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152B1 -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152B1
KR101978152B1 KR1020140022408A KR20140022408A KR101978152B1 KR 101978152 B1 KR101978152 B1 KR 101978152B1 KR 1020140022408 A KR1020140022408 A KR 1020140022408A KR 20140022408 A KR20140022408 A KR 20140022408A KR 101978152 B1 KR101978152 B1 KR 10197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water
temporary fixing
prob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927A (ko
Inventor
조광열
Original Assignee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1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수도계량기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이 지면으로 개방되며, 하측에 수도 유입구 및 수도 유출구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상부에 계량기 유입구 및 계량기 유출구가 배치되는 계량기 검침부; 상기 계량기 검침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도 유입구와 상기 계량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계량기 검침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도 유출구와 상기 계량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동파를 방지하면서도 편리한 수도계량기 교체 및 검침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APPARATUS FOR PROTECTING A WATER METER}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파를 방지할 수 있고 편리하게 수도계량기를 교체 또는 검침할 수 있게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도계량기란 상수도 설비 등과 관련하여 통과하는 물의 양을 계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수도 관리시설 등에서는 각 가정 및 사업장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계측하여 상수도 사용에 대한 과금의 근거로 사용한다. 수도 사용량 검침의 편의를 위해 수도계량기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도계량기가 건물의 외부에 위치하고 난방되는 공간 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지역에서는 수도배관 중 계량기가 설치된 부분이 동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계량기 부분에 동파가 일어나면 건물 내에서 수도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누수로 인한 물의 낭비가 일어날 수 있으며, 계량기가 파손될 수 있다.
수도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계량기를 지하의 소정 깊이 매설하여 계량기가 지하 동결선 아래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계량기가 지표면으로부터 상당 거리 떨어져 설치되므로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 작업이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동파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내부의 수도계량기를 냉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최상부 덮개의 지름을 좁혀서 냉기가 보호장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계량기의 교체시 최상부의 덮개를 제거하고 양손을 넣어서 계량기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작업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계량기 교체 작업시 어려움이 있고, 또한 계량기 교체 중 실수로 계량기를 밑으로 떨어뜨리면, 깊은 바닥으로 떨어진 계량기를 다시 회수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편리하게 수도계량기를 교체 또는 검침할 수 있게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이 지면으로 개방되며, 하측에 수도 유입구 및 수도 유출구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외주면을 가지며, 상부에 계량기 유입구 및 계량기 유출구가 배치되는 계량기 검침부; 상기 계량기 검침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도 유입구와 상기 계량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계량기 검침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도 유출구와 상기 계량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동파를 방지하면서도 편리한 수도계량기 교체 및 검침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에서 계량기 검침부가 상부로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에서 계량기 검침부가 상부로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프레임(100), 덮개(120), 임시 고정부(150), 제1 연성튜브(210), 제2 연성튜브(220), 계량기 검침부(300), 계량기 유입구(317), 계량기 유출구(327) 및 지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그 내부에 공간(1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수도 유입구(15) 및 수도 유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지중에 매설되며 상면이 지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개방되는 상면에는 덮개(120)를 장착하여 평상시에는 프레임(100) 내의 공간(10)을 폐쇄하고 필요시에는 덮개(120)를 제거하여 공간(1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도계량기 검침을 위해 또는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10)에 부품들을 설치, 보수 또는 교체하기 위해 덮개(120)를 제거하고 내부 공간(10)을 접근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프레임(100)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00)은 사각기둥 등의 기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수도 유입구(15)와 수도 유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수도 유입구(15)는 상수도 배관에 연결되고 수도 유출구(25)는 건물 등의 수도 공급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수도 유입구(15) 및 수도 유출구(25)의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지정한 것이며 수도 유입구(15)와 수도 유출구(25)가 반드시 뚜렷한 차이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계량기 검침부(300)에는 계량기 유입구(317) 및 계량기 유출구(327)가 형성될 수 있다. 계량기 유입구(317)와 계량기 유출구(327)는 그 사이에 수도계량기(320; 도 5 참조)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계량기 유입구(317) 및 계량기 유출구(327)의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지정한 것이며 수도 유입구(15)와 수도 유출구(25)가 반드시 뚜렷한 차이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성 튜브(210)는 수도 유입구(15)와 계량기 유입구(317)를 연결하고 제2 연성 튜브(220)는 수도 유출구(25)와 계량기 유출구(327)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연성 튜브(210)는 일단이 수도 유입구(15)에 결합되고, 타단이 계량기 유입구(31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연성 튜브(220)는 일단이 수도 유출구(25)에 결합되고, 타단이 계량기 유입구(32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수도 배관(17)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수도 유입구(15)에 유입되고, 제1 연성 튜브(210)를 거쳐 수도계량기(320)를 통과하며, 제2 연성 튜브(220)를 거쳐 수도 유출구(25)로 유출되어 건물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수도 배관(17)에서 공급되는 물이 수도계량기(320)를 통과하면서 건물 등에서 사용한 물의 양이 계측된다.
