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04B1 -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 Google Patents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04B1
KR101978604B1 KR1020180088434A KR20180088434A KR101978604B1 KR 101978604 B1 KR101978604 B1 KR 101978604B1 KR 1020180088434 A KR1020180088434 A KR 1020180088434A KR 20180088434 A KR20180088434 A KR 20180088434A KR 101978604 B1 KR101978604 B1 KR 101978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ain body
building block
suppor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훈
Original Assignee
오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훈 filed Critical 오정훈
Priority to KR102018008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건축용블록을 이용하면서도 사방으로 인접한 건축용블록 간을 고정시킴에 있어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중공부를 가지며 마구리에 높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건축용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건축용블록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요홈부의 외측으로 마구리 사이에 세워지는 두 개의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고, 요홈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두 개의 수직지지대 사이에서 수직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상하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Building guide for construction block}
본 발명은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구조적 안전성을 가지도록 건축용블록을 쌓을 수 있는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건축용블록을 조적하여 조적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모르타르를 건축용블록 사이, 즉 건축용블록과 인접한 건축용블록 사이 모두에 도포한다.
그러나,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온도변화 및 바람 등의 환경적 원인에 의해 수축 및 팽창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건조되기 전 외력이 작용하면 조적된 건축용블록이 무너지거나 비뚤어져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건축용블록의 위치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반듯하게 조적하는 작업은 고도의 숙련을 요구하는 것으로, 초보자에게는 쉬운 작업이 아니며 모르타르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이 장시간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작업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5136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조립식 기능성 조적용 건축자재가 게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을 위한 연결돌출부(4)와 연결결합부(10)가 있어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아도 접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용발명 1은 종래의 건축용블록과 구조를 달리하는 것으로, 연결돌출부(4)와 연결결합부(10)가 형성된 건축용블록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건축용블록을 이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인용발명과 같이 연결돌출부(4)와 연결결합부(10)를 가진 건축용블록을 사용하더라도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건축용블록 사이에는 지지력을 가지지 못하여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건축용블록을 이용하면서도 사방으로 인접한 건축용블록 간을 고정시킴에 있어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는 수직으로 관통된 중공부를 가지며 마구리에 높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건축용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건축용블록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요홈부의 외측으로 마구리 사이에 세워지는 두 개의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고, 요홈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두 개의 수직지지대 사이에서 수직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상하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연결구는 수직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일방향에 대하여 양측부가 요홈부를 향해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면은 수직지지대에 마구리가 맞닿는 건축용블록의 요홈부와 맞닿으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연결구는 사각틀이 수직지지대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형태를 이루고, 사각틀 내부에 'X'자 트러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직교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조적되는 건축용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횡연결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연결체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연결부에 결합되고 중공부와 요홈부의 외측으로 놓여지는 두 개의 수평지지대; 및 상기 중공부 사이 또는 중공부와 요홈부 사이에서 수평지지대 간을 연결하는 간격유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는 건축용블록 길이의 절반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횡연결체는 'H' 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가 측방향으로 인접한 건축용블록 사이에 설치됨에 있어 수직지지대에 의해 건축용블록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하연결구가 상방으로 인접하게 조적되는 건축용블록의 중공부나 요홈부에 삽입되므로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건축용블록을 사방으로 용이하게 조적할 수 있다. 또한, 건축용블록을 새로이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건축용블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기능성 조적용 건축자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에 적용되는 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가 건축용블록 사이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에 적용되는 본체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에 적용되는 본체에 형성된 연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에 적용되는 횡연결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를 이용하여 막힌줄눈쌓기를 한 조적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를 이용하여 통줄눈쌓기를 한 조적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건축용블록을 이용하면서도 사방으로 인접한 건축용블록 간을 고정시킴에 있어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중공부를 가지며 마구리에 높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건축용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건축용블록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요홈부의 외측으로 마구리 사이에 세워지는 두 개의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고, 요홈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두 개의 수직지지대 사이에서 수직지지대의 상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상하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블록(10)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1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의 건축용블록(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관통된 중공부(11)를 적어도 하나 가지며, 마구리, 즉 양측면에 높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홈부(12)가 형성된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11)는 횡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나, 중앙 부분에 직선부를 가지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추후 설명할 지지면(121)이 중공부(11)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요홈부(12)는 중공부(11)가 종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나뉘어진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건축용블록의 형태 중 하나이다.
