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442B1 - 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 Google Patents

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442B1
KR101982442B1 KR1020180068834A KR20180068834A KR101982442B1 KR 101982442 B1 KR101982442 B1 KR 101982442B1 KR 1020180068834 A KR1020180068834 A KR 1020180068834A KR 20180068834 A KR20180068834 A KR 20180068834A KR 101982442 B1 KR101982442 B1 KR 10198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r
elastic
guide hole
line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오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민 filed Critical 오세민
Priority to KR102018006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4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4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9Sanitary doorknobs or handles, e.g. comprising a disinfecta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lock hav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comprises: a first external member which includes a first external body, a linear guide hole horizontally formed in the first external body, a first rotating shaft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inear guide hole and having a rotating shaft rotated in connection with a knob and inserted thereinto, and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facing the linear guide hole with the first rotating shaft insertion portion therebetween and protruding parallel to the linear guide hole; a second external member which includes a second external body coupled to the first external body, and a second rotating shaft insertion portion having the rotating shaft inserted thereinto wherein the rotating shaft has been inserted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rotating shaft insertion portion; a locking bar which is receiv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bodies, has one end portion formed to be externally retractable through a retractable hole of the first external body, has a first guide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ther end portion thereof and inserted into the linear guide hole to be movable along the liner guide hole, and linearly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iner guide hole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a rotating link which has a link body having a link hole, which is provided in one end portion thereof and into which a second guide protrusion of the locking bar protruding to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having the other end portion surrounding the rotating shaft to be fixed, and has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extending in a bar shape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link body, wherein the first or second elastic bar provides elastic force by being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when the rotating shaft rotates.

Description

항균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회전 시 최소한의 힘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조작이 가능하며 복잡한 부속품이 외관을 통해 전혀 드러나지 않아 외관 미감이 우수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hav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ing device capable of locking and unlocking a door by using a minimum force when a handle is rotated, and a complicated accessory is not exposed at all, To a door locking device.

도어 잠금 장치는 랫치 타입이 주종을 이루며, 이는 다시 슬라이드 방식과 회전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door locking device is mainly made of a latch type, which can be divided into a sliding type and a rotating type.

예컨대, 대부분의 도어 잠금장치의 경우, 도어의 안쪽 면에 잠금몸체가 형성되는데, 이 잠금몸체에는 손잡이를 갖는 잠금핀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For example, in most door lock devices, a lock body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lock pin is formed to be slidably movable with a handle.

반대로 도어와 마주하는 벽체 쪽에는 잠금핀을 수용하는 잠금핀 수용부가 마련된다. Conversely, on the side of the wall facing the door, there is provided a lock pin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lock pin.

이에 따라, 외부인에 의해 도어가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easily opened by an outside person.

하지만, 기존의 도어 잠금장치의 경우, 도어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 미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oor lock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door locking device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damaging the appearance of the door locking device.

또한, 도어 잠금장치를 조립 또는 분해하기가 어려워 내장 부속품의 고장 시 이를 수리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손상된 부속품을 교체하기에도 어려움이 따랐다.Also, it was difficult to assemble or disassemble the door lock device, making it difficult to repair the built-in accessory in the event of a failure, and it was also difficult to replace the damaged accessory.

이에 더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시 손잡이를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비교적 큰 힘이 요구되어 사용자의 불편이 따랐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어 초기에 힘을 주면 탄성에 의해 손쉽게 잠금 및 해제 동작이 구현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개발이 요청되었다. In addition, a relatively large force is required to rotate the handle when the door is locked and unlock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lastic force is provided in th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lock is easily released Development has been demanded on door locks in which operations are implement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0189호(2007.02.20.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잠금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 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20189 (published on February 20, 2007), and the prior art discloses a lock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의 회전 시 최소한의 힘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조작이 가능하도록 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in which an elastic force is provided in a rotating direction so that a door can be locked and unlocked using a minimum force when the handle is rotated.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부속품이 외관을 통해 전혀 드러나지 않아 외관 미감이 우수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which is not exposed to a complicated accessory at all through its appearance, and which is excellent in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신체 등에 접촉 노출 될 수 있는 부분에 항균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in which an antibacterial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user's body that may be exposed to the user's body when the user uses the doo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제1 외장본체와, 상기 제1 외장본체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가이드 홀(과, 상기 직선 가이드 홀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형성되며 손잡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동축이 삽입되는 제1 회동축 삽입부와,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직선 가이드 홀과 마주하여 상기 회동축 삽입부와 평행을 이루어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외장부재; 상기 제1 외장본체에 결합되며 제1 외장본체와의 사이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외장본체와,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삽입 관통한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제2 회동축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 외장부재; 상기 제1, 2 외장본체 사이 공간에 수용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1 외장본체의 출몰공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 일측에는 상기 직선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직선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직선 가이드 홀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잠금 바; 및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바의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링크 홀이 일단부에 구비되며, 타단부는 회동축을 감싸 고정되는 링크몸체와, 상기 링크몸체의 타단부 양측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전 시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가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2 탄성 바를 포함하는 회동링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 apparatus including a first exterior body, a linear guide hole formed in the first exterior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pivot shaft inserting portion formed to have a first pivot shaft inserting portion and a second pivot shaft inserting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ivot shaft inserting portion and the pivot shaft inserting portion, A second outer body coupled to the first outer body and forming an inner space sealed between the first outer body and the first outer body, and a second outer body coupled to the first outer body, A second outer cas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rotation axis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pivot shaft penetrating is inserted, a first outer casing member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casing bodies, And a first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inear guide hole and movable along the linear guide hol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other en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linear guide hole And a link hole into which the second guide protrusion of the lock bar protru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A first and a second elastic members extending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body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s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And a pivot link including a b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출몰공과 마주하여 상기 잠금 바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공을 구비하는 잠금 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한다.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cking bar latching member having a latching hole in which one end of the locking bar is inserted and locked by facing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hole.

