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108B1 -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108B1
KR101982108B1 KR1020180038863A KR20180038863A KR101982108B1 KR 101982108 B1 KR101982108 B1 KR 101982108B1 KR 1020180038863 A KR1020180038863 A KR 1020180038863A KR 20180038863 A KR20180038863 A KR 20180038863A KR 101982108 B1 KR101982108 B1 KR 101982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upport
corner portion
filter body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597A (ko
Inventor
조한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코
Priority to KR102018003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효과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한 입체적인 필터 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그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는, 굴절 가능하며 선상, 망상 또는 시트 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체, 제1지지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 제1모서리부와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 및 각각 제1모서리부와 제2모서리부의 사이에서 제1모서리부와 제2모서리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평면부를 포함하는 주름진 판 형상의 필터체, 및 필터체에 형성되며 필터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필터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제2지지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Filter for purifying pollutant and filter cartridge}
본 발명은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한 입체적인 필터 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그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다양한 오염원들이 존재한다. 폐가스를 배출하는 화학적 처리시설, 연료를 소비하여 동력을 만들어내는 구동설비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시설 등 여러 가지 산업적 시설물들로부터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다.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은 미세한 입자형태로 대기 중에 분포하여 호흡기 질환을 비롯한 각종 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기중에 분포하는 오염물질은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화학물질을 이용하거나, 전기력을 이용하거나, 필터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이 중 필터를 이용한 처리방식은 적용이 쉽고 처리효율도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1058호에 이러한 필터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필터는 가스와 접촉하여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기중에서 직접 걸러낼 수 있다. 따라서, 필터가 보다 효과적으로 가스와 접촉 가능한 배치형태가 중요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대부분 판상의 시트 형태로 이루어진 필터를 유동경로와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필요한 경우, 필터의 단부에 장력을 가하여 필터를 감거나 푸는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거나 가스의 배출량이 많은 경우 이러한 판상의 필터에 압력이 크게 작용하여 필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스와 필터와의 접촉면적도 한정되어 있어 처리효율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도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필터의 형태나 구조 등을 바꾸어보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가스의 압력에 의해 필터가 변형되는 등 구조나 형상을 유지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1058호, (2013.05.20), 도면 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한 입체적인 필터 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효과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한 입체적인 필터 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는, 굴절 가능하며 선상, 망상 또는 시트 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 상기 제1모서리부와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 및 각각 상기 제1모서리부와 상기 제2모서리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모서리부와 상기 제2모서리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평면부를 포함하는 주름진 판 형상의 필터체; 및 상기 필터체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제2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탄성와이어, 상기 필터체의 인접한 상기 평면부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유지부재, 및 상기 필터체의 상기 제1지지체와 연결되지 않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제1모서리부 및 상기 제2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서 탄력적으로 굴절되는 굴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필터체를 향하는 일 측부에 상기 필터체와 평행한 밀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탄성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2모서리부를 향해서 너비가 감소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상기 평면부 사이의 상기 제1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2모서리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1모서리부의 사이 또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2모서리부의 사이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제1모서리부와 접하거나 또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2모서리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한 상기 평면부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제2모서리부 사이에 연결되는 굴절 가능한 선상의 와이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는, 선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체의 일 측에 고정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제1모서리부 사이, 복수 개의 상기 제2모서리부 사이, 및 복수 개의 상기 