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589B1 - 고주파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589B1
KR101979589B1 KR1020180043685A KR20180043685A KR101979589B1 KR 101979589 B1 KR101979589 B1 KR 101979589B1 KR 1020180043685 A KR1020180043685 A KR 1020180043685A KR 20180043685 A KR20180043685 A KR 20180043685A KR 101979589 B1 KR101979589 B1 KR 101979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high frequency
support portion
user
frequenc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호
Original Assignee
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호 filed Critical 한성호
Priority to KR102018004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589B1/ko
Priority to PCT/KR2019/004514 priority patent/WO201920351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 A61N1/445Hydro-electric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순히 앉아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통해 통전을 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동작 또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심부열을 통해 사용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 치료장치{HIGH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순히 앉아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통해 통전을 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동작 또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심부열을 통해 사용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전류가 인체 내에 통전되면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며 그 결과 해당 신체조직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심부발열 또는 심부열이라 한다.
고주파 전류는 다른 형태의 전류와 달리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고 근육 수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해당 신체조직 내의 특정부위를 가열할 수 있다
생체 열에너지로 변환된 고주파 에너지는 해당 신체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동맥 및 모세혈관 확장을 통해 혈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액 및 림프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며 신진대사를 증진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가 한국 등록특허 10-1125857에서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과, 기준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이 별도의 구조체로 마련되어 있어서, 관리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고주파 치료장치를 착용을 하거나 장착을 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며, 나아가 착용 후에 고주파 치료장치를 구동시키는 별도의 동작 또는 조작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별도의 조작은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하며, 나아가 고주파 치료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환자의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고려하면, 고령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환자로 하여금 별도의 조작 동작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치료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1. 한국 등록특허 10-11258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환자가 단순히 앉는 동작으로도 구동이 가능하여 별도의 조작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과 기준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이 동일한 하우징에 배치되어 외부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치료 장치 자체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고주파 전원과 기준 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원 발생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원을 사용자의 한쪽 발바닥을 통해 인체로 인가하는 제1 전극,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전원이 인가되어, 사용자의 다른쪽 발바닥을 통해 상기 제1 전극과의 사이에 통전이 발생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에서 발생한 고주파 전원 또는 기준 전원을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상기 하우징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상면에 사용자의 양 발이 각각 안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의 발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부 및 제2 탄성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 전극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제2 전극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홈과 제2 수용홈을 개폐하는 도어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의 발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부 및 제2 탄성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는 전도성 액체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사용자의 발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주파 치료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환자가 편하게 앉아 있는 동작에 의해 치료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않으면서 별다른 조작이 필요 없이 사용자의 발을 전극 위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동작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과 기준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이 동일한 하우징에 배치되어 외부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치료 장치 자체의 관리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의 제1 본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상기 제1 본체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의 제2 본체의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제1 본체의 평면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1000)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환자(10)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등에 앉아서 편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에 의해 치료를 받기 위해 별도의 동작 또는 자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편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는 후술하는 제1 전극(132)과 제2 전극(142)이 구비된 제1 본체(100)와, 상기 제1 본체(100)로 고주파 전원과 기준 전원을 공급하는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를 구비하는 제2 본체(200)와, 상기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200)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아 치료를 수행하는 제1 본체(100)와 전원을 인가하는 제2 본체(200)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일 본체에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과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 2는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의 제1 본체(10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제1 본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의 제1 본체(100)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원을 사용자의 한쪽 발(12)(도 8 참조)을 통해 인체로 인가하는 제1 전극(132)과, 상기 하우징(120)에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에서 발생된 기준 전원이 인가되어, 사용자의 다른쪽 발(14(도 8 참조)을 통해 상기 제1 전극(132)과의 사이에 통전이 발생하는 제2 전극(1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는 상기 제1 전극(132)와 제2 전극(142)으로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와,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에서 발생한 고주파 전원 또는 기준 전원을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으로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와 제어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제2 본체(200)에 별개로 구비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본체(100)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100)는 전술한 제1 전극(132)와 제2 전극(142)이 배치되는 하우징(1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도면에서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이 배치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132)과 제2 전극(142)은 상기 하우징(120)에서 동일한 방향을 향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32)과 제2 전극(142)은 상기 하우징(120)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132)과 제2 전극(142)이 상기 하우징(120)에서 상부를 향해 나란히 배치되므로, 사용자(10)는 의자 등에 앉아서 상기 제1 전극(132)과 제2 전극(142)의 상면에 발을 편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은 상기 하우징(120)의 상면에 노출되어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사용자의 양 발이 각각 안착되게 된다.