물론, 제1 연성 튜브(210) 및 제2 연성 튜브(220)의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지정한 것이며 제1 연성 튜브(210)와 제2 연성 튜브(220)가 반드시 뚜렷한 차이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연성 튜브(210)와 제2 연성 튜브(220)가 프레임(100)의 공간(10)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감겨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계량기 검침부(300)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는 수도 유입구(15)와 계량기 유입구(317) 및 수도 유출구(25)와 계량기 유출구(327) 사이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즉, 계량기 검침부(30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연성인 재료로 형성된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가 나선형으로 감겨지므로, 계량기 검침부(300)가 도 4에서와 같이 상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는 무리 없이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가 다른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성 튜브(210) 및 제2 연성 튜브(220)는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교차하여 감기는 대신 서로 이격된 상태로 각각의 나선을 그리며 감길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가 나선형으로 감기는 대신 수차례 절곡된 형태를 가져 미앤더링 형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 자체가 신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 자체가 각각 주름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계량기 검침부(300)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계량기 검침부(300)에 설치되는 수도계량기(320)를 평상시에는 하부에 위치시키고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시에만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달리 표현하자면, 수도계량기(320)가 평소에는 지하 동결선 아래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게 하고,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시에만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의 재료, 두께, 치수 및 권취 횟수 등은 기계적 강도, 단열 성능, 튜브 내의 유동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연성 튜브(210) 및 제2 연성 튜브(220)는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재료로,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연성 튜브(210) 및 제2 연성 튜브(220)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상적으로 샤워기 등의 호스에서 사용되듯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튜브 종류가 현재 상용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가 스트립와운드(stripwound) 또는 코루게이티드(corrugated) 타입의 스테인리스 스틸 호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를 구현함에 있어서 내측에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경성 재료를 포함하고 외측에 연성 재료를 피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성 튜브(210) 및/또는 제2 연성 튜브(220)가 전체적으로 유연한 상태를 가져 계량기 검침부(300)가 이동하더라도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당 튜브는 다수의 스테인리스 스틸 튜브가 연쇄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연결된 스테인리스 스틸 튜브들의 외면은 PVC 등의 재료로 피복되어 방수 성능이 보강될 수 있다.
계량기 검침부(300)는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와 수도계량기(320)를 서로 연결시키고 계량기 검침부(300) 자체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계량기 검침부(300)가 프레임(100)의 공간(10) 내에서 뒤집히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계량기 검침부(300)의 하부에 연결된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는 어느 정도 계량기 검침부(3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계량기 검침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00)의 공간(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계량기 검침부(300)가 뒤집히는 것을 보다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프레임(100)의 내면에 슬롯(미도시) 등을 형성하고 계량기 검침부(300)에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여 슬롯에 삽입되는 돌기 등을 형성함으로써, 계량기 검침부(30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면서도 프레임(100)의 공간(10) 내에서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프레임(100)의 공간(10) 내에,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가 이루는 나선 형상의 가운데에, 일종의 샤프트(미도시)를 형성하고 계량기 검침부(300)의 일부분에 상기 샤프트에 대응하여 계량기 검침부(300)를 샤프트 상에 외삽시킬 수 있는 홀을 형성함으로써, 계량기 검침부(30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면서도 프레임(100)의 공간(10) 내에서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샤프트는 수도계량기(320)의 위치를 고려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0)에는 지지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50)는 계량기 검침부(300)를 안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계량기 검침부(300)가 지지부(350)에 의해 지지된다.
