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160B1 -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160B1
KR101982160B1 KR1020160178378A KR20160178378A KR101982160B1 KR 101982160 B1 KR101982160 B1 KR 101982160B1 KR 1020160178378 A KR1020160178378 A KR 1020160178378A KR 20160178378 A KR20160178378 A KR 20160178378A KR 101982160 B1 KR101982160 B1 KR 10198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bead
heat input
welded joint
inpu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365A (ko
Inventor
류강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026Arc welding or cut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5Preliminary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저온 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의 맞대기 용접 용접이음부와 그 용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이음부는, 루트면을 연결하는 초층 용접비드, 개선면을 따라 형성되는 개선부 용접비드 및 중심부 용접비드를 포함한다. 용접이음부는 개선형상과 개선각도 및 비드 적층법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항복강도와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방법은 고입열의 중심부 용접단계에 의해 모재 개선면의 용접비드 및 열영향부가 템퍼링되어, 고입열에서도 인성 저하가 없는 열영향부를 확보할 수 있으며 용접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WELDING JOINT OF THICK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WELD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처리 극후강재의 용접이음부 설계를 통해 용접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상용 용접재료를 이용하여 용접금속부 및 열영향부의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양구조물, 선박, 교량 등의 용접구조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강재 또한 점차 고강도 극후물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심해 자원확보를 위해 건조되고 있는 해양플랜트의 Jack-up Rig는 300ft 이상의 심해에 설치되고 있으며,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항복강도 690MPa급의 최고 두께 210mm까지의 극후물 강재가 적용되고 있다. Jack-up Rig의 주요 부품인 Rack & Chord 소재는 현존하는 탄소강 중 용접하기 가장 어려운 소재이며, 이를 위해 고품질, 고생산성을 위한 용접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고강도 극후물재의 용접이음부에서 용접금속 또는 열영향부(HAZ)의 인성 저하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초층에서의 저온 균열과 같은 결함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신뢰성 보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80mm 이상의 극후물재의 경우 초층에서 높은 구속도와 낮은 입열 조건에 따른 경화조직의 생성으로 저온 균열 등의 결함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용접이음부 성능은 전체 구조물의 성능을 좌우하기 때문에 고강도 강재일수록 용접이음부에서의 충분한 강도가 필요하며, 결함이 없는 저온 인성을 확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고강도 강재의 용접이음부일수록 강도와 함께 저온 인성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40968호 (2011.12.23. 공개)
본 발명은 상용화되고 있는 용접재료를 이용하여 용접금속부 및 열영향부의 저온 인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이음부는 양측 모재의 루트면을 연결하는 초층 용접비드, 상기 루트면부터 상기 모재의 표면까지의 개선면에 형성되는 개선부 용접비드 및 상기 초층 용접비드와 상기 개선부 용접비드로 둘러싸인 중심부 용접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이음부의 용접금속부는 침상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및 베이나이트(Bainite) 복합조직을 면적분율%로 90%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이음부는 -40에서 샤르피 충격 에너지값이 69J 이상이고, -60에서 샤르피 충격 에너지값이 50J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이음부는 690MPa 이상의 항복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이음부의 CGHAZ(Coarse Grain HAZ)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AGS)는 3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방법은 제1 입열 범위로 루트면에 초층 비드를 적층하는 제1 용접단계; 상기 제1 입열 범위 이하의 제2 입열 범위로 모재 개선면에 비드를 적층하는 제2 용접단계; 및 상기 제1 입열 범위 이상의 제3 입열 범위로 상기 초층 비드와 상기 개선부 비드로 둘러싸인 중심부에 비드를 적층하는 제3 용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열 범위는 