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676B1 - Apparatus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676B1
KR101977676B1 KR1020170168926A KR20170168926A KR101977676B1 KR 101977676 B1 KR101977676 B1 KR 101977676B1 KR 1020170168926 A KR1020170168926 A KR 1020170168926A KR 20170168926 A KR20170168926 A KR 20170168926A KR 101977676 B1 KR101977676 B1 KR 10197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eight
water
uni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주한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6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5Container fill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unit chair,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cup is placed on a support unit, a first ultrasonic signal can be transceived toward an upper edge of the cup by using a first transceiving unit provided in a water supply unit and a second ultrasonic signal can be transceived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by using a second transceiving unit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In addition, when a gap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is defined as a first height, and a gap between the frist transceiving unit and the upper edge of the cup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first ultrasonic signal is defined as a second height,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can be measured as the height of the cup. When a gap between the second transceiving unit and the inside of the cup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is defined as a third height,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can be measured as the heigh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Thereafter, when the heights of the cup and the water are received,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is in a predetermined ratio or less to that of the cup, th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cup, and the supply of the water to the cup can be stoppe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is in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to that of the cup.

Description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및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Apparatus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nd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및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진료시 환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및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nd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nd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for supplying water to a patient during a dental treatment.

치과에서는 진료 후 환자에게 물을 공급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고여 있는 타액, 혈액,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게 한다.In dentistry, water is supplied to the patient after the treatmen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wash the saliva, blood,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치과에서 사용하는 환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는 급수대에 컵을 놓으면 자동으로 컵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for supplying water to a patient used in a dentistry may be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the cup when the cup is placed on the water supply table.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에 있어서, 급수대에 놓이는 컵에 대한 인식은 컵의 측면을 향하여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재를 사용함에 의해 달성할 수 있고, 컵에 공급되는 물의 양에 대한 확인은 컵에 공급되는 물에 전류를 제공하여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함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여 컵에 대하여 인식하는 기술은 실용신안등록 20-0391600호 등에 개시되어 있고, 전류의 변화량으로 컵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확인하는 기술은 공개특허 10-2014-000635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In the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the recognition of the cup placed at the water supply can be achieved by using a memb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toward the side of the cup, and confirmation of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is supplied to the cup By providing current to the water to sense the amount of change in current.
A technique of recognizing a cup using an infrared signal is disclosed in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1600, and a technique for confirm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by the amount of change in current i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006354 have.

그러나 컵의 인식을 위하여 컵의 측면에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은 컵의 재질이나 컵의 크기에 따라 감지 범위가 달라질 수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컵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recognize the cup,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to the side of the cup may vary the detection range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cup or the size of the cup, and in some cases, the cup may not be recognized.

또한, 컵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물에 전류를 제공하는 것은 물의 성분이 달라질 경우 전류의 변화량도 달라질 수 있어 컵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Also, providing current to the water to check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can change the amount of current when the component of the water is changed, so tha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can not be accurately ascertained.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급수대에 놓이는 컵의 재질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컵을 정확하게 인식함과 아울러 컵에 공급되는 물의 양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capable of accurately recognizing a cup regardless of the material and size of the cup placed in the water supply line and accurately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급수대에 놓이는 컵의 재질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컵을 정확하게 인식함과 아울러 컵에 공급되는 물의 양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that accurately recognizes a cup regardless of the material and size of the cup placed in the water supply bowl and accurately confirm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는 받침부, 급수부, 제1 송수신부, 제2 송수신부, 컵 높이 측정부, 물 높이 측정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컵이 놓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받침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컵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받침부에 놓이는 컵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급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받침부에 놓이는 컵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급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컵 높이 측정부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급수부 사이를 제1 높이로 정의하고,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제1 송수신부와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 사이를 제2 높이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를 차감한 값을 상기 컵의 높이로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높이 측정부는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컵의 내부 사이를 제3 높이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3 높이를 차감한 값을 상기 컵에 공급되는 물의 높이로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의 높이 및 상기 물의 높이를 제공받아 상기 컵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하로 상기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컵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컵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상으로 상기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컵으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comprising a support part, a water supply part, 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a cup height measurement part, . ≪ / RTI >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up is placed thereon.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positioned above the receiving unit to supply water to the cup. The first transceiver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placed on the receiving unit. The second transceiver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placed on the receiving unit.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defines a first height between the receiving unit and the water feed unit and defines a second height between the first transceiver unit and the upper frame of the cup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first ultrasonic signal The height of the cup may be measured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Wherein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calculate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when defining the third height between the second transceiver unit and the inside of the cup that can be measured by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nd measuring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up. 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water to the cup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atio to the height of the cup by receiving the height of the cup and the height of the water, And stopping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when the height is confirm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부가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상기 컵 높이 측정부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컵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when the first transcei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first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thetas; toward the upper rim of the cup,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calculates a height of the cup by Measurement.