계량기 검침부(300)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가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고 이를 통해 물이 유동하게 되는데, 계량기 검침부(300)를 지지부(350) 상에 안착시키면 상대적으로 연성인 재료로 형성된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 각각에서 감겨진 부분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부여하여 물의 원활한 유동을 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지지부(35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35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00)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형 형상의 지지부(350)는 프레임(100)의 내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다리(355; 도 7 참조)에 의해 소정 높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지지부(350)가 프레임(100)의 내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볼트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사용되는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의 규모, 재료, 및 설계 강도, 그리고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를 통해 유동하는 물의 유속 및 유량에 따라 지지부(350)가 생략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프레임(100)에서 지지부(350)가 형성되는 높이는, 지지부(350) 상에 안착하는 계량기 검침부(300)가 지하 동결선 아래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도록 결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상측에는 임시 고정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임시 고정부(150)는 계량기 검침부(300)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시, 작업자는 계량기 검침부(300)를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임시 고정부(150)에 고정시킨 후 편리하게 계량기 검침부(300)에 연결된 수도계량기(320)를 교체 또는 검침할 수 있다. 임시 고정부(15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임시 고정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계량기 검침부(300)를 안착시킬 수 있는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계량기 검침부(300)의 외주면이 프레임(100)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다만 계량기 검침부(300)의 외주면에 임시 고정부(150)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계량기 검침부(300)를 임시 고정부(150)에 안착시킬 때, 계량기 검침부(300)의 홈(미도시)이 임시 고정부(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계량기 검침부(300)를 통과시켜 계량기 검침부(300)가 임시 고정부(150)의 상측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계량기 검침부(300)의 치수 및 재질 등에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홈의 수가 임시 고정부(150)의 수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시 고정부(150)가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된 경우, 계량기 검침부(300)에는 홈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계량기 검침부(300)를 비스듬히 세우거나 조금 굴곡시킴으로써 하나의 임시 고정부(150)를 통과시킨 후 나머지 하나의 임시 고정부(150)를 통과시킬 수 있다.
프레임(100)의 개방된 상면에는 덮개(120)를 설치할 수 있다. 덮개(120)는 지하에 설치된 프레임(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이물질의 유입 및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120)는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10)을 격리시켜 낮은 온도의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도계량기의 동파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임시 고정부(150)가 프레임(100)의 상면 근처에 위치하여 덮개(120)를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임시 고정부(150)는 계량기 검침부(300)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덮개(120)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임시 고정부(150)에 덮개(120)가 고정되어 그 하부의 공간을 단열시킬 수 있고,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시에는 덮개(120)를 임시 고정부(150)에서 이탈시키고 계량기 검침부(300)를 임시 고정부(150)에 고정시킨 후 수도계량기(320)의 교체 또는 검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덮개(120)의 하부에 단열판(130; 도 5 참조)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단열판(130)은 계량기 검침부(300)의 상부의 위치에서 덮개(12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단열판(130)은 프레임(100) 내의 공간(10)을 더욱 구획하여, 단열판(130)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더욱 단열시킬 수 있다.
기본적으로 공기층은 그 자체적으로 단열 효과를 제공하는데, 다만 공기에서는 대류 현상에 의해 열전달이 일어난다. 단열판(130)을 이용하여 하나의 공간을 둘로 혹은 그 이상으로 구획하면, 각 공기층에서의 대류는 각각의 공기층 내로 제한되어 해당 공기층은 구획된 인접한 다른 공기층과 온도 차이를 이루게 된다.