2.5~3.5kJ/mm이며, 상기 제2 입열 범위는 1.5~2.5kJ/mm이며, 상기 제3 입열 범위는 10~15kJ/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 개선면의 형상은 K 또는 X 개선이며, 개선각도는 2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방법에 사용되는 용접재료는 티타늄(Ti) 300~500ppm 및 보론(B) 20~50pp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이음부는 개선형상과 개선각도 및 비드 적층법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항복강도와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방법은 상용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용접금속부 내 침상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복합조직의 분율을 높게 유지하여 용접이음부의 강도와 저온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방법은 고입열의 중심부 용접단계에 의해 모재 개선면의 용접비드 및 열영향부가 템퍼링되어, 고입열에서도 인성 저하가 없는 열영향부를 확보할 수 있으며 용접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접이음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 비드 적층방법 및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금속부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이음부의 CGHAZ 미세조직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해양구조용 고강도 극후강재의 고입열 용접은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나, 열영향부(HAZ)에서의 인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입열 용접으로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용접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고강도 극후강재를 맞대기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금속부를 포함하는 용접이음부에 있어서 개선형상, 개선각도, 입열량, 용접 적층방법 및 용접재료를 제어하여 최적화함으로써 생산성 유지와 함께 용접금속부와 열영향부의 저온 인성을 확보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맞대기 용접의 용접이음부는 양측 모재의 루트면을 연결하는 초층 용접비드, 상기 루트면부터 모재의 표면까지의 개선면을 따라 형성되는 개선부 용접비드 및 상기 초층 용접비드와 상기 개선부 용접비드로 둘러싸인 중심부 용접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를 맞대기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이음부에 있어서 개선형상은 K 개선 또는 X 개선일 수 있다. 루트면을 연결하는 초층 용접비드 적층은 구속도 및 용접 후 냉각속도가 가장 커 저온균열에 취약하므로 강재의 용접이음부는 K 또는 X 개선형상으로 가공함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극후강재의 두께에 해당하는 A는 100~210mm일 수 있으며, B는 루트면(root face)의 길이로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C는 루트 간극(root opening)으로 2~5mm가 바람직하다.
또한, 개선부의 개선각도(α)는 용접비드의 적층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30°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개선각도가 작을수록 용접금속부에서의 저온 인성 확보에 유리하므로, 개선각도는 20°이하가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면, 초층 용접비드는 양측 모재의 루트면(root face)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개선부 용접비드는 상기 초층 용접비드가 적층된 루트면부터 모재의 표면까지의 개선면(groove face)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부 용접비드는 상기 초층 용접비드와 상기 개선부 용접비드로 둘러싸인 개선부의 가운데 부분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저온 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의 용접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용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극후강재 용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접방법은 2.5~3.5kJ/mm의 입열량으로 루트면을 연결하기 위해 초층 비드를 적층하는 제1 용접단계와, 1.5~2.5kJ/mm의 입열량으로 모재 개선면에 비드를 적층하는 제2 용접단계와, 10~15kJ/mm의 입열량으로 초층 비드 및 개선면 비드로 둘러싸인 중심부에 비드를 적층하는 제3 용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초층 비드를 적층하는 제1 용접단계는 입열량이 2.5~3.5kJ/mm일 경우 50℃의 낮은 예열조건으로도 저온균열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초층 비드를 적층한 후 모재의 개선면에 비드를 적층하는 제2 용접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용접단계는 제1 용접단계 이하의 입열량으로 개선면에 비드를 적층한다. 일반적으로 용접이음부의 용접입열량이 클 경우 열영향부(HAZ)의 결정입도가 증가하여 저온에서의 충분한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용접입열량이 낮을 경우 용접 후 냉각속도가 빨라져 경화조직이 생성되므로 극후강재의 경우 높은 구속도와 함께 저온균열이 발생되기 쉽다.
