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302B1 -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0302B1 KR101980302B1 KR1020180028312A KR20180028312A KR101980302B1 KR 101980302 B1 KR101980302 B1 KR 101980302B1 KR 1020180028312 A KR1020180028312 A KR 1020180028312A KR 20180028312 A KR20180028312 A KR 20180028312A KR 101980302 B1 KR101980302 B1 KR 101980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unit
- measuring
- sensors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Foot or last measuring devices; 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43D1/06—Measuring devices for the inside measure of shoes, for the height of heels, or for the arrangement of hee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Foot or last measuring devices; 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43D1/02—Foot-measuring devices
- A43D1/025—Foot-measuring devices comprising optical means, e.g. mirrors, photo-electric cells, for measuring or inspecting fee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Foot or last measuring devices; 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43D1/08—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using a plurality of fixed, simultaneously operating transduc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5/20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using a plurality of fixed, simultaneously operating transduc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11/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는,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신발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기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발 내측의 구조 및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신발 생산업계에서는 발의 형태분류 없이 발의 치수만을 5mm 간격으로 분류하여 신발을 제작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업체별로 표준화된 치수규격이 없어, 같은 치수의 신발이라도 다른 상표의 신발의 경우 발에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 신발의 지속되는 압박으로 인해 무지외반증 등과 같은 발의 변형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발의 변형은 신체 전반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고자, 사용자의 발의 치수, 아치, 뒤꿈치 높이 및 크기, 발 볼의 넓이, 발가락 길이, 발등의 높이 등의 여러 요건을 고려하여 신발을 제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 모양을 3D 스캔하여 사용자의 발에 정확하게 맞는 신발을 제작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신발 내측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는,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신발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기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를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상기 측정부의 다른 높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를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상기 측정부의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센서의 센싱 범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측정부를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통해 상기 신발 내면의 삼차원 구조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는,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신발의 앞뒤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막대기 형상의 길이 조절부; 상기 길이 조절부를 따라 상기 신발의 앞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신발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지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는 상기 길이 조절부의 앞단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는, 신발을 기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 상기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신발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며,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한다.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를 이용하면, 신발 내면의 삼차원 구조 정보 또는 '길이', '발볼 너비', '발등 높이'와 같은 신발의 중요 치수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신발의 '외면'이 아닌 '내면'의 치수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발 모양에 맞는 맞춤형 신발을 찾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의 측정부가 신발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정부 및 신발을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를 가지는 측정부가 신발 내측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작동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정부 및 신발을 VIII-V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같은 높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를 가지는 측정부가 신발 내측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작동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3은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신발 내면의 삼차원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의 측정부가 신발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정부 및 신발을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를 가지는 측정부가 신발 내측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작동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정부 및 신발을 VIII-V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같은 높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를 가지는 측정부가 신발 내측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작동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3은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신발 내면의 삼차원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가 신발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단계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단계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앞', '뒤'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x축을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y축을 기준으로, '위', '아래'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된 z축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1)는, 측정부(100), 구동부(200),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측정부(100)는 센서(110) 및 센서(110)가 연결되는 기부(substrate,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신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기부(120)는 예컨대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부(120)의 z 방향 폭은 통상적인 신발의 높이에 맞게 약 5~30cm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0)는 기부(120)의 외측에 노출된다. 센서(110)는 기부(120)와 함께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신발 내면(S_IS)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센서(110)는 신발 내면(S_IS)의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센서(110)는 삼각측량(triangulation)을 이용하여 물체까지의 거리를 재는 센서 또는 신호의 왕복 시간(time of flight)을 통해 물체까지의 거리를 재는 센서일 수 있다. 