상기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블록(1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수직지지대(110)와, 상기 두 개의 수직지지대(110) 사이에 구비되는 상하연결구(1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지지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12)의 외측으로 마구리 사이에 세워지는바,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조적되는 건축용블록(10)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수직지지대(110)는 통공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H'자 구조를 형성하여 통공이 없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도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상하연결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고, 요홈부(12)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상하연결구(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구비된 부분은 두 개의 수직지지대(110) 사이에 위치하는 요홈부(12)에 놓이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구비된 부분은 수직지지대(110)가 세워진 건축용블록(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상하연결구(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방으로 인접하게 조적되는 건축용블록(10)의 중공부(11)나 요홈부(12)에 삽입되므로, 상기 본체(100)를 측방향으로 인접한 건축용블록(10) 사이에 설치한 다음, 상측으로 돌출된 상하연결구(120)에 건축용블록(10)이 끼워지도록 조적함으로써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건축용블록(10)을 사방으로 용이하게 조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연결구(1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일방향에 대하여 양측부가 요홈부(12)를 향해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면(1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면(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10)에 마구리가 맞닿는 건축용블록(10)의 요홈부(12)의 내측면과 맞닿으며 본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면(121)은 수직지지대(110)와 상하연결구(12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마구리 사이에 세워지는 본체(100)를 보다 견고히 지지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지지면(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 즉 일방향에 대하여만 형성될 수 있으나, 본체(100)의 상측에서 상하연결구(120)에 삽입되는 건축용블록(10) 또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으로부터 상하방향 모두, 즉 상하연결구(120)의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부에 지지면(1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연결구(12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체(A)의 경량화를 이루면서 구조적 안전성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이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형태를 이루고, 사각틀 내부에 'X'자 트러스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A)는 수직지지대(110)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H'자 구조를 형성하고, 상하연결구(120)가 사각틀 내부에 'X'자 트러스가 형성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자체적인 견고함을 가질 뿐만 아니라 조적되는 건축용블록(10)에 구조적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수직지지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11)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횡연결체(20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횡연결체(200)는 본체(100)와 직교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조적되는 건축용블록(10) 사이에 설치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평지지대(210)와, 상기 수평지지대(210) 간을 연결하는 간격유지바(22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지지대(210)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연결부(111)에 결합되고 중공부(11)와 요홈부(12)의 외측으로 건축용블록(10)의 상면에 놓여진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바(220)는 중공부(11) 사이 또는 중공부(11)와 요홈부(12) 사이인 건축용블록(10)의 상면에 놓여진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210)의 일단은 연결부(111)와 돌기홈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예로, 상기 수평지지대(210)의 일단에는 돌출된 연결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11)에는 연결돌기(211)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돌기(211)는 전체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연결부(111)와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수평지지대(210)는 건축용블록(10) 길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본체(100)와 본체(100)를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조적벽체를 구성함에 있어 편의를 비롯하여, 본체(100)와 횡연결체(200)의 다양한 배치를 이유로, 건축용블록(10) 길이의 절반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횡연결체(20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지지대(210)와 간격유지바(220)는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는 'H'자 구조를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지지대(110)에 형성된 통공과 마찬가지로, 상기 횡연결체(200)에도 다수의 통공이 길게 형성되며 통공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H'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하로 조적되는 건축용블록(10)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본체(A)가 흔들림없이 건축용블록(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체(100)와 횡연결체(200)를 이용하여 조적벽체를 구성하는 일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막힌줄눈쌓기를 통해 조적벽체를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인접하는 건축용블록(10)의 마구리 사이에 본체(100)를 위치시키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횡연결체(200)를 결합시킨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블록(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본체(100), 즉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구비된 상하연결구(120) 부분을 다른 