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92B1 -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92B1
KR101978492B1 KR1020170159302A KR20170159302A KR101978492B1 KR 101978492 B1 KR101978492 B1 KR 101978492B1 KR 1020170159302 A KR1020170159302 A KR 1020170159302A KR 20170159302 A KR20170159302 A KR 20170159302A KR 101978492 B1 KR101978492 B1 KR 10197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rojectile
fixing
hold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이대성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7015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2Means for securing the rocket in the launc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발사체의 노즐에 장착되는 노즐 홀더부, 상기 발사체가 장입되는 발사관의 후단 측에 구비되는 발사체 고정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가 상기 발사관의 후단부 측을 통해 상기 발사관 내로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발사관의 외측에서 상기 노즐 홀더부를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발사체 조립 시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시 작업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발사관을 발사관 내에서 조립 위치로 위치시킬 필요 없이 발사관 내에 발사체를 장입한 후 바로 발사관의 외측에서 발사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발사체 조립 시 조립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발사체 조립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숙련된 작업자도 발사체를 발사관 내에 정확한 위치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STRUCTURE OF FIXING PROJECTILE AND ASSEMBLY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발사관을 이용하여 발사되는 발사체를 발사관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발사체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사관을 이용하여 발사되는 발사체로는 로켓탄, 유도탄 등이 있고, 발사관을 이용하여 발사되는 발사체는 발사관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발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발사관에는 발사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발사체 고정구조가 구비된다.
종래의 발사체 고정구조는 발사체를 발사관 내에 장입한 후 로켓탄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발사관 내에서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발사체 고정구조는 발사체를 발사관 내 장입한 후 작업자가 발사체 내로 손을 집어넣어 발사체를 조립위치로 위치시킨 후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발사체를 발사관에 조립하고 있다.
이 때 발사체는 전단핀, 볼트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거나, 실리콘 또는 아교 등의 접착제를 녹여서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사체 고정구조는 작업자가 발사체 내로 손을 집어넣어 발사체를 조립 위치로 위치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상해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발사체 고정구조는 발사관 내에 발사체가 장입된 상태에서 발사체를 조립 위치로 위치시켜야 하므로 발사체를 조립 위치로 정위치시키기가 어렵고, 미숙련된 작업자의 경우 발사체의 고정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사체 고정구조는 조립과정이 위험하고, 복잡하여 작업 효율이 나쁘며 발사체의 발사를 신속하게 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특허등록 제1483256호 '발사체 신속 구속 및 분리장치'(2015.01.06.등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특허등록 제1483256호 '발사체 신속 구속 및 분리장치'(2015.01.06.등록)는 발사관 내에서 발사체를 신속하게 구속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발사관 내에서 발사체를 고정쐐기로 가압하여 발사체가 발사될 때 고정쐐기가 회전하면서 발사체의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고정쐐기의 단부에 의해 발사체의 외주면에 눌린 자국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사체의 외주면에 고정쐐기에 의한 자국이 형성되는 경우 공기와의 마찰계수가 증대되고, 원하는 목표지점에 정확하게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또한, 발사체의 외주면 중 일부분만 발사관에 접촉된 상태로 발사되므로 발사관에서 직진 방향으로 안내되기 어렵고, 이는 발사체가 원하는 목표지점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국내특허등록 제1483256호 '발사체 신속 구속 및 분리장치'(2015.01.06.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발사체를 발사관에 장입한 후 발사관의 외측에서 발사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발사체 조립 시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발사체의 조립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발사체의 노즐에 장착되는 노즐 홀더부, 상기 발사체가 장입되는 발사관의 후단 측에 구비되는 발사체 고정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가 상기 발사관의 후단부 측을 통해 상기 발사관 내로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발사관의 외측에서 상기 노즐 홀더부를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홀더부는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에 볼트 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는 상기 발사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 및 상기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홀더부의 외측 둘레에는 제1결합부와 겹쳐지게 위치되어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볼트 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은 안쪽에서 바깥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홀더부는 상기 노즐의 안쪽 형상과 대응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차 직경이 증대되는 콘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즐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홀더부는 상기 노즐 내에 삽입되어 노즐 내에 고정되는 노즐 홀더부재 및 상기 노즐 홀더부재의 후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와 상기 발사관의 외측에서 장착되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는 상기 