센서(110)는 예컨대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200)는 측정부(100)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200)와 측정부(100)는 연결부(2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예컨대 스테퍼(stepper) 모터 또는 서보(servo) 모터일 수 있다. 구동부(200) 모터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210) 및 측정부(100)는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구동부(200)를 지지한다. 프레임(300) 최하단의 두 받침부(330)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1) 전체를 지면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두 받침부(330)의 사이에는 연결부(210) 및 측정부(1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단(311)은 받침부(330) 위에 놓일 수 있다. 제1단(311)의 중심은 연결부(21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단(311)은 연결부(210)의 중심축이 흔들리지 않도록 연결부(210)를 회전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고정부(311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단(312)은 제1단(311)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단(312)은 지지 기둥(320)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제2단(312) 위에는 구동부(200)가 놓일 수 있다. 제2단(312)은 사용자의 인력 또는 기계적/전기적 메커니즘을 통해 지지 기둥(320)을 따라 z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제2단(312)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부(200) 및 측정부(100)의 z방향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3단(313)은 제2단(312)을 관통하는 지지 기둥(3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300)의 3단 구조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프레임(300)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00)는 유/무선으로 구동부(200) 및 측정부(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400)는 구동부(200) 및 센서(110)의 온/오프(on/off)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측정부(100)에서 수신한 신호를 처리(processing)하여 신발 사이즈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는 도 13과 관련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1)의 측정부(100)가 신발(S)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사용자는 측정부(100)가 놓인 제2단(312)을 위로 올려 연결부(210)와 측정부(100)를 잠시 높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연결부(21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경우, 사용자는 구동부(200)를 동작시켜 연결부(210)의 길이를 짧게 해 측정부(100)를 잠시 높게 위치시킬 수 있다. 측정부(100)의 높이가 높아지면, 사용자는 신발(S)을 받침부(330)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놓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2단(312)을 다시 아래로 내리거나 연결부(210)의 길이를 다시 길게 해 측정부(1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부(100)가 신발(S)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측정부(100)가 신발(S) 내부에서 회전하더라도 신발(S)과 접촉하지 않도록 신발(S)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신발(S)의 내측 사이즈 측정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측정부(100) 및 신발을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측정부(100)는 신발(S)의 뒷부분에 삽입된 후, 구동부(200)에 의해 신발(S)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약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센서(110)는 회전하면서 단속적으로(discrete) 신발 내면(S_IS)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에서 측정 시작 신호를 송신하면, 센서(110)는 센싱 방향의 연장선과 신발 내면(S_IS)이 만나는 1번째 데이터 포인트(DP_11)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측정부(100)가 기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센서(110)는 센싱 방향의 연장선과 신발의 내면(S_IS)이 만나는 2번째 데이터 포인트(DP_12)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부(100)의 회전 및 센싱 과정은 센서(110)가 360도 회전하여 n번째 데이터 포인트(DP_1n)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110)가 위치한 높이에서의 신발 내면(S_IS) 윤곽 데이터를 '평면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110)가 위치한 높이의 평면을 레이어(layer)로 칭하고, 센서(110)가 특정 데이터 포인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한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센서(110)는 데이터 포인트 획득 후, 일정 각도(α) 회전한 뒤 다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때 일정 각도(α)는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스테퍼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200)를 이용해 측정부(100)를 회전시키는 실시예에서, 측정부(100)는 각 '스텝'당 0.18도씩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부(100)가 한 바퀴 돌 때 센서(110)는 360도/0.18도 = 2000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스텝'당 회전 각도(α)는 약 0.05~10도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각 '스텝'당 회전 각도(α)가 작은 경우, 센서(110)가 위치한 레이어(layer)의 신발 내면(S_IS) 윤곽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연속선(continuous line)에 가깝게 된다.
한편, 측정부(100)는 한 바퀴 이상 회전하여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측정부(100)의 센서(110)가 회전마다 측정한 거리를 '평균한' 값을 최종적인 측정 거리로 산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110)를 가지는 측정부(100)가 신발 내측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100)는 센서(110)를 복수 개 포함하고, 복수 개의 센서(110)는 측정부(100)의 다른 높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센서(110)는 z축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센서(11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6개의 센서(111, 112, 113, 114, 115, 116)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각 센서(110)는 해당 레이어의 윤곽 데이터를 산출하므로, 높이가 다른 복수 개의 센서(110)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 개 레이어의 윤곽 데이터를 한 번에 산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110) 중 가장 위쪽 센서와 가장 아래쪽 센서의 높이 차이는 약 5cm~30cm일 수 있다. 각 센서(11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측정하는 신발(S)의 높이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110) 중 일부는 신발(S)의 상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가장 위쪽 센서(116)가 신발(S) 상단보다 높이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복수 개의 센서(110)는 각각 다른 레이어에서 신발 내면(S_IS)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측정을 시작하라는 제어부(400)의 명령을 수신한 센서(110)는 신발 앞쪽 내면(S_IS)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111)는, 제1 레이어의 1번째 데이터 포인트(DP_11)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2 센서(112)는, 제2 레이어의 1번째 데이터 포인트(DP_21)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즉 센서(110) 별로, 각 레이어의 1번째 데이터 포인트(DP_11, DP_21, DP_31, DP_41, DP_51)까지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이후 측정부(100)가 회전하면서, 각 센서(110)는 도 3과 같이 자신이 위치한 레이어에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컨대 측정부(100)가 약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각 센서(110)는 신발(S) 뒤쪽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111)는, 제1 레이어의 i번째 데이터 포인트(DP_1i)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2 센서(112)는, 제2 레이어의 i번째 데이터 포인트(DP_2i)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즉, 각 센서(110) 별로, 각 레이어의 i번째 데이터 포인트(DP_1i, DP_2i, DP_3i, DP_4i, DP_5i)까지의 거리가 측정된다.