제2 용접단계의 개선면 비드는 낮은 입열량으로 적층되어 열영향부 중 CGHAZ(Coarse-Grain HAZ)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AGS, Austenite Grain Size)를 30μm 이하로 정련(refinement)시켜 저온인성을 높일 수 있는 반면, 경화조직에 의한 저온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접단계 후 중심부를 10~15kJ/mm의 고입열로 적층하는 제3 용접단계를 통해 선행하여 적층된 개선면의 비드와 경계(fusion line)는 600~900℃로 템퍼링되어 조직이 미세하게 재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이음부의 강도 및 저온 인성 확보를 위해 용접금속부는 침상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및 베이나이트(Bainite) 복합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금속부 내 침상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복합조직을 90% 이상 포함함으로써 극후강재와 동일한 항복강도 및 우수한 저온 인성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용접방법에 적용되는 상용 용접재료는 AWS A5.23 F11A8 이상의 용접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재료의 성분 중 보론(B)과 티타늄(Ti)의 함량은 제한될 수 있다. 고입열로 이루어지는 제3 용접단계에 의한 용접금속부의 결정입계 페라이트(Grain Boundary Ferrite, GBF)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보론(B) 함량을 20~50ppm으로, 티타늄(Ti) 함량을 300~500ppm으로 제한할 수 있다.
보론(B) 함량이 20ppm 미만인 경우 15kJ/mm의 입열량에서 용접금속부 내 결정입계 페라이트(GBF) 생성이 현저하게 증가하며, 50ppm 이상인 경우 용접금속부의 소입성을 증가시켜 마르텐사이트 발생 분율이 증가하므로 저온 충격인성 확보가 어려워진다.
티타늄(Ti) 함량이 300ppm 미만인 경우 고입열에서 조대해진 결정 내부에서 침상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복합조직을 90% 이상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우며, 500pm 이상인 경우 마르텐사이트 생성이 증가하여 상기 복합조직의 분율 확보가 어려워진다.
상기와 같은 개선형상, 용접재료 및 용접방법을 통해 용접금속부의 침상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복합조직 분율을 확보하고 열영향부의 결정입도를 제어하여, 항복강도 690MPa 이상 및 -40℃의 저온에서 샤르피 충격 에너지값이 69J 이상인 극후강재의 용접이음부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극후강재는 183mmt의 EQ70(포스코)를 사용하였고, SAW(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재료로는 하기 표 1의 성분 범위를 가지는 용접재료를 사용하였다.
용접재료(wt%) A B C D E F G H
C 0.073 0.055 0.075 0.073 0.085 0.063 0.063 0.067
Si 0.196 0.217 0.229 0.217 0.279 0.19 0.19 0.197
Mn 1.45 1.52 1.4 1.52 1.33 1.58 1.58 1.42
P 0.09 0.007 0.01 0.01 0.008 0.007 0.007 0.009
S 0.003 0.004 0.003 0.004 0.004 0.004 0.004 0.005
Cr 0.63 0.158 0.59 0.63 0.691 0.22 0.22 0.56
Ni 2.31 2.38 2.32 2.52 2.26 2.26 2.26 2.41
Cu 0.083 0.114 0.081 0.071 0.059 0.104 0.104 0.094
Mo 0.55 0.71 0.55 0.429 0.52 0.66 0.66 0.393
Al 0.02 0.011 0.02 0.012 0.018 0.012 0.012 0.012
Nb 0.002 0.001 0.003 0.003 0.002 0.002 0.002 0.003
Ti 0.047 0.046. 0.036 0.003 0.002 0.001 0.033 0.031
V 0.006 0.005 0.004 0.006 0.01 0.006 0.006 0.005
B 0.003 0.005 0.004 <0.0003 <0.0003 0.0007 0.006 <0.0003
충격인성
(15kJ/mm)
-40℃ 120J 116J 132J 89J 64J 72J 68J 62J
-60℃ 71J 92J 84J 42J 39J 40J 50J 34J
상기 표 1에서 티타늄(Ti) 300~500ppm 및 보론(B) 20~50ppm을 만족하는 A, B 및 C의 용접재료를 사용하였을 때 -40℃에서의 충격인성이 100J 이상, -60℃에서의 충격인성이 70J 이상으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티타늄 및 보론의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개선된 용접방법으로 극후강재를 맞대기 용접하여 CVN 충격시험을 통해 저온인성을 측정하였다.
20°의 개선각도를 가지는 X 개선형상으로 맞대기 용접하였으며 루트 간극은 2~5mm로 유지하였다.