발사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 및 상기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는 상기 노즐의 출구를 막을 수 있는 원판 형상의 마개 몸체부 및 상기 마개 몸체부의 외측 둘레로 상기 제1결합부와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결합부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1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2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볼트 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내에 위치되는 점화장치 조립체는 단부에 뇌관이 구비되는 쇼크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홀더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홀더 결합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 홀더부재는 상기 점화장치 조립체에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홀더 결합돌기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중공부가 구비되는 제1링체, 상기 제1링체의 외측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며 상기 노즐의 후단부 측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2링체 및 상기 제1링체와 상기 제2링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중공부의 내주면과 상기 홀더 결합돌기부의 외주면에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홀더 결합돌기부가 상기 제1링체의 상기 제1중공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노즐의 출구 측에서 제1고정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노즐의 후단부에 밀착되는 링체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는 상기 제2고정부의 외측둘레로 상기 발사관의 단부와 겹쳐지는 관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지지부는 적어도 상기 발사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기 발사관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고정부에는 쇼크 라인부가 끼워지는 라인 끼움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는 상기 관지지부로 상기 뇌관을 밀어 상기 발사체에 구비되는 기폭신호 인가부의 단부 측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지지부의 전면에는 상기 뇌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뇌관의 위치를 정위치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뇌관 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지지부의 전면에는 상기 뇌관의 위치를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뇌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는 발사체의 노즐에 노즐 홀더부를 장착하는 노즐 홀더부 장착단계, 상기 발사체를 발사관의 후단부 측에서 상기 발사관 내로 장입하는 발사관 장입단계, 상기 발사관 내에 상기 발사체가 장입된 후 상기 노즐 홀더부를 상기 발사관의 후단부 측에서 발사관의 외측면에 구비된 발사체 고정홀더부에 장착시킴으로써 상기 발사관 내에서 상기 발사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발사체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홀더부 장착단계는 상기 노즐 홀더부를 상기 발사체의 점화장치 조립체에 나사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홀더부는 상기 발사관의 후단부 측을 막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 고정단계는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를 상기 발사관의 외측에서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에 볼트 체결로 장착 고정하여 상기 발사관 내 발사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사체를 발사관에 장입한 후 발사관의 외측에서 발사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발사체 조립 시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시 작업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사관을 발사관 내에서 조립 위치로 위치시킬 필요 없이 발사관 내에 발사체를 장입한 후 바로 발사관의 외측에서 발사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발사체 조립 시 조립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발사체 조립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숙련된 작업자도 발사체를 발사관 내에 정확한 위치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는 발사관(1)을 이용하여 발사되는 발사체(10)를 발사관(1) 내에서 위치를 고정하는 발사체(10)의 고정 구조체이고, 발사체(10)는 로켓탄 또는 유도탄 등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발사관(1)을 이용하여 발사되는 공지의 다른 발사체(10)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발사체(10)의 고정 구조체는 발사관(1)의 후방에 위치되어 연소가스와 화염을 배출시켜 추력을 발생시키는 노즐(11) 내에 위치되는 노즐 홀더부(100)를 포함한다.
발사관(1)의 후단측에는 노즐 홀더부(100)와 결합되어 발사관(1) 내에서 발사체(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사체 고정홀더부(200)가 구비된다.
노즐 홀더부(100)는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볼트 체결로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노즐 홀더부(100)는 발사체(10)가 발사관(1)의 후단부 측을 통해 발사관(1) 내로 장입된 상태에서 발사관(1)의 외측에서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장착되어 발사관(1) 내에서 발사체(10)의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구비되거나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제1볼트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노즐 홀더부(100)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제2볼트구멍이 형성되거나 볼트가 체결되어 관통될 수 있는 볼트 체결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볼트는 노즐 홀더부(100)에 형성되는 제2볼트구멍 또는 볼트 체결구멍을 관통한 후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구비되는 체결홈에 체결되거나,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구비되는 제1볼트 구멍을 관통한 후 별도의 너트에 체결되어 노즐 홀더부(100)를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고정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한편, 노즐 홀더부(100)와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사체 고정홀더부(200)는 발사관(1)의 후단부 측에서 발사관(1)의 외측 둘레로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발사관(1)의 후단부 측에 발사관(1)의 관체에 일체로 구비될 수있다.