여기서, 상기 제1 외장본체, 상기 제2 걸림본체, 상기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항균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 가능한 부위에 항균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위생적이다. 항균 표면 처리는 관용적으로 알려진 항균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rior body, the second retaining body, and the handle may be subjected to an antibacterial surface treatment. Thereby, when the user locks and releases the door, the sanitary is obtained by performing the antibacterial surface treatment on the portion where the user's body can be contacted. Antimicrobial surface treatmen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ly known antibacterial method.

이때, 상기 링크몸체는, 상기 링크 홀이 구비된 일단부에 비해 상기 제1, 2 탄성 바가 연결된 타단부로 갈수록 크기가 확장되며 상기 회동축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회동축 체결부가 중심상에 위치하는 몸체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nk body is enlarged in size towar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as compared with one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link hole, and the rotation shaft fast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is positioned on the center And a body expand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 2 탄성 바는, 상기 몸체 확장부의 양측 단부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2 탄성 바 각각의 선단은 서로 90도를 이루며, 상기 제1, 2 탄성 바 각각의 선단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이격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extend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body extension to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tip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form an angle of 90 degrees with each other. A spacing par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eading ends of the bars to form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또한, 상기 몸체 확장부의 말단에는 원형을 이루어 축소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 바와 상기 라운드 형상부의 일측 사이에는 제1 틈새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 바와 상기 라운드 형상부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제1 틈새 공간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틈새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bar may have a first narrow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elastic bar and one side of the round bar, and the second elastic bar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und bar. A second clearance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clearance space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1 탄성 바의 선단에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에 접촉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곡면 형성된 제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 바의 선단에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에 접촉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곡면 형성된 제2 슬라이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bar may have a first sliding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first elastic bar so as to be movabl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A distal end of the second elastic bar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A second sliding portion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1, 2 탄성 바의 길이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을 통해 상기 제1, 2 탄성 바 중 하나가 안착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resilient bars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convexly are provid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can be sea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sitioned between the proj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몸체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손잡이몸체의 내측 면 중앙에서 상기 손잡이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외장본체, 상기 링크몸체의 타단부, 상기 제2 외장본체를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2 외장부재의 내측에서 스냅 링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Further, the handle is protruded from the handle body in a round shape, and the turning shaft is protru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andle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so that the first exterior body, the other end of the link body, 2 outer main body, and can be fixed by a snap ring inside the second skin member.

또한, 상기 제1 외장부재의 외부 면에는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몸체가 삽입 안착되는 제1 안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안착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안착 홈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원형의 제2 안착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안착 홈에는 상기 손잡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동축이 회전할 때 회전을 가이드해주는 회동 슬라이드가 삽입 안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athing member, the first seating groove being recessed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first turning shaft inserting portion so that the handle body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A second seating groove having a reduced diameter as compared with the seating groove is provided,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groove, and a pivot slide for guiding rotation when the pivot shaft rotates is interlocked with the handle.

또한, 상기 회동 슬라이드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삽입 홀이 중심상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개된 다수의 호형 절개부를 갖는 원형 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다수의 호형 절개부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안착 홈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안착 홈에 형성된 다수의 호형 장홈을 통해 수용되며, 상기 돌출된 선단에는 곡면부가 형성된 다수의 호형 돌출 편; 및 상기 삽입 홀을 통해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회동축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한다. The pivot slide may include a circular plate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ivot shaft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arc-shaped incisions cut in a circumferential arc shape; Wherein the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rcuate incisions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projected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seating groove and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arcuate grooves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A plurality of arcuate protruding pieces formed with a portion;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ace each oth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on axis.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1, 2 탄성 바가 제1 외장본체의 수평 지지부와 접촉되어 손잡이의 회전 시 탄성력을 발휘함에 따라 최소한의 힘을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link bod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first external body so as to exert the elastic force when the handle is rotated,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do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외장본체와 손잡이몸체 사이에 제2 안착 홈을 형성하고, 제2 안착 홈을 통해 회동 슬라이드를 삽입한다. 이로써, 회동축이 회전할 때 손잡이 몸체의 회전을 가이드해주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 슬라이드는 다수의 호형 절개부를 갖는 원형 플레이트와, 다수의 호형 절개부를 통해 일단부는 연결되는 타단부는 제2 안착 홈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호형 돌출 편을 포함하는데, 다수의 호형 돌출 편이 제2 안착 홈에 형성된 다수의 호형 장홈을 통해 수용되어 회동 슬라이드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이로써, 손잡이의 회전 시 회전 범위를 정확하게 제한해줌은 물론 조작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sea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rior body and the handle body, and the rotation slide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seating groove. This has the effect of guid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body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Specifically, the pivot slide includes a circula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arc-shaped incisions, and a plurality of arc-shaped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mounting grooves,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through the arc-shaped incisions, Shaped projecting pieces are accommodated through a plurality of arcuate grooves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s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lide. As a result, the rotation range of the knob is precisely limited when the knob is rotated, and the operation feeling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의 회전 시 잠금 바의 출몰을 가능하게 해주는 대부분의 기구 구성이 제1, 2 외장부재의 외관을 통해 전혀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st of the mechanisms for enabling the lock bar to protrude / retract dur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are not exposed at all through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and second skin members, thereby improving the design aesthetic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는 물론,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 가능한 제1 외장본체, 제2 걸림본체 등과 같이 외관상 노출되는 부위에 항균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bacterial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exposed parts such as the first exterior body, the second interior body, etc., whic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s well as the handl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서 회동링크가 결합된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회동 슬라이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서 회동 슬라이드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ivotal link is coupled in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upling structure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ivotal slide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ivot slide in a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intervening "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 connected, " " coupled, " or " connected "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shown in FIG.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에서 회동링크가 결합된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upling structure of a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100)는 제1 외장부재(110), 제2 외장부재(120), 회동 슬라이드(130), 회동링크(140), 잠금 바(150), 그리고 잠금 바 걸림부재(170)를 포함한다. The door loc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xterior member 110, a second exterior member 120, a rotation slide 130, a rotation link 140, (150), and a locking bar latching member (170).

