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377B1 -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에서의 진화된 노드 b의 동작과 연관된 기술 및 구성 - Google Patents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에서의 진화된 노드 b의 동작과 연관된 기술 및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377B1
KR101981377B1 KR1020167022957A KR20167022957A KR101981377B1 KR 101981377 B1 KR101981377 B1 KR 101981377B1 KR 1020167022957 A KR1020167022957 A KR 1020167022957A KR 20167022957 A KR20167022957 A KR 20167022957A KR 101981377 B1 KR101981377 B1 KR 101981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b
coverage enhancement
enhancement level
leve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645A (ko
Inventor
사티쉬 씨 자
마루티 굽타
모하매드 마무누르 라쉬드
라스 바니탐비
알리 타하 콕
카시라베트필라이 시바네산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1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Abstract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은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기 위한 진화된 노드 B의 동작 시스템 및 방법을 기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와 연관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은 또한, 보다 높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대하여 구성된 UE을 탐색하기 위해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탐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이 기술 및/또는 청구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에서의 진화된 노드 B의 동작과 연관된 기술 및 구성{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AN EVOLVED NODE B AT MULTIPLE COVERAGE ENHANCEMENT LEVEL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발명의 명칭이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AN EVOLVED NODE B AT MULTIPLE COVERAGE ENHANCEMENT LEVELS"인, 2014년 12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4/563,92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발명의 명칭이 "A FEEDBACK-BASED MECHANISM TO OPTIMIZE AIR-INTERFACE RESOURCES FOR UES REQUIRING ENHANCED COVERAGE"인, 2014년 3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969,78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은 여러 목적으로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되, 단 본 명세서의 내용과 모순되는 섹션들이 있다면, 그 섹션들을 제외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은 적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에서의 진화된 노드 B(eNB)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배경기술의 기재는 본 개시물의 맥락을 일반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섹션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청구범위에 대한 선행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서의 포함에 의해 선행 기술로 인정되는 것도 아니다.
기계-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MTC))은 유망한 첨단 기술이다. 잠재적인 MTC 기반의 응용 분야는 스마트 계량, 헬스케어 모니터링, 원격 보안 감시, 지능형 교통 체계 등을 포함한다. 이들 서비스 및 응용 분야는, LTE 및 LTE-Advanced(어드밴스드)와 같은 현세대 및 차세대 모바일 광대역 네트워크에 통합될 필요가 있는 새로운 타입의 MTC 장치의 디자인 및 개발의 동기를 부여한다.
기존의 모바일 광대역 네트워크들은 주로 인간 타입 통신에 대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설계되었고, 그에 따라 MTC 특정 요건에는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일부 MTC 장치는 주거용 건물의 지하층에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장치에서는 보통의 LTE 장치들보다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현저하게 큰 투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MTC 장치의 충분한 커버리지(유효범위)를 제공하기 위해, 특수한 커버리지 강화 고려가 필요해질 수 있다.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 상세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같은 참조 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실시예들은 예로서 나타내진 것이지, 첨부 도면의 도면들에서의 한정으로서 나타내진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서의 진화된 노드 B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탐색 모드 동안 커버리지 강제된 UE(coverage constrained UE)가 구성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커버리지 강제된 UE에 의해 보내질 수 있는 예시적인 상향링크(UL) 정보 요소(IE)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탐색 모드 동안 커버리지 강제된 UE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기존의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에 포함되는 예시적인 IE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탐색 모드 동안 커버리지 강제된 UE가 구성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커버리지 강제된 UE에 의해 보내질 수 있는 IE를 반송할 수 있는 신규 RRC 메시지를 보여주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의 블록도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며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것이고, 명세서 전반에서 같은 참조 번호는 같은 부분을 가리킨다. 다른 실시예들이 본 개시물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청구항의 청구 대상을 이해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동작들이 다수의 별도의 액션들 또는 동작들로서 차례로 기재될 수 있다. 그러나, 기재의 순서는, 이들 동작이 반드시 순서 의존적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이들 동작은 제시한 순서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기재된 동작들은 기재된 실시예와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추가적인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거나, 및/또는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는 기재된 동작들이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목적상, "A 및/또는 B"란 문구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개시물의 목적상, "A, B, 및/또는 C"란 문구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의미한다. 상세한 설명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각각 의미할 수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in an embodiment)", 또는 "실시예들에 있어서(in embodiments)"의 문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사용되는 "포함하는(comprising)", "구비하는(including)", "갖는(having)" 등의 용어들은 동의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회로"는,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 조합 논리 회로, 및/또는 그 밖의 적절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실행시키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 전자 회로, 프로세서(공유, 전용, 또는 그룹), 및/또는 메모리(공유, 전용, 또는 그룹)를 의미하거나, 그 일부이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TC 장치 또는 MTC 사용자 장비(UE)의 충분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특수한 커버리지 강화(CE) 고려가 필요해질 수 있다. 이들 커버리지 강화는 통신의 다양한 물리적 채널들에 대한 원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경우에 따라, 예를 들면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등과 같은 물리적 상향링크 채널 및 물리적 하향링크 채널은 신호 세기에 있어서 원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데시벨(dB) 이득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한 가지 방법은, 신호의 반복을 통하여, 이하에서는 "신호 이득(signal gain)"이라고 하는 신호 세기에 있어서의 원하는 dB 이득에 도달하는 것이다. 원하는 신호 이득에 도달하기 위한 반복 횟수가 이하에서는 "반복 레벨(repetition level)"로서 인용된다. 반복 레벨의 개별 반복들은 원하는 신호 이득에 대하여 신호를 구축하도록 작업할수 있으며, 각각의 개별 반복은 최종 전체 신호 이득에 기여한다.