발사체 고정홀더부(200)는 발사관(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210),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21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220)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21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노즐 홀더부(100)의 일부분과 겹쳐지게 위치되고 볼트 등의 체결구 또는 핀 등의 결합구로 노즐 홀더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220)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볼트구멍이 이격되게 위치되는 플랜지부일 수도 있고,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210)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볼트구멍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제1결합돌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결합부(220)는 노즐 홀더부(100)의 일부분, 즉 더 상세하게는 노즐 홀더부(100)의 외측 둘레로 구비되는 제2결합부(122)와 겹쳐질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제1결합부(220)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210)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볼트구멍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제1결합돌기부를 포함하여 무게를 경량화함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본 실시예로 함을 밝혀두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즐 홀더부(100)의 일부분, 즉 더 상세하게는 노즐 홀더부(100)의 외측 둘레로 구비되는 제2결합부(122)와 겹쳐질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노즐 홀더부(100)는 노즐(11) 내에 삽입되어 노즐(11) 내에 고정되는 노즐 홀더부재(110), 노즐 홀더부재(110)의 후단부가 고정되고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와 발사관(1)의 외측에서 장착되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는 노즐(11)의 출구를 막을 수 있는 원판 형상의 마개 몸체부(121)와 마개 몸체부(121)의 외측 둘레로 제1결합부(220)와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22)는 마개 몸체부(121)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의 일부분 즉, 제1결합부(220)와 겹쳐지게 위치되고 볼트 등의 체결구 또는 핀 등의 결합구로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의 제1결합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122)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볼트구멍이 이격되게 위치되는 플랜지부일 수도 있고,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볼트구멍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제2결합돌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결합부(122)는 노즐 홀더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발사체 고정홀더부(200), 즉 더 상세하게는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의 외측 둘레로 구비되는 제1결합부(220)와 겹쳐질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제2결합부(122)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의 외측 둘레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볼트구멍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제2결합돌기부를 포함하여 무게를 경량화함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본 실시예로 함을 밝혀두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의 일부분, 즉 더 상세하게는 발사체(10)의 외측 둘레로 구비되는 제2결합부(122)와 겹쳐질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노즐 홀더부재(110)는 노즐(11) 내에 구비되는 점화장치 조립체(12)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점화장치 조립체(12)는 발사체(10)의 연소관과 노즐(11)의 경계부분에 위치되고 뇌관(12c)으로부터 기폭신호를 인가받아 연소관을 점화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점화장치 조립체(12)는 단부에 뇌관(12c)이 구비되는 쇼크 라인부(12b)를 포함하여 뇌관(12c)으로부터 발생되는 기폭신호를 쇼크 라인부(12b)를 통해 전달받아 연소관을 점화시키게 된다.
또한, 발사관(1)의 외주면에는 뇌관(12c)과 연결되어 뇌관(12c)으로 기폭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기폭신호 인가부(2)가 구비된다.
