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088B1 -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088B1
KR101978088B1 KR1020180001995A KR20180001995A KR101978088B1 KR 101978088 B1 KR101978088 B1 KR 101978088B1 KR 1020180001995 A KR1020180001995 A KR 1020180001995A KR 20180001995 A KR20180001995 A KR 20180001995A KR 101978088 B1 KR101978088 B1 KR 10197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xygen
nano
exhaus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을택
손덕순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주) 나노에스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노에스텍수산 filed Critical (주) 나노에스텍수산
Priority to KR102018000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5F17/027
    • C05G3/0064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60Intercepting solids using settling/precipitation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배기를 이용한 액체비료 합성에 관한 것으로서,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연소배기를 수중에 용해시켜 미크론배기기포수를 형성시키고, 산소를 분해하여 나노산소기포를 생성시키고, 나노산소기포를 함유한 나노산소기포수를 미크론배기기포수 수중에서 토출시켜 수중의 이온물질이 나노산소기포 외측면을 감싸면서 농축, 융합되게 하여 나노산소액체비료를 합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ANO OXYGEN LIQUID FERTILIZER SYNTHESIZING DISSLOVED COMBUSTION EXHAUST GAS AND NANO OXYGEN}
본 발명은 연소배기를 이용한 액체비료 합성에 관한 것으로서, 화석연료 연소배기를 용해시켜 나노산소와 융합시켜 나노산소액체비료를 합성하는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은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필요한 에너지의 대부분을 화석연료를 연소시켜 확보하게 되고, 화석연료는 연소과정에서 배기가 발생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배출배기중에는 이산화탄소(CO₂)가 함유되어 있고, 이산화탄소(CO₂)는 지구를 온난화시키는 온실가스의 원인물질로 확인된 후, 전세계가 공동으로 이산화탄소(CO₂)의 배출량을 감축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배출감축은 배출배기중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재이용하거나, 수중에 용해시켜 자연으로 순환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CO₂)의 대기중으로 배출억제를 위해, 이산화탄소(CO₂)를 분리하여 재이용하는 기술, 수중에 용해시켜 방류하는 기술 등,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CO₂) 재이용을 위해 제시된 기술의 예로서, 일본 평성25년도 화력 원자력 발전 대회논문집(화력원자력발전별책(CD-ROM)(2014년4월발간)에서 보면, 산소를 이용해서 CO₂를 배출하지 않는 석탄화력발전소의 실현을 위해서 ~ 카라이드 산소연소 프로젝트 운전상황~(Toward the realization of CO2 zero-emission coal fired power plant using the oxyfuel technology ~ Progrss of Calide Oxyfuel Project~)에서는 석탄화력발전에서 석탄연소에 공기대신 산소로 연소시키고, 배출배기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산화탄소 회수설비, 수송 및 저장설비 등,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실용화 가능성에 대하여 의문점을 가지게 된다.
또, 수중에 용해시켜 방류하는 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폐기물 소각배기 처리장치 및 방법(10-0791678)이 있으며, 장치는 연소배기를 수중에 용해시킨 후, 용해 처리수를 수계로 방류시키게 되어 수계를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로부터 화석연료연소에는 공기를 이용하여 연소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연소배기에는 이산화탄소(CO₂) 이외에도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산화탄소(CO2),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은 식물체의 구성 및 성장에 필수적인 물질이 되므로, 배출되는 배기를 식물의 영양소로 순환시키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이산화탄소는 수중에 용해가 용이한 물질로서 수중에서 탄산(H₂CO₃)으로 결합되어 다시 탄산수소칼슘(Ca(HCO₃)2), 탄산수소마그네슘(Mg(HCO₃)2)으로 되어 수중에 용해되므로 재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배기를 수중에 용해시켜 배기용해수를 형성시키고, 이 배기용해수중에 나노산소기포를 생성시켜 토출시키며, 이 나노산소기포수중의 나노산소기포에 수중의 이온물질이 감싸는 작용에 의해서 나노산소기포 외측면에 이온물질이 농축, 융합되어 나노산소기포가 파괴되지 않게 안정화시켜 나노산소액체비료를 합성하여, 작물재배에 액체비료로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장치를 구성한다.