<수학식 1> 제1 높이 - (제2 높이 x sinθ)&Lt; EMI ID = 1.0 > [0033] The first height - (second height x sin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부가 상기 컵의 내부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상기 물 높이 측정부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물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when the second transcei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amp;thetas;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measures the height of the water by the following equation .

<수학식 2> 제1 높이 - (제3 높이 x sinθ)&Quot; (2) &quot; First height - (third height x sin &amp;theta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컵이 놓일 때 상기 컵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up when the cup is placed.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은 받침부에 컵을 놓은 후, 급수부에 구비되는 제1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급수부에 구비되는 제2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컵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와 상기 급수부 사이를 제1 높이로 정의하고,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제1 송수신부와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 사이를 제2 높이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를 차감한 값을 상기 컵의 높이로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컵의 내부 사이를 제3 높이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3 높이를 차감한 값을 상기 컵에 공급되는 물의 높이로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컵의 높이 및 상기 물의 높이를 제공받아 상기 컵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하로 상기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컵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컵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상으로 상기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컵으로 물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a unit chair, comprising: placing a cup on a receiving portion; and then, using a first transmitting /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water supplying portion, 1 ultrasonic signals and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using a second transceiv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And defining a second height between the first transducer and the upper edge of the cup that can be measured by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can be measured as the height of the cup, and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ransceiver and the inside of the cup,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may be measured as the heigh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If the height of the wat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certain height of the height of the cup by receiving the height of the cup and the height of the water,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cup, When the height is confirmed,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can be stopp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부가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컵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when the first transcei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first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amp;thetas; toward the upper rim of the cup, the height of the cup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 제1 높이 - (제2 높이 x sinθ)&Lt; EMI ID = 1.0 > [0033] The first height - (second height x sin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부가 상기 컵의 내부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when the second transcei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To the inside of the cup, the height of the water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 제1 높이 - (제3 높이 x sinθ)&Quot; (2) &quot; First height - (third height x sin &amp;theta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및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은 제1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대에 놓이는 컵의 재질이나 컵의 크기에 상관없이 컵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nd the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ince the ultrasonic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using the first transceiver, the cup is accurately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cup or the size of the cup You can do i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및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은 급수대에 놓이는 컵의 높이 및 컵에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컵에 공급되는 물의 성분이 달라져도 컵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The water supply device for the unit chair and the water supply method for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height of the cup placed on the water supply table and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up, You will be a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및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은 급수대에 놓이는 컵에 물을 원하는 양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water supply device for the unit chair and the water supply method for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able to supply the desired amount of water accurately to the cup placed on the water supply table.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에서의 물 공급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view of a water supply assembly in 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3 is a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치과 진료시 환자의 구강 내에 고여 있는 타액, 혈액,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게 환자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치과 진료시 환자가 구강을 헹굴 수 있는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a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is provided to supply water to a patient so as to wash saliva, blood, foreign substances, etc., . That is, the patient can be provided with water to be able to rinse the oral cavity during dental treatment.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환자에게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어셈블리와 함께 타액, 혈액, 또는 구강을 행군 물 등을 뱉을 수 있는 스피툰(spittoon) 어셈블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a wat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water to a patient, a spittoon assembly or the like capable of spitting saliva, blood, or oral cavity .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물 공급 어셈블리로서 환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컵이 놓이는 받침부(11), 컵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3)와 함께 스피툰 어셈블리로서 타액, 혈액, 또는 구강을 행군 물 등을 뱉을 수 있는 스피툰(15), 스피툰(15)에 뱉어지는 타액, 혈액, 또는 구강을 행군 물 등이 깨끗하게 배수 및 세척될 수 있도록 스피툰(15)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스피툰 세척부(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support portion 11 in which a cup in which water for supplying to a patient is placed, as a water supply assembly, a water supply portion 13 for supplying water to the cup, The spittoon assembly 15 can be used to spit saliva, blood, or oral cavity, and saliva, blood, or oral cavity spit to the spittoon 15 can be cleanly drained and cleaned And a spitun washer 17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ittoon 15 so that the water can be supplied.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주로 환자용 의자 근처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isposed mainly near a patient chair.