한편, 센서(110) 중 일부가 신발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한 경우에는 거리가 측정되지 않거나(INF), 신발 바깥에 위치한 다른 물체까지의 거리가 의도치 않게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센서(110)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데이터 포인트까지의 거리가 40cm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400)는 상기 데이터 포인트가 신발의 내면(S_IS)이 아닌 외부의 다른 물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포인트를 신발 내면(S_IS) 윤곽 데이터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가장 위쪽의 센서(116)가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측정부(100)의 회전이 완료되면, 각 센서(110)가 위치한 레이어의 신발 내면(S_IS) 윤곽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센서(110)가 다른 높이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 측정부(100)를 한 번 회전하여 신발 내면(S_IS) 윤곽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13과 관련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00)의 작동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바닥 가운데의 오목한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부(S_CCV)를 가지는 신발(S)이 도시되어 있다. 만약 센서(110)가 신발(S) 뒤쪽 바닥에 가까이 위치한 경우, 센서(11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레이저 등이 오목부(S_CCV)에서 반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 내면(S_IS) 앞쪽의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100)는 구동부(200)의 연결부(210)에 대하여 피칭(pitching) 운동할 수 있다. 즉 측정부(100)는 도 6의 y축을 중심축으로, 신발(S)의 앞뒤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연결부(210)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연결부(210)에 대해 피칭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측정부(100)가 지면에 수직으로 신발(S)에 삽입된 상태일 때(도 6에서는 미도시), 예컨대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센서(111)에서 기정 길이(예컨대, 약 5cm) 이하의 거리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오목부(S_CCV)에 의해 아래쪽 센서(111)의 시야가 '가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측정부(100)를 일정 각도(θ)만큼 피칭(pitching)하라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측정부(100)가 피칭된 상태에서 센서(110)를 작동시키면,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된 센서는 신발 내면(S_IS) 앞쪽에서도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는 제4 센서(114), 제5 센서(115), 제6 센서(116)에 의해 각각 신발(S) 앞쪽의 데이터 포인트(DP_41_θ, DP_51_θ, DP_61_θ)가 획득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이 경우 신발 내면(S_IS)의 밑면에서도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센서(111), 제2 센서(112), 제3 센서(113)에 의해 오목부(S_CCV) 주위의 데이터 포인트(DP_11_θ, DP_21_θ, DP_31_θ)가 획득된 것을 예시하였다. 즉 측정부(100)가 피칭 운동 경우, 오목부(S_CCV)를 가지는 신발(S)이라도 앞면, 아랫면을 포함하여 신발 내면(S_IS) 전체적으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100)는 센서(110)를 복수 개 포함하고, 복수 개의 센서(110)는 측정부(100)의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센서(110)가 이루는 각도는 일정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4개의 센서(110)가 90도 간격으로 기부(12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다. 모든 센서(110)가 같은 높이에서 일정 각도로 배치되므로, 측정부(100)를 90도만큼 회전시켜도 해당 높이의 신발 내면(S_IS) 둘레 전체적으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센서(110)와 다른 높이에 있는 레이어의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없으므로, 측정부(100)의 높이를 변화시켜가면서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00)는 측정부(100)를 회전축(도 7의 z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200)는 측정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부(220) 및 측정부(100)를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z축 이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z축 이동부(230)는 예컨대 제2단(312)을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여, 결과적으로 측정부(100)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동부(200)가 측정부(100)의 높이를 제어하는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8은 도 7의 측정부(100) 및 신발(S)을 VIII-V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의 측정부(100)가 회전하면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하는 기본적인 방식은 도 3에서 서술한 것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측정부(100)는 예컨대 앞, 뒤, 좌, 우에 하나씩 90도 간격으로 센서(110)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앞쪽 센서(110F)는, 전방 -45도부터 45도까지의 영역(S_FS)에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왼쪽 센서(110L)는 신발 내면의 왼쪽 영역(S_LS)에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뒤쪽 센서(110B)는, 후방 -45도부터 45도까지의 영역(S_BS)에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오른쪽 센서(110R)는, 신발 내면의 오른쪽 영역(S_RS)에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110)의 개수, 배치 및 각도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센서(110)의 거리 측정 범위, 즉 센싱 범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거리 측정 범위는 센서(110)가 측정할 수 있는 거리의 상한과 하한 사이를 의미한다.