장치는 유입관(1)이 부설된 용수공급조(A)가 구비되고, 이 용수공급조(A)에 복수의 공급관(2,3)이 부설되어 기체를 미세하게 분해하는 제1기포발생장치(C1)와 제2기포발생장치(C2)로 각각 연결되며, 제1기포발생장치(C1)에는 압입관(4)을 통해 배기압축장치(B)에 연결되고, 배기압축장치(B)에는 외부로 연결되는 배기 유입관(5)이 연결되며, 제2기포발생장치(C2)에는 압입관(8)을 통해 산소공급장치(E)에 연결되며, 제1기포발생장치(C1)와 제2기포발생장치(C2)에 토출관(6,7)이 각각 부설되어 액비합성조(D)의 배기용해수토출실(20)과 나노산소수토출실(21)로 각각 연결되고, 융합실(22)에 배출관(9)이 부설되며, 유입관(1,5), 공급관(2,3), 압입관(4,8), 배출관(9)에는 개폐밸브가 각각 부설되고, 토출관(6,7)에는 토출밸브가 부설되어 구성된다.
위에서, 액비합성조(D)는 복수의 격판(D-1,D-2)이 부설되어 배기용해수토출실(20), 나노산소수토출실(21), 융합실(22)로 구획되며, 배기용해수토출실(20)과 나노산소수토출실(21)에 토출관(6,7)이 각각 연결되고, 융합실(22)에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9)이 부설되어 구성된다.
위에서, 용수공급조(A)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는 칼슘(Ca), 마그네슘(Mg) 등을 함유한 경수가 되며, 무유기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생활하수처리수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소 배기중에 함유된 이산화탄소(CO₂), 질소화합물(NOx), 황화합물(SOx) 등을 나노산소기포에 농축융합시켜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에 이용한다.
본 발명은 배기중에 함유된 이산화탄소 분자집단(Cluster)을 미크론사이즈(Micron size)로 분해하여 탄산수소칼슘(Ca(HCO₃)2), 탄산수소마그네슘(Mg(HCO₃)2)을 형성시켜 수중에 용해시켜 칼슘마그네슘용해수를 형성시키고, 이 칼슘마그네슘용해수중에 나노산소기포를 토출하여 확산시켜, 나노산소기포 외측면에 수중의 이온물질이 감싸면서 농축, 융합되며, 즉, 킬레이트(Chelate)화 시켜 나노산소액체비료를 합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제1 및 제2기포발생장치(C1,C2)에 용수가 공급되고, 제1기포발생장치(C1)에는 압축 연소배기, 제2기포발생장치(C2)에 산소기체가 공급되는 단계;
제1기포발생장치(C1)에서 연소배기 분자집단(Cluster)을 미크론사이즈(Micron Size)로 분해하여 미크론배기기포수로 형성되어서 배기용해수토출실(20)로 토출되어 확산되는 단계;
배기용해수토출실(20)에서 미크론배기기포수중의 이산화탄소(CO₂)가 수중의 칼슘(Ca), 마그네슘(Mg) 이온과 결합하여 탄산수소칼슘(Ca(HCO₃)2), 탄산수소마그네슘(Mg(HCO₃)2)으로 형성되어 수중에 용해되어 칼슘마그네슘용해수가 형성되어 격판(D-1)을 월류하여 나노산소수토출실(21)로 이송되는 단계;
제2기포발생장치(C2)에서 산소 분자집단(Cluster)이 나노사이즈(Nano Size)로 분해되어 나노산소기포수로 형성되어 나노산소토출실(21)로 토출되어 확산되는 단계;
나노산소수토출실(21)에서 칼슘마그네슘용해수중에 나노산소기포수가 확산되면서 나노산소기포의 외측면에 수중의 이온물질이 감싸이면서 격판(D-2)을 월류하여 융합실(22)로 이송되는 단계;
융합실(22)에서 나노산소기포 외측면에 이온물질이 계속 감싸면서 농축, 융합되어 안정화되는 단계;를 거쳐서 나노산소액체비료가 합성된다.
