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204B1 - 구명 조끼 - Google Patents

구명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204B1
KR101979204B1 KR1020180021141A KR20180021141A KR101979204B1 KR 101979204 B1 KR101979204 B1 KR 101979204B1 KR 1020180021141 A KR1020180021141 A KR 1020180021141A KR 20180021141 A KR20180021141 A KR 20180021141A KR 101979204 B1 KR101979204 B1 KR 10197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pace
pad
tub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훈
최종길
Original Assignee
김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훈 filed Critical 김길훈
Priority to KR102018002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30/00Apparatus or devices using heat produced by exothermal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comb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발열 수단을 구비한 구명 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구명 조끼는 상호 적층된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되는 패드; 상기 패드에 배치되는 발열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카트리지는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되는 제1챔버와, 상기 제2공간과 연결되는 제2챔버와, 상기 제1챔버에 기체를 주입하는 펌프와,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펌프에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발열하고, 상기 제1공간에는 기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2공간과 상기 제2챔버에는 액체 열매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명 조끼{LIFE SAFETY JACKET}
본 발명은 구명 조끼에 관한 것이다.
구명 조끼는 해양 사고의 발생을 대비하여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조끼로, 수중에서 착용자를 부양시켜 호흡을 확보할 수 있으며, 체온을 유지시켜 동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적절한 외부 알림 수단(일 예로, 구조 신호)을 구비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체온 유지를 위해, 일반적인 구명 조끼는 탈착형의 발열 수단을 사용한다. 그러나 침수에 의해 발열 수단이 오작동하며(특히, 전동식인 경우 누전 발생), 발열 지점이 한정되어 있어 실질적인 체온 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명 조끼는 발열 패드가 수동에 의해 작동하여, 착용자가 의식을 잃었을 때를 대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적절한 외부 알림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특허등록공보 제10-1746351호(2017.06.05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발열 수단을 구비한 구명 조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효과적인 외부 알림 수단을 구비한 구명 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구명 조끼는 상호 적층된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되는 패드; 상기 패드에 배치되는 발열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카트리지는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되는 제1챔버와, 상기 제2공간과 연결되는 제2챔버와, 상기 제1챔버에 기체를 주입하는 펌프와,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펌프에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발열하고, 상기 제1공간에는 기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2공간과 상기 제2챔버에는 액체 열매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카트리지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제2챔버의 내부로 노출되는 전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수동 조작과 자동 조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펌프의 자동 조작에는 수팽창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구명 조끼에 배치되는 열전 발전기; 상기 구명 조끼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기와 조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과 제1챔버를 연결하는 제1튜브; 상기 제2공간과 제2챔버를 연결하는 제2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후방에 배치되는 제1패드와, 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2패드와,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3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패드의 상부 또는 중간 인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 수단이 밀봉된 카트리지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발열체는 기체 주입 방식에 의해 발열하므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는 제1공간(기체)과 제2공간(액체)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공간의 기체에 의해 부양력을 유지하면서도, 제2공간의 액체(열매체)에 의해 대류, 열전달이 활발하게 일어나 구명 조끼 전체로 열이 확산될 수 있다.
신호기와 조명기는 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전원이 인가(열전 발전기 구비)되어, 구조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명 조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열 카트리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펌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펌프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명 조끼가 심장을 중심으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명 조끼(10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명 조끼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발열 카트리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펌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펌프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명 조끼가 심장을 중심으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구명 조끼(1000)는 패드(100), 발열 카트리지(200), 열전 발전기(300), 신호부(400), 제1튜브(500), 제2튜브(600) 및 밸트(7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100)는 구명 조끼(1000)의 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며, 발명 카트리지(200)는 발열 수단으로 탈착형이고 수동 및 자동으로 작동하며, 열전 발전기(300)는 발열에 의해 신호부(400)에 전기를 공급하며, 신호부(400)는 외부로 구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제1튜브(500) 및 제2튜브(600)는 패드(100)와 발열 카트리지(200)를 연결하며, 밸트(700)는 구명 조끼(1000)가 착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게 도와준다.
패드(100)는 구명 조끼(10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일 수 있다. 패드(100)는 합성 섬유 등의 옷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호 적층된 제1공간(101) 및 제2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2층 구조, 도 1의 A-A' 선에 의한 절단면 참조). 이 경우, 제1공간(101) 및 제2공간(102)의 적층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설계적 요청에 의해, 제1공간(101)이 내측에 배치되고 제2공간(102)이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공간(101)이 외측에 배치되고, 제2공간(102)니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공간(101)의 내부에는 기체(일 예로,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 등)가 수용될 수 있다. 구명 조끼(1000)는 제1공간(101)의 기체에 의해 부양력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는 수면 위에서 안정적인 호흡을 확보할 수 있다(익사 방지).