제1 외장부재(110)The first sheathing member (110)

제1 외장부재(110)는 제1 외장본체(111), 직선 가이드 홀(112), 제1 회동축 삽입부(114), 수평 지지부(116)를 포함한다. The first sheathing member 110 includes a first sheath body 111, a straight guide hole 112, a first pivot shaft insertion portion 114, and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제1 외장본체(111)는 후술할 제2 외장본체(121)와 함께 결합되어 도어 잠금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부재로서,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exterior body 111 is a member which is combined with the second exterior body 121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oor locking apparatus 100,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직선 가이드 홀(112)은 제1 외장본체(111)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linear guide holes 112 are formed in the first exterior body 1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 회동축 삽입부(114)는 직선 가이드 홀(112)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형성된다. 제1 회동축 삽입부(114)는 손잡이(196)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동축(113)이 삽입되는 홀 부위를 말한다. The first coaxial inserting portion 11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traight guide hole 112. The first coaxial inserting portion 114 refers to a hole portion into which the pivot shaft 113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196 is inserted.

수평 지지부(116)는 제1 회동축 삽입부(114)를 사이에 두고 직선 가이드 홀(112)과 마주하여 위치한다.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is positioned to face the linear guide hole 112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insertion portion 114 interposed therebetween.

수평 지지부(116)는 회동축 삽입부(114)와 평행을 이루어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has a shape that is parallel to the pivotal shaft inserting portion 114 and protrudes linearly.

제1 외장본체(111)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출몰공(111b)이 위치한 쪽의 내측 결합 부위에는 소정의 깊이로 단차를 이루어 함몰된 함몰부(111a)가 형성된다. A depression 111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enclosure body 111, specifically, at the inner engaging portion on the side where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es 111b are locat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함몰부(111a)는 제2 외장본체(121)의 단차부(121a)가 접촉 결합되는 부위로서, 제1, 2 외장본체(111, 121)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해주며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depressed portion 111a is a portion where the step 121a of the second external body 121 is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bodies 111 and 121, .

한편, 제1 외장본체(111)의 내측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 형상의 돌기(이하, 체결돌기)(115)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two boss-shaped protrus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stening protrusions) 115 for screw fastening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exterior body 111.

체결돌기(115)는 제2 외장본체(121)의 체결 홀(125)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체결나사(126)는 체결 홀(125)과 체결돌기(115)를 통해 제1, 2 외장본체(111, 121)를 체결한다. The fastening protrusion 115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25 of the second external body 121 and the fastening screw 126 is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25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5 to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bodies 121, (111, 121).

제2 외장부재(120)The second sheathing member (120)

제2 외장부재(120)는 제2 외장본체(121), 그리고 제2 회동축 삽입부(124)를 포함한다. The second skin member 120 includes a second skin main body 121 and a second rotation shaft insertion portion 124.

제2 외장본체(121)는 제1 외장본체(1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외장본체(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장본체(111)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cond exterior body 121 is coupled to the first exterior body 111. Accordingly, the second exterior body 121 may have a siz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rior body 111 as show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제2 외장본체(121)는 제1 외장본체(111)와의 사이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The second exterior body 121 forms an enclosed inner space between the first exterior body 111 and the first exterior body 111.

제2 회동축 삽입부(124)는 제1 회동축 삽입부(114)를 삽입 관통한 회동축(113)이 삽입되는 홀 부위를 말한다. 따라서 제2 회동축 삽입부(124)는 상기 제1, 2 외장본체(111, 121) 간의 결합 시 제2 회동축 삽입부(114)에 대응하는 위치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axial inserting portion 124 refers to a hole portion into which the pivot shaft 113 inserted through the first pivot shaft inserting portion 114 is inserted. Therefore, the second coaxial insert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axial inserting portion 114 when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bodies 111 and 121 are coupled.

잠금 바(150)The lock bar (150)

잠금 바(150)는 제1, 2 외장본체(111,121) 사이 공간에 수용된다. The lock bar 150 is receiv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bodies 111, 121.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잠금 바(150)의 일단부(151)는 제1 외장본체(111)의 출몰공(111b)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다. Specifically, one end 151 of the lock bar 150 is formed to protrude and retract outward through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e 111b of the first external body 111. [

그리고 잠금 바(150)의 타단부(153) 일측에는 직선 가이드 홀(112)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돌기(155)가 구비된다. 제1 가이드 돌기(155)는 직선 가이드 홀(1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직선 가이드 홀(112)의 내부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을 가진다.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5 is inserted into the linear guide hole 112 at one side of the other end 153 of the lock bar 150.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5 has a protrusion shape inserted into the linear guide hole 112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inear guide hole 112.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잠금 바(150)는 회동축(113)의 회전에 연동하여 직선 가이드 홀(112)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The locking bar 150 moves linearly along the linear guide hole 112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113. [

잠금 바(150)의 일단부(151)는 타단부(15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 잠금 바(150)의 일단부(151)와 타단부(153) 사이에는 곡면을 이루는 구간이 존재하는데, 이를 곡면연결부(152)라 한다. The one end 151 of the lock bar 150 has a relatively large shape as compared with the other end 153. There is a curved section between one end 151 and the other end 153 of the lock bar 150, and this is referred to as a curved surface connection part 152. FIG.

