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069B1 -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069B1
KR101978069B1 KR1020170162778A KR20170162778A KR101978069B1 KR 101978069 B1 KR101978069 B1 KR 101978069B1 KR 1020170162778 A KR1020170162778 A KR 1020170162778A KR 20170162778 A KR20170162778 A KR 20170162778A KR 101978069 B1 KR101978069 B1 KR 10197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easured
aircraft
power supply
exter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문용
방재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7016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및 방법이 개시된다.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계측부와,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MENDING AUTOMATICALLY POWER OF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감시하여, 상기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보정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는 내부의 부하시설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하여 일정 범위 값의 전원품질 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일정 범위를 벗어남 값의 전원 투입은 항공기 부하시설의 특성에 따라, 성질이 달라지고, 전원공급장치에서부터 항공기까지의 케이블 길이에 따라 전압강하 등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전원품질의 변동은 항공기 내부의 부하시설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항공기 내 작업자들에게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정확한 원인파악을 위해서는 별도의 계측기가 필요하고, 항공기 접속시험이 불가피하므로, 항공기 정비업무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 함으로써, 일정한 전압이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계측부와,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방법은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 함으로써, 일정한 전압이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압의 감시 및 보정을 통해, 일정한 전압이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항공기 내부의 부하시설로의 전원공급이 과하거나 부족 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처리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어, 항공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의 적용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100)는 계측부(101), 프로세서(103), 모니터부(105) 및 데이터베이스(107)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부(101)는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계측부(101)는 설정된 주기(예컨대, 1초) 마다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을 측정시각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07)에 저장할 수 있다.
계측부(101)는 프로브(prob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는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와의 거리가, 설정된 간격 미만인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와 연결된 공급전원 포트(A, B, C, N)로부터 전압(예컨대, 각 상(R, S, T)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는 상기 공급전원 포트와 연결된, 전원공급 케이블 내 통신선과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03)는 상기 통신선을 통해, 계측부(101)에서 측정된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3)는 상기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측정된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는, 상기 부하시설의 운용에 필요한 최소 전압이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판단시, 프로세서(103)는 상기 부하시설의 특성(예컨대, 부하시설의 필요전압, 단위시간 당 소비전력, 고장 횟수 등)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압 범위를 데이터베이스(107)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전압이, 상기 확인된 전압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측정된 전압이 상기 확인된 전압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는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3)는 설정된 전압 범위가 '200~220'V이고,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250'V일 경우, '250'V의 전압을 '200~220'V에 포함되도록 예컨대, '210'V로 보정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3)는 예컨대, 항공기 주기장에서 사용전원인 3상 380V, 60Hz 전원이 공급되면, 항공기 내부 설비에 필요한 3상 4선 115V/200V AC, 400Hz 전원으로 전압 및 주파수를 변환시킨 후, 항공기 내부 설비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3)는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감시하고,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난 전압에 대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 함으로써, 항공기 내 부하시설의 운용 또는 관리 작업 시, 외부에서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운용 에러 또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3)는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보정하되,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특정 조건에서는 상기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생략)할 수 있다.
일례로서, 프로세서(103)는 현 주기(현 시점)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되, n개(여기서, n는 3 이상의 자연수)의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이 연속적으로 상기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3)는 설정된 전압 범위가 '200∼220'V이고,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250'V일 경우, 제1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를 벗어나되, 3개의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3초전, 2초전, 1초전에서 각각 측정된 전압)이 '205'V, '215'V, '210'V로서, 상기 전압 범위('200∼220'V)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프로세서(103)는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되, 설정된 시간 동안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 중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3)는 직전 주기에서 측정된 제2 전압이 보정된 경우, 상기 제1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3)는 설정된 전압 범위가 '200∼220'V이고,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250'V일 경우, 제1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200∼220'V)를 벗어나되, 5개의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5초전, 4초전, 3초전, 2초전, 1초전에서 각각 측정된 전압)이 '217'V, '230'V, '219'V, '215'V, '210'V일 경우, 설정된 개수(3개) 이상의 전압 즉, '217'V, '219'V, '215'V, '210'V(4개의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3)는 1초전(직전 주기)에서 '210'V 대신, '245'V가 측정되면, 상기 '245'V가 전압 범위('200∼220'V)를 벗어남에 따라 보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3)는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특정 조건에서는 상기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프로세서(103)는 직전 주기에서 측정된 제2 전압이 보정된 후,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의 최대 전압 또는 최소 전압과 일치하면, 상기 제1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3)는 1초전(직전 주기)에서 측정된 제2 전압이 보정된 후,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220'V일 경우,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지만,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200∼220'V)의 최대 전압('220'V)과 일치하면, 상기 제1 전압을 예컨대, '210'V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3)는 상기 측정된 전압을 분석하여, 출력파형 및 파고율(Crest Factor)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정보를 모니터부(105)에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부(105)는 프로세서(103)에 의해 상기 측정된 전압으로부터 도출된, 출력파형 및 파고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7)는 부하시설의 특성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압 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7)는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 측정된 전압을, 측정시각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의 적용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200)는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201)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때,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200)는 예컨대, 설정된 전압 범위가 '200∼220'V이고,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250'V일 경우, '250'V의 전압을 '200∼220'V에 포함되도록 예컨대, '210'V로 보정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 함으로써, 외부전원 접속부(201)를 통해, 항공기 내 부하시설(203)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300)는 계측부(301) 및 프로세서(303)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부(301)는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Aircraft Connecter)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03)는 감시 및 제어부(GPS Main Controller)로서,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3)는 상기 측정된 전압을 분석하여, 출력파형 및 파고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정보를 조작부(GPS Remote Box)(305)의 모니터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01)에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계측부를 통해,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설정된 주기(예컨대, 1초) 마다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을 측정시각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전압 측정시, 계측부는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와의 거리가, 설정된 간격 미만인 지점에 위치하는 프로브에서,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와 연결된 공급전원 포트로부터 각 상(R, S, T)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는 상기 공급전원 포트와 연결된, 전원공급 케이블 내 통신선과 연결될 수 있다.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내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선을 통해, 계측부에서 측정된 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측정된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는, 상기 부하시설의 운용에 필요한 최소 전압이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판단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하시설의 특성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압 범위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때,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압을 분석하여, 출력파형 및 파고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정보를 모니터부에 출력할 수 있다.
