assembly
CN2590807Y (en) Vehicle continuous collision avoiding buffer device
JP6837724B2 (en) Vehicle structure
CN214492725U (en) Pedal device and vehicle
CN202703711U (en) Passenger car and protective device of luggage compartment door thereof
CN109131591B (en) Heavy truck fender
KR20170092066A (en) Side protector of automobile
JP3673181B2 (en) Snow removal equipment
US1064948A (en) Automobile and car fender.
KR100461404B1 (en) facia mounting type mounting bracket for a shift lever
JP3198152U (en) Motorcycle side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