이러한 곡면연결부(152)를 통해 잠금 바(150)의 일단부(151)와 타단부(153) 간의 두께차이로 인한 단차가 제거되어 반복적으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차로 인한 구조적인 취약부위를 보완할 수 있다. When the step due to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one end portion 151 and the other end portion 153 of the lock bar 150 is removed through the curved surface connection portion 152 and repeatedly used for a long time, can do.

회동링크(140)The pivot link (140)

회동링크(140)는 링크몸체(141), 그리고 제1, 2 탄성 바(145, 146)를 포함한다. The pivotal link 140 includes a link body 141, and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146.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링크몸체(141)의 일단부는 링크 홀(142)을 구비한다.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link body 141 is provided with a link hole 142.

링크 홀(142)은 제1 가이드 돌기(155)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잠금 바(150)의 제2 가이드 돌기(156)가 삽입 되는 홀 부위를 말한다. The link hole 142 refers to a hole where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6 of the lock bar 150 protrud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5 is inserted.

또한, 링크몸체(141)의 타단부는 회동축(113)을 감싸 고정한다. The other end of the link body 141 surrounds and fixes the pivot 113.

이에 따라, 회동축(113)의 회전 시 링크 홀(142)은 회전하게 되며, 링크 홀(142)의 회전에 의해 제2 가이드 돌기(156)는 제1 가이드 돌기(155)와 함께 직선 가이드 홀(112)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6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link hole 142 so that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5 and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5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linear guide hole 155. [ (112).

그 결과, 잠금 바(150)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외장본체(111)의 출몰공(111b)을 통해 출몰하게 된다.As a result, the lock bar 150 moves in a linear direction and protrudes and retracts through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es 111b of the first external body 111. [

제1, 2 탄성 바(145, 146)는 링크몸체(141)의 타단부 양측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연장되는 부위를 말한다.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are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body 141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제1, 2 탄성 바(145, 146)는 회동축(113)의 회전 시 수평 지지부(116)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가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1, 2 탄성 바(145, 146)는 손잡이(196)의 회전 시 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최소한의 힘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ar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when the rotary shaft 113 rotates.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provide elasticity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hen the knob 196 rotate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operation using a minimum force.

구체적인 예로서, 링크몸체(141)는 몸체 확장부(143)를 더 포함한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link body 141 further includes a body expanding portion 143.

몸체 확장부(143)는 링크 홀(142)이 구비된 일단부에 비해 제1, 2 탄성 바(145, 146)가 연결된 타단부로 갈수록 크기가 확장되는 부위를 말한다.The body expanding portion 143 refers to a portion where the size of the body expanding portion 143 is increased toward the other end portion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are connected, as compared to the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link hole 142.

몸체 확장부(143)는 회동축(113)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회동축 체결부(144)가 중심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ody expanding part 143 may be positioned on the center of the pivot shaft coupling part 144 through which the pivot shaft 113 is inserted.

이 경우, 제1, 2 탄성 바(145, 146)는 몸체 확장부(143)의 양측 단부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may be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length from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body extension 143.

예를 들어, 제1, 2 탄성 바(145, 146) 각각의 선단은 서로 90도를 이루도록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탄성 바(145, 146) 각각의 선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며, 반드시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이격부(147)를 구비하여야 한다. For example, the tip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may be provided in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tip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should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ust include a separation part 147 that necessarily forms a predetermined gap.

그리고 몸체 확장부(143)의 말단에는 원형을 이루어 축소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부(143a)가 구비된다. A rounded portion 143a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body extension 143 in a circular shape.

이때, 제1 탄성 바(145)와 라운드 형상부(143a)의 일측 사이에는 제1 틈새 공간부(145a)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a first gap space 145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astic bar 145 and one side of the round portion 143a.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탄성 바(146)와 라운드 형상부(143a)의 타측 사이에는 제1 틈새 공간부(145a)의 크기(즉, 간격)에 대응하는 제2 틈새 공간부(146a)가 형성된다. Similarly, a second gap space 146a corresponding to the size (i.e., gap) of the first gap space portion 145a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elastic bar 146 and the other side of the round portion 143a .

이에 더하여, 제1 탄성 바(145)의 선단에는 수평 지지부(116)의 상부 면에 접촉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곡면 형성된 제1 슬라이딩부(145b)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sliding portion 145b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elastic bar 145 so as to be movabl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so as to be movable.

그리고 제2 탄성 바(146)의 선단에는 수평 지지부(116)의 상부 면에 접촉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곡면 형성된 제2 슬라이딩부(146b)가 형성된다. A second sliding portion 146b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lastic bar 146 so as to be movabl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so as to be movable.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1, 2 탄성 바(145, 146)는 링크몸체(141)의 몸체 확장부(143)의 양측 단부 각각을 통해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회동링크(14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든 경우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최소한의 힘으로도 손쉽게 손잡이(196)가 회전될 수 있게 해준다.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are formed in the form of an elastic body that exert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rough both side ends of the body extension portion 143 of the link body 141,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n all cases where the link 140 rotates in the forward /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knob 196 can be easily rotated with a minimum force.