신발(S)의 구조상 측정부(100)는 신발(S)의 뒤쪽에 가깝게 삽입되므로, 앞쪽 센서(110)의 센싱 거리는 비교적 긴 반면 뒤쪽 센서(110)의 센싱 거리는 비교적 짧다. 따라서, 앞쪽 센서(110F)의 센싱 범위는 뒤쪽 센서(110B)의 센싱 범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정부(100)의 앞쪽에는 비교적 먼 거리에 떨어진 물체와의 거리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센서(110F)가 사용될 수 있고, 뒤쪽에는 비교적 먼 거리에 떨어진 물체와의 거리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센서(110B)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앞쪽 센서(110F)의 센싱 범위는 약 50mm 이상 400mm 이하일 수 있고, 뒤쪽 센서(110B)의 측정 범위는 5mm 이상 50mm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각 위치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센서(110)의 종류를 다르게 선택하여, 각 위치에서의 센서(110)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같은 높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110)를 가지는 측정부(100)가 신발(S) 내측 사이즈를 측정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예시적으로 기부(120)의 앞, 뒤에 센서(110F, 110B)가 하나씩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측정부(100)는 신발(S)의 바닥에 닿게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신발(S)의 뒤쪽 입구가 측정부(100) 아래에 오도록 위치를 조절한 뒤, 구동부(200)의 z축 이동부(230)를 구동시켜 측정부(100)를 아래로 내릴 수 있다. 이후, 측정부(100)에 부착된 z축 스토퍼(stopper, 미도시)가 신발 바닥에 닿으면, z축 이동부(230)는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동부(200)는 신발 밑면과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측정부(100)가 신발 바닥에 닿은 직후 측정부(100)를 일정 간격 들어 올릴 수 있다.
이후, 구동부(200)는 회전 구동부(220)를 이용하여 측정부(100)를 회전시키고, 센서(110)는 회전하면서 신발 내면(S_IS)의 데이터 포인트(DP)를 획득한다. 측정부(100)의 총 회전 각도는 센서(110)의 배치 및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와 같이 센서가 앞, 뒤(110F, 110B)에 하나씩 배치되는 경우, 측정부(100)를 180도 이상 회전시켜 데이터 포인트(DP)를 획득할 수 있다. 측정부(100)의 회전이 끝나면, 센서(110)의 초기 높이에서의 데이터 포인트(DP) 획득이 완료된다.
초기 높이에서의 데이터 포인트(DP) 획득이 완료된 이후, 제어부(400)는 구동부(200)에 측정부(100)를 들어올리라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의 설정에 따라, 측정부(100)는 위 방향으로 일정 높이, 예컨대 1~20mm 상승할 수 있으나 측정부(100)의 상승 폭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이 측정부(100)는 신발(S) 바닥에서 더 높이 올라간 곳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400)는 측정부(100)를 회전시키라는 명령을 구동부(200)에 전송한다. 측정부(100)는 회전하면서 새로운 레이어에서 데이터 포인트(DP)를 획득한다.