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이 상기 하우징(120)의 상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10)의 양발(12, 14)이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이 하부를 향해 소정거리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센서부(150)에 의해 사용자(10)의 발(12, 14)이 전극 상면에 안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에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이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132)은 제1 전극지지부(134)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극(142)은 제2 전극지지부(144)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지지부(134)와 제2 전극지지부(144)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132)과 제2 전극(142)이 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므로, 상기 제1 전극(132)와 제2 전극(142)을 지지하는 전극지지부(134, 144)는 부도체의 재질로 제작되어 절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은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에서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부(133, 135) 및 제2 탄성지지부(143, 14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32)을 지지하는 상기 제1 전극지지부(134)가 상기 제1 탄성지지부(133, 13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탄성지지부(133, 135)는 제1 수직탄성지지부(135)와 제1 수평탄성지지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탄성지지부(135)는 상기 제1 전극지지부(13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20)에 대해서 상기 제1 전극지지부(13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 수직탄성지지부(135)는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상기 제1 수평탄성지지부(133)는 상기 제1 전극지지부(134)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전극지지부(134)의 측면과 상기 하우징(120)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10)의 한쪽 발이 상기 제1 전극(132)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발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전극(132)이 소정거리 하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수직탄성지지부(135)에 의해 상기 제1 전극(13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하부를 향해 이동이 가능하지만 소정거리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한쪽 발이 상기 제1 전극(132)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수평탄성지지부(133)에 의해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1 전극지지부(134)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수직탄성지지부(145)는 상기 제2 전극지지부(14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20)에 대해서 상기 제2 전극지지부(14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수직탄성지지부(145)는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상기 제2 수평탄성지지부(143)는 상기 제2 전극지지부(144)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전극지지부(144)의 측면과 상기 하우징(120)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10)의 다른쪽 발이 상기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발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전극(142)이 소정거리 하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수직탄성지지부(145)에 의해 상기 제2 전극(14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하부를 향해 이동이 가능하지만 소정거리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다른쪽 발이 상기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수평탄성지지부(143)에 의해 상기 제2 전극(142) 및 제2 전극지지부(144)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전극(132)은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전력선(3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142)은 기준전원을 인가하는 제2 전력선(3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이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제1 전력선(310) 및 제2 전력선(320)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밀폐부(136, 146)의 내측을 통해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136, 146)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지는 주름 형태, 물결 형태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136)의 내측을 통해 상기 제1 전력선(310) 및 제2 전력선(320)이 관통하여 지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이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전력선(310) 및 제2 전력선(32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는 상기 사용자의 발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발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미도시)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발이 상기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전극(142)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었음을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가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제2 전극지지부(144)의 하면에 구비되는 상부 스위치부(147)와 상기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하부 스위치부(149)와, 상기 상부 스위치부(147)가 하강하는 경우에 눌려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14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어 상기 제2 전극(142)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 스위치부(147)가 함께 하강하여 상기 버튼(148)을 누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버튼(148)에서 발생한 감지신호는 제어선(151)을 따라 상기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어 치료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를 구동시켜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센서부(150)가 상기 제2 전극(142)의 하부에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센서부(150)는 제1 전극(132)의 하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제1 전극(132)과 제2 전극(142)의 하부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의 제2 본체(200)의 표시부(20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205)는 디스플레이부(210)와 노브(knob)(220)를 비롯한 각종 조작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서는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의 다양한 정보, 즉 사용자의 발의 안착여부, 전력 인가여부, 온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노브(220)를 회전시켜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작부(230)를 조작하여 고주파 치료장치(100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50)를 구비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발이 전극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조작부(230)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10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 치료장치(1000)는, 고주파 전원과 기준 전원을 발생하는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와,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에서 생성된 고주파 전원을 증폭 또는 가변하는 증폭/가변부(430)와, 고주파 전원 및 기준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부(44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이들(고주파 전원 발생부(420), 증폭/가변부(430), 출력부(440), 디스플레이부(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위에서 언급한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410)를 구비한다.