평면부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제1모서리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보강와이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모서리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보강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필터체의 일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체는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1모서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체는 굴절 가능한 와이어 또는 굴절 가능한 메쉬 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카트리지는, 샤프트; 일단부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상기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는 반복적으로 굴절되어 상기 샤프트 둘레에 감겨 고정되되, 굴절된 모서리 부분은 상기 샤프트의 직경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톱니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과적인 정화처리가 가능한 입체적인 구조로 필터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하고 가스와의 접촉면적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는 가스 유동경로 내부에서 정지하거나 또는 이동하면서도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여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카트리지로 이러한 필터를 컴팩트 하게 보관하였다가 장치에 매우 용이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교환, 세척, 유지보수 등의 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일부를 좀 더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필터의 일부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필터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필터 일부를 좀 더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필터의 제2지지체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필터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오염물질’은 산업체 등이나 또는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대기를 오염시키는 대기오염물질 등일 수 있으며, 대기오염물질은 입자상 오염물질 또는 기체상 오염물질일 수 있다. 입자상 오염물질은 먼지, 산화물, 매연, 중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먼지는 미세먼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산화물은 철산화물과 같은 금속산화물 등일 수 있다. 또한, 기체상 오염물질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염물질은 예를 들어, 먼지, 금속산화물, 매연, 중금속, 황산화물, 또는 질소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터 일부를 좀 더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굴절 가능하며 선상, 망상 또는 시트 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체(200), 제1지지체(20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 제1모서리부(110)와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 및 각각 제1모서리부(110)와 제2모서리부(120) 사이에서 제1모서리부(110)와 제2모서리부(12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평면부(130)를 포함하는 주름진 판 형상의 필터체(100), 및 필터체(100)에 형성되며 필터체(100)에 복원력(restoring force)을 제공하여 필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제2지지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지지체(300)는 필터체(100)를 지지하는 탄성와이어(3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굴절되는 입체적인 형상의 필터체(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체(100)는 필터체(100)의 서로 다른 부위를 지지하는 제1지지체(200) 및 제2지지체(300)에 의해 지지되어 자신의 형상을 매우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2지지체(300)는 필터체(100)에 직접 형성되어 필터체(100)와 밀착되거나, 필터체(100)에 탄성을 부여하거나, 굴절된 부분의 간격을 유지하거나, 필터체(100)의 서로 다른 지점을 서로 연결하는 등의 방식으로 필터체(10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필터체(100)가 주름진 판 형상으로 즉시 복원되도록 필터체(100)의 형상을 매우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가 축 등에 감겨 카트리지 형태로 보관되는 경우에도, 제1지지체(200)와 제2지지체(200), 특히, 제2지지체(200)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서 필터체(100)는 축에서 풀리는 즉시 주름진 판 형상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선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400)를 이용하여 필터체(100)의 형상 유지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즉, 필터체(100)의 모서리부분에 연결되는 제1지지체(200)와 필터체(100) 자체에 형성되는 제2지지체(300)를 통해 필터체(100)를 지지하고 형상을 유지하되, 이와 보완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400)를 활용하여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 전체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상태로 정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체(100)는 복수 개의 모서리 부분을 따라 반복적으로 굴절되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체(100)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 제1모서리부(110)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 및 각각 제1모서리부(110)와 제2모서리부(120) 사이에서 제1모서리부(110)와 제2모서리부(12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평면부(130)를 포함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해 위치하는 제1모서리부(110)와 반대편인 하방을 향해 위치하는 제2모서리부(120)의 사이에 평면부(130)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반복되어 필터체(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필터체(100)는 일정한 부피 내에 다수의 평면부(130)를 수용하므로 단위 부피당 표면적 또는 단위 부피당 접촉면적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체(100)는 오염물질이 함유된 가스 등이 유동하는 유동로 내부의 한정된 공간 안에서 더 많은 가스와 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염물질의 처리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터체(100)는 제1모서리부(110) 및 제2모서리부(120)를 따라 반복적으로 굴절되므로 