이와 같은 측정부(100)의 높이 상승 및 회전 동작은 수-수백 회 반복될 수 있다. 즉 측정부(100)는 수-수백 개의 레이어마다 데이터 포인트(DP)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측정부(100)의 높이가 충분히 올라가 모든 센서(110F, 110B)가 신발(S)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면, 센서(110F, 110B)가 신발 내면(S_IS)에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하지 못한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측정부(100)가 신발(S) 바깥으로 빠져나온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부(100)의 높이를 더 올리지 않고 센서(110)의 센싱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100)의 작동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6과 비슷하게 오목부(S_CCV)를 가지는 신발이 도시되어 있다. 측정부(100)는 구동부(200)의 연결부(210)에 대하여 피칭(pitching) 운동할 수 있다. 즉 측정부(100)는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측정부(100)가 피칭 운동 경우, 오목부(S_CCV)를 가지는 신발(S)의 내면(S_IS) 전체에 걸쳐 데이터 포인트(DP)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은 제어부(400)에 의해 생성된 신발 내면(S_IS)의 삼차원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제어부(400)는 센서(110)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 포인트(DP)를 처리하여 신발 내면(S_IS)의 삼차원 구조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데이터 포인트를 3D 렌더링(rendering)하여 삼차원 이미지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신발 내면(S_IS)의 삼차원 구조를 분석하여 신발에 관련된 다양한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신발의 가로 및 세로 길이, 신발의 바닥에서 발의 발등에 닿는 부분까지의 높이, 바닥의 굴곡 정도, 신발 입구의 넓이 등 다양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와 같은 신발 정보를 저장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 또는 서버(server)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치 정보는 사용자의 발 모양에 맞는 맞춤형 신발을 찾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3)가 신발(S)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1)는 구동부(200), 길이 조절부(500), 측정부(100)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신발(S) 내부의 뒤쪽에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신발(S) 바닥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연결부(210)를 통해 외부의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500)는 구동부(200)와 연결되며, 신발(S)의 앞뒤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막대기 형상을 가진다. 길이 조절부(500)의 길이는 구동부(2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500)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에서, 구동부(200) 및 길이 조절부(500)는 신발(S)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구동부(200)가 신발(S) 뒤쪽에 안착하면, 길이 조절부(500)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길이 조절부(500)의 길이는 구동부(200)에 의해 조절, 측정될 수 있다.
측정부(100)는 길이 조절부(500)를 따라 신발(S)의 앞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측정부(100)는 길이 조절부(500)의 한쪽 끝에 결합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센서(110) 및 센서(110)가 연결되는 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신발 내면(S_IS)의 어느 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복수 개의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110)는 기부(120)의 앞, 위, 아래, 좌, 우 등 다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부(120)의 앞에 배치된 센서(11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 포인트(DP)를 이용하는 경우, 신발의 '길이'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앞쪽 센서(110)에서 획득한 데이터 포인트(DP)까지의 거리 정보와 길이 조절부(500)가 늘어난 길이 정보를 수신하여, 신발(S)의 앞뒤 방향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기부(120)의 좌우에 배치된 센서(11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 포인트(DP)를 이용하는 경우, 신발(S)의 '발볼 너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기부(120)의 위아래에 배치된 센서(11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 포인트(DP)를 이용하는 경우, 신발(S)의 '발등 높이'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500)의 길이가 변하여 측정부(100)의 위치가 변할 때마다, 센서(110)는 데이터 포인트(DP)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으로, 측정부(100)는 길이 조절부(500)가 길게 늘어진 방향(x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측정부(100)가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하면서 데이터 포인트(DP)를 획득하는 메커니즘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4)가 신발(S)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조절부(500)는 앞단에는 접촉 센서(600)가 설치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500)의 길이가 늘어나다가, 접촉 센서(600)에서 접촉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400)는 길이 조절부(500)가 신발 앞쪽 내면(S_IS)에 닿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길이 조절부(500)는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된다. 