제2공간(102)의 내부에는 액체(일 예로, 물)가 수용될 수 있다. 제2공간(102)의 액체는 발열 카트리지(200)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대류 및 열전달에 의해 착용자의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패드(100)는 위치에 따라 제1패드(110), 제2패드(120) 및 제3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드(110)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등을 커버할 수 있다. 제2패드(120) 및 제3패드(130)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가슴과 배를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패드(120)는 착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심장"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패드(130)는 착용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공간(101) 및 제2공간(102)은 제1패드(110), 제2패드(120) 및 제3패드(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공간(101) 및 제2공간(102)은 제1패드(110), 제2패드(120) 및 제3패드(130)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단일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패드(120) 및 제3패드(130)는 상호 이격되어 제1패드(110)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밸트(700)에 의해 제2패드(120) 및 제3패드(130)를 몸통에 밀착시킬 수 있다.
제2패드(120)의 전방 하단에는 발열 카트리지(200)가 장착될 수 있고, 제2패드(120)의 전방 상단에는 신호부(400)가 장착될 수 있고, 제2패드(120)의 내부나 전방에서 발열 카트리지(200)와 신호부(400) 사이에는 열전 발전기(30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패드(120)의 내부로 제1튜브(500)와 제2튜브(600)가 연장될 수 있다.
발열 카트리지(200)는 제2패드(120)의 전방 하단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발열 카트리지(200)는 제1챔버(210), 제2챔버(220), 펌프(230) 및 전도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챔버(210)는 제1튜브(500)에 의해 패드(100)의 제1공간(10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챔버(210)는 홀(231)에 의해 펌프(230)와 연결될 수 있다. 체1챔버(210)는 내부에 기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는 공기, 산소 및 이산화 탄소 등일 수 있다. 제1챔버(210)의 기체에 의해 부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1챔버(210)는 내부에 발열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체는 분말 형태로 펌프(230)에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열체는 미세한 철(Fe) 분말로, 펌프(230)에서 주입되는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발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발열체는 진동에 의해 발열하는 분말로, 펌프(230)에서 주입되는 이산화 탄소에 의해 요동하여 발열할 수 있다.
제2챔버(220)는 제1챔버(210)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챔버(220)는 제2튜브(600)에 의해 패드(100)의 제2공간(10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챔버(220)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는 물 등의 열매체일 수 있다. 제2챔버(220)의 액체에 의해 제1챔버(210)에서 발생한 열이 제2공간(102)을 따라 구명 조끼(1000) 전체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챔버(210)에서 발생한 열은 제1튜브(500)를 통해 제1공간(10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욱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해, 제1챔버(210)에서 발생한 열은 전도체(240, 금속 재질, 제1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 배치)를 통해 제2챔버(220)로 전달되고, 제2튜브(600)를 통해 제2공간(102)으로 전달되어 구명 조끼(1000) 전체에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액체 열매체의 높은 열전달률과 대류 현상에 의함). 아울러, 부수적으로 제1챔버(210)의 기체는 제1공간의 충진율을 높여, 부양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펌프(230)는 제1챔버(210) 및/또는 제2챔버(220)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펌프(230)는 제1챔버(210)와 홀(23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펌프(230)는 제1챔버(210)에 기체를 주입하여, 제1챔버(210) 내부의 발열체를 발열시킬 수 있다. 펌프(230)는 수동 조작과 자동 조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조작을 위해 수팽창 부재(235)가 이용될 수 있다.
펌프(230)는 케이스(232), 레버(233), 로드(234), 수팽창 부재(235) 및 분사 모듈(23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32)는 펌프(230)의 외장 부재로 일측에는 분사 모듈(236)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고, 타측에는 레버(233)가 장착되는 손잡이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32)의 손잡이에는 레버(233)에 의해 분사 모듈(236)을 가압하는 로드(234)가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232)의 손잡이에는 제1챔버(210)와 연결되는 홀(231)이 배치될 수 있으며, 홀(231)은 분사 모듈(236)가 연결되어 분사 모듈(236)에서 분사된 기체는 홀(231)을 통해 제1챔버(210)로 주입될 수 있다. 한편, 레버(233)와 로드(234) 사이에는 수팽창 부재(235)가 배치될 수 있다.