화석 연료연소에서 발생하는 배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CO2), 질소화합물(NOx), 황화합물(SOx) 등을 수중에 용해시켜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에 이용함으로서 폐자원 재활용에 기여하게 된다.
나노산소액체비료는 식물체내로 쉽게 공급되지 않는 무유기물질 이온이 나노산소기포를 감싸면서 킬레이트(Chelate)화되어 식물체내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식물체의 성장을 촉진시키게 된다.
화석연료 연소배기를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에 이용함으로서, 연소배기에 함유된 이산화탄소(CO₂)의 대기중으로 배출을 차단시키게 되어 지구온난화 예방에 공헌하게 된다.
도 1은 장치의 배치 연결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면상에서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도 1은 장치의 배치 연결 평면도이며, 도면상에서, A는 용수공급조이며, 유입관(1)과 2개 라인의 용수공급관(2,3)이 부설되고, C1는 제1기포발생장치로서 용수공급관(2)과 토출관(6)이 부설되며, 압입관(4)을 통해 배기압축장치(B)에 연결되고, 배기압축장치(B)는 외부로 연결되는 배기 유입관(5)에 연결되며, C2는 제2기포발생장치로서, 용수공급관(3)에 연결되고, 압입관(8)을 통해 산소공급장치(E)에 연결되며, 토출관(7)을 통해 액비합성조(D)로 연결되고, D는 액비합성조로서, 4각 장방형으로 되며, 내부는 복수의 격판(D-1,D-2)이 부설되어 배기용해수토출실(20), 나노산소수토출실(21), 융합실(22)로 구획되고, 융합실(22)에 배출관(9)이 부설되고, 유입관(1,5), 공급관(2,3), 압입관(4,8), 배출관(9)에는 개폐밸브, 토출관(6,7)에는 토출밸브가 각각 부설되어 구성된다.
이하에서 개별장치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용수공급조(A)는 4각, 또는 원형의 수조로서, 용수 유입관(1)과 복수의 공급관(2,3)이 부설되며, 용수유입관(1)을 통해서 외부에서 용수를 유입시켜 저장하면서 복수의 공급관(2,3)을 통해 제1기포발생장치(C1) 및 제2기포발생장치(C2)에 각각 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위에서, 용수는 칼슘(Ca), 마그네슘(Mg) 등이 다량 함유된 경수를 이용하며, 또는 무유기물질을 함유한 생활하수 종말처리수에 경도를 상승시켜 이용할 수도 있다.
제1기포발생장치(C1)는 공급관(2)을 통해 용수공급조(A)로 연결되고, 토출관(6)이 부설되어 액비합성조(D)의 배기용해수토출실(20)로 연결되며, 또, 배기를 압입시키는 압입관(4)이 부설되어 배기압축장치(B)에 연결된다.
위에서, 배기압축장치(B)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공기 압축장치가 이용되며, 압입관(4)을 통해 제1기포발생장치(C1)로 연결되고, 외부로 연결되어 배기를 공급하는 유입관(5)이 부설되며, 이 유입관(5)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는 먼저 냉각되어 압축되게 되고, 냉각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송관에 수관을 부설하여 냉각시키도록 한다.