제어부(400)는, 길이 조절부(500)가 멈춘 시점에서의 길이 정보를 수신하여, 신발(S)의 앞뒤 방향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100)는 길이 조절부(5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측정부(100)는 길이 조절부(500)가 길게 늘어진 방향(x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다. 즉 길이 조절부(5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과는 별개로, 측정부(100)는 길이 조절부(5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길이 조절부(500)의 앞단이 신발 앞쪽 내면(S_IS)에 닿아 위치가 고정되면, 측정부(100)는 왕복 운동 및/또는 회전 운동하면서 데이터 포인트(DP)를 획득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5)가 신발(S)에 삽입된 상태를 왼쪽 및 위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조절부(500)는 고정축(510) 및 고정축(5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510)은 중앙 고정축(510C), 왼쪽 고정축(510L), 오른쪽 고정축(510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520)는 중앙 고정축(510C), 왼쪽 고정축(510L), 오른쪽 고정축(510R)을 따라 이동하는 앞쪽 이동부(520F), 왼쪽 이동부(520L), 오른쪽 이동부(520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왼쪽 이동부(520L)는 왼쪽 고정축(510L)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왼쪽 이동부(520L)는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오른쪽 이동부(520R)는 오른쪽 고정축(510R)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오른쪽 이동부(520R)는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왼쪽 이동부(520L) 및 오른쪽 이동부(520R) 각각의 한쪽 끝에는 접촉 센서(600L, 600R)가 연결될 수 있다. 왼쪽 이동부(520L) 및 오른쪽 이동부(520R)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 접촉 센서(600L, 600R)의 좌우 방향 좌표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왼쪽 이동부(520L) 및 오른쪽 이동부(520R)가 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면, 접촉 센서(600L, 600R)의 앞뒤 방향 좌표가 달라질 수 있다. 오른쪽 이동부(520R)와 왼쪽 이동부(520L)는 링크(L)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오른쪽 이동부(520R), 왼쪽 이동부(520L)는 동시에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오른쪽 이동부(520R)와 왼쪽 이동부(520L)의 좌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접촉 센서(600L, 600R)가 신발 내면(S_IS)에 닿게 되면, 제어부(400)는 왼쪽 이동부(520L) 및 오른쪽 이동부(520R)의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신발의 '발볼 너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오른쪽 이동부(520R)와 왼쪽 이동부(520L) 사이에는 위쪽 이동부(520U)가 배치될 수 있다. 오른쪽 이동부(520R), 왼쪽 이동부(520L), 위쪽 이동부(520U)는 링크(L)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오른쪽 이동부(520R), 왼쪽 이동부(520L), 위쪽 이동부(520U)는 동시에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쪽 이동부(520U)는 중앙 고정축(510C)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위쪽 이동부(520U)는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쪽 이동부(520U)의 한쪽 끝에는 접촉 센서(600U)가 연결될 수 있다. 위쪽 이동부(520U)가 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면, 접촉 센서(600U)의 앞뒤 방향 좌표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위쪽 이동부(520U)가 위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면, 접촉 센서(600U)의 위아래 방향 좌표가 달라질 수 있다. 구동부(200)는, 위쪽 이동부(520U)의 좌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접촉 센서(600U)가 신발 내면(S_IS)에 닿게 되면, 제어부(400)는 위쪽 이동부(520U)의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신발의 '발등 높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중앙 고정축(510C) 의 한쪽 끝에는 앞쪽 이동부(520F)가 연결될 수 있다. 앞쪽 이동부(520F)는 오른쪽 이동부(520R), 왼쪽 이동부(520L), 위쪽 이동부(520U)와 별도로 움직일 수 있다. 앞쪽 이동부(520F)는 중앙 고정축(510C)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앞쪽 이동부(520F)의 한쪽 끝에는 접촉 센서(600F)가 연결될 수 있다. 앞쪽 이동부(520F)가 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면, 접촉 센서(600F)의 앞뒤 방향 좌표가 달라질 수 있다. 구동부(200)는, 앞쪽 이동부(520F)의 좌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접촉 센서(600F)가 신발 내면(S_IS)에 닿게 되면, 제어부(400)는 앞쪽 이동부(520F)의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신발의 '발등 높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에서는, 신발 내면(S_IS)의 사이즈 정보, 특히 '길이', '발볼 너비', '발등 높이'와 같은 3축 정보를 '접촉 센서(600)'를 이용하여 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20)는, 회전부(2200), 측정부(2100), 프레임(2300)을 포함한다.
회전부(2200)는, 신발(S)을 기정된 회전축(rotation axis, RA)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회전부(2200)는 자체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부(2200)의 윗면에 놓인 신발(S)은 회전부(2200)와 동시에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2200)는 신발(S)을 지지하기 위한 판(plat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회전부(2200)는 도 20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의 턴테이블(turntable)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부(2100)는 센서(2110) 및 센서(2120)가 연결되는 기부(substrate, 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2100)는 신발(S)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측정부(2100)의 중심은 회전축(RA)에 놓일 수 있다.