굴절된 부분을 통해 필터체(100)에 걸리는 장력 또한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즉, 가스의 배압이 강한 경우에도 제1모서리부(110) 또는 제2모서리부(120)가 벌어지는 등의 방식으로 유동하여 완충작용이 가능하므로 과도한 장력에 의해 필터체(10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의 필터체(100)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정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터체(100)는 예를 들어, 섬유상 물질이나 다공성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천연물이나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필터체(100)는 필터지나 부직포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필터체(100)는 시트 형태로 가공된 것을 접어 압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가공하거나, 반복적으로 굴절된 판 형상으로 재료를 입체적으로 성형한 것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입체적인 형상의 필터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체(200)는 선상, 망상 또는 시트 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 상은 다공성인 시트 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지지체(200)는 굴절 가능한 와이어 또는 굴절 가능한 메쉬(mesh) 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지지체(200)는 섬유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가 단일 재료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재료가 복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지지체(200)는 내부에 강도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심 부재 등이 삽입된 것일 수도 있다. 제1지지체(200)는 탄성을 보강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가 코팅재로 코팅된 것일 수도 있다.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굴절 가능한 제1지지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 상에서 메쉬 형상의 제1지지체(20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1지지체(200)는 굴절 가능한 선상 또는 시트 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지지체(200)는 전술한 필터체(100)의 제1모서리부(110)에 연결된다. 제1지지체(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모서리부(110) 및 제2모서리부(120)를 따라 반복적으로 굴절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체(100)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는 제1지지체(200)에 연결되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1모서리부(110)는 제1지지체(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보강부재(400)가 형성된 경우 보강부재(40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보강부재(400)가 필터체(100)의 일 측(제1모서리부일 수 있다)에 고정되고 제1지지체(200)가 보강부재(400)에 부착되어 필터체(100)의 제1모서리부(110)가 보강부재(400)에 의해 제1지지체(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재(400)를 필터체(100) 일 측으로 관통시키거나, 필터체(100)와 밀착시켜 재봉하거나,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필터체(100)에 고정하고, 고정된 보강부재(400)에 제1지지체(2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지지체(200) 역시 보강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로 관통되거나, 재봉되거나, 접착되거나,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접합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보강부재(4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보강부재(400)가 제1지지체(200)와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 별도의 연결체를 이용하여 보강부재(400)와 제1지지체(200)를 서로 연결하여 필터 전체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400)는 제1지지체(300)에 연결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제2지지체(300)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필터 전체의 지지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모서리부(110)와 제1지지체(200), 보강부재(400) 등을 매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보강부재(400)가 제1보강와이어(410) 및 제2보강와이어(420)를 포함하는 경우, 제1모서리부(110)는 제1보강와이어(410)를 경유하여 제1지지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2지지체(300)는 필터체(100)에 형성되어 필터체(100)의 형상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지지체(300)는 필터체(100)를 지지하는 탄성와이어(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30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체(100)의 일 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필터체(100)의 양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탄성와이어(301)가 필터체(100)의 일 면에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탄성와이어(301)는 필터체(100)의 표면에 밀착되어 필터체(1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터체(100)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탄성와이어(301)는 예를 들어, 서로 교차하여 필터체(100)의 적어도 일부가 그 사이로 노출되는 네트(net)를 구성할 수 있다.
탄성와이어(301)는 탄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필터체(100)의 표면을 따라 밀착되고 필터체(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절된 탄성와이어(301)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와이어(30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체(100) 표면을 감싸 필터체(100)를 지지하고 필터체(100)에 탄성을 부여하여 필터체(1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탄성와이어(301)는 필터체(100)를 향하는 일 측부에 필터체(100)와 평행한 밀착면(도 2의 301b참조)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납작한 바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즉, 밀착면(301b)은 납작한 바 형상 탄성와이어(301)의 측부에 위치한 필터체(100)와 평행한 일 면일 수 있다. 탄성와이어(301)는 밀착면(301b) 등 필터체(100)와 평행한 면을 포함하여 필터체(100)를 보다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의 탄성와이어(301)로 제2지지체(300)를 구성할 수 있다.
