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431B1 -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431B1
KR101980431B1 KR1020170044079A KR20170044079A KR101980431B1 KR 101980431 B1 KR101980431 B1 KR 101980431B1 KR 1020170044079 A KR1020170044079 A KR 1020170044079A KR 20170044079 A KR20170044079 A KR 20170044079A KR 101980431 B1 KR101980431 B1 KR 10198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terminal
virtual beacon
generating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985A (ko
Inventor
이원찬
Original Assignee
이원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찬 filed Critical 이원찬
Priority to KR102017004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43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비콘 생성방법과 그것을 통한 위치정보서비스제공에 관한 방법으로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가상 비콘의 생성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주파수 신호를 복수개의 피코셀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복수개의 상기 피코셀 신호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복수개의 로컬셀을 생성하는 셀생성단계; 상기 복수개의 로컬셀을 물리적인 지도상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열하여 로컬맵을 생성되는 맵생성단계;상기 단말기가 상기 로컬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생성될 가상의 비콘신호를 정의하는 신호정의단계; 상기 로컬셀의 플래그 값을 “0”과 “1”의 변경을 통해 조절하여 로컬셀의 특정위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로컬셀의 영역정의단계; 상기 로컬셀의 영역정의단계에서 활성화된 로컬셀을 가상비콘으로 정의하는 비콘생성단계; 상기 비콘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가상비콘에 상기 단말기가 접근하는 접근단계; 상기 단말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부로 해당 위치의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달단계; 및 상기 서버부는 상기 신호전달단계에서 특정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BEACON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THE VIRTUAL BEACON}
본 발명은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의 비콘 기기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콘(Beacon)이란,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는 기기이다.
비콘을 이용한 기술은 위치에 기반한 서비스(LBS, Location Base Service)를 가능하게 하는데, 근래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상술한 비콘 기술을 이용한 위치기반의 각종 장치, 시스템, 서비스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비콘에 기반한 기술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비콘장치, 즉, 하드웨어 기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비콘장치는 전자기기이므로 전원공급이 필수이며, 따라서, 외부전원을 비콘장치로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거나, 비콘장치에 내장된 배터리로 주기적인 충전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비콘에 기반한 기술은 기본적으로 다수개의 비콘장치가 필요하다. 즉, 비콘에 기반한 기술은 단말기의 위치의 변화에 따른 정보의 제공이 핵심이기 때문에, 단말기가 이동되는 모든 영역에 다수개의 비콘장치가 일정간격으로 분배되어 설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콘에 기반한 기술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비콘 장치가 다수 필요하기 때문에 비콘 개수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각 비콘장치의 전원공급 및 기타 유지관리에 따른 지속적인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의 비콘 기기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가상 비콘의 생성과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과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비콘의 생성방법은, 단말기에서 기지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주파수 신호를 복수개의 피코셀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복수개의 상기 피코셀 신호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복수개의 로컬셀을 생성하는 셀생성단계; 상기 복수개의 로컬셀을 물리적인 지도상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열하여 로컬맵을 생성되는 맵생성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로컬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생성될 가상의 비콘신호를 정의하는 신호정의단계; 상기 로컬셀의 플래그 값을 “0”과 “1”의 변경을 통해 조절하여 로컬셀의 특정위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로컬셀의 영역정의단계; 및 상기 로컬셀의 영역정의단계에서 활성화된 로컬셀을 가상비콘으로 정의하는 비콘생성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비콘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가상비콘에 상기 단말기가 접근하는 접근단계; 상기 단말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부로 해당 위치의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달단계; 및 상기 서버부는 상기 신호전달단계에서 특정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역정의단계에서 플래그 값이 "1"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비콘생성단계에서 로컬셀과 가상비콘의 위치를 맵핑시키며, 상기 정보전달단계에서 상기 서버부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CMS(Contents Management Server)로부터의 위치에 대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전달단계에서 상기 서버부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서버, SCM(Supply Chain Management) 서버, AMS(Administer Management System) 서버 또는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치인 비콘 장치 대신에 가상의 비콘 장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비콘 장치를 이용하면, 실제의 비콘 장치 없이도 비콘에 기반한 각종 서비스가 실시될 수 있어, 비콘에 기반한 기술을 실시함에 있어, 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이 실시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의 분리단계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의 맵생성단계와 신호정의단계와, 영역정의단계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에 따라 생성된 비콘이 물리적인 지도상에 대응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이 실시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의 분리단계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에 따라 생성된 비콘이 물리적인 지도상에 대응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S100)은 수신단계(S110)와 분리단계(S120)와 셀생성단계(S130)와 맵생성단계(S140)와 신호정의단계(S150)와 영역정의단계(S160)와 비콘생성단계(S170)를 포함한다.