전원부(410)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이를 위에서 언급한 각 구성요소들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 증폭/가변부(430), 출력부(440), 디스플레이부(210))에서 사용하는 전원으로 변화시키는 전원 변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는 전원부(41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전원과 기준 전원을 생성하는데, 여기서 기준 전원이란 고주파 전원의 크기에 따라 고주파 전원의 극성을 구분할 수 있는 크기의 전원으로 바람직하게 접지 전원이 사용된다.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는 100kHZ 내지 10MHZ 범위의 고주파 전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폭/가변부(430)는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에서 생성된 고주파 전원을 증폭하거나 이의 진폭, 파장을 변화시킨다. 이를 통해 고주파에 의한 인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출력부(440)는 증폭되거나 가변된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으로 출력한다.
제어부(400)는 전술한 센서부(150)에서 전달된 감지신호, 또는 조작부(230)에서 발생한 조작신호에 의해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 및/또는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으로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발이 상기 제1 전극(132) 또는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센서부(150)에서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치료를 위해 발을 안착시킨 경우로 인식하고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를 제어하여 고주파 전원 및 기준전원을 발생시키고, 상기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에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발이 상기 제1 전극(132) 또는 제2 전극(142)에서 이격되어 상기 센서부(150)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고주파 치료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420)를 제어하여 고주파 전원 및 기준전원을 발생을 차단시키거나, 또는 상기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을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인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50)에 의한 감지신호 이외에도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30)를 조작하여 조작신호가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을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을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인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상기 센서부(150)에 의해 상기 제어부(400)로 감진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출력부(4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으로 고주파 전원 및 기준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은 사용자의 인체를 통해 통전이 되어 사용자의 체내에 고주파에 의한 심부열이 발생한다.
고주파를 통해 피부 내의 분자 운동을 통하여 심부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심부열은 지방을 파괴하거나, 콜라겐을 재생하여 지방 분해는 물론 피부 탄력에 효과적이다.
또한, 고주파 전류, 즉, 전기적인 자극을 이용하여 피부의 생체 조직내에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찰열을 통해서 인체 내 혈액 순환과 림프액 순환을 강화/촉진 시키거나 지방 대사와 근육 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비만 치료나 근육 강화, 피부관리, 모발 촉진, 통증 완화 등 인체 기능 강화나 치료 관리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발 또는 하체를 통해 통전이 되므로, 하지정맥의 치료나, 전립선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나이가 많은 고령자의 요실금 등의 치료에도 현저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체내의 수분(분극분자)함량은 연령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50%이상이고, NA+, Cl-, K+, Ca++, Mg++ 등의 이온을 함유하고 있다.
인체 외부에 고주파 교류전류를 인가하면 극성에 따라 이온의 이동과 분극분자의 회전 운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운동으로 인해 이온, 분극분자 간의 마찰이 발생하여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 심부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심부열이 발생하면, 혈류량 및 세포 내 산소 유입이 증가되고, 이에 이하여 BMR(기초 대사율)이 증가한다.
인체내 의 열이 0.5℃ 상승시 BMR(기초 대사율)은 7% 증가하며, 특히 체내 지방은 41℃ 이상에서 융해되며, 다른 조직보다 온도 상승이 빨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 치료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하체 또는 발을 통해 고주파 전류를 흘려서 심부열을 발생시키면 치료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2000)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2000)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본체(2100)에 수용홈(2102, 2104)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102, 2104)의 내측에 전술한 제1 전극(132) 및 제2 전극(142)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을 안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본체(2100)의 수용홈(2102, 2104)의 내측으로 발을 삽입하여 제1 전극(2150)(도 8 참조) 및 제2 전극(2252)의 상면에 발을 안착시키게 된다.