저온 충격인성(J)
개선 전 -40℃ -60℃ 개선 후 -40℃ -60℃
비교예 1 76.8 34.9 실시예 1 122.9 73.7
비교예 2 63.7 32.1 실시예 2 82.7 66.2
비교예 3 91.4 18.0 실시예 3 137.1 82.3
비교예 4 77.3 28.3 실시예 4 114.2 74.1
비교예 5 27.6 40.6 실시예 5 110.3 77.2
비교예 6 30.2 41.6 실시예 6 114.8 68.9
비교예 7 75.4 20.8 실시예 7 90.5 72.4
비교예 8 44.4 34.3 실시예 8 105.2 72.8
비교예 9 56.6 36.0 실시예 9 130.2 78.1
비교예 10 41.1 22.2 실시예 10 82.2 49.3
비교예 11 46.7 30.7 실시예 11 107.3 69.7
비교예 12 48.1 29.6 실시예 12 106.6 65.7
비교예 13 36.8 56.8 실시예 13 92.0 64.4
비교예 14 34.7 53.3 실시예 14 72.9 51.0
비교예 15 95.4 41.8 실시예 15 104.9 68.2
비교예 16 55.6 50.6 실시예 16 89.9 61.2
평균 56.36 35.73 평균 103.98 68.45
상기 표 2는 종래의 용접방법인 초층부터 단계적으로 비드를 쌓아 올리는 방법을 이용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의 저온 충격인성을 비교예 1 내지 16에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용접방법을 이용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의 저온 충격인성을 실시예 1 내지 16에 나타내었다.
평균값을 비교하였을 때 -40℃에서의 충격인성은 45J 이상, -60℃에서의 충격인성은 30J 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용접방법을 수행하였을 때 용접금속부 내 침상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복합조직의 분율을 90% 이상 확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미세조직 분율은 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도 4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재 개선면에 저입열로 적층된 용접 비드가 중심부의 고입열의 용접 비드에 의해 템퍼링되어 열영향부(CGHAZ)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미세화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α: 개선각도 A: 강재 두께
B: 루트면 길이 C: 루트 간극

Claims (9)

  1. 강재를 맞대기 용접하여 형성되는 용접이음부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의 개선형상은 K 개선 또는 X 개선이며,
    양측 모재의 루트면을 연결하는 초층 용접비드,
    상기 루트면부터 상기 모재의 표면까지의 개선면에 형성되는 개선부 용접비드 및
    상기 초층 용접비드와 상기 개선부 용접비드로 둘러싸인 중심부 용접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이음부의 CGHAZ(Coarse Grain HAZ)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AGS)는 30㎛ 이하인 용접이음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의 용접금속부는 침상 페라이트(Acicular Ferrite) 및 베이나이트(Bainite) 복합조직을 면적분율%로 90% 이상 포함하는 용접이음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40℃에서 샤르피 충격 에너지값이 69J 이상이고, -60℃에서 샤르피 충격 에너지값이 50J 이상인 용접이음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항복강도가 690MPa 이상인 용접이음부.