뇌관(12c)은 기폭신호 인가부(2)의 단부 측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기폭신호 인가부(2)와 연결되어 발사체(10)의 연소관을 점화시키기 위한 기폭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점화장치 조립체(12), 쇼크라인과 뇌관(12c), 기폭신호 인가부(2)는 발사체(10)에 구비되는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노즐(11)은 안쪽에서 바깥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노즐 홀더부재(110)는 노즐(11)의 안쪽 형상과 대응되도록 점화장치 조립체(12)에 결합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차 직경이 증대되는 콘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노즐(11)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발사체(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점화장치 조립체(12)에는 노즐 홀더부재(110)와 결합되기 위한 홀더 결합돌기부(12a)가 구비되고, 노즐 홀더부재(110)는 점화장치 조립체(12)에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111), 제1고정부(111)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의 후단부 측에 위치되는 제2고정부(112), 제1고정부(111)와 제2고정부(112)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111)는 노즐(11)의 안쪽에서 노즐(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링체로 형성되고, 제2고정부(112)는 노즐(11)의 바깥쪽 즉, 노즐(11)의 출구 측에서 제1고정부(111)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노즐(11)의 후단부에 밀착되는 링체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연결부(113)는 일단부가 제1고정부(11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고정부(112)에 고정되며 노즐(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고정부(111)는 홀더 결합돌기부(12a)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링체(111a), 제1링체(111a)의 외측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며 노즐(11)의 후단부 측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2링체(111b), 제1링체(111a)와 제2링체(111b)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 연결구(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체(111a)는 홀더 결합돌기부(12a)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중공부(111d)가 구비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제2링체(111b)는 제1링체(111a)와 동심원을 가지는 링체로 제1링체(111a)가 중앙에 위치되는 제2중공부(111e)가 구비되고, 외주면이 노즐(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내주면이 제1링체(111a)의 외주면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됨을 일 예로 한다.
제1중공부(111d)의 내주면과 홀더 결합돌기부(12a)의 외주면에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가 구비되어 홀더 결합돌기부(12a)가 제1링체(111a)의 제1중공부(111d)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쇼크 라인부(12b)는 홀더 결합돌기부(12a)의 일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홀더 결합돌기부(12a)가 제1중공부(111d)에 나사결합될 때 제1중공부(111d)를 통과하여 노즐(11)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노즐 홀더부재(110)는 제1중공부(111d)를 통해 홀더 결합돌기부(12a)에 나사결합으로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 연결구(111c)는 일단부가 제1링체(111a)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링체(111b)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연결 플레이트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중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제1링체(111a)와 제2링체(111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제2고정부(112)는 노즐(11)의 외측에서 노즐(11)의 후단부 측에 밀착되는, 즉, 전면부가 노즐(11)의 후단부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노즐(11)을 지지하고 후면부가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의 전면에 고정된다.
제2고정부(112)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의 전면에 접착제로 장착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고정 방법으로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의 전면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는 제2고정부(112)의 외측둘레로 발사관(1)의 단부와 겹쳐지는 관지지부(120a)가 구비되고, 관지지부(120a)는 적어도 발사관(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발사관(1)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관지지부(120a)는 발사관(1)의 두께와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210)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발사관(1)이 안착되고,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의 외측 둘레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2결합돌기부가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210)의 외측 둘레로 구비되는 제1결합돌기부에 일치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고정부(112)에는 쇼크 라인부(12b)가 끼워지는 라인 끼움홈(112a)이 구비되어 쇼크 라인부(12b)의 단부 측에 위치된 뇌관(12c)의 위치를 기폭신호 인가부(2)의 단부 측에 정위치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게 한다.
라인 끼움홈(112a)에는 쇼크 라인부(12b)의 단부 측 즉, 쇼크 라인부(12b)에서 뇌관(12c)과 최대한 근접한 부분이 부분이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발사관(1)의 단부 측에서 기폭신호 인가부(2)의 단부 측에 뇌관(12c)을 밀착되게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는 관지지부(120a)로 뇌관(12c)을 밀어 가압함으로써 뇌관(12c)을 기폭신호 인가부(2)의 단부 측에 밀착시킨다.
관지지부(120a)의 전면에는 뇌관(12c)의 일부가 삽입되어 뇌관(12c)의 위치를 정위치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뇌관 삽입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지지부(120a)의 전면에는 뇌관(12c)의 위치를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부가 구비되고, 뇌관(12c)에는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부가 구비되어 뇌관(12c)을 가이드 돌기부에 끼워져 결합시킨 후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를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결합시킴으로써 뇌관(12c)이 기폭신호 인가부(2)의 단부 측에 밀착되어 기폭 신호를 정확하게 인가할 수 있는 위치로 정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에 고정된 노즐 홀더부재(110)를 점화장치 조립체(12)에 나사 결합으로 조립한 후 발사체(10)를 발사관(1) 내에 장입하고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를 발사체 고정 홀더부에 볼트 체결로 결합시킴으로써 발사관(1) 내에 발사체(10)의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링체(111b)는 노즐(11)의 후단부 측에 밀착되고,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에서 제2링체(111b)의 외측 둘레로 구비되는 관지지부(120a)는 발사관(1)의 후단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뇌관(12c)을 가압하여 기폭신호 인가부(2)의 단부 측으로 밀착되어 정위치된다.