이들 반복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리소스를 소모할 수 있다. 예컨대, 20 dB의 신호 이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호가 100 이상의 반복 레벨로 반복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MTC UE가 최대 반복 레벨에 대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지하층에서 동작되는 MTC UE는 윈도우에 의해 동작되는 MTC UE보다 높은 반복 레벨에 대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진화된 노드 B(eNB))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근접도(operational proximity) 이내에 있는 어떠한 MTC UE도 갖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동작 근접도란, UE, MTC UE 또는 그 외의 무엇이든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근접도를 나타낸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최대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적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대하여 구성되는 동작 근접도 이내의 MTC UE만을 가질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예시에 있어서, 최대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은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를 불필요하게 낭비할 수 있다. 그러나, 최대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적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은 최대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대하여, 또는 단순히 현재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대하여 구성되는 MTC 장치들이 상기와 같은 MTC UE를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근접도 이내로 이동시키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미리 달성한 MTC 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대하여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MTC UE의 탐색이 가능하도록, 최대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 또는 다른 선택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보다 높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보다 큰 원하는 신호 이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에컨대 20 dB 신호 이득과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5 dB 신호 이득과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환경(100)은 진화된 노드 B(eNB)(104)와 같은 액세스 노드와 무선 통신하는 UE(108)를 포함할 수 있다. eNB(104)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롱-텀 에볼루션(LTE)(또는 LTE-어드밴스드(LTE-A)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eNB(104)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같은 LTE/LTE-A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일부일 수 있다. E-UTRAN은 LTE/LTE-A 네트워크의 다양한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EPC(Evolved Packet Core)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다양한 RAN들과 다른 네트워크들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eNB(104)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30)를 통해 UE(108)로부터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30)를 통해 UE(108)에 하향링크 전송을 송신하는 트랜시버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eNB(104)는 트랜시버 회로(120)와 연결된 논리 회로(12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논리 회로(128)는 UE(108)와 eNB(104) 사이에 통신된 신호들에서 전송된 정보를 디코딩 및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논리 회로(128)는, 도 2를 참조로 기술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커버지리 강화 레벨 프로세스들의 임의의 부분을 eNB(104)가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CEL) 회로(132)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UE(108)는 트랜시버 회로(144), 논리 회로(152),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15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 회로(144)는 eNB(104)로부터의 하향링크 전송을 수신하고 eNB(104)에 상향링크 전송을 송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안테나(156)와 연결될 수 있다. 논리 회로(152)는 트랜시버 회로(144)에 연결될 수 있고, UE(108)와 eNB(104) 사이에 통신된 신호들에서 전송된 정보를 디코딩 및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논리 회로(152)는, 도 2를 참조로 기술된 것들과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커버지리 강화 레벨 프로세스들의 임의의 부분을 UE(108)가 수행할 수 있게 하는 CEL 회로(154)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서의 강화된 커버리지 모드(ECM)에서 동작하는 도 1의 eNB(104)와 같은 진화된 노드 B(eNB)(202)의 처리 흐름(200)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처리 흐름(200)은 블록(204)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eNB(202)는 동작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 모드의 실시예는 박스(208)에 묘사된다.