건축용블록(10)의 중공부(11)에 삽입시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건축용블록(10)이 조적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건축용블록(10)을 반복적으로 조적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힌줄눈쌓기를 한 조적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줄눈쌓기를 통해 조적벽체를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인접하는 건축용블록(10)의 마구리 사이에 본체(100)를 위치시키고,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횡연결체(200)를 결합시킨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블록(10)의 반대쪽 마구리에 본체(100)를 위치시키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맞춰 본체(100)의 돌출된 부분에 다른 건축용블록(10)을 조적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건축용블록(10)을 반복적으로 조적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줄눈쌓기를 한 조적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10 : 건축용블록 11 : 중공부
12 : 요홈부
100 : 본체 110 : 수직지지대
111 : 연결부 120 : 상하연결구
121 : 지지면
200 : 횡연결체 210 : 수평지지대
211 : 연결돌기 220 : 간격유지바

Claims (5)

  1. 수직으로 관통된 중공부(11)를 가지며 마구리에 높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요홈부(12)가 형성된 건축용블록(10) 사이에 설치되는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건축용블록(1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요홈부(12)의 외측으로 마구리 사이에 세워지는 두 개의 수직지지대(110); 및
    상기 수직지지대(1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를 가지고, 요홈부(12)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두 개의 수직지지대(110) 사이에서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상하연결구(120);를 포함하여, 상기 건축용블록(10)을 사방으로 용이하게 조적할 수 있고,
    상기 본체(100)와 직교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조적되는 건축용블록(10) 사이에 설치되는 횡연결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지지대(110)는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횡연결체(200)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연결부(111)에 결합되고 중공부(11)와 요홈부(12)의 외측으로 놓여지는 두 개의 수평지지대(210); 및
    상기 중공부(11) 사이 또는 중공부(11)와 요홈부(12) 사이에서 수평지지대(210) 간을 연결하는 간격유지바(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연결구(120)는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일방향에 대하여 양측부가 요홈부(12)를 향해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면(12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면(121)은 수직지지대(110)에 마구리가 맞닿는 건축용블록(10)의 요홈부(12)와 맞닿으며 본체(1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연결구(120)는 사각틀이 수직지지대(110)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형태를 이루고, 사각틀 내부에 'X'자 트러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210)는 건축용블록(10) 길이의 절반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횡연결체(200)는 'H' 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KR1020180088434A 2018-07-30 2018-07-30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KR10197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34A KR101978604B1 (ko) 2018-07-30 2018-07-30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34A KR101978604B1 (ko) 2018-07-30 2018-07-30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604B1 true KR101978604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34A KR101978604B1 (ko) 2018-07-30 2018-07-30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6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0840A1 (en) * 1988-05-05 1989-11-08 N.V. Bekaert S.A. Masonry wall with reinforcing apparatus
WO1992002694A1 (en) * 1990-08-07 1992-02-20 Andrew Barker Construction joints
JPH0868136A (ja) * 1994-06-24 1996-03-12 Toshikazu Izu スペーサ兼用ブロック連結体
EP0859098A1 (en) * 1997-02-14 1998-08-19 Josep Maria Adell Argiles Integral reinforcing system for masonry wal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0840A1 (en) * 1988-05-05 1989-11-08 N.V. Bekaert S.A. Masonry wall with reinforcing apparatus
WO1992002694A1 (en) * 1990-08-07 1992-02-20 Andrew Barker Construction joints
JPH0868136A (ja) * 1994-06-24 1996-03-12 Toshikazu Izu スペーサ兼用ブロック連結体
EP0859098A1 (en) * 1997-02-14 1998-08-19 Josep Maria Adell Argiles Integral reinforcing system for masonry wa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554B1 (ko) 적층가능 블록구조
CA2481534C (en) Interlocking block
US6164035A (en) Reinforced foam block wall
US8091308B2 (en) Dry stack insulated building blocks
US20060037272A1 (en) Web offset lug dry-stack system
CN112196124B (zh) 嵌入型锁式钢木组合节点
WO2012149910A1 (zh) 一种檐连接件、建筑框架结构及安装方法
KR101978604B1 (ko) 건축용블록 조적가이드
KR102041892B1 (ko) 조적 안정성과 상호 결합성이 증대된 보강토 옹벽블럭 및 그 옹벽블럭의 제조방법
KR100681317B1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CN106639155B (zh) 一种倒梯形变截面钢管混凝土柱
KR200400095Y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JP2016180281A (ja) 家屋の外壁施工方法
CN220954799U (en) Device convenient to build house floor additional
CN219909452U (zh) 一种装配式墙体
CN218623859U (zh) 门柱及框架门楼
CN218117127U (zh) 一种贝雷架柱头连接件
CN217379223U (zh) 一种抗震交错桁架钢框架结构
CN212478075U (zh) 柱预埋件、梁柱连接组件以及装配式梁柱节点
CN214329431U (zh) 一种钢筋混凝土叠合剪力墙
CN211286569U (zh) 一种用于爬架的水平桁架
JPH0349146Y2 (ko)
CN210976332U (zh) 一种高稳定性钢结构箱型柱
CN215518798U (zh) 一种八字撑组件
CN214785035U (zh) 一种低层装配式钢砼结构建筑的挂板柱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