그리고 제1, 2 슬라이딩부(145b, 146b)가 제1, 2 탄성 바(145, 146) 각각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어, 제1, 2 탄성 바(145, 146) 각각은 수평 지지부(116)의 평탄한 상부 면 위에서 마찰 없이 접촉하여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96)의 회전에 필요한 힘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esilient bars 145 and 146 are provided at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lient bars 145 and 146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ilient bars 145 and 146 are disposed at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lient bars 145 and 146, It can slide and contact without friction on a flat upper surface. Therefore, the force required to rotate the knob 196 can be reduced.

또한, 별도의 판 스프링을 구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내구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제1, 2 탄성 바(145, 146)가 회동링크(140)에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프링 조립 등에 필요한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lso,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pivotal link 14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ilient bars 145 and 146 may be structurally st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mplicated processes necessary for spring assembly and the like are not required.

그리고 제1, 2 탄성 바(145, 146)의 길이는 수평 지지부(116)의 상부 면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수평 지지부(116)는 길이 방향 양단을 통해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117)를 구비한다.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has a pair of protruding portions 117 protruding upward through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어가 잠금 또는 해제되는 방향으로 손잡이(196)가 회전할 때, 제1, 2 탄성 바(145, 146) 중 하나가 한 쌍의 돌출부(117) 사이에 마련된 수평 지지부(116)의 평탄한 상부 면 위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145 and 146 is disposed on the flat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projections 117 when the handle 196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locked or unlocked As shown in Fig.

그리고 수평 지지부(116)의 양단을 통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갖는 돌출부(117)가 추가됨에 따라 수평 지지부(116)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projections 117 having a relatively large thickness are added through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116 can be reinforced.

잠금 바 걸림부재(170)The lock bar latching member 170

잠금 바 걸림부재(170)는 출몰공(111b)과 마주하여 잠금 바(150)의 일단부(151)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공(175)을 구비한다.The locking bar engaging member 170 has a locking hole 175 in which the one end 151 of the locking bar 150 is inserted and locked by facing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hole 111b.

잠금 바 걸림부재(170)는 도어의 측면과 마주하는 벽체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locking bar engaging member 170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wall facing the side of the door.

예컨대, 잠금 바 걸림부재(170)는 제1 걸림본체(171), 그리고 제2 걸림본체(177)를 포함한다. 제2 걸림본체(171)는 걸림공(175)을 구비하는 잠금 바(150)의 잠금 동작 시 돌출하는 일단부(151)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부재를 말한다. 그리고 제1 걸림본체(171)는 제2 걸림본체(177)의 개방 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는 부재를 말한다. For example, the lock bar engaging member 170 includes a first engaging main body 171 and a second engaging main body 177. The second engaging body 171 is a member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one end 151 protruding in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lock bar 150 having the engaging hole 175 can be received. The first engaging main body 171 is a member which is engaged to cover the opening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main body 177.

제1 걸림본체(171)에는 제2 걸림본체(177)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부(172)가 구비된다. 이 결합부(172)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 공이 마련되고, 체결나사(173)를 이용하여 제1, 2 걸림본체(171, 177) 간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ngaging main body 171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172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engaging main body 177. The engaging portion 172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for fastening the screw so that the fasten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bodies 171 and 177 can be performed using the fastening screw 173.

이어서, 회동 슬라이드(130)에 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ivotal slid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어 잠금장치(10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96)는 원판 형태의 손잡이몸체(195)의 일면을 통해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6, the handle 196 has a shape protruding roundly through one surface of the handle body 195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회동축(113)은 손잡이몸체(195)의 내측 면 중앙에서 손잡이(196)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회동축(113)은 제1 외장본체(111, 도 2 참조), 링크몸체(141, 도 2 참조)의 타단부, 제2 외장본체(121, 도 2 참조)를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회동축(113)은 제2 외장부재(121, 도 2 참조)의 내측에서 스냅 링(180, 도 2 참조)에 의해 고정된다. The pivot shaft 113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195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andle 196. 2), the other end of the link body 141 (see FIG. 2), and the second external body 121 (see FIG. 2) in this order. And the pivot shaft 113 is fixed by a snap ring 180 (see Fig. 2) inside the second skin member 121 (see Fig. 2).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1 외장본체(111)의 외부 면에는 제1 회동축 삽입부(114)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함몰되어 손잡이몸체(195)가 삽입 안착되는 제1 안착 홈(118)이 구비된다.6, a first seating groove 118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nclosure 111, the first seating recess 118 being recessed in a circular shap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insertion portion 114 and inserted into the handle body 195, Respectively.

그리고 제1 안착 홈(118)의 내부에는 제1 안착 홈(118)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원형의 제2 안착 홈(119)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 circular second seating groove 119 having a reduced diameter as compared with the first seating groove 118 is provid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18.

제2 안착 홈(119)은 손잡이(196)에 연동하여 회동축(113)이 회전할 때 회전을 가이드해주는 회동 슬라이드(130)가 삽입 안착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The second seating groove 119 is used as a space in which the pivot slide 130 is inserted and seated in conjunction with the knob 196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pivot shaft 113 when the pivot shaft 113 rotates.

회동 슬라이드(130)는 원형 플레이트(131), 다수의 호형 돌출 편(133), 그리고 삽입 돌기(135)를 포함한다. The pivotal slide 130 includes a circular plate 131, a plurality of arcuate protruding pieces 133, and an insertion protrusion 135.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형 플레이트(131)는 회동축(113)이 삽입되는 삽입 홀(137)이 중심상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개된 다수의 호형 절개부(132)를 갖는다. 5, the circular plate 131 includes a plurality of arc-shaped incisions 132 (FIG. 5) that are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hole 137 into which the rotary shaft 113 is inserted, ).