구동부(200)에 의해 자체로 회전하는 도 1 및 도 7의 측정 장치(1, 2)의 측정부(100)와는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20)의 측정부(2100)는 지면 또는 프레임(2300)에 대해 가만히 있고, 신발(S)이 회전한다. 그러나 회전 주체가 달라졌을 뿐, 도 1 및 도 7의 측정 장치(1, 2)와 도 20의 측정 장치(20)에서 모두 측정부와 신발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은 같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3에서 서술하였던 센서의 배치, 일정 각도마다 센서가 신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하는 작동 원리, 센서가 z축 이동부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다른 높이의 레이어에서 윤곽 데이터를 산출하는 원리 등은 도 20의 측정 장치(20)의 실시예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신발(S)을 측정부(2100)에 대해 회전시키면, 측정부(2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어 측정부(2100)의 기계적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프레임(2300)은 받침부(2310)와 연결부(2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2310)는 회전부(2200)를 지지한다. 즉 회전부(2200) 및 회전부(2200) 윗면에 놓인 신발(S)은 받침부(2310)에 대해 회전한다. 연결부(2330)는 측정부(2100)와 받침대(2310)를 연결한다. 연결부(2330)에 의해, 측정부(2100)는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0에서는 연결부(2330)가 'ㄷ'자 형태로 측정부(2100)와 받침부(23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미도시)는 유/무선으로 회전부(2200)를 구동하며, 측정부(2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는 회전부(2200) 및 센서(2110)의 온/오프(on/off)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회전부(2200)에 연결된 스테퍼(stepper) 모터 또는 서보(servo) 모터를 회전시켜, 회전부(2200)를 프레임(2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를 이용하면, 신발 내면의 삼차원 구조 정보 또는 '길이', '발볼 너비', '발등 높이'와 같은 신발의 중요 치수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신발의 '외면'이 아닌 '내면'의 치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발 모양에 맞는 맞춤형 신발을 찾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모든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실시예들 상호 간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측정부 110: 센서
120: 기부 200: 구동부
210: 연결부 220: 회전 구동부
230: z축 이동부 300: 프레임
400: 제어부 500: 길이 조절부
510: 고정축 520: 이동부
600: 접촉 센서
2100: 측정부 2200: 회전부
2300: 프레임 2310: 받침부
2330: 연결부
120: 기부 200: 구동부
210: 연결부 220: 회전 구동부
230: z축 이동부 300: 프레임
400: 제어부 500: 길이 조절부
510: 고정축 520: 이동부
600: 접촉 센서
2100: 측정부 2200: 회전부
2300: 프레임 2310: 받침부
2330: 연결부
Claims (9)
- 신발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기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신발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기정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단속적으로 신발 내면의 어느 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가 위치한 높이에서의 신발 내면의 윤곽 데이터를 평면적으로 각각 획득하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상기 측정부의 다른 높이에 각각 배치되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상기 측정부의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의 센싱 범위는 서로 다른,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측정부를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통해 상기 신발 내면의 삼차원 구조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신발의 앞뒤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막대기 형상의 길이 조절부;
상기 길이 조절부를 따라 상기 신발의 앞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신발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지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신발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신발 내면의 어느 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의 앞단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하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신발을 기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
상기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신발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며,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를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신발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가 기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단속적으로 신발 내면의 어느 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가 위치한 높이에서의 신발 내면의 윤곽 데이터를 평면적으로 각각 획득하는,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8312A KR101980302B1 (ko) | 2018-03-09 | 2018-03-09 |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US16/979,109 US11779085B2 (en) | 2018-03-09 | 2019-03-11 | Device for measuring inner size of shoe |