수신단계(S110)는 단말기(120)가 기지국(110)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써, 단말기(120)의 통신모듈이 기지국(110)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실시된다.
분리단계(S120)는 주파수 신호가 피코셀 신호로 분리되는 단계로써, 단말기(120)의 어플리케이션의 연산에 의해 실시된다.
셀이란, 단말기(120)가 사용하는 무선자원을 하나의 기지국(110)이 통제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으로, 보다 쉽게 설명하면, 단말기(120)가 위치되는 경우, 통신이 가능한 지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셀은 일반적으로, 크기에 따라, 메가셀(Mega Cell), 매크로셀(Macro Cell), 마이크로셀(Micro Cell), 피코셀(Pico Cell)로 구분된다. 메가셀은 반경 20km 지 100km의 크기로 마련되는 셀로, 인공위성 통신 등에 사용되는 광범위한 셀이다. 매크로셀은 반경 35km 이하의 크기로 마련되는 셀로, 통신 가입자가 적은 교외 지역에 주로 사용되는 셀이다. 마이크로셀은 반경 0.5km 내지 1km의 크기로 마련되는 셀로, 일반적인 도심의 통화 밀집지역에 사용되는 셀이다. 피코셀은 반경 50m 이내의 크기로 마련되는 셀로, 도심 밀집지역 및 건물 지하에서 사용된다.
상술한 분리단계(S120)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연산을 통해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주파수에서 가장 작은 단위의 주파수, 즉, 피코셀에 사용되는 주파수가 분리된다.
셀생성단계(S130)는 복수개의 피코셀 신호에 인덱스가 부여됨으로써 복수개의 로컬셀이 생성되는 단계로, 단말기(120)의 어플리케이션의 연산에 따라 실시된다.
이러한 셀생성단계(S130)에 의해서, 복수개의 피코셀 신호에 순번이 부여되며, 이러한 순번의 부여에 따라 복수개의 피코셀 신호는 복수개의 로컬셀로 각각 변환된다.
맵생성단계(S140)는 복수개의 로컬셀이 물리적인 지도상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열되는 것에 따라 로컬맵이 생성되는 단계로, 단말기(120)의 어플리케이션의 연산에 따라 실시된다.
상술한 맵생성단계(S140)에 의해서, 로컬셀이 실제 지도상에 특정영역에 매칭된다.
신호정의단계(S150)는 단말기(120)가 로컬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생성될 비콘신호가 정의되는 단계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연산에 따라 실시된다.
비콘신호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UUID, Major, Minor, Txpower, Rssi, Mac Address, DLC 등의 정보를 가진다. 상술한 신호정의단계(S150)에 따르면, 가상의 비콘, 즉, 각 로컬셀에 상술한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가 설정된다. 이러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자가 편집, 수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영역정의단계(S160)는 로컬셀의 플래그 값이 조절됨으로써 로컬셀의 영역이 정의되는 단계로, 어플리케이션의 연산에 따라 실시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자는 플래그 값을 “0”과 “1”의 변경을 통해 조절하여 로컬셀을 특정위치에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컬셀은 제1플래그에 대응되는데, 제1플래그가 활성화 즉, 제1플래그의 값이 "1"이 되는 경우, 제1로컬셀은 매칭된 위치, 즉, "001"의 위치에 활성화 된다.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상 비콘 생성방법에 따라 생성된 가상비콘이 물리적인 지도상에 대응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4에서 설명된 플래그 값들이 "0"과 "1"로 변경되어 활성화되어 가상비콘과 매핑될 때, 가상비콘의 위치를 물리적인 로컬맵에 적용시킨 상태의 로컬맵이다.