도 6에서 제2 본체(2300) 및 케이블(2500)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2000)의 제1 본체(2100)의 평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2100)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2100)의 하우징(2105)은 상기 제1 전극(2150) 및 제2 전극(2252)을 수용하는 수용홈(2102, 2104)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수용홈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일 수용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모두 수용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 전극(2150)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2102)과, 상기 제2 전극(2252)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2104)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을 개폐하는 도어부(2200, 220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7의 (A)는 사용자의 발이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제1 도어부(2200)와 제2 도어부(2202)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의 (B)는 사용자의 발(12, 14)이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도어부(2200)와 제2 도어부(2202)가 일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1 도어부(2200)와 제2 도어부(2202)가 닫히는 경우에 사용자의 발(12, 14)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본체(2100)의 상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부(2120), 노브(2140) 및 조작부(21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상기 제1 본체(2100)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2150) 및 제2 전극(2252)은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의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2150) 및 제2 전극(2252)은 제1 전극지지부(2251)와 제2 전극지지부(225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의 내부에서 소정거리만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전극(215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부(2254)와 제2 전극(225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지지부(225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2150) 및 제2 전극(2252) 중에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는 사용바의 발을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225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256)는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전극(2150) 및 제2 전극(2252)의 하부에 모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어느 한쪽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탄성지지부(2254)와 제2 탄성지지부(2255) 및 센서부(2256)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8에서 '2500'은 케이블, '2510'은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전력선(310), '2520'은 기준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전력선(320)을 도시한다.
한편,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2100)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도 8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수용홈(2102, 2104)의 내측에 전도성 액체(W)가 수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의 내부에는 각각 전도성 액체가 수용되며, 사용자가 발을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의 내부에 각각 수용된 전도성 액체에 담기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전극(2450) 및 제2 전극(2452)이 사용자의 발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전극(2450) 및 제2 전극(2452)에 각각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전도성 액체(W)를 통해 사용자의 발과 통전되어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2450) 및 제2 전극(2452)은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의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홈(2102)과 제2 수용홈(2104)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 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제1 본체
132 : 제1 전극
142 : 제2 전극
200 : 제2 본체
210 : 디스플레이부
230 : 조작부
400 : 제어부
410 : 전원부
420 : 고주파 전원 발생부
430 : 증폭/가변부
440 : 출력부

Claims (13)

  1. 고주파 치료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고주파 전원과 기준 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원 발생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원을 사용자의 한쪽 발바닥을 통해 인체로 인가하며 발바닥이 안착되는 제1 전극;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전원이 인가되어, 사용자의 다른쪽 발바닥을 통해 상기 제1 전극과의 사이에 통전이 발생하며 발바닥이 안착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에서 발생한 고주파 전원 또는 기준 전원을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전극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제2 전극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홈;과
    상기 사용자의 발의 안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부; 및 제2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은 제1 전극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은 제2 전극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극지지부와 제2 전극지지부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재질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원 발생부를 구동시키되,