블록(210)에서, 상기와 같은 동작 모드는, 예컨대 도 1의 트랜시버 회로(120)를 통해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상향링크/하향링크(UL/DL)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UE 1과 같은 eNB와의 통신이 미리 성립되어 있는 UE와 연관된 최고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eNB(202)는 커버리지 강화의 레벨에 대하여 구성된 임의의 UE와의 통신을 여전히 성립하고 있을 수 있다. 커버리지 강화의 레벨에 대하여 구성된 UE는 본 명세서에서는 커버리지 강제된 UE로서 인용될 수도 있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eNB(202)가 제공하도록 사전구성되어 있는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eNB(202)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보다 높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교섭될 때까지는, 반복 레벨 1에 상응할 수 있는 신호 이득 0과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허용하도록 사전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eNB(202)는 최대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연관되는 분율의 신호 이득과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허용하도록 사전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율은, 예컨대, eNB(202)가 조우할 수 있는 최대 가능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을 포괄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최고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20 dB 신호 이득에 상응하는데 반해, 대부분의 가능한 UE가 10 dB 이하의 신호 이득에 대하여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10 dB로 사전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동작 모드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반복 레벨에서, 예컨대, 도 1의 트랜시버 회로(120)를 통해 UL/DL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eNB(202)와의 통신이 성립되어 있는 추가적인 UE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eNB(202)는,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eNB(202)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부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의 전환은, 소정의 시간 또는 소장의 지속기간 이후와 같은,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추가적인 UE는, 선택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 이상에서 eNB(202)가 동작되는 동안, eNB(202)와 통신하도록 사전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eNB(202)는, eNB가 동작하고 있는 현재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을 포함할 수 있는, 예컨대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에 포함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은, 예컨대 기존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새롭게 규정된 SIB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현재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지속기간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그 지속기간 동안 eNB(202)는 현재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서의 동작을 유지하게 된다. 위에서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이 논의되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페이징(paging)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PDSCH 상의 다른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전송이 상기와 같은 정보를 반송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eNB(202)는 동작 모드로부터 주기적으로 전환할 수 있고 블록(206)에서 탐색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탐색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eNB(202)는 최대 예상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최대 예상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예를 들면 예상된 최악의 경우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상된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20 dB 신호 이득과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eNB(202)는, 최대 예상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반복 레벨에서, 예컨대 도 1의 트랜시버 회로(120)를 통해 상향링크/하향링크(UL/DL) 통신을 제공하는, 예컨대 도 1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CEL) 회로(132)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로의 전환은, 소정의 시간 또는 소정의 지속기간 이후와 같은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리지 강제된 UE는 상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는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정은, 예컨대 도 1의 CEL 회로(15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eNB(202)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탐색 모드를 개시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지속기간 동안 탐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eNB(202)는 매 시간 초반에 탐색 모드를 개시할 수 있으며, 5분의 지속기간 동안 탐색 모드를 동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예에 있어서, 커버리지 강제된 UE는, 커버리지 강제된 UE가 구성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관계없이, 매 시간의 처음 5분 동안 커버리지 강제된 UE가 eNB(202)와 통신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간격 및 지속기간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여겨지고,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임의의 상기와 같은 시간 간격 및 지속기간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실례로서의 탐색 모드 처리 흐름은 박스(208)에서 묘사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탐색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의 eNB(202)는 블록(214)에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예컨대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들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CE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CE 레벨 정보는 동작 모드 동안 eNB(202)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현재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레벨들(예컨대, 제 1 CE 레벨)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지원된 CE 레벨들 각각에 대한 시간 간격 및/또는 지속기간은 상기와 같은 CE 레벨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CE 레벨 정보는, 예컨대 투플(tuples)로서 포맷팅될 수 있고, 투플의 제 1 부분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고, 투플의 제 2 부분은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지속기간 또는 시간 간격을 내포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은, 예컨대 기존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새롭게 규정된 SIB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최대 예상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 도 1의 트랜시버 회로(12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모든 커버리지 강제된 UE, 또는 적어도 아직 eNB(202)와의 통신을 성립해야 하는 이들 커버리지 강제된 UE, 예컨대 UE 2는, eNB(202)가 탐색 모드로 동작되는 동안 CE 레벨 정보에 대하여 eNB(202)로부터의 하향링크 전송을 모니터링하도록 사전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커버리지 강제된 UE는,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간격 및 지속기간으로 사전구성될 수 있으며, 그 동안 커버리지 강제된 UE는, 커버리지 강제된 UE가 구성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관계없이 하향링크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정의 시간 간격들은 커버리지 강제된 UE에서 하드코딩(hardcode)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절전(sleep) 모드 또는 휴지(dormant) 모드와 같은 저출력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커버리지 강제된 UE는 위에서 논의된 탐색 모드 동안 기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모드 동안 이미 eNB(202)에 의해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되는 커버리지 강제된 UE는 CE 레벨 정보를 이용해서 기간을 결정할 수 있고, 그 기간 동안 커버리지 강제된 UE는 eNB(202)와의 통신을 성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작 모드 동안 eNB(202)에 의해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은, 커버리지 강제된 UE가 동작 모드 동안 eNB(202)와의 통신을 성립할 수 있게 하기에는 충분치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커버리지 강제된 UE, 즉 UE 2는 보다 높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대한 지원을 eNB(202)와 교섭할 수 있다. 이 교섭은, UE 2가 구성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가 eNB(202)에 전송될 수 있는 블록(216)에서 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송은, 예컨대 상향링크(UL) 정보 요소(IE)에서 보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IE는, 예컨대 ECM-CE-Level-Info라고 불릴 수 있으며, 또한 아래에서 논의되는 도 3,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존의 UL RRC 메시지 경유로 또는 신규 UL RRC 메시지에서 UE 2로부터 eNB(202)까지 전송될 수 있다.