즉, 단열판(130)을 설치함으로써 단열판(130)과 덮개(120) 사이의 공기층은 단열 효과를 제공하여, 수도계량기(320)와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 등이 위치하는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10)은 차가운 외기온에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수도계량기(320) 및 연결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프레임(100)에는 단열판(130)을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단열판(130)이 소정 위치에서 프레임의 내부 공간(10)을 구획하게 하고, 교체 또는 검침시에는 작업자가 단열판(130)을 제거하여 수도계량기(320)를 교체 또는 검침할 수 있다. 단열판(130)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열판(130)은 임시 고정부(1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임시 고정부(150)는 계량기 검침부(300)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단열판(130)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임시 고정부(150)에 단열판(130)이 고정되어 그 하부의 공간을 단열시킬 수 있고,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시에는 단열판(130)을 임시 고정부(150)에서 이탈시키고 계량기 검침부(300)를 임시 고정부(150)에 고정시킨 후 수도계량기(320)의 교체 또는 검침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열판(130)을 위한 고정 수단과 계량기 검침부(300)를 위한 임시 고정부(150)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계량기 검침부(300)는 지지부(350)에 안착한 상태에 있으며, 이 때 계량기 검침부(300)에서 계량기 유입구(317)와 계량기 유출구(327)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수도계량기(320)는 지하 동결선 아래 또는 그 근방의 소정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로써, 수도계량기(320) 및 수도 배관에서의 동파를 상당 부분 방지할 수 있다.
계량기를 교체 또는 검침하는 작업자는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가까운 거리에서 수도계량기(320)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는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계량기 검침부(300)가 상부로 올려지더라도 수도 유입구(15)와 수도 유출구(25) 사이의 전체적 연결이 유지된다.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별도의 도구를 소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는 길게 연장된 막대 또는 집게 등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계량기 검침부(300)에는 작업자가 해당 도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홈, 구멍, 요철, 돌기 등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작업자는 덮개(120) 및 단열판(130)을 제거한 후,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임시 고정부(1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계량기 검침부(300)를 임시 고정부(150)에 고정시키면 수도계량기(320)의 교체 또는 검침을 수행하는 동안 작업자가 계량기 검침부(300)를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교체 또는 검침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는 경우 계량기 검침부(300)를 임시 고정부(150)에 고정시키지 않고도 작업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100)의 개방된 상면의 지름은 프레임(100) 본체의 지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프레임(100) 상면의 지름을 충분히 넓게 확보하여 계량기의 교체 또는 검침 작업을 용이하게 하되, 계량기를 지하 동결선 아래 또는 그 근방으로 설치하여 계량기가 냉기로 인해 동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계량기 보호장치에서는 이처럼 상면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지하 동결선이 더 낮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계량기의 교체 또는 검침 작업이 더 어려워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기 보호장치의 경우 계량기 검침부(300)의 위치가 낮아지더라도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시 계량기를 쉽게 들어올릴수 있도록 배관이 나선형으로 감긴 구조로 구현되므로, 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면서도 계량기의 교체 및 검침이 용이하게 된다.