제1기포발생장치(C1)에 용수공급관(2)을 통해 용수가 공급되고, 압축배기가 압입되면 장치에 내장된 가압펌프가 작동하여 용수는 6기압 전후로 가압되며, 이 가압수에 연소배기가 압입되어 혼합, 분쇄, 팽창, 충돌, 선회를 반복하면서 배기의 분자집단(Cluster)은 미크론사이즈(Micron size)가 되는 소분자단으로 분해되어 미크론배기기포수로 형성되어 토출관(6)을 통해 액비합성조(D)의 배기용해수토출실(20)에 상압으로 토출된다.
제2기포발생장치(C2)는 공급관(3)을 통해 용수공급조(A)에 연결되고, 토출관(7)을 통해 액비합성조(D)의 나노산소수토출실(21)로 연결되며, 압입관(8)을 통해 산소공급장치(E)에 연결된다.
위에서, 산소공급장치(E)는 액체산소를 저장하는 탱크에 기화장치가 부설되어 산소기체로 전환시켜 산소를 공급하게 되며, 또는 산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대체시켜 산소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제2기포발생장치(C2)에 용수가 공급되고 산소가 압입되면 장치에 내장된 가압펌프가 작동하여 용수는 10기압 전후로 가압되며, 산소는 혼합, 분쇄, 팽창, 충돌, 선회를 반복하면서 배기의 분자집단(Cluster)은 나노사이즈(Nano size)가 되는 소분자단, 또는 단분자로 분해되어 나노산소기포수로 생성되어 토출관(7)을 통해 액비합성조(D)의 나노산소수토출실(21)에 고압에서 상압으로 토출된다.
위에서, 제2기포발생장치(C2)의 가압강도를 10기압 전후의 고압으로 가압하는 것은 산소집단(Cluster)을 나노사이즈(Nano Size)의 단분자로 분해시키기 위한 것이며, 더욱 강한 고압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위에서, 제1,2기포발생장치(C1,C2)는 동일한 장치로서, 한국 등록특허 극미세기포발생장치(10-1022612)가 이용되며, 이 장치는 외부로 연결되는 연결관이 부설된 가압펌프, 외부로 연결되는 기체 유입관이 부설된 혼합관, 구경의 크기를 달리하여 팽창과 수축작용을 행하는 복수로 서로 연결된 강철관, 가압 강도를 조정하는 대구경관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혼합관에 외부로 연결되는 기체 압입관, 대구경관에 외부로 연결되는 토출관이 연결되어 장치는 구성된다. 장치의 작용은 용수와 기체가 공급되면 가압펌프가 작동하여 가압작용을 하여 기체는 혼합되면서 복수로 연결된 관을 통과하면서 분쇄, 충돌, 팽창, 수축, 선회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기체의 분자집단(Cluster)이 분해되면서 미크론사이즈(Micron size), 또는 나노사이즈(Nano Size)의 소분자단, 또는 단분자의 미세기포로 분해한다.
본 발명에서, 동일 기포발생장치(C1,C2)에서 가압 강도를 조정하여 미크론사이즈(Micron Size)기포와 나노사이즈(Nano Size)의 기포를 생성시키는 것은 미크론사이즈(Micron Size) 기포는 압괴(壓壞)되어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게 되고, 나노사이즈(Nano Size) 기포는 기포의 외측면에 음전하로 대전하여 이온물질이 감싸면서 농축, 융합되어 압괴(壓壞)되지 않고 안정화되어 장기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액비합성조(D)는 4각, 장방형 수조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복수의 격판(D-1,D-2)이 외벽을 구성한 판보다 높이가 낮게 부설되어 유체는 격판상부를 월류하여 유체가 자연 이송되게 부설되고, 이 격판(D-1,D-2)에 의해서 배기용해수토출실(20), 나노산소수토출실(21), 융합실(22)로 구획되며, 배기용해수토출실(20)과 나노산소수토출실(21)에는 각각 토출관(6,7)이 연결되고, 융합실(22)에는 배출관(9)이 부설된다.