  5. 삭제
  6. 제1 입열 범위로 루트면에 초층 비드를 적층하는 제1 용접단계;
    상기 제1 입열 범위 이하의 제2 입열 범위로 모재 개선면에 비드를 적층하는 제2 용접단계; 및
    상기 제1 입열 범위 이상의 제3 입열 범위로 상기 초층 비드와 개선부 비드로 둘러싸인 중심부에 비드를 적층하는 제3 용접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재 개선면의 형상은 K 또는 X 개선이며, 개선각도는 20° 이하이고,
    용접재료는 티타늄(Ti) 300~500ppm 및 보론(B) 20~50ppm을 포함하는 용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열 범위는 2.5~3.5kJ/mm이며,
    상기 제2 입열 범위는 1.5~2.5kJ/mm이며,
    상기 제3 입열 범위는 10~15kJ/mm인 용접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60178378A 2016-12-23 2016-12-23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 KR10198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78A KR101982160B1 (ko) 2016-12-23 2016-12-23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78A KR101982160B1 (ko) 2016-12-23 2016-12-23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365A KR20180074365A (ko) 2018-07-03
KR101982160B1 true KR101982160B1 (ko) 2019-08-28

Family

ID=6291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378A KR101982160B1 (ko) 2016-12-23 2016-12-23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638B1 (ko) 2020-11-12 2022-03-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관 성형부의 저온 충격 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용접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용접 장치
KR102376702B1 (ko) 2020-11-05 2022-03-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관 성형부의 저온 충격 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표면 개질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표면 개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252B1 (ko) 2018-06-27 2023-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6375B1 (ko) * 2020-01-21 2020-06-24 주식회사광성이엔지 강관확관부의 용접제어방법
CN111408824A (zh) * 2020-05-14 2020-07-14 兰州交通大学 一种母材haz晶粒不发生粗化的复合焊接方法
CN113399799A (zh) * 2021-06-18 2021-09-17 四川华川基业建设集团珑威容器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接头焊接工艺
CN115055786A (zh) * 2022-07-27 2022-09-1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厚板立对接焊缝的焊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1516A (ja) * 2005-07-14 2007-02-01 Hitachi Ltd 狭開先溶接方法及び溶接構造物並びにその溶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777B1 (ko) * 1992-12-30 1995-03-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용접부 내응력부식균열성이 우수한 고장력강의 용접방법
JP2756901B2 (ja) * 1993-07-06 1998-05-25 山九株式会社 厚板複層盛り自動溶接方法
KR20130073233A (ko) * 2011-12-23 2013-07-0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극후물재의 하이브리드 용접 방법
KR101568517B1 (ko) * 2013-12-24 2015-11-11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KR101665816B1 (ko) * 2014-12-24 2016-10-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이음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1516A (ja) * 2005-07-14 2007-02-01 Hitachi Ltd 狭開先溶接方法及び溶接構造物並びにその溶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702B1 (ko) 2020-11-05 2022-03-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관 성형부의 저온 충격 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표면 개질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표면 개질 장치
KR102376638B1 (ko) 2020-11-12 2022-03-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관 성형부의 저온 충격 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용접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제어되는 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365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160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강재 용접이음부 및 그 용접방법
CN100595443C (zh) 耐脆性破坏裂纹传播止裂特性优异的t型焊接接头构造
KR100925608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95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용접이음부
JP4528089B2 (ja) 耐脆性破壊発生特性を有する船体用大入熱突合せ溶接継手
WO2013051249A1 (ja) 溶接熱影響部靱性に優れた溶接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0618B1 (ko) 용접이음부 저온인성 및 용접작업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용접이음부
JP2008018458A (ja) 補剛板及び補剛板の製造方法
CN112135706B (zh) 搭接激光焊接接头、搭接激光焊接接头的制造方法和汽车用骨架部件
KR101180222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금속부
KR100910495B1 (ko) 용접이음부의 저온 인성이 우수한 강판의 용접방법
KR100631404B1 (ko) 탄소강의 편면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부와 그 용접방법
KR20180074826A (ko) 용접부 내기공성 및 피로 특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용접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4901262B2 (ja) 大入熱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た厚鋼板
JP4469226B2 (ja) 下盛り溶接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
JP2005125348A (ja) 耐脆性破壊発生特性に優れた大入熱突合せ溶接継手
JP2005298900A (ja) 大入熱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た厚鋼板
KR101665816B1 (ko) 용접이음부 및 그 제조방법
KR101351266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900MPa급 고강도 용접부
KR20160121712A (ko) 초대입열 용접용 강판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대입열 용접용 강판
KR101351267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1GPa급 고강도 용접부
KR20160062610A (ko) 용접부의 저온인성 평가방법
JP2008264812A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開先充填材
KR102396818B1 (ko) 우수한 저온인성 및 저경도 특성을 가지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금속부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강관
JP2005279743A (ja) 耐脆性破壊発生特性に優れた溶接継手
JP6950294B2 (ja) 多層盛り溶接による継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