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562B1 -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562B1
KR101980562B1 KR1020170007357A KR20170007357A KR101980562B1 KR 101980562 B1 KR101980562 B1 KR 101980562B1 KR 1020170007357 A KR1020170007357 A KR 1020170007357A KR 20170007357 A KR20170007357 A KR 20170007357A KR 101980562 B1 KR101980562 B1 KR 10198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oxalate
stem cell
present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344A (ko
Inventor
김동익
김애경
강동림
고하늘
김민희
한규현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00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562B1/ko
Priority to PCT/KR2018/000393 priority patent/WO2018131864A1/ko
Publication of KR2018008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6Pluripotent embryonic cells, e.g. embryonic stem cells [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2Atmosphere, e.g. low oxygen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산소 조건하의 옥살산염(oxalate)을 포함하는 줄기세포능 향상용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전자 조작이나 바이러스 벡터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배양환경 조절이라는 간편하고도 안전한 방법을 통하여, 줄기세포의 대사과정을 리프로그래밍함으로써 차세대 고효율 줄기세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줄기세포의 대사 과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전, 대사조절 마커를 규명함으로써 고효율 줄기세포 개발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Methods for improving stemness of stem cell using oxalate}
본 발명은, 저산소 조건하의 옥살산염(oxalate)을 포함하는 줄기세포능 향상용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그 다분화능과 함께, 조직의 재생, 치료 및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어,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제대혈, 골수 등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배양하여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로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으나, 줄기세포를 계대배양함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며 세포 분화가 일어나므로 줄기세포능(stemness)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줄기세포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이나 특정 단백질 과발현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는 안정성 문제로 인하여 임상 적용에는 한계가 있는 바, 1세대 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특정질환 치료를 위한 임상적용 가능성은 검증되었으나 낮은 효율과 효과기전 규명이 미흡하고 안전성 확보 또한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분화세포(differentiated cell)에 비하여 배아줄기세포(ESC)와 유도만능줄기세포(iPS)에서 해당(glycolysis) 대사과정이 증가하고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대사과정이 감소되어 있음이 보고됨으로써, 대사과정을 조절하는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을 통해 줄기세포의 줄기세포능(stemness) 유지 및 세포 노화억제를 통한 고효율 줄기세포 개발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으며, 아직 효율적인 조절기술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해당(glycolysis) 과정에서 생성되는 ATP는 2-3 mol/mol glucose에 불과하지만 이 과정을 통해 부수적으로 일어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산 대사 등은 줄기세포능 유지 뿐만 아니라 분화과정에 필요한 빌딩블록(building block) 등을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대사과정으로 세포내 glycolysis 대사를 적정수준으로 촉진시키는 것은 임상적용이 가능한 줄기세포 개발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과정을 통해 세포의 고유 기능 유지에 필요한 대부분의 ATP가 생성되나, 본 과정에서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 및 proapoptotic 단백질 등이 발생되므로 줄기세포능 유지에는 불리한 대사과정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포내 산화적 인산화 대사를 적정수준으로 억제시키는 것 역시 임상적용이 가능한 줄기세포 개발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 미세환경의 영향을 받는 에너지 대사과정은 줄기세포의 기능 유지 및 향상에 중요한 인자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줄기세포의 대사과정 리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노화를 억제하고 줄기세포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세포 배양환경의 산소농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특정 물질을 처리시, 해당과정 증가 및 산화적 인산화 억제를 통하여 전반적인 대사능 및 증식 효율이 향상되고 혈관신생인자의 발현량이 증대됨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산소 조건하의 옥살산염(oxalate)을 포함하는, 줄기세포능 향상용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저산소 조건하의 옥살산염(oxalate)을 포함하는, 줄기세포능 향상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상기 저산소 조건은 산소분압이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옥살산염은 옥살산나트륨(sodium oxa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옥살산염은 배지에 10μM∼10mM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배지는 10% 소태아혈청(FBS) 및 1% 페니실린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성체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및 태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줄기세포능은 Nanog, Oct4 또는 KLF4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줄기세포능은 세포노화가 억제되고, 세포증식능 및 단백질 항상성이 