수도계량기(320)의 교체 또는 검침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계량기 검침부(300)를 임시 고정부(150)에서 제거하고 다시 하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부(35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단열판(130) 및 덮개(120)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덮개(120) 및 단열판(130)에 의해 수도 배관이 위치하는 공간은 낮은 온도의 외기로부터 단열되고, 특히 수도계량기(320)가 지하 동결선 아래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므로 수도 배관 등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편리하게 수도계량기를 교체 또는 검침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하나의 수도 유입구(15)와 하나의 수도 유출구(25)가 구비된 예를 가정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에는 두 개의 수도 유출구(25)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게 두 개의 제2 연성 튜브(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도 유입구(15)와 제1 연성 튜브(210)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수도계량기(320)를 통과하여 해당 수도 유출구(25)를 통해 상수도를 사용하는 건물에서 소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계량기 유입구(317)와 계량기 유출구(327) 사이에 수도계량기(320)만이 연결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록장치, 압력/유량 조절장치 등 다양한 배관용 부품들이 연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프레임(100), 덮개(120), 임시 고정부(150), 제1 연성튜브(210), 제2 연성튜브(220), 계량기 검침부(300), 계량기 유입구(317), 계량기 유출구(327), 수도계량기(320), 지지부(350), 및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수도계량기(320)를 교체 또는 검침하기 위해 계량기 검침부(300)를 작업자 쪽으로 인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도구를 소지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이러한 기능을 하는 승강부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휠(430), 프레임(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휠(431), 그리고 두 휠(430, 431)에 결합된 라인(432)이 도르래와 같은 형상으로 승강부를 구성한다.
계량기 검침부(300)는 상하로 연장된 라인(432)의 두 가닥 중 일측에 연결되어, 휠(430)이 회전할 때 계량기 검침부(30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계량기 검침부(300)에는 라인(432)의 두 가닥 중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가닥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100) 상측의 휠(430)에는 손잡이(43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계량기 검침시 작업자는 손잡이(435)를 돌려 휠(430)을 회전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계량기 검침부(300)는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계량기 검침부(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소지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수도계량기(320) 검침을 수행할 수 있다.
휠(430)을 회전시켜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에서, 계량기 검침부(300)가 수평을 유지하고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 구성을 계량기 검침부(300)의 양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손잡이(435)는 일측의 휠(430)에만 형성하고 나머지 측의 승강부 구성, 즉 도르래 구성은 손잡이(435)가 결합된 휠(43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계량기 검침부(300)가 연결되지 않은 라인(432) 가닥에는 평형추(미도시)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단열판(130)이 사용되는 일실시예에서, 휠(430) 및 손잡이(435)는 단열판(13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계량기 검침시 작업자는 덮개(120)와 단열판(130)을 제거한 후 휠(430)을 회전시켜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열판(130)이 공간(10)을 보다 기밀하게 구획하여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단열판(130)이 사용되는 다른 일실시예에서, 휠(430) 및 손잡이(435)는 단열판(1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판(130)에는 휠(430, 431)들 사이에 결합된 라인(432)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132)이 형성될 수 있고, 단열판(130)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윈도우(135)가 형성될 수 있다. 계량기 검침시 작업자는 덮개(120)만을 제거한 후 휠(430)을 회전시켜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단열판(130)을 제거하지 않은 채 투명한 윈도우(135)를 통하여 수도계량기(320)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열판(130)이 실질적으로 항상 고정되고, 유지 보수를 위해서만 제거되도록 임시 고정부(15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휠(430)에 손잡이(435)를 결합하는 대신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연결하여 전동식으로 계량기 검침부(3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두 개의 휠(430, 431) 사이에 라인(432)이 연결된 도드래 형상의 승강부가 설명되었으나,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데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계량기 검침부(30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라인, 체인, 벨트 등을 하나 이상 활용하는 다양한 기계식, 전동식, 공압식 승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수단은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의 외측의 위치에서 프레임(100)의 내면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의 나선형 배열 내측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승강부는 프레임(100) 내부의 공간(10)에서 소정 거리 연장되는 스크류 샤프트(미도시) 및 계량기 검침부(300)에 연결되고 스크류 샤프트에 치합되는 치합부(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샤프트에 치합부가 치합된 상태에서 치합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면, 스크류 샤프트 또는 치합부를 회전시킬 때 치합부가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 샤프트를 이용하는 