    센서부는 버튼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경우 눌려져서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1탄성지지부는 제1 수직탄성지지부;와 제1 수평탄성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직탄성지지부는 상기 제1 전극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제1 전극지지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1 전극이 소정거리 하부를 향해 이동하되, 그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은 방지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이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수평탄성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전극 및 제1 전극지지부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되며,
    상기 제2 탄성지지부는 제2 수직탄성지지부;와 제2 수평탄성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수직탄성지지부는 상기 제2 전극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제2 전극지지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2 전극이 소정거리 하부를 향해 이동하되, 그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은 방지하며,
    사용자의 다른쪽 발이 상기 제2 전극의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수평탄성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전극 및 제2 전극지지부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과 제2 수용홈의 내측에는 전도성 액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43685A 2018-04-16 2018-04-16 고주파 치료장치 KR101979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85A KR101979589B1 (ko) 2018-04-16 2018-04-16 고주파 치료장치
PCT/KR2019/004514 WO2019203519A1 (ko) 2018-04-16 2019-04-15 고주파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85A KR101979589B1 (ko) 2018-04-16 2018-04-16 고주파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589B1 true KR101979589B1 (ko) 2019-05-17

Family

ID=6667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685A KR101979589B1 (ko) 2018-04-16 2018-04-16 고주파 치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9589B1 (ko)
WO (1) WO20192035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981A (ko)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큐어텍 고주파 온열 치료기
KR102601570B1 (ko) * 2023-03-29 2023-11-14 윤정민 고주파 발 마사자기용 전극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5804A (zh) * 2020-10-12 2021-01-22 河南红米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高频电场热治疗仪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606A (ja) * 2003-05-08 2004-11-25 Interport International Kk 足裏治療装置
KR200369647Y1 (ko) * 2004-09-03 2004-12-09 은나노기술주식회사 저주파 치료장치가 내장된 신발
KR20110026244A (ko) * 2009-09-07 2011-03-15 표대영 고주파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1125857B1 (ko) 2009-08-04 2012-04-12 유한철 고주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51173B1 (ko) * 2011-12-05 2012-06-01 김근영 전극 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부열 발생장치
KR101257022B1 (ko) * 2013-01-03 2013-04-24 (주)하늘마음바이오 고주파 치료기용 압력 감지 타입 전극 유닛
KR101636329B1 (ko) * 2016-02-17 2016-07-05 주식회사 서린메디케어 심부열 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825B1 (ko) * 2010-12-07 2012-03-13 (주)에너지플러스 양쪽 절연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606A (ja) * 2003-05-08 2004-11-25 Interport International Kk 足裏治療装置
KR200369647Y1 (ko) * 2004-09-03 2004-12-09 은나노기술주식회사 저주파 치료장치가 내장된 신발
KR101125857B1 (ko) 2009-08-04 2012-04-12 유한철 고주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6244A (ko) * 2009-09-07 2011-03-15 표대영 고주파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1151173B1 (ko) * 2011-12-05 2012-06-01 김근영 전극 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부열 발생장치
KR101257022B1 (ko) * 2013-01-03 2013-04-24 (주)하늘마음바이오 고주파 치료기용 압력 감지 타입 전극 유닛
KR101636329B1 (ko) * 2016-02-17 2016-07-05 주식회사 서린메디케어 심부열 치료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981A (ko)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큐어텍 고주파 온열 치료기
KR102663667B1 (ko) * 2021-04-14 2024-05-09 주식회사 큐어텍 고주파 온열 치료기
KR102601570B1 (ko) * 2023-03-29 2023-11-14 윤정민 고주파 발 마사자기용 전극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519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589B1 (ko) 고주파 치료장치
US7634314B2 (en) Powered stimulation device
KR101194560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마사지장치가 하부에 부착된 화장품용기
US20070282400A1 (en) Combination medical therapy device that integrates: electrical stimulation, light therapy, heat, pressure, and vibration
KR101125857B1 (ko) 고주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847734A (zh) 面部提拉装置
JP2022512279A (ja) 体性分を測定するための体成分測定モジュールを含むマッサージ装置及び体成分測定方法
KR101004373B1 (ko) 레이저 조사부가 장착된 전기자극 경혈치료기
CN105792884A (zh) 射频热疗装置
KR102214521B1 (ko) 미용에 사용하는 복합 전극패드를 이용한 미용기기와 그 방법
KR20150057691A (ko) 휴대형 다기능 치료기
KR102401103B1 (ko) 고주파 치료장치
KR20190107955A (ko) 다층 피부 치료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치료기
KR101252931B1 (ko) 온열치료기, 건강보조베개 및 건강보조방석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KR100995837B1 (ko) 온열 기능을 갖는 저주파 발패드
KR101944436B1 (ko) 고주파 조사량 및 습도 조절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고주파를 이용한 미용의료 장치
KR200489895Y1 (ko) 재활치료용 레이저 침치료기
KR200384814Y1 (ko) 피부측정장치 및 레이저 조사기가 장착된 마사지기
CN104511092A (zh) 一种低周波治疗仪
CN203525137U (zh) 一种低周波治疗仪
CN219166856U (zh) 一种自动化热辐射治疗仪
US11464995B2 (en) Magnetic nerve stimulator
US20240075309A1 (en) Magnetic nerve stimulator
CN2589002Y (zh) 综合理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