또한, 제2링체(111b)와 링연결구는 노즐(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발사관(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제1결합돌기부와 복수의 제2결합돌기부는 서로 마주보고 겹쳐지게 위치되고, 볼트가 제1결합돌기부와 제2결합돌기부를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될 수 있고, 제1결합돌기부를 관통하여 제2결합돌기부에 체결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노즐 홀더부(100)를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발사관(1)의 외측에서 장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의 조립방법은 발사체(10)의 노즐(11)에 노즐 홀더부(100)를 장착하는 노즐 홀더부 장착단계(S100), 발사체(10)를 발사관(1)의 후단부 측에서 발사관(1) 내로 장입하는 발사관 장입단계(S200), 발사관(1) 내에 발사체(10)가 장입된 후 노즐 홀더부(100)를 발사관(1)의 후단부 측에서 발사관(1)의 외측면에 구비된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장착시킴으로써 발사관(1) 내에서 발사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발사체 고정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홀더부(100) 장착단계는 노즐 홀더부(100)를 점화장치 조립체(12)에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노즐 홀더부(100)는 발사관(1)의 후단부 측을 막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를 포함하고, 발사체 고정단계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120)를 발사관(1)의 외측에서 발사체 고정홀더부(200)에 볼트 체결로 장착 고정하여 발사관(1) 내 발사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사체(10)를 발사관(1)에 장입한 후 발사관(1)의 외측에서 발사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발사체(10) 조립 시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시 작업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발사관(1)을 발사관(1) 내에서 조립 위치로 위치시킬 필요 없이 발사관(1) 내에 발사체(10)를 장입한 후 바로 발사관(1)의 외측에서 발사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발사체(10) 조립 시 조립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발사체(10) 조립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숙련된 작업자도 발사체(10)를 발사관(1) 내에 정확한 위치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 : 발사관 2 : 기폭신호 인가부
10 : 발사체 11 : 노즐
12 : 점화장치 조립체 12a : 홀더 결합돌기부
12b : 쇼크 라인부 12c : 뇌관
100 : 노즐 홀더부 110 : 노즐 홀더부재
111 : 제1고정부 111a : 제1링체
111b : 제2링체 111c : 링 연결구
111d : 제1중공부 111e : 제2중공부
112 : 제2고정부 112a : 라인 끼움홈
113 : 연결부 120 : 노즐 후방 마개부재
120a : 관지지부 121 : 마개 몸체부
122 : 제2결합부 123 : 뇌관 삽입부
200 : 발사체 고정홀더부 210 :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
220 : 제1결합부

Claims (20)

  1. 발사체의 노즐에 장착되는 노즐 홀더부; 및
    상기 발사체가 장입되는 발사관의 후단 측에 구비되는 발사체 고정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체가 상기 발사관의 후단부 측을 통해 상기 발사관 내로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발사관의 외측에서 상기 노즐 홀더부를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노즐 홀더부는,
    상기 노즐 내에 삽입되어 노즐 내에 고정되는 노즐 홀더부재; 및
    상기 노즐 홀더부재의 후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와 상기 발사관의 외측에서 장착되는 노즐 후방 마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내에 위치되는 점화장치 조립체는 단부에 뇌관이 구비되는 쇼크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홀더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홀더 결합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 홀더부재는,
    상기 점화장치 조립체에 결합되기 위한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홀더 결합돌기부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중공부가 구비되는 제1링체;
    상기 제1링체의 외측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며 상기 노즐의 후단부 측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2링체; 및
    상기 제1링체와 상기 제2링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홀더부는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에 볼트 체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는 상기 발사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 및
    상기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홀더부의 외측 둘레에는 제1결합부와 겹쳐지게 위치되어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볼트 체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안쪽에서 바깥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홀더부는 상기 노즐의 안쪽 형상과 대응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차 직경이 증대되는 콘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즐의 안쪽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 고정홀더부는 상기 발사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 및
    상기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는,
    상기 노즐의 출구를 막을 수 있는 원판 형상의 마개 몸체부; 및