PCT/KR2019/002800 WO2019172729A1 (ko) | 2018-03-09 | 2019-03-11 |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US18/241,171 US20230404217A1 (en) | 2018-03-09 | 2023-08-31 | Device for measuring inner size of sho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8312A KR101980302B1 (ko) | 2018-03-09 | 2018-03-09 |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0302B1 true KR101980302B1 (ko) | 2019-05-20 |
Family
ID=6667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8312A KR101980302B1 (ko) | 2018-03-09 | 2018-03-09 |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11779085B2 (ko) |
KR (1) | KR101980302B1 (ko) |
WO (1) | WO2019172729A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0888B1 (ko) | 1995-12-28 | 1998-09-15 | 김태구 | 자동차 재떨이의 담뱃재 받이 탈장착장치 |
US6192593B1 (en) * | 1998-09-02 | 2001-02-27 | Nike International Ltd. | Internal shoe s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izing shoes |
KR200223530Y1 (ko) * | 2000-12-12 | 2001-05-15 | 최연창 | 신발치수측정장치 |
KR200374695Y1 (ko) * | 2004-11-02 | 2005-02-02 | 이기성 |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신발 측정장치 |
US20070266581A1 (en) * | 2006-05-16 | 2007-11-22 | Nike, Inc. | Girth Measurement Device |
US20120316827A1 (en) * | 2011-06-08 | 2012-12-13 | Shoefitr, Inc. | Internal measurement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74302B2 (en) * | 2016-11-30 | 2019-04-30 | Amazon Technologies, Inc. | Internal dimension detection using contact direction sensitive probe |
-
2018
- 2018-03-09 KR KR1020180028312A patent/KR1019803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3-11 WO PCT/KR2019/002800 patent/WO201917272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3-11 US US16/979,109 patent/US11779085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8-31 US US18/241,171 patent/US2023040421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0888B1 (ko) | 1995-12-28 | 1998-09-15 | 김태구 | 자동차 재떨이의 담뱃재 받이 탈장착장치 |
US6192593B1 (en) * | 1998-09-02 | 2001-02-27 | Nike International Ltd. | Internal shoe s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izing shoes |
KR200223530Y1 (ko) * | 2000-12-12 | 2001-05-15 | 최연창 | 신발치수측정장치 |
KR200374695Y1 (ko) * | 2004-11-02 | 2005-02-02 | 이기성 |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신발 측정장치 |
US20070266581A1 (en) * | 2006-05-16 | 2007-11-22 | Nike, Inc. | Girth Measurement Device |
US20120316827A1 (en) * | 2011-06-08 | 2012-12-13 | Shoefitr, Inc. | Internal measurement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404217A1 (en) | 2023-12-21 |
US20210093051A1 (en) | 2021-04-01 |
US11779085B2 (en) | 2023-10-10 |
WO2019172729A1 (ko) | 2019-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46998B2 (en) | Foot measuring method | |
CA2779910C (en) | An insole and a method and a system for insole manufacture | |
KR100945358B1 (ko) | 선형 측정 장치 | |
ES2732285T3 (es) | Aparato de medición del pie | |
EP0879395A1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laser measurement of an object shape | |
JP6254456B2 (ja) | 三次元測定機及び三次元測定機による補正行列算出方法 | |
US20150354950A1 (en) | Normal-line detection device, processing device, and normal-line detection method | |
US20080192895A1 (en) | Travel stand for a mobile X-ray diagnostic machine | |
AU2009203514A1 (en) | Foot measuring device | |
KR20160124830A (ko) | 갑피에 밑창을 부착하기 위한 표선을 위한 3차원 측정 시스템 및 3차원 측정 방법 | |
US7336377B2 (en) | Foot measuring device | |
KR101980302B1 (ko) | 신발 내측 사이즈 측정 장치 | |
US20100106061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three-dimensional detection of the spatial shape of a foot | |
CN109814492A (zh) | 工具姿势控制装置 | |
KR101381128B1 (ko) | 족부 스캐너 | |
CN104010602A (zh) | 用于校准激光装置的测试装置 | |
KR102052566B1 (ko) | 발 상태 탐지 구조의 신발 인솔 제조 시스템 | |
US20200138387A1 (en) | Device for Patient Monitoring | |
KR102103332B1 (ko) | 교정 치료 기능을 가진 스마트 인솔 자동 제조 시스템 | |
CN110631448B (zh) | 测量装置和测量方法 | |
JP2018051217A (ja) | 履物内寸測定装置および方法 | |
KR200223530Y1 (ko) | 신발치수측정장치 | |
CN108895993B (zh) | 玻璃轮廓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 |
CN204519534U (zh) | 3d脚型扫描仪 | |
KR200374695Y1 (ko) |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신발 측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