블록(218)에서, eNB(202)는 블록(216)에서 식별된 CE 레벨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갱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eNB(202)는 동작 모드 동안 단일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eNB(202)는 단순히 동작 모드에 대하여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동작 모드를 갱신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 모드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와 같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eNB(202)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의 선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eNB(202)는 블록(216)에서 UE 2에 의해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포함하도록 동작 모드를 갱신할 수 있다.
블록(220)에서, eNB(202)는 갱신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는 다른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예컨대 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위에서 논의된 CE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CE 레벨 정보는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포함하도록 보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예컨대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최대 예상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 도 1의 트랜시버 회로(12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탐색 모드의 지속 기간은, 상술한 탐색 모드 처리 흐름이 UL 및 DL 통신 모두에 대하여 최대 예상 커버리지 강화 레벨로 완료되는데 필요해지는 시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는 점을 인색해야 한다. 상술한 동작 모드 및 탐색 모드가 eNB(202)로부터 이용 가능한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또한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상술한 동작 모드 및 탐색 모드는 LTE 환경의 각각의 LTE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탐색 모드 동안 커버리지 강제된 UE가 구성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커버리지 강제된 UE에 의해 보내질 수 있는 예시적인 상향링크(UL) 정보 요소(IE)(300)를 나타낸다. 묘사된 바와 같이, IE는, 예컨대 ECM-CE-Level-Info(302)로 레이블링될 수 있으며, 커버리지 강제된 UE가 구성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는 가변적인 ecm-ce-level을 내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IE는, 도 4에 묘사된 바와 같이, 기존의 UEAssistanceInformation(UE 보조자 정보)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신규 상향링크-전용 제어 채널 무선 리소스 제어(UL-DCCH RRC) 메시지가, 도 5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규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 3을 참조로 위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ECM-CE-Level-Info IE(402)를 갖는 예시적인 UEAssistanceInformation RRC 메시지(400)를 나타낸다. 이 UEAssistanceInformationMessage(400)는 상술한 탐색 모드 동안 원하는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커버리지 강제된 UE에 의해 보내질 수 있다.
도 5는, 도 3을 참조로 위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제안된 ECM-CE-Level-Info IE를 반송할 수 있는 신규 UL-DCCH RRC 메시지를 도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보다시피, ecmCeLevelIndication-rxx(502)는 messageClassExtension에 포함되어 있다. 이후, 도 3을 참조로 위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ecm-Ce-Level-Info IE를 포함하는 ECMCeLevelIndication-rxx가 박스(504) 내에 묘사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대하여,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무선 주파수(RF) 회로(604), 베이스밴드 회로(608), 애플리케이션 회로(612), 메모리/스토리지(616), 디스플레이(620), 카메라(624), 센서(628), 및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63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600)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회로(612)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프로세서 또는 다중-코어 프로세서와 같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와 전용 프로세서(예컨대,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스토리지(616)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운영 체제들이 시스템(600) 상에서 기동할 수 있게 하는 메모리/스토리지(616)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회로(608)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프로세서 또는 다중-코어 프로세서와 같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회로(608)는 RF 회로(604)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무선 제어 기능을 취급할 수 있다. 무선 제어 기능들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호 변조, 인코딩, 디코딩, 무선 주파수 편이(shift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회로(608)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술과 호환되는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회로(608)는 E-UTRAN 및/또는 그 밖의 무선 도시권 네트워크(WM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또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회로(608)가 하나 이상의 무선 프로토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들은 다중-모드 베이스밴드 회로로서 인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회로(608)는 엄밀하게 베이스밴드 주파수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 신호들로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회로(608)는 베이스밴드 주파수와 무선 주파수 사이의 중간 주파수를 갖는 신호들로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랜시버 회로(112) 및/또는 논리 회로(152)가 애플리케이션 회로(612) 및/또는 베이스밴드 회로(608)로 구현될 수 있다.