다수의 호형 돌출 편(133)의 일단부는 다수의 호형 절개부(132) 각각에 연결된다. 그리고 다수의 호형 돌출 편(133)의 타단부는 제2 안착 홈(119, 도 6 참조)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One end of the arcuate protruding piece 133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rcuate cutouts 132. The other end of the arcuate protruding piece 133 protrudes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seating groove 119 (see Fig. 6).

이에 따라, 다수의 호형 돌출 편(133)은 제2 안착 홈(119, 도 6 참조)에 형성된 다수의 호형 장홈(119a)을 통해 각각 하나씩 수용된다. 그리고 다수의 호형 돌출 편(133) 각각의 돌출된 선단에는 곡면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arc-shaped protruding pieces 133 are received one by one through a plurality of arcuate grooves 119a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19 (see FIG. 6). A curved surface portion 134 may be formed at a protruding end of each of the arcuate protruding pieces 133.

삽입 돌기(135)는 삽입 홀(137)을 통해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데, 제1 회동축 삽입부(114, 도 6 참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The insertion protrusions 135 are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ace each other through the insertion holes 137 and can be coupled through the first rotation axis insertion portion 114 (see FIG. 6).

이와 같이, 제1 외장본체(111)와 손잡이몸체(195) 사이에 제2 안착 홈(119)을 형성하고, 제1 외장본체(111)와 손잡이몸체(195) 사이의 대면 부위로 회동 슬라이드(130)를 삽입한다. The second attachment groove 119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rior body 111 and the handle body 195 and the second exterior body 111 and the handle body 195, 130 are inserted.

그 결과, 회동축(113)이 회전할 때 손잡이몸체(195)의 회전을 부드럽게 가이드해주는 효과가 있다.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 of the handle body 195 is smoothly guided when the rotation shaft 113 rotates.

다시 말해, 회동 슬라이드(130)는 원형 플레이트(131)와, 일단부는 다수의 호형 절개부(13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안착 홈(119)의 호형 장홈(119a)에 수용되는 다수의 호형 돌출 편(133)을 포함한다. 다수의 호형 돌출 편(133)이 호형 장홈(119a)을 통해 수용되어 원형 플레이트(131)의 회전 및 회전 범위를 안내해줌으로써, 손잡이의 회전 범위를 정확하게 제한해주고 부드러운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ivot slide 130 has a circular plate 131, a plurality of arc-shaped cutouts 132,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rcuate incisions 132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eceived in the arcuate grooves 119a of the second seat 119 Shaped protruding piece 133. [0035] A plurality of arcuate protruding pieces 133 are accommodated through the arcuate grooves 119a to guide the rotation and rotation range of the circular plate 131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knob can be accurately limited and a smooth operation feeling can be provided.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호형 돌출 편(133)은 4개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4개의 호형 돌출 편(1331, 1332, 1333, 1334)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 플레이트(131)의 상, 하, 좌, 우에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제2 안착 홈(119)에는 4개의 호형 장홈(119a)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arc-shaped protruding pieces 133 are composed of four pieces. In other words, the four arc-shaped protrusions 1331, 1332, 1333, and 1334 are arranged at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ircular plate 131 at regular intervals. 6, four arc-shaped grooves 119a are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19. In addi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표시부재는 회동축(113)의 선단에 연결되어, 손잡이(196)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the display member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otary shaft 113, and displays the locked or unlocked state of the door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knob 196.

예컨대, 손잡이(196)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어가 잠금 상태일 경우, "사용 중" 또는 "CLOSED"등과 같은 문구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일 경우 "비어 있음" 또는 "OPEN" 등과 같은 문구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oor is lock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knob 196, the phrase " in use " or " CLOSED " Or " OPEN "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outsi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1, 2 탄성 바가 제1 외장본체의 수평 지지부와 접촉되어 손잡이의 회전 시 탄성력을 발휘함에 따라 최소한의 힘을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bod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first external body so as to exert the elastic force when the handle rotat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ock and unlock the door by using a minimum amount of for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제1 외장본체와 손잡이몸체 사이에 제2 안착 홈을 형성하고, 제2 안착 홈을 통해 회동 슬라이드를 삽입한다. 이로써, 회동축이 회전할 때 손잡이 몸체의 회전을 가이드해주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 슬라이드는 다수의 호형 절개부를 갖는 원형 플레이트와, 다수의 호형 절개부를 통해 일단부는 연결되는 타단부는 제2 안착 홈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호형 돌출 편을 포함하는데, 다수의 호형 돌출 편이 제2 안착 홈에 형성된 다수의 호형 장홈을 통해 수용되어 회동 슬라이드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이로써, 손잡이의 회전 시 회전 범위를 정확하게 제한해줌은 물론 조작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 second sea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rior body and the handle body, and the rotation slide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seating groove. This has the effect of guid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body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Specifically, the pivot slide includes a circula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arc-shaped incisions, and a plurality of arc-shaped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mounting grooves,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through the arc-shaped incisions, Shaped projecting pieces are accommodated through a plurality of arcuate grooves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s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lide. As a result, the rotation range of the knob is precisely limited when the knob is rotated, and the operation feeling is excellent.

또한, 손잡이의 회전 시 잠금 바의 출몰을 가능하게 해주는 대부분의 기구 구성이 제1, 2 외장부재의 외관을 통해 전혀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most of the mechanisms for enabling the lock bar to protrude / retract when the handle is rotated are not exposed at all through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members, thereby improving the design aesthetics.