탄성와이어(301)는 제1모서리부(110) 및 제2모서리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서 탄력적으로 굴절되는 굴절부(301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서리부(110) 및 제2모서리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이나 내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탄력적으로 굴절된 굴절부(301a)가 탄성와이어(30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굴절부(301a)가 형성되는 경우, 굴절부(301a)의 탄성으로 특히, 제1모서리부(110) 또는 제2모서리부(120)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보강부재(400)는 필터체(100)의 일 측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 사이,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 사이, 및 복수 개의 평면부(130)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연결되어 필터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서리부(110)의 사이를 관통하거나, 제2모서리부(120)의 사이를 관통하거나, 평면부(130)의 사이를 관통하는 등의 방식으로 보강부재(400)와 필터체(100)가 서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전술한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 사이에 연결되는 제1보강와이어(410), 및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 사이에 연결되는 제2보강와이어(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제1보강와이어(410) 및 제2보강와이어(420)가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하나, 필요한 경우, 복수 개의 평면부(130) 사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3보강와이어(미도시) 등을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필터체(100)와 연결되어 필터체(100)를 지지하는 보강부재(400)를 이용하여 필터체(100)의 형상을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400) 역시 굴절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특히, 제1모서리부(110)와 접하는 지점에 제1보강와이어(410)를 형성하고, 다시 제1보강와이어(410)에 제1지지체(200)를 고정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체(200)를 보강부재(400)에 의해 제1모서리부(110)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필터체(100) 일 측에 단계적으로, 매우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보강와이어(410)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와 연결되고, 제2보강와이어(420)는 제1모서리부(110) 반대편에 위치한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와 연결된다. 제1보강와이어(410)와 제2보강와이어(420)의 각 모서리부와 연결된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모서리부(110) 및 제2모서리부(120)는 보강부재(400)에 의해 각각의 간격이 유지되고 형상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보강와이어(410), 제2보강와이어(420) 등 보강부재(400)와, 제1지지체(200)가 탄성력을 갖는 경우,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 사이의 간격이나,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 사이의 간격은 일부 탄력적으로 변동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의 작동과정 및 사용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필터의 일부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필터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자신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2지지체(300)는 필터체(100)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탄성와이어(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탄성와이어(301)의 탄성으로 인해 원래 형상으로 매우 용이하게 복원이 가능하다. 탄성와이어(301)의 굴절부(301a)는 각 모서리부의 형상을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허용하되, 탄성한계 이상으로는 변형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탄성와이어(301)의 평면부(130)와 밀착되는 부분 역시 평면부(130)가 굴절되지 않고 평면을 유지하도록 필터체(100)에 밀착되어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압이 상승하는 등 필터체(100)에 압력이 가해져 필터체(100)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도 매우 유연하게 대처하고 필터체(100)가 원래의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A)가 유동하는 유동경로에, 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A)가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더라도, 전술한 제1지지체(200), 제2지지체(300), 보강부재(400) 등의 복합적인 지지작용에 의해 형상 변화를 최소화하여 필터체(100)를 입체적인 형상의 원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A)와 필터체(100)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다.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를 통과하여 정화된 가스(A')는 유동방향으로 진행하여 배출구(미도시)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유인력을 제공받아 가스의 유동경로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도 5의 점선화살표 참조)으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가 이동하면서 오염물질을 정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인력(모터 등의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이 필터에 변형을 가하는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제1지지체(200), 제2지지체(300), 보강부재(400) 등의 지지작용에 의해 이 역시 용이하게 해소될 수 있다. 즉, 필터를 당겨 이동시키는 유인력이 작용하더라도 유인력은 제1지지체(200) 및 보강부재(400) 등으로 직접 전달될 뿐 필터체(100) 자체로는 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일부 필터체(100)에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2지지체(300)의 탄성와이어(301)가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이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으므로, 필터체(100)의 형상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가 입체적인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을 진행하며,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필터 일부를 좀 더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필터의 제2지지체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6의 필터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는 제2지지체(300-1)가 간격유지부재(3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굴절 가능하며 선상, 망상 또는 시트 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체(200), 제1지지체(20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 제1모서리부(110)와 이격되어 제1모서리부(110) 반대편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 및 각각 제1모서리부(110)와 제2모서리부(120) 사이에서 제1모서리부(110)와 제2모서리부(12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평면부(130)를 포함하는 주름진 판 형상의 필터체(100), 및 필터체(100)에 형성되며 필터체(10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필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제2지지체(300-1)를 포함한다. 