배기용해수토출실(20)에는 제1기포발생장치(C1)로부터 미크론배기기포수가 토출되어 확산되며, 미크론배기기포수중의 미크론사이즈(Micron Size)의 이산화탄소(CO₂)기체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H₂CO₃), 탄산칼슘(CaCO₃), 수산화칼슘(Ca(OH)2), 탄산수소칼슘(Ca(HCO₃)2), 탄산마그네슘(MgCO₃), 수산화마그네슘(Mg(OH)2), 탄산수소마그네슘(Mg(HCO₃)2) 등으로 결합되어 수중에 용해되어 칼슘마그네슘용해수로 결합되어 격판(D-1)을 월류하여 나노산소수토출실(21)로 이송된다.
위에서, 배기중에는 질소화합물(NOx), 황화합물(SOx) 등은 수중에 용해되며, 용해된 상태로 함께 이송되게 된다.
나노산소수토출실(21)에는 배기용해수토출실(20)로부터 이송된 칼슘마그네슘용해수중에 제2기포발생장치(C2)에서 나노산소기포수가 토출되어 확산되고, 나노산소기포수중의 나노산소기포 외측면은 음전하로 대전하며, 나노산소기포 외측면에 수중의 이온물질에 감싸이면서 격판(D-2)을 월류하여 융합실(22)로 이송되게 된다.
융합실(22)에는 나노산소기포가 이온물질에 감싸이면서 격판(D-2)을 월류 이송되며, 이송된 나노산소기포의 외측면에는 계속 이온물질이 감싸면서 농축, 융합이 진행되어 나노산소기포는 킬레이트(Chelate)화 되고, 킬레이트(Chelate)화되므로서 나노산소기포는 파열되지 않고 안정화되며, 나노산소기포가 안정화됨으로서 장기보존이 가능하게 되어 나노산소액체비료는 합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나노산소액체비료는 나노사이즈의 산소기체가 수중의 각종 이온물질에 감싸이면서 농축, 융합되어 식물체내로 이동하게 되므로, 식물체내로 쉽게 이동되지 못하는 무유기 이온물질이 쉽게 이동하게 되며, 탄소동화작용에 필요한 탄소, 수소, 산소를 식물체내로 이동시키게 되어 식물체의 성장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하, 나노산소액체비료의 합성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용수공급조(A)로부터 기포수와 배기가 제1기포발생장치(C1)에 공급되고, 내장된 가압펌프의 작동에 의해서 6기압 전후로 가압되면서 배기분자집단(Cluster)은 분해되어 미크론 배기기포수로 되어 배기용해수토출실(20)에 토출되어 확산된다.
용수공급조(A)로부터 기포수와 산소가 제2기포발생장치(C2)에 공급되고, 내장된 가압펌프의 작동에 의해서 10기압 전후로 가압되면서 산소분자집단(cluster)은 분해되어 나노산소기포로 되어 나노산소수토출실(21)로 토출되어 확산된다.
배기용해수토출실(20)에 토출된 미크론배기기포수중의 이산화탄소(CO₂)는 탄산(H₂CO₃)으로 결합되었다가 다시 칼슘(Ca), 마그네슘(Mg) 등과 반응하여 탄산칼슘(CaCO₃), 탄산마그네슘(MgCO₃), 탄산수소칼슘(Ca(HCO₃)2), 탄산수소마그네슘(Mg(HCO₃)2) 등으로 결합되는 과정을 거쳐 수중에 용해되어 칼슘마그네슘용해수가 되어 격판(D-1)을 월류하여 나노산소수토출실(21)로 이송된다.
나노산소수토출실(21)로 이송된 칼슘마그네슘용해수에 나노산소기포수가 토출되어 확산되면서 나노산소기포수중의 나노산소기포는 수중의 이온물질에 감싸이면서 격판(D-2)을 월류하여 융합실(22)로 이송된다.
융합실(22)로 이송된 나노산소기포의 외측면에는 수중의 이온물질에 계속 감싸이면서 이온물질이 농축, 융합되어 나노산소기포는 안정화되며, 즉, 나노산기포는 킬레이트(Chelate)화 되어 장기보존이 가능해져서 나노산소액체비료는 합성되게 된다.