즉, 각 플래그 값을 가지는 가상비콘영역에 대한 구분값 즉 이름을 지정하는것으로, 플래그 1(flag 1)의 가상영역, 플래그 3(flag 3)의 가상영역, 플래그 6(flag 6)의 가상영역이며, 그 밑에 숫자는 그 가상영역에 대한 시리얼 번호이다.
즉,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은 가상영역이 활성화 되어 플래그의 값이 1로 활성화(flag=1)된 상태이며, 빗금으로 표시되지 않은 사각형은 플래그 값이 활성화되지 않아서 플래그 값이 0인 상태(flag=0)인 것이다.
비콘생성단계(S170)는 상술한 영역정의단계(S160)에 따라 가상비콘이 생성되는 단계로써, 영역정의단계(S160)의 실시 결과에 의한 결과이다.
상술한 영역정의단계(S160)에 따라 활성화되는 로컬셀은 가상의 비콘 장치로 정의된다. 따라서, 가상의 비콘 장치의 매칭된 위치에 단말기(120)가 위치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서버부(130)로 특정신호가 전달되며, 이후, 서버부(130)에서는 상기 특정신호에 매칭되는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신단계(S110)와 분리단계(S120)와 셀생성단계(S130)와 맵생성단계(S140)와 신호정의단계(S150)와 영역정의단계(S160)와 비콘생성단계(S17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S100)에 따르면, 가상의 비콘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비콘을 이용하면,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콘에 기반한 기술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S200)은 접근단계(S210)와 신호전달단계(S220)와 정보전달단계(S230)를 포함한다.
접근단계(S2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S100)에 의해 생성된 가상 비콘에 단말기(120)가 접근하는 단계로써,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단말기(120)를 소지한 채로 위치를 이동하여 기설정된 영역, 즉, 가상 비콘의 브로드캐스팅 영역에 접근함에 따라 실시된다.
한편, 이러한 접근단계(S210) 이전에, 단말기(120)는 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전달받아 단말기(120)의 대략적인 위치를 모니터링 한다. 즉, 건물 외부에서는 GPS신호에 따라 단말기(120)의 위치가 파악되며, 이후, 건물 내부로 단말기(120)가 진입하게 되면, 비로소 후술하는 신호전달단계(S220)가 실시된다. 상술한 모니터링 단계에 의하면, 단말기(120)가 가상 비콘의 브로드캐스팅 영역에 접근하기 전에, 단말기(120)의 대략적인 위치가 파악되므로, 단말기(120)가 어떤 가상 비콘의 브로드캐스팅 영역에 진입하였는지가 더욱 빠르게 파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호전달단계(S220)는 단말기(120)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부(130)로 신호로 위치값에 해당하는 특정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실시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영역은 특정한 로컬셀이 매칭되는 실제의 물리적 위치로써, 플래그 값이 "1"로 설정됨에 따라 생성된 가상 비콘이 위치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영역에 단말기(120)가 위치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부(130)로 특정 신호를 전송한다.