    상기 마개 몸체부의 외측 둘레로 상기 제1결합부와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발사관 장착 링몸체부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1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2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볼트 체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부의 내주면과 상기 홀더 결합돌기부의 외주면에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홀더 결합돌기부가 상기 제1링체의 상기 제1중공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노즐의 출구 측에서 제1고정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노즐의 후단부에 밀착되는 링체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는 상기 제2고정부의 외측둘레로 상기 발사관의 단부와 겹쳐지는 관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부는 적어도 상기 발사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기 발사관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에는 쇼크 라인부가 끼워지는 라인 끼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노즐 후방 마개부재는 상기 관지지부로 상기 뇌관을 밀어 상기 발사체에 구비되는 기폭신호 인가부의 단부 측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부의 전면에는 상기 뇌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뇌관의 위치를 정위치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뇌관 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부의 전면에는 상기 뇌관의 위치를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뇌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159302A 2017-11-27 2017-11-27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 KR10197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02A KR101978492B1 (ko) 2017-11-27 2017-11-27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02A KR101978492B1 (ko) 2017-11-27 2017-11-27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492B1 true KR101978492B1 (ko) 2019-05-14

Family

ID=6658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302A KR101978492B1 (ko) 2017-11-27 2017-11-27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360A (en) * 1972-11-28 1974-05-21 Us Army Rocket hold back and tube closure
US20040107857A1 (en) * 2002-06-27 2004-06-10 Patria Vammas Oy Arrangement for supporting mortar shell into barrel of weapon
KR101483256B1 (ko) 2014-07-31 2015-01-14 국방과학연구소 발사체 신속 구속 및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360A (en) * 1972-11-28 1974-05-21 Us Army Rocket hold back and tube closure
US20040107857A1 (en) * 2002-06-27 2004-06-10 Patria Vammas Oy Arrangement for supporting mortar shell into barrel of weapon
KR101483256B1 (ko) 2014-07-31 2015-01-14 국방과학연구소 발사체 신속 구속 및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1708A (en) Launch tube closure
US4604954A (en) Telescoped ammunition with dual split cartridge case
KR101296941B1 (ko) 카트리지 연습탄
US8640589B2 (en) Projectile modification method
KR20100138883A (ko) 항공기로부터 덮개를 분리하고 제거하기 위한 기기
US9605932B2 (en) Gas generators, launch tubes including gas generato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I112700B (fi) Järjestely kranaatin tukemiseksi aseen putkeen
US63522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a fin-stabilized base-bleed shell
KR102164994B1 (ko) 근접센서를 갖는 레이저 유도 폭탄
KR101978492B1 (ko) 발사체의 고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발사체의 조립방법
US11732677B2 (en) Ring-shaped booster rocket
US8430034B2 (en) Combustible cartridge cased ammunition assembly
JP4518425B2 (ja) 速射型火器
US20190120175A1 (en) Ignition safety device for rocket motor
KR20170079781A (ko) 다발형 추진제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RU24824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ания минометного снаряда в стволе орудия, заряжаемого с казенной части
US20200378733A1 (en) Cartridge with igniter cords
US4930420A (en) Seal for the nozzle opening of a projectile
US4171663A (en) Tension fracture fitting in missile separation thruster
US3613617A (en) Rocket-thrown weapon
KR101316073B1 (ko) 미사일의 노즐 구속 해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JPH0618195A (ja) 軍用投射体ランチャー
US3245351A (en) Separable connector for an interstage missile
RU2483267C2 (ru) Опорный узел для удержания минометного снаряда в стволе орудия и способ его крепления
US4110977A (en) Pyrogen igniter ramjet ign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