향상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지 조성물에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능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줄기세포능이 향상된 줄기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상기 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및 태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허혈 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상기 세포 치료제는 혈관신생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줄기세포를 이용한, 허혈성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줄기세포의 허혈성 질환의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전자 조작이나 바이러스 벡터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배양환경 조절이라는 간편하고도 안전한 방법을 통하여, 줄기세포의 대사과정을 리프로그래밍함으로써 차세대 고효율 줄기세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줄기세포의 대사 과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전, 대사조절 마커를 규명함으로써 고효율 줄기세포 개발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단백질 항상성 유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줄기세포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세포사멸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세포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glycolysis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TCA cycle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glutaminolysis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PPP(Pentose Phosphate Pathway)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시 angiogenesis 마커인 AAMP, HGF, EGFR, COX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줄기세포에 옥살산염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처리한 후 FACS 분석을 통하여, 줄기세포의 성상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저산소 조건하의 옥살산염(oxalate)을 포함하는, 줄기세포능 향상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저산소 조건은 정상 산소조건(normoxia condition)인 20% 산소분압에 비하여 낮은 산소분압을 갖는 것이면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산소 분압이 1∼10%인 것이 바람직하며, 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옥살산염(oxalate)의 종류에 제한은 없으며, sodium oxalate, calcium oxalate, ammonium oxalate, hydrogenoxalate 등을 들 수 있으나, 옥살산나트륨(sodium oxalate)(Na2C2O4)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7005336414-pat00001
본 발명에서 배지에 포함되는 옥살산염의 농도에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1μM∼10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정상산소 조건하에서 glycolysis 억제제로 알려진 옥살산나트륨(OXA)이, 저산소 조건하에서는 반대로 유전자/단백질 레벨에서 glycolysis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저산소 환경이라는 조건이 OXA의 역할을 바꾸어 대사과정을 재프로그램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세포는 prooxidants에 의한 세포 손상을 차단하기 위해 항산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OXA이 이러한 항산화 시스템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서 세포 배양에 이용되는 배지에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10% 소태아혈청(FBS) 및 1% 페니실린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란 미분화된 세포로서 자기 복제 능력을 가지면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갖는 세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는 자가 또는 동종 유래 줄기세포일 수 있으며, 인간 및 비인간 포유류를 포함한 임의 유형의 동물 유래일 수 있고, 상기 줄기세포가 성체로부터 유래된 것이든 배아로부터 유래된 것이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 또는 성체 줄기세포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성체 줄기세포이다. 상기 성체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 인간 조직 유래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 인간 조직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다분화능 줄기세포 또는 양막상피세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간엽 줄기세포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및 태반 등으로부터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태반-유래 줄기세포(placenta-derived stem cells)'라 함은 태반으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를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체외로 분리된 인간의 태반으로부터 분리된 4종류의 줄기세포, 즉 (1) 양막 상피세포(human amniotic epithelial cells, hAEC), (2) 양막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human amniotic mesenchymal stromal cells 또는 human amniotic mesenchymal stem cells, hAMSC), 3) 융모막 중간엽 줄기세포(human chorionic mesenchymal stromal cells 또는 human chorionic mesenchymal stem cells, hCMSC), 및 (4) 융모 영양막 세포(human chorionic trophoblastic cells, hCT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능의 향상이란, 세포노화가 억제되고 세포증식능 및 단백질 항상성이 향상됨으로서 줄기세포 특성이 유지되는 의미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줄기세포 마커인 Nanog, Oct4 또는 KLF4 유전자 등의 발현이 증가될 수 있다. 이들 유전자는 배아줄기세포에서 많이 발현하는 줄기세포의 전분화능, 즉 줄기세포 특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지 조성물에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능 향상방법, 및 이에 의해 얻어진 줄기세포능이 향상된 줄기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ischemic disease) 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에 의하면 혈관신생 유도 인자들의 발현이 증가된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혈관신생능(angiogenesis)을 향상시킴으로써 허혈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세포배양