착용자는 레버(233)를 잡아 당겨 "수동"으로 펌프(2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230)는 착용자의 입수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수팽창 부재(235)가 팽창하여 로드(234)를 가압하여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명 조끼(1000)는 착용자의 의식을 불문하고 착용자의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분사 모듈(236)을 설명한다. 분사 모듈(236)은 레버(233)에 의해 가압되어,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 모듈(236)은 저장부(236-1), 지지부(236-2), 탄성부(236-3), 노즐부(236-4), 유로부(236-5) 및 밀폐부(236-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6-1)는 기체가 저장되는 "탱크"와 같은 용기일 수 있다. 지지부(236-2)의 내부에는 탄성부(236-3)가 배치되어 노즐부(236-4)를 지지할 수 있다. 노즐부(236-4)의 내부에는 유로부(236-5)가 배치될 수 있다. 유로부(236-5)는 평상시에는 밀폐부(236-6, 일 예로, 고무 패킹 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도 4의 (a) 참조), 자동 조작 또는 수동 조작시 로드(234)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유로부(236-5)가 개방되면, 저장부(236-1)의 기체는 유로부(236-5)를 통해 이동하고, 펌프(230)의 홀(231)을 통해 제1공간(21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열전 발전기(300)는 발열 카트리지(200)에서 열이 발생하면 열이 발생하는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 발전기(300)는 신호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카트리지(200)에서 발생한 열은 착용자의 체온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신호부(400)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신호부(400)는 열전 발전기(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신호부(400)는 신호기(410)와 조명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기(410)는 무선 통신 기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신호기(410)는 무선으로 "모스 부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기(410)는 전원을 공급받은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작동할수 있다. 오보를 막기 위함이며, "일정 시간"은 5분 이상 30분 이하일 수 있다. 조명기(420)는 발광 신호를 송출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인근의 구조원, 구조정 및 구조헬기 등이 조난자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기 위함이다. 조명기(420)는 LED(Light Emitthing Diode) 패널 등일 수 있고, "SOS"라는 문자를 출사할 수 있다.
제1튜브(500)는 패드(100)의 내부와 발열 카트리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튜브(500)는 제1공간(101)과 제1챔버(2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튜브(500)는 2개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튜브(500)의 일측은 패드(100)의 제1공간(101)과 연결될 수 있고, 제1튜브(500)의 타측은 발열 카트리지(200)의 제1챔버(210)와 연결될 수 있고, 제1튜브(500)의 일측과 타측은 제1커넥터(50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그 결과, 발열 카트리지(200)는 패드(100)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튜브(500)는 제1본체(510), 제1노즐(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노즐(520)은 제1분사부(521), 제1밀폐부(522) 및 제1연결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510)는 관 형태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발열 카트리지(200)의 제1챔버(210)에서 패드(100)의 제1공간(10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노즐(520)은 제1본체(510)의 말단에 배치되어, 제1공간(10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노즐(520)의 제1분사부(521)는 제1본체(510)보다 단면이 작은 개구를 가져, 기체를 제1공간(101)으로 분사할 수 있다. 제1노즐(520)의 제1밀폐부(522)는 제1본체(510)보다 단면이 큰 부재로, 제1본체(510)의 기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노즐(520)의 제1연결부(52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로, 제1본체(5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노츨(5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2튜브(600)는 패드(100)의 내부와 발열 카트리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튜브(600)는 제2공간(102)과 제2챔버(2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튜브(600)는 2개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튜브(600)의 일측은 패드(100)의 제2공간(102)과 연결될 수 있고, 제2튜브(600)의 타측은 발열 카트리지(200)의 제2챔버(21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튜브(600)의 일측과 타측은 제2커넥터(60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그 결과, 발열 카트리지(200)는 패드(100)에 탈착과 부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튜브(600)는 제1튜브(500)와 마찬가지로 제2본체(610), 제2노즐(6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노즐(620)은 제2분사부(621), 제2밀폐부(622) 및 제2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형태와 배치에는, 제1공간(101)이 제2공간(102)으로 변경고 제1챔버(210)가 제2챔버(220)로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면, 제1튜브(500)가 유추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튜브(500)와 제2튜브(60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패드(120)의 상부 또는 중간 인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튜브(500)와 제2튜브(600)는 착용자의 심장 인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튜브(500)의 제1노즐(520)은 심장 인근에서 발열 카트리지(200)에서 발열된 기체를 분사할 수 있고, 제2튜브(600)의 제2노즐(620)은 심장 인근에서 발열 카트리지(200)에서 발열된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그 결과, 발열 카트리지(200)에서 발생된 열은 착용자의 심장 부근에서 상반신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도 1 및 도 5 참조).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패드
200: 발열 카트리지
300: 열전 발전기
400: 신호부
500: 제1튜브
600: 제2튜브
700: 밸트

Claims (5)

  1. 상호 적층된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에 배치되는 발열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카트리지는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되는 제1챔버와, 상기 제2공간과 연결되는 제2챔버와, 상기 제1챔버에 기체를 주입하는 펌프와,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펌프에서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발열하고, 상기 제1공간에는 기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2공간과 상기 제2챔버에는 액체 열매체가 수용되는 구명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카트리지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제2챔버의 내부로 노출되는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구명 조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수동 조작과 자동 조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펌프의 자동 조작에는 수팽창 부재가 이용되는 구명 조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조끼에 배치되는 열전 발전기; 및
    상기 구명 조끼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기와 조명기를 더 포함하는 구명 조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과 제1챔버를 연결하는 제1튜브; 및
    상기 제2공간과 제2챔버를 연결하는 제2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후방에 배치되는 제1패드와, 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2패드와,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3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패드의 상부 또는 중간 인근까지 연장되는 구명 조끼.