제2지지체(300-1)는 필터체(100)의 인접한 평면부(130)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유지부재(302)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는 제2지지체가 전술한 탄성와이어(도 1 내지 도 5의 301참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간격유지부재(3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탄성와이어(301)와 간격유지부재(302)를 모두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된 것일 뿐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2지지체는, 필터체(100)를 지지하는 탄성와이어(301), 필터체(100)의 인접한 평면부(130)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유지부재(302), 및 필터체(100)의 제1지지체와 연결되지 않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예를 들어, 굴절 가능한 선상의 와이어부재가 필터체(100)의 인접한 평면부(130) 사이, 인접한 제2모서리부(120) 사이에 연결되는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재는 복수 개의 평면부(130) 사이로 관통되거나,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와 연결되어 필터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필터체(100)의 일 측으로 관통되거나, 필터체(100)와 밀착시켜 재봉하거나,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필터체(10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체가 상기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술한 제1지지체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의 사이에 연결되고, 제2지지체는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 사이에 연결되어 평면부(130)를 사이에 두고 필터체(100)의 서로 다른 모서리부분을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를 이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체(100)의 변형에 대응하여 이를 해소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주름진 판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선상의 보강부재(400)를 필터체(100)의 일 측에 고정하여 필터체(100)가 형상을 유지하면서 강도를 보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강부재(40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필터체(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110) 사이,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120) 사이, 및 복수 개의 평면부(130)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보강부재(400)를 추가로 연결하여 필터체(100)를 지지하고 강도를 보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간격유지부재(30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체(100)의 평면부(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302)는 복수 개의 인접한 평면부(130) 사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302)는 탄성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평면부(130) 사이의 간격이나 배치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302)는 실리콘이나, 천연 또는 합성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필터체(10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평면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간격유지부재(30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탄성력을 갖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을 알맞게 가공하여 평면부(130) 사이에 삽입 고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간격유지부재(302)를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302)의 적어도 일부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서리부(110) 또는 제2모서리부(120)를 향해서 너비가 감소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부재(302)는 평면부(130) 사이에 개재되되 제1모서리부(110) 또는 제2모서리부(120)와 인접한 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일부가 제1모서리부(110) 또는 제2모서리부(1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제1모서리부(110) 및 제2모서리부(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점차 너비가 감소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302)의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평면부(130) 사이의 제1모서리부(110) 또는 제2모서리부(120)와 접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부재(302)는 필터체(100)의 제1모서리부(110) 양 측에 위치하는 평면부(130)로부터 평면부(130)가 모이는 제1모서리부(110)까지 연장되어 평면부(130)와 제1모서리부(110)로 이루어진 굴절부분 내측에 개재될 수 있으며, 필터체(100)의 제2모서리부(120) 양 측에 위치하는 평면부(130)로부터 평면부(130)가 모이는 제2모서리부(120)까지 연장되어 평면부(130)와 제2모서리부(120)로 이루어진 굴절부분의 내측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필터체(100)의 굴절부분이 변형되지 않도록 각 모서리부와 평면부(130)를 매우 용이하게 지지 가능한 형태로 간격유지부재(30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간격유지부재(302)의 배치나 형상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간격유지부재(302)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인접한 제1모서리부(110)의 사이 또는 서로 인접한 제2모서리부(120)의 사이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서로 인접한 제1모서리부(110)와 모두 접하거나, 서로 인접한 제2모서리부(120)와 모두 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재(30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인접한 제2모서리부(120)의 사이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제2모서리부(120)와 모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유지부재(302)를 포함하여 제2지지체(300-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의 (a)는 간격유지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필터의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이의 측면도이다)
간격유지부재(302)는 평면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평면부(130) 사이의 간격 변화를 최소화하며 따라서 평면부(130) 사이에 위치한 모서리부의 움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간격유지부재(302)가 서로 인접한 모서리부와 모두 접하여 모서리부 사이의 간격 변동 역시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13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서로 인접한 모서리부와 모두 접하도록 간격유지부재(302)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평면부(130)의 사이에 간격유지부재(302)를 형성하여 필터체(100)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간격유지부재(302)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체(100) 의 폭 방향[도 8 (b)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그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인접한 모서리부 사이의 간격 변동을 최소화하여 필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필터체(100)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부재(302) 사이로 가스가 용이하게 통과하여 필터체(100)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필터체(100)의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302)를 서로 분리하여 이격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302)가 형성된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이와 다른 다양한 위치에 간격유지부재(302)를 분산 배치하여 제2지지체(300-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 역시 전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A)가 유동하는 유동경로에, 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체(200), 제2지지체(300-1), 보강부재(400) 등의 복합적인 지지작용에 의해 형상 변화를 최소화하여 필터체(100)를 입체적인 형상의 원형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A)와 필터체(100)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다.