방식은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계량기 검침부(300)의 형상이 프레임(100) 내부 공간(10)의 단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량기 검침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00) 내부 공간(10)의 단면에 대응하게 함으로써 계량기 검침부(30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량기 검침부(300)가 일 지점에서 또는 여러 지점에서 프레임(100)의 내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여 계량기 검침부(3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가 계량기 검침부(300)가 일 지점 이상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계량기 교체 또는 검침시에도 단열판(130)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도계량기(320) 및 수도 배관의 동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도구 없이도 편리하게 수도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지면에 형성된 공간(1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덮개(120), 단열판(130), 임시 고정부(150), 제1 연성튜브(210), 제2 연성튜브(220), 계량기 검침부(300), 계량기 유입구(317), 계량기 유출구(327) 및 지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수도 배관(17)과 건물측 공급배관(27)에 연통하는 공간(10)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계량기 유입구(317) 및 계량기 유출구(327)가 형성된 계량기 검침부(300)를 포함한다. 계량기 유입구(317)와 계량기 유출구(327)는 그 사이에 수도계량기(320; 도 5 참조)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성 튜브(210)는 상수도 배관(17)과 계량기 유입구(317)를 연결하고 제2 연성 튜브(220)는 건물측 공급배관(27)과 계량기 유출구(327)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연성 튜브(210)는 일단이 상수도 배관(17)에 결합되고, 타단이 계량기 유입구(31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연성 튜브(220)는 일단이 건물측 공급배관(27)에 결합되고, 타단이 계량기 유입구(32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수도 배관(17)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제1 연성 튜브(210)를 거쳐 수도계량기(320)를 통과하며, 제2 연성 튜브(220)를 거쳐 건물측 공급배관(27)로 유출되어 건물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제1 연성 튜브(210) 및 제2 연성 튜브(220)의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지정한 것이며 제1 연성 튜브(210)와 제2 연성 튜브(220)가 반드시 뚜렷한 차이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성 튜브(210) 및 제2 연성 튜브(220)는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재료로,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연성 튜브(210) 및 제2 연성 튜브(220)는 프레임(100)의 공간(10)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감겨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계량기 검침부(300)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는 수도 유입구(15)와 계량기 유입구(317) 및 수도 유출구(25)와 계량기 유출구(327) 사이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즉, 계량기 검침부(30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연성인 재료로 형성된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가 나선형으로 감겨지므로, 계량기 검침부(3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는 무리 없이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계량기 검침부(300)에 설치되는 수도계량기(320)를 평상시에는 하부에 위치시키고 계량기 검침시에만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달리 표현하자면, 수도계량기(320)가 평소에는 지하 동결선 아래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게 하고, 계량기 검침시에만 계량기 검침부(300)를 상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의 재료, 두께, 치수 및 권취 횟수 등은 기계적 강도, 단열 성능, 튜브 내의 유동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지중 공간(10)에는 지지부(350)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350)는 계량기 검침부(300)를 안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계량기 검침부(300)가 지지부(350)에 의해 지지된다.
계량기 검침부(300)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가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고 이를 통해 물이 유동하게 되는데, 계량기 검침부(300)를 지지부(350) 상에 안착시키면 상대적으로 연성인 재료로 형성된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 연성 튜브(210, 220) 각각에서 감겨진 부분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부여하여 물의 원활한 유동을 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지지부(35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35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공간(10)의 내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지지부(350) 자체가 프레임(100)의 내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볼트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지지부(350)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다리(355)에 의해 소정 높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350)가 형성되는 높이는, 지지부(350) 상에 안착하는 계량기 검침부(300)가 지하 동결선 아래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도록 결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계량기 검침부(300)가 지지부(350)에 안착한 상태에 있을 때, 계량기 검침부(300)에서 계량기 유입구(317)와 계량기 유출구(327)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수도계량기(320)는 지하 동결선 아래의 또는 그 근방의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수도계량기(320) 및 수도 배관에서의 동파를 상당 부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단열판(130)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공간(10)의 내면에 볼트(155) 등으로 임시 고정부(150)를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0)을 생략하고 기존에 지하에 준설한 공간(10)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는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편리하게 수도계량기를 교체 또는 검침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30: 단열판