KR1020180021141A 2018-02-22 2018-02-22 구명 조끼 KR10197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41A KR101979204B1 (ko) 2018-02-22 2018-02-22 구명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41A KR101979204B1 (ko) 2018-02-22 2018-02-22 구명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204B1 true KR101979204B1 (ko) 2019-05-15

Family

ID=6657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41A KR101979204B1 (ko) 2018-02-22 2018-02-22 구명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2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98B1 (ko) * 2020-05-14 2020-08-11 (주)덕평텍스타일 장시간 체온유지가 가능한 구명재킷
KR102290304B1 (ko) * 2020-06-11 2021-08-17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발열 및 발포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라이프 재킷
KR102430308B1 (ko) * 2022-04-21 2022-08-08 주식회사 슈퍼차일드 생존수영 보조 기반의 보온성을 강화한 구명조끼
KR102436058B1 (ko) * 2021-10-06 2022-08-24 김창수 비상 신호 발생 구명조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4686A (ja) * 2011-02-02 2014-02-24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ォルデルング デル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シユング エー.フアー. 冷却室内で使用するための防護服
KR101746351B1 (ko) 2016-10-07 2017-06-13 박의정 탈착형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조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4686A (ja) * 2011-02-02 2014-02-24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ォルデルング デル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シユング エー.フアー. 冷却室内で使用するための防護服
KR101746351B1 (ko) 2016-10-07 2017-06-13 박의정 탈착형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조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98B1 (ko) * 2020-05-14 2020-08-11 (주)덕평텍스타일 장시간 체온유지가 가능한 구명재킷
KR102290304B1 (ko) * 2020-06-11 2021-08-17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발열 및 발포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라이프 재킷
KR102436058B1 (ko) * 2021-10-06 2022-08-24 김창수 비상 신호 발생 구명조끼
KR102430308B1 (ko) * 2022-04-21 2022-08-08 주식회사 슈퍼차일드 생존수영 보조 기반의 보온성을 강화한 구명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204B1 (ko) 구명 조끼
US20210137165A1 (en) Electronic cigarette
KR102025039B1 (ko) 전기 분해식 수소 가스 흡인도구
EP2588203A1 (en) Indicator arrangement, regulator release button, and breathing apparatus
US20100167608A1 (en) Freediving Safety Apparatus
EP1580116A1 (en)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US20100300436A1 (en) Device for locating person in emergency environment
US6279571B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US20110001437A1 (en) Hoist Cable Illuminator
CA2878156C (en) Aircraft crew member protective breathing apparatus
KR100951394B1 (ko)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KR101003795B1 (ko) 화재 진압용 소화기
US6050261A (en) Combination backframe and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KR101064653B1 (ko) 일회용 구명의
KR101213673B1 (ko) 근접 위치식별 시스템
CA2917650C (en) Aircraft crew member protective breathing apparatus
US1293850A (en) Fire-extinguisher.
RU2335314C2 (ru) Изолирующий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2402676B1 (ko) 무선 허드를 구비하는 공기호흡기용 풀페이스 마스크
WO2018199700A1 (ko) 소화수단이 내장된 작업용 조끼
KR20150116277A (ko) 모기퇴치장치
JP2007032864A (ja) 刺股
KR20220148064A (ko) 가스누설 경보기 내장 캠프용 램프
KR20170008900A (ko) 모기 유인 퇴치기
US836524A (en) Pneumatic life-saving s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