RF 회로(604)는 비-고체 매질을 통한 변조된 전자기 복사를 이용해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RF 회로(604)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스위치, 필터,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RF 회로(604)는 엄밀하게 무선 주파수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 신호들로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회로(604)는 베이스밴드 주파수와 무선 주파수 사이의 중간 주파수를 갖는 신호들로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무선 트랜시버(144)가 RF 회로(604)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밴드 회로(608), 애플리케이션 회로(612), 및/또는 메모리/스토리지(616)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시스템 온 칩(SOC) 상에서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스토리지(616)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커버리지 강화 프로세스의 임의의 부분을 시스템(600)이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예컨대 CEL 명령어(610)를 로딩 및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메모리/스토리지(616)는 적절한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플래시 메모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I/O 인터페이스(632)는 시스템(600)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시스템(600)과의 주변 장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리 키보드 또는 키패드, 터치패드, 스피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오디오 잭, 및 전원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센서(628)는 시스템(600)과 관련된 환경 조건 및/또는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계, 근접 센서, 주변 광 센서, 및 포지셔닝 유닛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지셔닝 유닛은 포지셔닝 네트워크의 컴포넌트,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과 통신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608) 및/또는 RF 회로(604)의 일부일 수도 있거나, 또는 이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620)는 디스플레이(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시스템(600)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랩탑 컴퓨팅 장치, 태블릿 컴퓨팅 장치, 넷북, 울트라북,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시스템(600)은 더 많거나 또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및/또는 상이한 아키텍처들로 될 수 있다.
(예시)
하기의 단락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를 기술한다.
예시 1은, 진화된 노드 B(eNB)로 하여금,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또한 eNB로 하여금,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 상기 탐색 모드는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주기적으로 전환하게 하는 논리 회로; 및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eNB가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트랜시버 회로를 포함하는 진화된 노드 B(eN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 2는, 예시 1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 모드는 또한,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추가적인 UE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고, 논리 회로는 또한,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eNB로 하여금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전환하게 하며, 트랜시버 회로는 또한,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각각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낸다.
예시 3은, 예시 1 또는 예시 2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트랜시버 회로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UE와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는 상향링크 전송을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수신하되,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반복 레벨과 연관되고, 논리 회로는 또한,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갱신한다.
예시 4는, 예시 1 내지 예시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전송, 또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함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한다.
예시 5는, 예시 1 내지 예시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 또는 제 1 커버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지속기간 동안 eNB는 동작 모드로 동작되게 된다.
예시 6은, 예시 1 내지 예시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예시 7은, 예시 1 내지 예시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eNB로 하여금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로의 주기적인 전환은 사전구성된 시간 간격 또는 사전구성된 시간 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예시 8은, 진화된 노드 B(eNB)가,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및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eNB에 의해,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 상기 탐색 모드는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eNB가,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eNB가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화된 노드 B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 9는, 예시 8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동작 모드는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추가적인 UE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 사이에서 전환하는 단계; 및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각각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 10은, 예시 8 또는 예시 9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eNB가, 적어도 하나의 UE와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는 상향링크 전송을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수신―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반복 레벨과 연관됨 ―하는 단계; 및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갱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 11은, 예시 8 내지 예시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전송, 또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함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한다.
예시 12는, 예시 8 내지 예시 11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 또는 제 1 커버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지속기간 동안 eNB는 동작 모드로 동작되게 된다.
예시 13은, 예시 8 내지 예시 12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예시 14는, 예시 8 내지 예시 13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벤트는 사전구성된 시간 간격 또는 사전구성된 시간 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예시 15는, 명령어가 저장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는, 진화된 노드 B(eNB)에 의한 실행에 응답하여, eNB로 하여금,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를 개시하게 하고;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 상기 탐색 모드는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전환하게 하고; 또한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eNB가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게 한다.
예시 16은, 예시 15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 모드는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추가적인 UE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추가로 제공하고, eNB에 의한 실행시에, 명령어들은 또한, eNB로 하여금,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 사이에서 전환하게 하고; 또한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각각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게 한다.