또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 가능한 부위, 예를 들어, 손잡이, 제1 외장본체, 제2 걸림본체 등과 같이 외관상 노출되는 부위에 항균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기존의 도어 잠금장치에 비해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is locked and unlocked, an antimicrobial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on a portion where the user's body is accessible, such as a handle, a first exterior body, a second interior body, There is a hygienic advantag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도어 잠금장치
110: 제1 외장부재
111: 제1 외장본체
111a: 함몰부
111b: 출몰공
112: 직선 가이드 홀
113: 회동축
114: 제1 회동축 삽입부
115: 체결돌기
116: 수평 지지부
117: 돌출부
118: 제1 안착 홈
119: 제2 안착 홈
119a: 호형 장홈
120: 제2 외장부재
121: 제2 외장본체
121a: 단차부
124: 제2 회동축 삽입부
125: 체결 홀
126: 체결나사
130: 회동 슬라이드
131: 원형 플레이트
132: 호형 절개부
133(1331, 1332, 1333, 1334): 호형 돌출 편
134: 곡면부
135: 삽입 돌기
137: 삽입 홀
140: 회동링크
141: 링크몸체
142: 링크 홀
143: 몸체 확장부
143a: 라운드 형상부
144: 회동축 체결부
145: 제1 탄성 바
145a: 제1 틈새 공간부
145b: 제1 슬라이딩부
146: 제2 탄성 바
146a: 제2 틈새 공간부
146b: 제2 슬라이딩부
147: 이격부
150: 잠금 바
151: 잠금 바의 일단부
152: 곡면연결부
153: 잠금 바의 타단부
155: 제1 가이드 돌기
156: 제2 가이드 돌기
170: 잠금 바 걸림부재
171: 제1 걸림본체
172: 결합부
173: 체결나사
175: 걸림공
177: 제2 걸림본체
180: 스냅 링
195: 손잡이몸체
196: 손잡이
100: Door lock
110: first outer member
111: first outer body
111a: depression
111b
112: straight guide hole
113:
114: First coaxial insert part
115: fastening projection
116:
117: protrusion
118: first seat groove
119: second seat groove
119a: Arch type groove
120: second outer member
121: second outer body
121a:
124: the second coaxial inserting portion
125: fastening hole
126: Tightening screw
130: rotation slide
131: Circular plate
132: arc-
133 (1331, 1332, 1333, 1334): arc-
134:
135: Insertion projection
137: insertion hole
140: Rotating link
141: Link body
142: Link hole
143: Body extension part
143a:
144:
145: first elastic bar
145a: first interstitial space portion
145b: the first sliding portion
146: second elastic bar
146a: the second gap space portion
146b: the second sliding portion
147:
150: Lock bar
151: One end of the lock bar
152:
153: the other end of the lock bar
155: first guide projection
156: second guide projection
170: Lock bar engaging member
171: First engaging body
172:
173: Clamping screw
175:
177: Second engaging body
180: Snap ring
195: Handle body
196: Handle

Claims (10)