이하에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물 공급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water supply assembly.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에서의 물 공급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of a water supply assembly in 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언급한 받침부(11) 및 급수부(13)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the aforementioned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water supply portion 13. [

받침부(11)는 컵(10)이 놓이는 부분이다. 급수부(13)는 받침부(11)에 놓이는 컵(10)에 물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에, 급수부(13)는 받침부(1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컵(10)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구(24)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1 is a portion where the cup 10 is placed. The water supply part 13 is a par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up 10 placed on the receiving part 11. [ The water supply unit 1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11 and may include a water supply port 24 to supply water to the cup 10.

따라서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일 경우 받침부(11) 상부에 배치되는 급수부(13)의 급수구(24)를 통하여 컵(1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cup 10 through the water inlet 24 of the water supplying portion 13 dispos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이지 않는 상황에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받침부(11)에 놓이는 컵(10)에 물이 넘치도록 공급될 경우에는 유니트 체어를 사용한 치과 진료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using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when water is supplied while the cup 10 is not placed on the receiving part 11, or when the cup 10 ) May be seriously disturbed by dental care using a unit chair.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일 때를 정확하게 인식한 후 컵(1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되어야 하고, 받침부(11)에 놓이는 컵(10)으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공급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ust be controlled to correctly supply water to the cup 10 after correctly recognizing that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So that the water does not overflow into the cup 10 lying on the part 11.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일 때를 정확하게 인식한 후 받침부(11)에 놓이는 컵(10)으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공급하기 위하여 제1 송수신부(21), 제2 송수신부(22), 컵 높이 측정부(26), 물 높이 측정부(27), 제어부(28)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orrectly recognizes when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then, when the water is overflowed into the cup 10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The first transceiver 21, the second transceiver 22,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the controller 28, and the like.

제1 송수신부(21)는 받침부(11)에 놓이는 컵(10)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 송수신부(21)는 컵(10)의 상부 테두리를 바라볼 수 있는 급수부(13) 쪽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transceiver 21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first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10 placed on the receiving unit 11. [ Therefore, the first transceiver 21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13 where the upper edge of the cup 10 can be seen.

제2 송수신부(22)는 받침부(11)에 놓이는 컵(10)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2 송수신부(22)는 컵(10)의 내부를 바라볼 수 있는 급수부(13) 쪽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transceiver 22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10 placed on the receiving unit 11. [ Thus, the second transceiver 22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13 that can see the inside of the cup 10.

컵 높이 측정부(26)는 제1 송수신부(21)로부터의 제1 초음파 신호를 제공받아 컵(1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컵 높이 측정부(26)는 받침부(11)와 급수부(13) 사이를 제1 높이로 정의하고, 제1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제1 송수신부(21)와 컵(10)의 상부 테두리 사이를 제2 높이로 정의할 때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를 차감한 값을 컵(10)의 높이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컵 높이 측정부(26)는 연산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IC 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cup 10 by receiving the first ultrasonic signal from the first transceiver 21. The cup height measuring section 26 defines the first height between the receiving section 11 and the water supplying section 13 and the first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ction 21 and the cup 10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first ultrasonic signal, The height of the cup 10 can be measured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when the height between the upper edges of the cup 10 is defined as the second height. Thus,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can be formed of an IC chip in which a program capable of being operated is embedded.

그리고 제1 송수신부(21)가 급수부(13)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높이와 제2 높이를 정의하기 위한 제1 송수신부(21)와 급수부(13)는 동일한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transceiver 21 and the water feeder 13 for defining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ar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transceiver 21 and the water feeder 13, Can be defined.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제1 송수신부(21) 및 컵 높이 측정부(26)에 의해 컵(10)의 높이가 측정될 경우 컵(10)이 받침부(11)에 놓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 높이와 제2 높이가 동일할 경우에는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이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제1 높이보다 제2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이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eight of the cup 10 is measured by the first transceiver 21 and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It can be recognized that it is placed on the base 11. That is, if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are the same, it is recognized that the cup 10 is not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If the second height is lower than the first height, (10) is placed.

아울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일 때 컵(1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용부(29)는 정확한 위치에 컵(10)이 놓이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portion 29 capable of receiving the cup 10 when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have. That is, the accommodating portion 29 can be provided so that the cup 10 is placed at the correct position.

특히,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수용부(29)에 의해서도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이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Particularly,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provided to recognize that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by the receiving portion 29 as well.

제1 송수신부(21)는 θ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컵(10)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1 송수신부(21)는 컵(10)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first transceiver 21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10 in a state inclined at the angle of? In other words, the first transceiver 21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θ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10.

이에, 컵 높이 측정부(26)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컵(10)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cup 10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 제1 높이 - (제2 높이 x sinθ)&Lt; EMI ID = 1.0 > [0033] The first height - (second height x sin &

또한, 제1 송수신부(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θ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아닌 수직 방향에서 컵(10)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1 초음파 신호가 송수신되는 각도가 sin90도 이기 때문에 언급한 수학식 1에 대입할 경우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를 차감한 값이 컵(10)의 높이로 측정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ceiver 21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tead of being tilt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2 . In this case, since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ultrasonic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s sin90 degree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may be measured as the height of the cup 10 in the above-mentioned Equation (1).