예시 17은, 예시 15 또는 예시 16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eNB에 의한 실행시에, 명령어들은 또한, eNB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UE와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는 상향링크 전송을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수신―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반복 레벨과 연관됨 ―하게 하고; 또한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갱신하게 한다.
예시 18은, 예시 15 내지 예시 17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전송, 또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함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한다.
예시 19는, 예시 15 내지 예시 18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 또는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지속기간 동안 eNB는 동작 모드로 동작되게 된다.
예시 20은, 예시 15 내지 예시 19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예시 21은, 예시 15 내지 예시 20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벤트는 사전구성된 시간 간격 또는 사전구성된 시간 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예시 22는, eNB가 탐색 모드로 동작되는 탐색 기간 동안 진화된 노드 B(eNB)로부터 하향링크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회로― 하향링크 전송은 제 1 반복 레벨과 연관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고, 하향링크 전송은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수신됨 ―; 및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사용자 장비(UE)가 eNB와의 통신을 성립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트랜시버 회로에 연결된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 23은, 예시 22의 U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논리 회로는 또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UE가 eNB와의 통신을 성립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트랜시버 회로로 하여금, UE가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수 있도록 UE와 연관된 제 3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전송을 보낸다.
예시 24는, 예시 22 또는 예시 23의 U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논리 회로는 또한, 탐색 기간의 개시 시간을 결정한다.
예시 25는, 예시 22 내지 예시 24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 26은,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를 개시하기 위한 수단; 및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 상기 탐색 모드는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전환하는 수단; 그리고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eNB가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수단을 포함하는 진화된 노드 B(eN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 27은, 예시 26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 모드는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추가적인 UE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eNB는: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 사이에서 전환하는 수단; 및 eNB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각각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 28은, 예시 26 또는 예시 27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UE와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는 상향링크 전송을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수신―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반복 레벨과 연관됨 ―하는 수단; 및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갱신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 29는, 예시 26 내지 예시 28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전송, 또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함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한다.
예시 30은, 예시 26 내지 예시 29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 또는 제 1 커버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지속기간 동안 eNB는 동작 모드로 동작되게 된다.
예시 31은, 예시 26 내지 예시 30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예시 32는, 예시 26 내지 예시 31 중 어느 하나의 청구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벤트는 사전구성된 시간 간격 또는 사전구성된 시간 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다.
요약서에 기재된 내용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구현들의 설명은 완전하다거나, 또는 본 개시물을 정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특정한 구현들 및 예시들이 설명을 위한 용도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등가의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들 수정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을 고려해서 본 개시물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5)

  1. 진화된 노드 B(eNB)로서,
    상기 eNB로 하여금,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coverage enhancement level)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상기 eNB로 하여금, 상기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discovery mode)― 상기 탐색 모드는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주기적으로 전환하게 하는
    논리 회로; 및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상기 eNB가 상기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트랜시버 회로
    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모드는 또한,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추가적인 UE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고,
    상기 논리 회로는 또한,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eNB로 하여금,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전환하게 하며,
    상기 트랜시버 회로는 또한,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각각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eNB.
  2. 삭제
  3. 진화된 노드 B(eNB)로서,
    상기 eNB로 하여금,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상기 eNB로 하여금, 상기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 상기 탐색 모드는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주기적으로 전환하게 하는
    논리 회로; 및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상기 eNB가 상기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트랜시버 회로
    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시버 회로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UE와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는 상향링크 전송을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반복 레벨과 연관되고,
    상기 논리 회로는 또한,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갱신하는
    eNB.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전송, 또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페이징(paging)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eNB.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속기간 동안 상기 eNB는 상기 동작 모드로 동작되게 되는
    eNB.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도록 선택되는
    eNB.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NB로 하여금 상기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탐색 모드로의 주기적인 전환은 사전구성된 시간 간격 또는 사전구성된 시간 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eNB.
  8. 진화된 노드 B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진화된 노드 B(eNB)가,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eNB가,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 상기 탐색 모드는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eNB가,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상기 eNB가 상기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단계;
    상기 eNB가, 적어도 하나의 UE와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는 상향링크 전송을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수신―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반복 레벨과 연관됨 ―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진화된 노드 B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진화된 노드 B(eNB)가,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eNB가,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 상기 탐색 모드는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eNB가,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상기 eNB가 상기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추가적인 UE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 사이에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각각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전송, 또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속기간 동안 상기 eNB는 상기 동작 모드로 동작되게 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도록 선택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사전구성된 시간 간격 또는 사전구성된 시간 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방법.