단계(405)에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상기 보정된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보정하되,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특정 조건에서는 상기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되, n개(여기서, n는 3 이상의 자연수)의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이 연속적으로 상기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되, 설정된 시간 동안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 중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직전 주기에서 측정된 제2 전압이 보정된 경우, 상기 제1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특정 조건에서는 상기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는 직전 주기에서 측정된 제2 전압이 보정된 후,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범위의 최대 전압 또는 최소 전압과 일치하면, 상기 제1 전압을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저장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101: 계측부
103: 프로세서
105: 모니터부
107: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계측부; 및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ⅰ)설정된 시간 동안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 중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하는 반면,
    ⅱ)상기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 중, 상기 현 주기의 직전 주기에서 측정된 제2 전압이 보정된 후,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의 최대 전압 또는 최소 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압을 보정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와의 거리가, 설정된 간격 미만인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와 연결된 공급전원 포트로부터 상기 전압을 측정하는 프로브(probe)
    를 포함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공급전원 포트와 연결된, 전원공급 케이블 내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선을 통해,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전압을 전달받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전압을 분석하여, 출력파형 및 파고율(Crest Factor)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정보를 모니터부에 출력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하시설의 특성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압 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이, 상기 확인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보정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범위는,
    상기 부하시설의 운용에 필요한 최소 전압이 포함되도록 설정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항공기 내 외부전원 접속부에서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을 상기 전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보정하는 단계;
    설정된 시간 동안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 중 설정된 개수 이상의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현 주기에서 측정된 제1 전압에 대한 보정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이전 주기에서 각각 측정된 제2 전압 중, 상기 현 주기의 직전 주기에서 측정된 제2 전압이 보정된 후,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의 최대 전압 또는 최소 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전압을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에 제공하여,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내 부하시설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와의 거리가, 설정된 간격 미만인 지점에 위치하는 프로브에서, 상기 외부전원 접속부와 연결된 공급전원 포트로부터 상기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시설의 특성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압 범위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전압을 분석하여, 출력파형 및 파고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정보를 모니터부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70162778A 2017-11-30 2017-11-30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978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778A KR101978069B1 (ko) 2017-11-30 2017-11-30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778A KR101978069B1 (ko) 2017-11-30 2017-11-30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069B1 true KR101978069B1 (ko) 2019-05-13

Family

ID=6658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778A KR101978069B1 (ko) 2017-11-30 2017-11-30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0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990A (ko) * 2011-10-07 2013-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전원 보정 기능을 구비한 용접장치 및 용접장치의 용접전원 자동 보정 방법
JP2013516156A (ja) * 2009-12-28 2013-05-09 フライバック エネルギー,インク. 無効電力を管理する制御可能な汎用電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6156A (ja) * 2009-12-28 2013-05-09 フライバック エネルギー,インク. 無効電力を管理する制御可能な汎用電源
KR20130037990A (ko) * 2011-10-07 2013-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전원 보정 기능을 구비한 용접장치 및 용접장치의 용접전원 자동 보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6093B2 (en) Synchronization of RF pulsing with RF metrology, processing, and control
KR101681288B1 (ko) 전력기기의 오차보정방법
EP2365348B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current transformer
US20190383864A1 (en) Volt-var device monitor
KR20130050028A (ko) 전원장치 성능 진단시스템
CN104502736A (zh) 一种在线式相序自适应方法
CN112821885A (zh) 一种ate设备各通道芯片相对延时测量校准方法及装置
CN112780486A (zh) 用于控制风力转换器的系统和方法
EP3037831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measuring power quality
US9494968B2 (en) Clock skew analysis and optimization
US20180358888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verters
KR101978069B1 (ko) 항공기 전원 자동보정 장치 및 방법
US20180011136A1 (en) Fault point locating device and method, electric power system monitoring system, and facility planning support system
CN104698428A (zh) 一种多电能表自动化测试方法
EP3382840A1 (en) Power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power system monitoring method
KR101006904B1 (ko) 송전선로 선로정수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655776B1 (ko) 소형 자동기상관측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관측 방법
KR101028162B1 (ko) 인버터 성능 모의 시험장치
US10467358B2 (en) Simul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60096364A (ko) 시각 동기화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선로정수 추정방법
KR20210122759A (ko)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EP40621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ble insulation testing
Krasich Modeling of SW reliability in early design with planning and measurement of its reliability growth
US20180335480A1 (en) Modular Power Supply Monitoring by Accessory Interface of a Test and Measurement Instrument
WO2021246405A1 (ja) 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