특히, 간격유지부재(302)를 포함하는 제2지지체(300-1)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평면부(130) 사이의 간격 변화를 최소화하고 필터체(100)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을 함유한 가스(A)가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형상을 유지하면서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다.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를 통과하여 정화된 가스(A')는 유동방향으로 진행하여 배출구(미도시)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가 유인력을 제공받아 가스의 유동경로 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의 이동방향(도 9의 점선화살표 참조)으로 작용하는 유인력을 제1지지체(200), 제2지지체(300-1), 보강부재(400) 등의 지지작용에 의해 역시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즉, 필터를 당겨 이동시키는 유인력이 작용하더라도 유인력은 제1지지체(200) 및 보강부재(400) 등으로 직접 전달될 뿐 필터체(100) 자체로는 전달이 최소화 될 수 있고, 일부 필터체(100)에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2지지체(300-1)의 간격유지부재(302)가 필터체(100)의 형상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1)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를 통해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카트리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카트리지(2)는 샤프트(10), 일단부가 샤프트(10)와 연결되어 샤프트(10)에 고정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 및 샤프트(10)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샤프트(10)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11)를 포함한다. 필터 카트리지(2)에 포함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앞서 서로 다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2)는 샤프트(10)를 중심으로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를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할 수 있다. 샤프트(10)는 하우징(20) 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20)은 샤프트(10)에 감긴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형상, 샤프트(10)의 형상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알맞게 변형이 가능하다.
샤프트(10)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는 필터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설비에 마련되어 샤프트(10)를 지지하는 지지체(예를 들어, 모터 등의 구동부와 연결된 구동축이 될 수 있다)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1)는 예를 들어, 면대 면으로 접촉하여 샤프트(10) 전체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단차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11)의 형상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축과 축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체결부(1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체는 체결부(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역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굴절되어 샤프트(10) 둘레에 감겨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의 굴절된 모서리 부분은 샤프트(10) 둘레에 감겨 샤프트(10)의 직경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톱니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의 제2모서리부(120)와 이에 인접한 평면부(130)가 굴절된 모서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부분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 둘레에 감겨 샤프트(10)의 직경방향과 어긋나는 일 방향으로 치우친 형태가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필터 카트리지(2)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의 굴절된 모서리 부분을 활용하여 접힌 형태로 샤프트(10) 둘레에 보다 컴팩트하게 감겨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 내부의 한정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필터 카트리지(2)에 보다 많은 양의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를 감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필터 카트리지(2)를 구성하여, 필터를 컴팩트하게 보관하였다가 장치에 매우 용이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교환, 세척, 유지보수 등의 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체(200), 제2지지체(300), 보강부재(400) 등에 의한 지지작용 및 복원작용에 의해 샤프트(10)로부터 풀려 나오는 즉시 주름진 판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상 복원될 수 있다. 즉,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는 필터 카트리지(2)에 롤 형태로 감겨 컴팩트하게 보관되되, 오염물질 정화설비 등에 장착하여 가동을 시작하면 샤프트(10)의 회전에 따라 제1지지체(200), 제2지지체(300), 보강부재(400) 등의 상호작용으로 복원력 및 지지력을 제공받고 전술한 바와 같은 입체적인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2: 필터 카트리지
10: 샤프트 11: 체결부
20: 하우징 100: 필터체
110: 제1모서리부 120: 제2모서리부
130: 평면부 200: 제1지지체
300, 300-1: 제2지지체 301: 탄성와이어
301a: 굴절부 301b: 밀착면
302: 간격유지부재 400: 보강부재
410: 제1보강와이어 420: 제2보강와이어
A: 오염물질이 함유된 가스 A': 정화된 가스

Claims (16)

  1. 선상으로 이루어지며, 굴절 가능한 선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모서리부,
    상기 제1모서리부와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모서리부, 및
    각각 상기 제1모서리부와 상기 제2모서리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모서리부와 상기 제2모서리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평면부를 포함하는 주름진 판 형상의 필터체; 및
