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503B1 -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503B1
KR101978503B1 KR1020180152158A KR20180152158A KR101978503B1 KR 101978503 B1 KR101978503 B1 KR 101978503B1 KR 1020180152158 A KR1020180152158 A KR 1020180152158A KR 20180152158 A KR20180152158 A KR 20180152158A KR 101978503 B1 KR101978503 B1 KR 101978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display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link
work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진
Original Assignee
주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진 filed Critical 주용진
Priority to KR102018015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Locating Faul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가공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를 원격에서 수리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기와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간에, 수리를 필요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인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개설하는 무선 통신 링크 개설 과정; 무선 통신 링크가 개설되면, 작업자 단말기가,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에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로서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 과정; 및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링크를 종료하는 무선 통신 링크 종료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Method for repairing error display in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으로서, 배전선로 고장을 표시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를 원격에서 수리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에는 가공선과 지중선이 있으며 일반가정이나 상점, 소공장 등에는 가공선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중 배전선로는 지하에 전력케이블을 매설하고 이것을 절연도체로 하여 배전하는 방식인데, 가공배전선로에 비해 미관에 좋으며,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건설비, 매설비 등이 비싸고 공사 및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 배전선은 경제적 견지에서 거의 가공선 방식을 이용하고 있지만 배전선로 고장이 자주 발생하며 고장난 배전선로를 찾기 위해 도로 및 골목을 따라 일일이 선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탐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가로수, 건물 등 장애물로 가려지거나 미세한 흠집으로 인한 고장이 배전선로 상에 발생한 경우에는 배전 선로의 고장구간을 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탐지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이 다수 분기점 등으로 복잡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고장구간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불가능하거나 탐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광역 정전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82669호(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는 가공선에 위치하고 있어,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공 배전선로의 전력 전송 환경에 따라서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램프의 색상이나 조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에 접근하여 램프 동작 DB를 업데이트하여야 하나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워 업데이트 수리 작업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를 위하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를 원격에서 수리하기 위한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등록특허 10-148266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작업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업데이트를 손쉽게 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가공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를 원격에서 수리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기와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간에, 수리를 필요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인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개설하는 무선 통신 링크 개설 과정; 무선 통신 링크가 개설되면, 작업자 단말기가,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에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로서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 과정; 및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링크를 종료하는 무선 통신 링크 종료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선로 개설 과정은, 작업자 단말기가, 수리할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고유 아이디인 수리 대상 아이디를 가진 웨이크업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 및 수리 대상 아이디를 가진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ACK 신호를 전송하여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은,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매칭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구현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은,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선로 상태 정보 전송 과정;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매칭 데이터 전송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램프 발광 색상, 램프 조도의 값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배전센터로 고장 신고하는 기준이 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임계 전압값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간에 무선 통신 링크가 개설된 후에, 핸드쉐이킹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핸드쉐이킹이 실패한 경우 이를 감지한 측에서 링크 재설정을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작업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작업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를 손쉽게 업데이트 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구성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100)는 가공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며 제어부(130),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부(110),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120) 및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는 램프부(140),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50),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60),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170),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력 센서(180) 및 램프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 차단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감지부(110)는 전류감지센서, 전압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고장 판단부(120)는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장 판단부(120)는 예를 들면 감지 데이터의 수치가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고장 판단부(120)는 기 설정된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설정된 각각의 데이터 수치를 감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단계적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장 판단부(120)는 예를 들어 전류 데이터의 기 설정 데이터가 각각 1A, 2A, 3A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감지 데이터의 전류값이 1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단계로, 2A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의 단계로, 3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험 단계로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적 고장여부 판단은 설정에 따라 전류, 전압 및 온도 데이터의 수치를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고장 판단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램프부(140)는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 되어 동작한다. 