정보전달단계(S230)는 신호전달단계(S220)에 따라 특정 신호가 서버부(130)로 전달되는 경우, 서버가 단말기(120)로 위치기반 컨텐츠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서버부(130)는 CMS(Contents Management Sever)인데, 이러한 CMS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서버, SCM(Supply Chain Management) 서버, AMS(Administer Management System) 서버,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단말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접근단계(S210)와 신호전달단계(S220)와 정보전달단계(S2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S200)에 따르면, 가상의 비콘에 기초한 각종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 Service), 즉, 위치기반의 고객관계관리 서비스, 위치기반의 공급망관리 서비스, 위치기반의 지식관리 서비스 등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기지국
120 : 단말기
130 : 서버부
S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 생성방법
S110 : 수신단계
S120 : 분리단계
S130 : 셀생성단계
S140 : 맵생성단계
S150 : 신호정의단계
S160 : 영역정의단계
S170 : 비콘생성단계
S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S210 : 접근단계
S220 : 신호전달단계
S230 : 정보전달단계

Claims (3)

  1.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가상 비콘의 생성과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과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비콘의 생성과정은,
    단말기에서 기지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주파수 신호를 복수개의 피코셀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복수개의 상기 피코셀 신호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복수개의 로컬셀을 생성하는 셀생성단계;
    상기 복수개의 로컬셀을 물리적인 지도상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열하여 로컬맵을 생성되는 맵생성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로컬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생성될 가상의 비콘신호를 정의하는 신호정의단계;
    상기 로컬셀의 플래그 값을 “0”과 “1”의 변경을 통해 조절하여 로컬셀의 특정위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로컬셀의 영역정의단계; 및
    상기 로컬셀의 영역정의단계에서 활성화된 로컬셀을 가상비콘으로 정의하는 비콘생성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과정은,
    상기 비콘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가상비콘에 상기 단말기가 접근하는 접근단계;
    상기 단말기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부로 해당 위치의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달단계; 및
    상기 서버부는 상기 신호전달단계에서 특정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역정의단계에서 플래그 값이 "1"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비콘생성단계에서 로컬셀과 가상비콘의 위치를 맵핑시키며,
    상기 정보전달단계에서 상기 서버부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CMS(Contents Management Server)로부터의 위치에 대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달단계에서 상기 서버부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서버, SCM(Supply Chain Management) 서버, AMS(Administer Management System) 서버 또는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044079A 2017-04-05 2017-04-05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8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079A KR101980431B1 (ko) 2017-04-05 2017-04-05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079A KR101980431B1 (ko) 2017-04-05 2017-04-05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985A KR20180112985A (ko) 2018-10-15
KR101980431B1 true KR101980431B1 (ko) 2019-05-20

Family

ID=6386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079A KR101980431B1 (ko) 2017-04-05 2017-04-05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4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1441B2 (en) 2001-04-17 2007-06-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rtual beacon system
US20160323717A1 (en) * 2015-04-30 2016-11-03 Mist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the use of received signals to determine wireless terminal location and/or refine location determination mode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918A (ko) *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케이티 비콘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단말 및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1441B2 (en) 2001-04-17 2007-06-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rtual beacon system
US20160323717A1 (en) * 2015-04-30 2016-11-03 Mist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the use of received signals to determine wireless terminal location and/or refine location determination mode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발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985A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300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891811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KR20230016659A (ko) 다운링크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8583099B2 (en) Method for uplink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09565647B (zh) 车联网设备之间的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13703005B (zh) 卫星网络中定位的方法和通信装置
KR20180048640A (ko) V2x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300038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using backscatter tag
US20220003830A1 (en) Method for reporting information related to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and apparatus therefor
CN102223694B (zh) 感知导频信道支持的认知系统初始化方法、装置和系统
CN109076321B (zh) 车联网设备之间的系统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240069148A1 (en) Position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4980220B (zh) 管理无线网络中的网络感知能力
MX2011013174A (es) Activacion de aplicaciones de servicio basadas en ubicacion.
CN105517158A (zh) 无线资源分配处理方法及装置
WO202125932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WO2017134295A1 (en) Ue position reporting
US20220337370A1 (en) Electronic device, user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0326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KR101980431B1 (ko) 가상 비콘 생성방법 및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80368190A1 (en) Transmission of data over client probe frames
US10298695B2 (en) Cognitive connectivity management
EP4373178A1 (en) Operation method related to positioning of sidelink remote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1668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access in air-to-ground networks operating in unlicensed spectrum
US20240032040A1 (en) Simultaneous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s over multi-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