    상기 필터체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제2지지체를 포함하고,
    선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체의 일 측에 고정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필터체의 일 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체는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1모서리부와 연결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탄성와이어,
    상기 필터체의 인접한 상기 평면부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유지부재, 및
    상기 필터체의 상기 제1지지체와 연결되지 않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제1모서리부 및 상기 제2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서 탄력적으로 굴절되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필터체를 향하는 일 측부에 상기 필터체와 평행한 밀착면이 형성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탄성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2모서리부를 향해서 너비가 감소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상기 평면부 사이의 상기 제1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2모서리부와 접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1모서리부의 사이 또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2모서리부의 사이로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제1모서리부와 접하거나 또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2모서리부와 접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한 상기 평면부 사이 또는 인접한 상기 제2모서리부 사이에 연결되는 굴절 가능한 선상의 와이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제1모서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제1모서리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보강와이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모서리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보강와이어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굴절 가능한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15. 샤프트;
    일단부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2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는 반복적으로 굴절되어 상기 샤프트 둘레에 감겨 고정되되, 굴절된 모서리 부분은 상기 샤프트의 직경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톱니 형상으로 배열되는 필터 카트리지.
KR1020180038863A 2018-04-03 2018-04-03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KR101982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63A KR101982108B1 (ko) 2018-04-03 2018-04-03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63A KR101982108B1 (ko) 2018-04-03 2018-04-03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099A Division KR101854166B1 (ko) 2015-08-28 2015-08-28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97A KR20180039597A (ko) 2018-04-18
KR101982108B1 true KR101982108B1 (ko) 2019-05-28

Family

ID=6208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863A KR101982108B1 (ko) 2018-04-03 2018-04-03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6028A1 (en) * 2009-06-25 2010-12-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leated filter with tridirectional scri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5035B (zh) * 2009-03-02 2016-01-01 科邁實業有限公司 可再生皺褶式過濾器媒介
KR20110049220A (ko) * 2009-11-04 2011-05-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 모듈
KR20130051058A (ko) 2011-11-09 2013-05-20 김오수 롤 구조의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6028A1 (en) * 2009-06-25 2010-12-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leated filter with tridirectional scri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97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1610B1 (en) Improved filter media for active field polarized media air cleaner
US7708813B2 (en) Filter media for active field polarized media air cleaner
KR101191593B1 (ko) 집진기능을 가지는 방충망
US20210276021A1 (en) Filter Media For Active Field Polarized Media Air Cleaner
KR101870328B1 (ko) 복합화력 철산화물 처리가 가능한 롤 필터장치
US11452960B2 (en) Corrugated filtration media for polarizing air cleaner
KR101854166B1 (ko)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KR101478806B1 (ko)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982108B1 (ko)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및 필터 카트리지
KR102067077B1 (ko) 간격유지기능을 갖는 주름필터구조
KR100848259B1 (ko) 부직포에 첨착활성탄을 압착시킨 필터 여재, 필터 여재 제작 방법 및 필터 여재를 구비한 케미칼필터 제작 방법
JPH07313814A (ja) フィラメントフィルター装置
JPH09285713A (ja) 空気浄化装置
WO2023215164A1 (en) System and method of sanitizing and filtering air
KR20230001483U (ko) 수평권취형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