램프부(140)는 예를 들면,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램프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 및 색상, 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1통신부(150)는 도 3에 도시된 작업자(400)가 사용하는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RF, 블루투스, 초음파 통신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 단말기는, 작업자인 한국전력 직원 등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무선 통신이 가능한 노트북 단말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2통신부(160)는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통신부(160)는 예를 들면, CDMA, WiBro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10), 고장 판단부(120),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며, 램프부(140)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통신부(160)에서 수신한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이용하여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변압기, 개폐기 등에 설치되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는 배전기기 고장정보, 고장방향 등의 각종 상태정보를 배전센터(200)에 전송하며, 배전센터(200)는 이로부터 넓은 범위의 고장 발생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배전센터(200)는 고장 발생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광역 고장 정보를 제2통신부(16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고장 발생 지역에 해당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100)는 1차적으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램프부(140)와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장 판단부(12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램프부(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장 판단부(120)에서 단계적으로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램프부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예를 들면, 단계적 고장여부가 경고, 주의, 위험 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조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조도는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색상은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170)는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170)는 예를 들면, 전주의 기울어짐에 의해 배전선로의 기울기가 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기울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장 판단부(120)는 기울기 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력 센서(180)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장력 센서(180)는 예를 들면, 착빙과 풍압 등에 의하여 배전선로에 이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장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장 판단부(120)는 장력 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는 가공선에 위치하고 있어,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공 배전선로의 전력 전송 환경에 따라서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램프의 색상이나 조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에 접근하여 램프 동작 DB를 업데이트하여야 하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400)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워 업데이트 작업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400)가, 자신의 스마트폰 등의 작업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업데이트를 손쉽게 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를 위하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를 원격에서 수리하기 위한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하 도 4와 함께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가공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를 원격에서 수리하는 본 발명의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링크 개설 과정(S410),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S420), 업그레이드 과정(S430), 및 무선 통신 링크 종료 과정(S44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 개설 과정(S410)은, 작업자 단말기가, 수리를 필요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인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개설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제1,2,3,,4,5,6고장표시장치가 가공 배전선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1고장표시장치를 업그레이드 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기와 제1고장표시장치간에 무선 통신 링크가 개설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고장표시장치의 무선 통신 링크는 고장표시장치에 마련된 제1통신부(150)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통신 선로 개설 과정은, 작업자 단말기가, 수리할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고유 아이디인 수리 대상 아이디를 가진 웨이크업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S411)과, 수리 대상 아이디를 가진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ACK 신호를 전송하여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는 과정(S4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든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는,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하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웨이크업 신호에 기록된 수리 대상 아이디가 자신의 고유 아이디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수리 대상 아이디가 자신의 고유 아이디와 일치하는 경우,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는 자신이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임을 알 수 있게 되고, ACK 신호를 전송하여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게 된다. 참고로, ACK(acknowledge) 신호는, 송신 측에 대하여 수신 측에서 긍정적 응답으로 보내지는 전송 제어용 신호로서, 정확하게 접속되어 데이터가 오차 없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ACK 신호에 수리대상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아이디를 기록하여 함께 보내주어, 작업자 단말기에 알려주는 것이다.
나아가, 작업자 단말기와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간에 무선 통신 링크가 개설된 후에, 핸드쉐이킹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핸드쉐이킹이 실패한 경우 이를 감지한 측에서 링크 재설정을 시도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단말기와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간에 무선 통신 링크가 끊어지더라도 링크 재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통신 안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S420)은, 무선 통신 링크가 개설되면, 작업자 단말기가,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에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를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다양한 데이터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램프 발광 색상, 램프 조도의 값일 수 있다. 따라서 A 가공 배전선로에 고장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제1고장 상태인 경우 제1색상 및 제2조도로 램프 발광하였는데, 시설 설비 변화로 인하여 제1고장 상태일 때 제2색상 및 제2조도로 램프 발광시키고자 업데이트 하는 경우 제2색상 및 제2조도의 값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다.