  15. 명령어가 저장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진화된 노드 B(eNB)에 의한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eNB로 하여금,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 또는 사전구성된 최소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하는 동작 모드를 개시하게 하고;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모드로부터 탐색 모드― 상기 탐색 모드는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UE에 대한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제공함 ―로 전환하게 하고; 또한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1 반복 레벨로, 또한 상기 eNB가 상기 탐색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게 하며;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한 추가적인 UE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eNB에 의한 실행시에, 상기 명령어는 또한, 상기 eNB로 하여금,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 사이에서 전환하게 하고; 또한
    상기 eNB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각각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반복 레벨로 하향링크 전송을 보내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eNB에 의한 실행시에, 상기 명령어는 또한, 상기 eNB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UE와 연관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는 상향링크 전송을 적어도 하나의 UE로부터 수신―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은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보다 높은 반복 레벨과 연관됨 ―하게 하고; 또한
    상기 식별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갱신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전송, 또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을 통해 보내진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의 식별자 또는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속기간 동안 상기 eNB는 상기 동작 모드로 동작되게 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도록 선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사전구성된 시간 간격 또는 사전구성된 시간 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사용자 장비(UE)로서,
    진화된 노드 B(eNB)가 탐색 모드로 동작되는 탐색 기간 동안 상기 eNB로부터 하향링크 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회로― 상기 하향링크 전송은 제 1 반복 레벨과 연관된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하고, 상기 하향링크 전송은 제 2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제 2 반복 레벨로 수신됨 ―; 및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상기 UE가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트랜시버 회로에 연결된 논리 회로
    를 포함하되,
    상기 논리 회로는 또한, 상기 제 1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상기 UE가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시버 회로로 하여금, 상기 UE가 상기 eNB와의 통신을 성립할 수 있도록 상기 UE와 연관된 제 3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전송을 보내는
    UE.
  23. 삭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또한, 상기 탐색 기간의 개시 시간을 결정하는
    UE.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복 레벨은 20 데시벨(dB)까지의 최대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달성하기 위한 것인
    UE.
KR1020167022957A 2014-03-24 2015-01-28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에서의 진화된 노드 b의 동작과 연관된 기술 및 구성 KR101981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69784P 2014-03-24 2014-03-24
US61/969,784 2014-03-24
US14/563,923 US9439084B2 (en) 2014-03-24 2014-12-08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an evolved node B at multiple coverage enhancement levels
US14/563,923 2014-12-08
PCT/US2015/013320 WO2015147982A1 (en) 2014-03-24 2015-01-28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an evolved node b at multiple coverage enhancement lev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645A KR20160113645A (ko) 2016-09-30
KR101981377B1 true KR101981377B1 (ko) 2019-05-22

Family

ID=5414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957A KR101981377B1 (ko) 2014-03-24 2015-01-28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에서의 진화된 노드 b의 동작과 연관된 기술 및 구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439084B2 (ko)
EP (1) EP3123814B1 (ko)
JP (1) JP6382335B2 (ko)
KR (1) KR101981377B1 (ko)
CN (1) CN106063370B (ko)
BR (1) BR112016018726A2 (ko)
WO (1) WO2015147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921007T3 (da) 2012-11-13 2020-06-02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udløsning af specifik driftsmodus for terminaler, der arbejder i forlænget long range
ES2942142T3 (es) 2012-11-13 2023-05-30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de operación de un dispositivo inalámbrico en una red de comunicaciones celular y dispositivo inalámbrico correspondiente
CN107135473B (zh) * 2014-09-25 2020-06-30 株式会社Kt Mtc ue发送/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CN107079250A (zh) * 2014-11-05 2017-08-18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针对机器型通信用户设备的寻呼的方法和设备
EP4181576A1 (en) 2015-04-17 2023-05-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verage enhancement level signalling and efficient packing of mtc system information
US10361830B2 (en) * 2015-05-18 2019-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uplink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repeating pattern considering cell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064690A1 (en) * 2015-08-26 2017-03-02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ue) coverage enhancement level update combined with an absent time that has generated clock drift
EP3354105B1 (en) * 2015-09-25 2021-06-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enhanced coverag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371998B1 (en) * 2015-11-05 2022-0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verage enhancement service mode selection
WO2017077678A1 (ja) * 2015-11-05 2017-05-1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及びこれらの方法