위에서, 융합실에서 합성된 나노산소액체비료는 배출관(9)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에 저장하여 장기보존 하거나, 또는 이송관을 통해 작물재배장으로 이송시켜 작물재배에 이용하게 된다.
위에서, 미크론배기기포수와 나노산소기포수 중에 존재하는 질소화합물(NOx), 황화합물(SOx), 기타 미량 원소 등은 나노산소기포에 농축되어 융합되거나, 수중에 용존된 상태로 복합비료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 나노산소액체비료는 탄소 동화에 필수 물질인 탄소, 수소, 산소를 함유하여 식물체내로 이동시키게 됨으로 식물의 대사를 촉진시켜 생리활성력이 증강되어 식물은 성장이 촉진되어 작물의 수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 나노산소액체비료는 농도를 조정하면 광위범하게 작물재배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물질을 융합시켜 특정 작물재배용 나노산소액체비료로 가공할 수 있다.
A: 용수공급조 B: 배기압축장치
C1·C2: 기포발생장치 D : 액비합성조
D-1, D-2 : 격판 E : 산소공급장치
1, 5 : 유입관 2, 3 : 공급관
4, 8 : 압입관 6, 7 : 토출관
9 : 배출관
20 : 배기용해수토출실 21 : 나노산소수토출실
22 : 융합실

Claims (2)

  1. 유입관(1)이 부설된 용수공급조(A)가 구비되고, 이 용수공급조(A)에 복수의 공급관(2,3)이 부설되어 배기를 미세하게 분해하는 제1기포발생장치(C1)와 산소를 미세하게 분해하는 제2기포발생장치(C2)로 각각 연결되며, 제1기포발생장치(C1)에는 압입관(4)을 통해 외부로부터 배기를 공급하는 유입관(5)이 부설된 배기압축장치(B)가 연결되고, 제2기포발생장치(C2)에는 압입관(8)을 통해 산소공급장치(E)로 연결되며, 제1기포발생장치(C1)와 제2기포발생장치(C2)에 토출관(6,7)이 각각 부설되고, 액비합성조(D)는 내부에 복수의 격판(D-1,D-2)이 부설되어 배기용해수토출실(20)과 나노산소수토출실(21)과 융합실(22)로 구획되고, 배기용해수토출실(20)과 나노산소수토출실(21)에 토출관(6,7)이 각각 연결되고, 융합실(22)에 배출관(9)이 부설되며, 유입관(1,5), 공급관(2,3), 압입관(4,8), 배출관(9)에는 개폐밸브가 각각 부설되고, 토출관(6,7)에는 토출밸브가 부설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2. 용수공급조에서 용수 및 배기압축장치로부터 배기를 공급받는 제1기포발생장치와 용수공급조에서 용수 및 산소공급장치로부터 산소를 공급받는 제2기포발생장치와 배기용해수토출실과 나노산소수토출실과 융합실로 구획된 액비합성조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장치에서,

    제1 및 제2기포발생장치에 용수가 공급되고, 제1기포발생장치에는 압축 연소배기, 제2기포발생장치에 산소기체가 공급되는 단계;
    제1기포발생장치에서 연소배기 분자집단(Cluster)이 미크론사이즈(Micron Size)로 분해되어 미크론배기기포수로 형성되어서 배기용해수토출실로 토출되어 확산되는 단계;
    배기용해수토출실에서 미크론배기기포수중의 이산화탄소(CO₂)가 수중의 칼슘(Ca), 마그네슘(Mg) 이온과 결합하여 탄산수소칼슘(Ca(HCO₃)2), 탄산수소마그네슘(Mg(HCO₃)2)으로 형성되어 수중에 용해되어 칼슘마그네슘용해수로 형성되어 격판을 월류하여 나노산소수토출실로 이송되는 단계;
    제2기포발생장치에서 산소 분자집단(Cluster)이 나노사이즈(Nano Size)로 분해되어 나노산소기포수로 형성되어 나노산소토출실로 토출되어 확산되는 단계;
    나노산소수토출실에서 칼슘마그네슘용해수중에 나노산소기포수가 확산되면서 나노산소기포의 외측면에 수중의 이온물질이 감싸이면서 격판을 월류하여 융합실로 이송되는 단계;
    융합실에서 나노산소기포 외측면에 이온물질이 계속 감싸면서 농축, 융합되어 안정화되는 단계;를 거쳐서 나노산소액체비료가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방법.