또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배전센터로 고장 신고하는 기준이 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임계 전압값일 수 있다. 예전에 220V가 흐르던 A 가공 배전선로에 고장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210V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배전센터로 고장 신고하도록 설계되어 있었는데, 선로 설계 변경으로 인하여 A 가공 배전선로가 200V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만배전센터로 고장 신고하도록 설계 변경할 경우, 이를 반영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S420)은,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매칭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S420)은,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선로 상태 정보 전송 과정(S421)과, 작업자 단말기가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매칭 데이터 전송 과정(S422)을 가질 수 있다.
업그레이드 과정(S430)은,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로서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이다.
무선 통신 링크 종료 과정(S440)은,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작업자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링크를 종료하는 과정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S410:무선 통신 링크 개설 과정
S420: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
S430:업그레이드 과정
S440:무선 통신 링크 종료 과정

Claims (7)

  1. 가공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를 원격에서 수리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기와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간에, 수리를 필요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인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개설하는 무선 통신 링크 개설 과정;
    무선 통신 링크가 개설되면, 작업자 단말기가,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에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과정으로,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매칭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구현하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선로 상태 정보 전송 과정;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가공 배전선로의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매칭 데이터 전송 과정을 포함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 전송 과정;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무선 수신한 업그레이드 데이터로서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 과정; 및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상기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링크를 종료하는 무선 통신 링크 종료 과정;
    을 포함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선로 개설 과정은,
    작업자 단말기가, 수리할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고유 아이디인 수리 대상 아이디를 가진 웨이크업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 및
    수리 대상 아이디를 가진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ACK 신호를 전송하여 작업자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의 램프 발광 색상, 램프 조도의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배전센터로 고장 신고하는 기준이 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임계 전압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와 수리대상 고장표시장치간에 무선 통신 링크가 개설된 후에, 핸드쉐이킹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핸드쉐이킹이 실패한 경우 이를 감지한 측에서 링크 재설정을 시도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KR1020180152158A 2018-11-30 2018-11-30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KR101978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158A KR101978503B1 (ko) 2018-11-30 2018-11-30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158A KR101978503B1 (ko) 2018-11-30 2018-11-30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503B1 true KR101978503B1 (ko) 2019-05-14

Family

ID=6658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158A KR101978503B1 (ko) 2018-11-30 2018-11-30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440B1 (ko) * 2008-10-31 2009-01-29 주식회사 아이파워 수배전반의 전력 케이블 감시장치 및 방법
KR20090132933A (ko) * 2008-06-23 2009-12-31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배전기기 무선제어시스템 및 그 무선제어방법
KR101482669B1 (ko) 2013-07-08 2015-01-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933A (ko) * 2008-06-23 2009-12-31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배전기기 무선제어시스템 및 그 무선제어방법
KR100880440B1 (ko) * 2008-10-31 2009-01-29 주식회사 아이파워 수배전반의 전력 케이블 감시장치 및 방법
KR101482669B1 (ko) 2013-07-08 2015-01-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669B1 (ko)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US95607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 commissioning and locating lighting system
US20220083032A1 (en) Smart factory monitoring system
EP1862037A1 (en) Commissioning wireless network devices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plan
CN117412455A (zh) 用于调试照明控制系统的装置
MX2011000957A (es) Aislador de corto circuito.
US20240008431A1 (en) Irrigation controller with relays
KR101773170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KR101645519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KR100836533B1 (ko) 조명기기용 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90322232A1 (en) Brightness-ajustable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978503B1 (ko)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원격수리 방법
KR20060134238A (ko)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
US20040254725A1 (en) System for locating and addressing the lights of a beacon network
KR100509785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224722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976563B1 (ko)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의 조명 등록 장치 및 방법
KR101447259B1 (ko) 프로그래밍스위치의 바인딩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333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방 감시(계측)제어 방법 및 그 소프트웨어 장치
KR100567441B1 (ko) 조명등 양방향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1773776B1 (ko) 무선단말 자동설정 시스템
JP7043473B2 (ja) スイッチ装置
CN107665574B (zh) 一种自发电无线遥控装置的学码方法
KR200293217Y1 (ko) 가로등 원격제어장치
KR102309924B1 (ko) 도심 주택가의 배전선로 안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