EP3166354B1 (en) * 2015-11-05 2021-03-31 Nokia Technologies Oy Coverage enhancement mode change for enhanced coverage user equipment
CN108370287B (zh) * 2015-12-11 2021-07-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电网络节点、无线设备及其中的方法
US10869337B2 (en) * 2016-02-05 2020-1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coverage enhancement level ramp up procedure
EP3490326A4 (en) * 2016-07-22 2020-03-18 LG Electronics Inc. -1-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DIRECT ACCESS PREAMBLE
US11239972B2 (en) * 2016-11-17 2022-02-01 Qualcomm Incorporated Large cell support for narrowband random access
KR102219566B1 (ko) * 2017-01-30 2021-02-2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변경된 커버리지 향상(ce) 레벨에서의 전송을 위한 무선 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그 내부에서의 방법
CN108574968A (zh) * 2017-03-13 2018-09-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混合组网资源信息获取、上报及小区切换方法
CN107040340A (zh) * 2017-05-05 2017-08-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系统消息传输方法及装置
US11290943B2 (en) 2017-06-22 2022-03-29 Apple Inc. Access control for user equipment with coverage enhancement level support
US10863364B2 (en) * 2017-07-21 2020-12-08 Qualcomm Incor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information reporting
WO2019018831A1 (en) * 2017-07-21 2019-01-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RACKING INFORMATION USING EXTENDED COVER LEVEL
CN112544048A (zh) 2018-08-07 2021-03-23 苹果公司 用于可靠通信的物理下行链路共享信道(pdsch)重复传输
WO2020033385A1 (en) * 2018-08-07 2020-0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debook switching with dynamic coverag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46435A1 (en) * 2019-02-25 2022-02-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coverage enhancement (ce) for vehicles
CN113543312B (zh) * 2021-09-17 2021-12-07 广州源高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临床营养整体运用系统及其运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3710B2 (en) * 2007-02-06 2011-01-18 5O9, Inc. Contextual data communication platform
US8687545B2 (en) 2008-08-11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Anchor carrier in a multiple 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98418B (zh) * 2009-08-11 2013-07-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提高网络覆盖性能的方法、系统和装置
US8593933B2 (en) * 2010-04-27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Modified spatial diversity schemes for coverage enhancement
CN102238552B (zh) 2010-04-30 2015-08-05 索尼公司 选择成份载波的方法、基站、终端和通信系统
WO2013131245A1 (en) * 2012-03-06 2013-09-12 Renesas Mobile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154483B2 (en) 2012-09-12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Coverage enhancement techniqu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EP3809759A3 (en) * 2012-10-05 2021-05-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feedback
EP2787672B1 (en) * 2013-04-05 2016-08-10 Alcatel Lucent Downlink communication with repetition transmissions
US9374151B2 (en) * 2013-08-08 2016-06-21 Intel IP Corporation Coverage extension level for coverage limited device
US9499995B2 (en) * 2013-08-08 2016-11-22 Intel IP Corporation Coverage extension level for coverage limited device
US9571953B2 (en) * 2013-10-31 2017-02-14 Alcatel Lucent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a repetition level for a channel
US9674710B2 (en) * 2013-12-20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dependent coverage enhancement techniques in LTE
US9973303B2 (en) * 2013-12-20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ing timing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signaling in a coverage enhanced operating mode
US9491712B2 (en) * 2013-12-20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PUSCH and PUCCH power control under coverage enhancements in LTE
US10411838B2 (en) * 2014-01-23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Coverage enhancements with carrier aggreg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40156*
3gpp R1-1403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1062A (ja) 2017-04-13
BR112016018726A2 (pt) 2017-08-08
KR20160113645A (ko) 2016-09-30
CN106063370B (zh) 2019-10-25
EP3123814B1 (en) 2020-02-19
EP3123814A1 (en) 2017-02-01
US20170034818A1 (en) 2017-02-02
CN106063370A (zh) 2016-10-26
EP3123814A4 (en) 2017-09-06
JP6382335B2 (ja) 2018-08-29
US20150271686A1 (en) 2015-09-24
WO2015147982A1 (en) 2015-10-01
US10075953B2 (en) 2018-09-11
US9439084B2 (en)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377B1 (ko) 다중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에서의 진화된 노드 b의 동작과 연관된 기술 및 구성
US10849163B2 (en) Random access procedure for enhanced coverage support
JP6938726B2 (ja) 端末、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システム情報取得方法
US9736765B2 (en)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cellular network based on user equipment mobility
JP6479964B2 (ja) システム情報ブロックを生成し、ブロードキャストし、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6053797B2 (ja) 間欠受信
US20180007658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paging message,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US20210160844A1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New Radio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of Same
KR102217825B1 (ko) 통신 대역의 분할과 관련되는 기술 및 구성
US10104669B2 (en) User equip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nd resource sele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