인간 태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UC-MSC) 2×105를 배양접시에 씨딩한 후 저산소 조건(1% 산소분압)하에서 Sodium Oxalate(OXA) 100μM을 처리하여 3일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수집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total RNA을 추출하여 이후의 qRT-PCR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2: 단백질 항상성 유지능 확인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수집한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RNA에 HSP90, HSP70, HSP60, HSP40, HSP20, HSF1, EGF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정상 산소군(Nor) 및 저산소 sodium oxalate 비처리군(Hy)에 비하여 단백질 항상성 유지를 위한 유전자들(HSP90A, HSP70, HSP60, HSP40, HSP20, HSF1, EGFR)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의 불안정 단백질 또는 손상이나 노화로 인해 mis-folding된 단백질들의 파괴 또는 바른 folding 유도로 세포의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3: 줄기세포능 ( stemness ) 향상 확인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수집한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total RNA에 하기의 Nanog, Oct4, Klf4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NANOG AGTCCCAAAGGCAAACAACCCACTTC TGCTGGAGGCTGAGGTATTTCTGTCTC
OCT4 CTGGGTTGATCCTCGGACCT CACAGAACTCATACGGCGGG
KLF4 TCTCAAGGCAGACCTGCGAA TAGTGCCTGGTCAGTTCATC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대조군(Nor, Hy)에 비하여 Nanog, Oct4, Klf4와 같은 줄기세포능(stemness)을 확인할 수 있는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세포사멸능 ( apoptosis ) 억제 확인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수집한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total RNA에 하기의 p53, p21, p16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P16 TTATTTGAGCTTTGGTTCTG CCGGCTTTCGTAGTTTTCAT
P21 GCCTGGACTGTTTTCTCTCG ATTCAGATGTGGGAGGAG
P53 GGGTTAGTTTACAATCAGCC GGGCCTTGAAGTTAGAGAAA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대조군(Nor, Hy)에 비하여 대표적인 아폽토시스(apoptosis) 및 노화(senescence) 인자인 p53의 발현 양상이 0.03배로 매우 낮았으며, p16 또한 낮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반면, cell cycle arrest 인자인 p21은 높은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세포증식능 (proliferation) 향상 확인
인간 태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UC-MSC) 2×105를 배양접시에 씨딩한 후 저산소 조건(1% 산소분압)과 정산산소 조건(20% 산소분압)하에서 Sodium Oxalate(OXA) 1mM을 처리하여 3일동안 배양하고, 1% Trypsin EDTA를 처리하여 세포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대조군(Nor, Hy)에 비하여 증식율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대사능 향상 확인
6-1. glycolysis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수집한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total RNA에 glycolysis 인자인 하기 Glut1, HK1, GPI, PFKP, PFKL, PFKM, TPI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GLUT1 AGTATGTGGAGCAACTGTGT TTGAAGTAGGTGAAGATGAAGAAC
HK1 GGACTGGACCGTCTGAATGT ACAGTTCCTTCACCGTCTGG
GPI CCTGTCTACTAACACAACCAA CACCCAATCCCAGAACTC
PFKP CGGAAGTTCCTGGAGCACCTCTC AAGTACACCTTGGCCCCCACGTA
PFKM GAGTGACTTGTTGAGTGACCTCCAGAAA CACAATGTTCAGGTAGCTGGACTTCG
PFKL GGCATTTATGTGGGTGCCAAA CAGTTGGCCTGCTTGATGTTCTCA
TPI TATCATTTATGGAGGCTCTG ATTGATGATGTCCACGAATT
GLUT1 : glucose transporter 1
HK1 : hexokinase 1
GPI : glucose-6-phosphate isomerase
PFKP : 6-phosphofructokinase, platelet type
PFKM : 6-phosphofructokinase, muscle type
PFKL : 6-phosphofructokinase, liver type
TPI : triphosphate isomerase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대조군(Nor, Hy)에 비하여 glycolysis에 관여하는 상기 단백질들의 발현이 억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6-2. TCA cycle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수집한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total RNA에 하기 PDHA, IDH1, IDH2, IDH3alpha, MDH, SDHA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PDHA CAGCAATCTTGCCAGTGTGG ACTGATTGGCACCACGAACT
IDH1 GTTAGCCCACAGAGCAAAGCT GTAGTCAGAACGTTGCACATTGG
IDH2 GTGGAGCCATGACCAAGGA TGCTCTTGATGGTGTCGAGG
IDH3A TGAGTATGCCCGGAACAACC AAAGCCCATCTGACATCCGC
MDH ATCTGCGTCATTGCCAAT GTACACTCCATGCTTCTTGA
SDHA TCGGAACTGCGACTCAGCAT ACCTTCTTGCAACACGCTTCC
PDHA : pyruvate dehydrogenase alpha 1
IDH1 : isocitrate dehydrogenase 1
IDH2 : isocitrate dehydrogenase 2
IDH3α : isocitrate dehydrogenase 3α
MDH : malate dehydrogenase