135: 윈도우 150: 임시 고정부
210: 제1 연성 튜브 220: 제2 연성 튜브
300: 계량기 검침부 320: 계량기
350: 지지부 400: 승강부

Claims (3)

  1. 지중에 매설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이 지면으로 개방되며, 하측에 수도 유입구 및 수도 유출구를 구비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간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공간 내에서 전복이 방지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계량기 유입구 및 계량기 유출구를 구비하는 계량기 검침부;
    상기 계량기 검침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도 유입구와 상기 계량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 연성 튜브;
    상기 계량기 검침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도 유출구와 상기 계량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제2 연성 튜브;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방된 상면을 탈착 가능하게 덮는 덮개; 및
    상기 덮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단열판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판은 상기 계량기 검침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측 내주면에 형성된 임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판 또는 상기 덮개는 상기 임시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계량기 검침부의 외주면은 상기 임시 고정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계량기 검침 시 상기 단열판 또는 상기 덮개를 상기 임시 고정부에서 제거하고, 상기 계량기 검침부의 상기 홈을 상기 임시 고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상기 계량기 검침부를 통과시켜 상기 계량기 검침부가 상기 임시 고정부에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계량기 검침부 상부에 배치된 상기 계량기 유입구와 상기 계량기 유출구 사이에 수도계량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계량기 검침부에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여 슬롯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KR1020140022408A 2014-02-26 2014-02-26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KR10197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408A KR101978152B1 (ko) 2014-02-26 2014-02-26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408A KR101978152B1 (ko) 2014-02-26 2014-02-26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272A Division KR101494087B1 (ko) 2013-07-12 2013-07-12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927A KR20150007927A (ko) 2015-01-21
KR101978152B1 true KR101978152B1 (ko) 2019-05-14

Family

ID=5257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408A KR101978152B1 (ko) 2014-02-26 2014-02-26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1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240Y1 (ko) * 2000-06-22 2000-12-01 오명환 제수변용 맨홀의 높이 가변철개
JP4200065B2 (ja) * 2003-08-12 2008-12-24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量水器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240Y1 (ko) * 2000-06-22 2000-12-01 오명환 제수변용 맨홀의 높이 가변철개
JP4200065B2 (ja) * 2003-08-12 2008-12-24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量水器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927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1023B2 (en) Ventilation system for manhole vault
ES2544476T3 (es) Sistema para el saneamiento de un pozo de alcantarillado
US8863974B2 (en) Floating roof support legs with vapor seals
CA1151563A (en) Meter installation for underground pipelines
KR101463232B1 (ko)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KR101494087B1 (ko)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KR20120094324A (ko) 맨홀 내 상태 점검을 위한 다기능 측정기
KR101978152B1 (ko) 수도계량기 보호장치
KR101171870B1 (ko) 현장조립식 상수도 맨홀 구조
BR112013014383B1 (pt) Coletor de hidrante giratório (shm) com pelo menos 152,4 mm (6 polegadas) de diâmetro para combate a incêndio industrial configurado para instalação permanente, e dispositivo giratório para um coletor de hidrante de pelo menos 152,4 mm (6 polegadas) para combate a incêndio industrial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CA2508559C (en) Wellhead shelter
KR101138739B1 (ko)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JP2008208527A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CN203998855U (zh) 一种锅炉维修平台
KR102305210B1 (ko) 지하수 관정의 상부보호공
CN209559388U (zh) 用于供水管网的压力检测装置
FI8474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hindra av laeckage i roerledning foeranledda vattenskador i byggnader.
KR101321205B1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KR101125902B1 (ko) 나선형 회전판이 구비된 맨홀
KR200465376Y1 (ko)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KR20120100077A (ko) 수도계량기용 동파방지장치
KR101185887B1 (ko) 함체형 맨홀
KR200352996Y1 (ko) 지하압력계 동파방지용 트로프보온장치
KR101371301B1 (ko) 다가구 통합 관리가 가능한 통합 유량계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