KR1020180001995A 2018-01-05 2018-01-05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 KR101978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95A KR101978088B1 (ko) 2018-01-05 2018-01-05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95A KR101978088B1 (ko) 2018-01-05 2018-01-05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088B1 true KR101978088B1 (ko) 2019-05-14

Family

ID=6658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995A KR101978088B1 (ko) 2018-01-05 2018-01-05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0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173A (ko) 2020-06-17 2021-12-24 (주) 나노에스텍수산 나노기포 이용 자원순환 융복합영농시설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303A (ko) * 2006-05-04 2006-05-24 손을택 폐기물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10067182A (ko) * 2009-12-14 2011-06-22 손덕순 수중 염소이온·경도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40102932A (ko) * 2013-02-15 2014-08-25 엔텍스 주식회사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비 생산 방법
KR20170048668A (ko) * 2015-10-26 2017-05-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분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303A (ko) * 2006-05-04 2006-05-24 손을택 폐기물 소각 배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10067182A (ko) * 2009-12-14 2011-06-22 손덕순 수중 염소이온·경도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40102932A (ko) * 2013-02-15 2014-08-25 엔텍스 주식회사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비 생산 방법
KR20170048668A (ko) * 2015-10-26 2017-05-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분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173A (ko) 2020-06-17 2021-12-24 (주) 나노에스텍수산 나노기포 이용 자원순환 융복합영농시설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31587B2 (en) Promoter enhanced chilled ammonia based system and method for removal of CO2 from flue gas stream
RU2449828C2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co2 в жид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890497B2 (en) Method for extracting and sequestering carbon dioxide
KR20160079801A (ko) 연도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EP12069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 gas
US20230302403A1 (en) Carbon-dioxide capture and treatment system and carbon-dioxide negative emissions plant
WO2010037037A2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688558B2 (en) Apparatus for concentration reaction of carbon dioxide using magnesium ions in seawater, and method for sequestrating carbon dioxide in ocean using same
KR101978088B1 (ko) 연소배기 용해 나노산소액체비료 합성장치 및 방법
KR20120120943A (ko) 배연 및 대기 가스 중의 co2의 환원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112352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2 sequestration in marine vessels
US20210039044A1 (en)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JP2022518577A (ja) CO2、NOx、SO2の化学的な分離
US20100224070A1 (en) Shipboard Vessel Having a Vertically Aligned Scrubber and Process Component
KR101888684B1 (ko) 이산화탄소 해양저장을 위한 중화 농축반응 시스템 및 이산화탄소의 해양격리방법
Goren et al. Comprehensive review and assessment of carbon capturing methods and technologies: An environmental research
US65693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e gas desulfurization
EP2457634A1 (en) A wet scrubber for removing sulphur dioxide from a process gas
NO20230723A1 (en) Chem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remediating sulfur-containing compositions and other contaminants in fluids
KR102231451B1 (ko)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231448B1 (ko)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064100B1 (ko) 선박의 배출배기와 평형수 병합처리장치 및 방법
ES2392280B2 (es) Procedimiento de captura de co2 y so2.
US11852062B2 (en) Apparatu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 in vessel and vessel including the same
JP6934125B1 (ja) アンモニア及び水素製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