SDHA : succinate dehydrogenase alpha 1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대조군(Nor, Hy)에 비하여 TCA cycle에 관여하는 상기 단백질들 중 IDH2를 제외하고는 그 발현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6-3. 글루타민 분해( glutaminolysis )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수집한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total RNA에 하기 Glutaminase1, GLUD1, GDH, DHF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Glutaminase1 GCTGTGCTCCATTGAAGTGACT TTGGGCAGAAACCACCATTAG
GLUD TGGTGGAACTATTCCCATTGTACC CTGTTCTCAGGTCCAATCCCAG
GDH ACAATGAAGCTGGTGTGACC AAGACTGCACAGCCAGATGG
DHFR ATGGTTGGTTCGCTAAACTGC AGGAATGGAGAACCAGGTCTTC
GLUD1 : glutamate dehydrogenase 1
GDH : glutamate dehydrogenase
DHFR : dihydrofolate reductase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대조군(Nor, Hy)에 비하여 glutaminolysis에 관여하는 상기 단백질들의 발현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6-4. PPP (5탄당 인산회로 )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수집한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total RNA에 하기 PHGDH, TKT, TALDO1, G6PD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PHGDH TGTCCTACCAGACTTCACTGGTG GAAGGCTTCAGTCACATGCTG
TKT GCTGTGTCCAGTGCAGTAGT TTGGTACCCGGTTAACTGCC
TALDO1 AGACGCAAGGCTCTCCTTTG ATTCGGTCCTTGCTGATCCC
G6PD CCTGTAACCTGTGAGACTGG ATTCAAGCACCGAAATCTGTAG
PHGDH : 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
TKT : Transketolase
TALDO1 : Transaldolase 1
G6PD : glucose-6-phosphodehydrogenase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대조군(Nor, Hy)에 비하여 PPP(Pentose Phosphate Pathway)에 관여하는 상기 단백질들 특히 TKT(transketolase)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6-5. 지질 대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수집한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total RNA에 하기 FABP1, ACACA, FABP1, FASN, LPL, HMGCR, LCAT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RT-PCR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FABP1 TAGCCCACGTTGCTGGAGGTCC TCTTCTTCTGCATGCCTGCGGA
ACACA CAAGCCATGTTAAGGCGCTG CTGCGGATTTGCTTGAGGAC
FABP1 TCTTCTTCTGCATGCCTGCGCC TAGCCCACGTTGCTGGAGGTGA
FASN GGACAGAGCAACTACGGCTT GTGCTCATCGTCTCCACCAA
LPL GTGGACTGGCTGTCACGGGC GCCAGCAGCATGGGCTCCAA
HMGCR TGAGGGCTCCTTCCGCTCCG ACTAGAGGCCACCGAACCCCG
LCAT CCCCTGGATGTTTCCCTCTC AGAAGCGTTGGAAGTCACGG
FABP1 : Fatty acid binding protein 1
ACACA : Acetyl-CoA carboxylase alpha
FABP1 : Fatty acid binding protein 1
FASN : Fatty acid synthase
LPL : Lipoprotein lipase
HMGCR :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LCAT : Lecithin-cholesterol acyltransferase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산소 환경하에서 sodium oxalate를 처리한 그룹(OXA)에서는 대조군(Nor, Hy)에 비하여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OXA는 정상산소 환경(O2: 20-21%)에서는 알려진 것과 같이 glycolysis를 억제시키나, 저산소 환경(O2: 1%)에서는 glycolysis 증가, stemness 향상, 단백질 항상성 증가, 노화(세포사멸) 억제를 유도하며, 전반적인 대사(metabolism) 향상을 유도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혈관신생능 ( angiogenesis ) 향상 검증
인간 태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UC-MSC) 2×105를 배양접시에 씨딩한 후 저산소 조건(1% 산소분압)과 정상산소 조건(20% 산소분압)하에서 Sodium Oxalate(OXA) 1mM을 처리하여 3일동안 배양하고 total RNA를 분리하여, qRT-PCR로 angiogensis 인자들(AAMP, HGF, EGFR, COX1)의 발현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때 사용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Gen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AAMP CTTAGGCATCAGTGTCAGCAC CCGGTAGTCAGTAAGCAGGC
HGF CTATGATGGCCTATTACGAGTGG CTCACATGGTCCTGATCCAATC
EGFR TGTGCCCACTACATTGACGG TAGGCCCATTCGTTGGACAG
COX1 GCGTTGGAGTTCTACCCTGGA GGCAGACCAGCTTCTTCAGTG
AAMP : Angio-Associated Migratory cell Protein
HGF : Hepatocyte Growth Factor
EGFR :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COX1 : Cyclooxygenase 1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angiogensis 인자들인 AAMP, HGF, EGFR, COX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줄기세포의 특징 분석
인간 태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UC-MSC) 2×105를 배양접시에 씨딩한 후 저산소 조건(1% 산소분압)하에서 Sodium Oxalate(OXA) 100uM을 처리하여 3일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수집하여 줄기세포 positive(+) 마커인 CD105, CD73와 netative(-) 마커인 CD34, CD45를 염색하여 FACS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OXA를 처리하여도 줄기세포의 성상에 변화가 없음을 학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옥살산염(oxalate)을 포함하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stemness) 증진용 배지 조성물로서,
    상기 배지 조성물은 산소 분압 1~10% 조건하에서 배양 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옥살산염은 옥살산나트륨(sodium oxa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옥살산염은 배지에 10μM∼10mM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10중량% 소태아혈청(FBS) 및 1중량% 페니실린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anog, Oct4 또는 KLF4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조성물.