제1 외장본체와, 상기 제1 외장본체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가이드 홀과, 상기 직선 가이드 홀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형성되며 손잡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동축이 삽입되는 제1 회동축 삽입부와,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직선 가이드 홀과 마주하여 상기 직선 가이드 홀과 평행을 이루어 돌출되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외장부재;
상기 제1 외장본체에 결합되는 제2 외장본체와,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관통한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제2 회동축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 외장부재;
상기 제1, 2 외장본체 사이에 수용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1 외장본체의 출몰공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출몰되며, 타단부 일측에는 상기 직선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직선 가이드 홀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잠금 바; 및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바의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링크 홀이 일단부에 구비되며, 타단부는 회동축을 감싸 고정되는 링크몸체와, 상기 링크몸체의 타단부 양측에서 바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전 시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가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2 탄성 바를 포함하는 회동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몸체는, 상기 링크 홀이 구비된 일단부에 비해 상기 제1, 2 탄성 바가 연결된 타단부로 갈수록 크기가 확장되며 상기 회동축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회동축 체결부가 중심상에 위치하는 몸체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2 탄성 바는, 상기 몸체 확장부의 양측 단부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몸체 확장부의 말단에는 원형을 이루어 축소 형성되는 라운드 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 바와 상기 라운드 형상부의 일측 사이에는 제1 틈새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 바와 상기 라운드 형상부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제1 틈새 공간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틈새 공간부가 형성되는
도어 잠금장치.
A first outer casing body, a first guide shaft formed in the first casing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inear guide hole and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And a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protruding in parallel with the linear guide hole so as to face the linear guide hole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insertion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second exterior member including a second exterior body coupled to the first exterior body and a second pivotal shaft inser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pivotal shaft penetrating the first pivotal shaft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 first guide protrusion that is movable along the linear guide hol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nd protruding from the first guide protrusion, A lock bar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inear guide hole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link body having a link hole through which a second guide protrusion of the lock bar protru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which has the other end fixed to surround the pivot shaft, And a first and a second elastic bar extending in a bar shape and providing at least one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when the rotation axis rotat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link body is enlarged in size towar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as compared with one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link hole and the body of the bod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so as to have the same length from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body expanding part,
A first gap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astic bar and one side of the round portion and a second gap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elastic bar and the other side of the round portion, A second gap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gap space portion is formed
Door 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공과 마주하여 상기 잠금 바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공을 구비하는 잠금 바 걸림부재;
를 더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cking bar hooking member having a locking hole in which one end of the locking bar is inserted and locked by facing the protruding hole;
Further comprising a door lock mechanis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바의 선단에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에 접촉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곡면 형성된 제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 바의 선단에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에 접촉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곡면 형성된 제2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
도어 잠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liding portion formed to be curved to be movabl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formed at a tip of the first elastic bar,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movabl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elastic bar.
Door lock.
제1 외장본체와, 상기 제1 외장본체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가이드 홀과, 상기 직선 가이드 홀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형성되며 손잡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동축이 삽입되는 제1 회동축 삽입부와,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직선 가이드 홀과 마주하여 상기 직선 가이드 홀과 평행을 이루어 돌출되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외장부재;
상기 제1 외장본체에 결합되는 제2 외장본체와,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관통한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제2 회동축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2 외장부재;
상기 제1, 2 외장본체 사이에 수용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1 외장본체의 출몰공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출몰되며, 타단부 일측에는 상기 직선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직선 가이드 홀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잠금 바; 및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 바의 제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링크 홀이 일단부에 구비되며, 타단부는 회동축을 감싸 고정되는 링크몸체와, 상기 링크몸체의 타단부 양측에서 바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전 시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에 적어도 하나가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2 탄성 바를 포함하는 회동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몸체는, 상기 링크 홀이 구비된 일단부에 비해 상기 제1, 2 탄성 바가 연결된 타단부로 갈수록 크기가 확장되며 상기 회동축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회동축 체결부가 중심상에 위치하는 몸체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2 탄성 바는, 상기 몸체 확장부의 양측 단부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2 탄성 바의 길이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 지지부의 상부 면을 통해 상기 제1, 2 탄성 바 중 하나가 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A first outer casing body, a first guide shaft formed in the first casing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inear guide hole and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And a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protruding in parallel with the linear guide hole so as to face the linear guide hole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insertion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second exterior member including a second exterior body coupled to the first exterior body and a second pivotal shaft inser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pivotal shaft penetrating the first pivotal shaft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 first guide protrusion that is movable along the linear guide hol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nd protruding from the first guide protrusion, A lock bar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inear guide hole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link body having a link hole through which a second guide protrusion of the lock bar protru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which has the other end fixed to surround the pivot shaft, And a first and a second elastic bar extending in a bar shape and providing at least one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when the rotation axis rotat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link body is enlarged in size towar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as compared with one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link hole and the body of the bod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so as to have the same length from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body expanding part,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upwardly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is seated through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projections.
Door lock.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손잡이몸체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손잡이몸체의 내측 면 중앙에서 상기 손잡이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외장부재의 내측에서 스냅 링에 의해 고정되는
도어 잠금장치.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handle is protruded from the handle body in a round manner,
The pivot shaft is protru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andle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and fixed by a snap ring inside the second skin member
Door loc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장본체의 외부 면에는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몸체가 삽입 안착되는 제1 안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안착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안착 홈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갖는 원형의 제2 안착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안착 홈에는 상기 손잡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동축이 회전할 때 회전을 가이드해주는 회동 슬라이드가 삽입 안착되는
도어 잠금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outer casing has a first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insertion portion to receive the handle body,
Wherein the first seat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circular second seating groove having a reduced diameter as compared with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andle to rotate when the rotation axis rotates A guide slide is inserted and seated.
Door loc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슬라이드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삽입 홀이 중심상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개된 다수의 호형 절개부를 갖는 원형 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다수의 호형 절개부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안착 홈에 대면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안착 홈에 형성된 다수의 호형 장홈을 통해 수용되며, 상기 돌출된 선단에는 곡면부가 형성된 다수의 호형 돌출 편; 및
상기 삽입 홀을 통해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제1 회동축 삽입부를 통해 결합되는 삽입 돌기;
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ivoting slide includes:
A circular plate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otary shaft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arc-shaped incisions cut in a circumferential arc shape;
Wherein the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rcuate incisions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projected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seating groove and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arcuate grooves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A plurality of arcuate protruding pieces formed with a portion;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ace each oth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being coupled through the first rotation axis insertion portion;
.
KR1020180068834A 2018-06-15 2018-06-15 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KR1019824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834A KR101982442B1 (en) 2018-06-15 2018-06-15 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834A KR101982442B1 (en) 2018-06-15 2018-06-15 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442B1 true KR101982442B1 (en) 2019-05-24

Family

ID=6668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834A KR101982442B1 (en) 2018-06-15 2018-06-15 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44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4B1 (en) * 2008-01-10 2009-09-21 오세민 Locking apparatus
KR20110011865A (en) *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코아스웰 Handle device and cabinet having therewith
KR101664685B1 (en) * 2015-04-30 2016-10-12 오세민 Locking device for do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34B1 (en) * 2008-01-10 2009-09-21 오세민 Locking apparatus
KR20110011865A (en) *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코아스웰 Handle device and cabinet having therewith
KR101664685B1 (en) * 2015-04-30 2016-10-12 오세민 Locking device for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97105A (en) Cylinder device and lock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CA2215950C (en) Low profile handle
US7073358B1 (en) Self-locking cable lock
RU2728397C2 (en) Universal assembly handle
KR101453945B1 (en) Mult-type Llatch bolt
JP2000328817A (en) Folding type handle
KR101982442B1 (en) Locking device for door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RU2709756C1 (en) Multidirectional handle
JP2009024335A (en) Lock device
KR101664685B1 (en) Locking device for door
KR101685332B1 (en) Locking device for door
KR200393089Y1 (en)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for classroom door lock
KR101808850B1 (en) Push-pull door lock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latch head
JP3214730U (en) Furniture door lock device
JPH09235921A (en) Variable code type cylinder lock
KR101117809B1 (en) Lock for tempered glass door
JP3710894B2 (en) Door lock
JPH11325013A (en) Hinge/lock device
JPH09317286A (en) Door end lock
KR20150008579A (en) Shaft Adaptor Device for Connection the Contact Breaker Switch and Switch Operation Handle
JP4748715B2 (en) Locking devices such as sliding doors
KR102151621B1 (en) Open and close apparatus
JP2001288937A (en) Locking-unlocking apparatus
KR102151620B1 (en) Room open and close apparatus
JP3165103B2 (en) Door han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