  9. 삭제
  10. 산소 분압 1~10% 조건에서 옥살산염(oxalate)을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에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성(stemness)이 증진된 중간엽줄기세포 제조 방법.
  11. 제10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줄기세포성(stemness)이 증진된 중간엽줄기세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피부, 양막 및 태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엽줄기세포.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07357A 2017-01-16 2017-01-16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 KR101980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357A KR101980562B1 (ko) 2017-01-16 2017-01-16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
PCT/KR2018/000393 WO2018131864A1 (ko) 2017-01-16 2018-01-09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357A KR101980562B1 (ko) 2017-01-16 2017-01-16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44A KR20180084344A (ko) 2018-07-25
KR101980562B1 true KR101980562B1 (ko) 2019-05-21

Family

ID=6283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357A KR101980562B1 (ko) 2017-01-16 2017-01-16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0562B1 (ko)
WO (1) WO20181318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289A2 (ko)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진켐 줄기세포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5185A (en) * 1985-12-06 1987-06-2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olution for stabilizing red blood cells during storage
KR20080103637A (ko) * 2007-05-25 2008-11-28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사지말단부 허혈성 질환의세포치료용 조성물
KR20130013435A (ko) * 2011-07-28 2013-02-06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태반-유래 줄기세포의 증식방법
KR20150110894A (ko) * 2014-03-20 2015-10-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된 성체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세포치료제
KR102048067B1 (ko) * 2015-01-19 2019-11-22 서울대학교병원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의 줄기세포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289A2 (ko)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진켐 줄기세포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44A (ko) 2018-07-25
WO2018131864A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671B1 (ko) 2dg를 이용한 줄기세포 역량 향상 방법
Li et al. Senescence of mesenchymal stem cells
Yu et al. Stemness and transdifferentiation of adipose-derived stem cells using L-ascorbic acid 2-phosphate-induced cell sheet formation
KR102598772B1 (ko) 상피 세포의 생체외 증식
JP6131433B2 (ja) 細胞rna発現のための方法
Stern-Straeter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different culture media on the myogenic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adipose tissue-or bone marrow-derived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Chen et al. Promotion of the induction of cell pluripotency through metabolic remodeling by thyroid hormone triiodothyronine-activated PI3K/AKT signal pathway
Lian et al. Effects of Serial Passage on the Characteristics and Cardiac and Neural Differentiation of Human Umbilical Cord Wharton’s Jelly‐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l-Habib et al. Small molecules affect human dental pulp stem cell properties via multiple signaling pathways
Fan et al. Oct4 and Sox2 overexpression improves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bone mesenchymal stem cells in Xiaomeishan porcine
Lee et al. Altered properties of feline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during continuous in vitro cultivation
US11913020B2 (en) Method for improving stem cell migration using ethionamide
KR102415441B1 (ko) 간엽계 줄기 세포용 배지
Musorina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nimmortalized mesenchymal stem cell line isolated from human epicardial adipose tissue
Cui et al. Bi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pluripotent identification of sheep dermis-derived mesenchymal stem/progenitor cells
Lee et al. Chondrogenic potential and anti-senescence effect of hypoxia on canine adipose mesenchymal stem cells
KR20120002134A (ko) 지방 기질 세포의 역분화를 유도하는 방법
Yadav et al. Buffalo (Bubalus bubalis) fetal skin derived fibroblast cells exhibit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Shi et al. The effect of extended passaging on the phenotype and osteogenic potential of human umbilical cord mesenchymal stem cells
KR101980562B1 (ko) 옥살산염을 이용한 줄기세포능 향상 방법
Huang et al. MiR-26b regulates cartilage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in rats through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Aziz et al. Human amniotic fluid stem cells (hAFSCs) expressing p21 and cyclin D1 genes retain excellent viability after freezing with (dimethyl sulfoxide) DMSO
TW201534724A (zh) 間葉系幹細胞之低氧培養法
WO2020036184A1 (ja) 褐色脂肪細胞上清、その調製法、及び、使用
Wang et al. Epidermal growth factor can optimize a serum-free culture system for bone marrow stem cell proliferation in a miniature pig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