따라서 제1 송수신부(21)는 컵(10)의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를 송수신할 수 있을 경우에는 급수부(13)에 배치되는 위치에 제약받지 않을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irst transceiver 21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wave toward the rim of the cup 10, the first transceiver 21 will not be restricted by the position of the water transceiver 13.

물 높이 측정부(27)는 제2 송수신부(22)로부터의 제2 초음파 신호를 제공받아 컵(10)으로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 높이 측정부(27)는 받침부(11)와 급수부(13) 사이를 제1 높이로 정의하고, 제2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제2 송수신부(22)와 컵(10)의 내부 사이를 제3 높이로 정의할 때 제1 높이에서 제3 높이를 차감한 값을 물의 높이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물 높이 측정부(27)도 컵 높이 측정부(26)와 마찬가지로 연산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IC 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heigh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by receiving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from the second transceiver 22.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defines the first height between the receiving unit 11 and the water supplying unit 13 and the seco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2 and the cup 10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It is possible to measur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as the height of the water. Therefore,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can also be formed of an IC chip in which a program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is embedded.

그리고 제2 송수신부(22)가 급수부(13)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높이와 제3 높이를 정의하기 위한 제2 송수신부(22)와 급수부(13)는 동일한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ceiver 22 and the water feeder 13 for defining the first height and the third height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econd transceiver 22 and the second transceiver 22 are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unit 13 Can be defined.

도 2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2 송수신부(22)의 경우에도 θ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컵(10)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2 송수신부(22)는 컵(10)의 내부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2, the second transceiver 22 may also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10 in a state tilted at an angle of θ. That is, the second transceiver 22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이에, 물 높이 측정부(27)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컵(10)으로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heigh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 제1 높이 - (제3 높이 x sinθ)&Quot; (2) &quot; First height - (third height x sin &amp;thetas;)

그리고 제2 송수신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아닌 수직 방향에서 컵(10)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2 초음파 신호가 송수신되는 각도가 sin90도 이기 때문에 언급한 수학식 2에 대입할 경우 제1 높이에서 제3 높이를 차감한 값이 컵(1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높이로 측정될 수 있을 것이다.2, the second transceiver 22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10 in a vertical direction instead of being inclined at an angle of?. In this case, since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s sin90 degree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is substituted by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ied into the cup 10 .

따라서 제2 송수신부(22)는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컵(10)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를 송수신할 수 있을 경우에는 급수부(13)에 배치되는 위치에 제약받지 않을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econd transceiver 22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ultrasonic waves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10 in which the water is supplied, the second transceiver 22 will not be restricted by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13.

제어부(28)는 컵(10)의 높이 및 물의 높이를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부(28)는 컵 높이 측정부(26) 및 물 높이 측정부(27)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제공받도록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28)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제어가 가능한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IC 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height of the cup 10 and the height of the water. That is, the control unit 28 may be connected to receive signals from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and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control unit 28, an IC chip having a controllable program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corporated.

특히, 제어부(28)는 컵(10)의 높이를 제공받음에 의해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이는 것을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아울러 컵(10)의 높이 및 물의 높이를 제공받아 받침부(11)에 놓인 컵(10)으로의 물의 공급 상황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control unit 28 can be provided to recognize that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unit 11 by being provided with the height of the cup 10, and also to provide the height of the cup 10 and the height of the water To control the supply state of the water to the cup (10)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즉, 제어부(28)는 컵(10)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하로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 컵(10)으로 물을 계속해서 공급하도록 급수부(13)를 제어할 수 있고, 컵(10)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상으로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컵(10)으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급수부(13)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 unit 28 can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13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cup 10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certain height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cup 1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13 so as to stop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10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level.

예를 들면, 컵(10)의 높이를 기준으로 물의 높이가 약 90%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컵(10)으로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고, 컵(10)의 높이를 기준으로 물의 높이가 약 9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컵(10)으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it is ascertained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is about 90% or less based on the height of the cup 10,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up 10, and the height of the water is about 90%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10 is stopp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급수부(13)에 놓이는 컵(10)의 높이 및 컵(10)에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컵(10)의 재질이나 컵(10)의 크기에 상관없이 컵(10)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고, 컵(10)에 공급되는 물의 성분이 달라져도 컵(1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height of the cup 10 placed in the water supply portion 13 and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The cup 10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aterial or the cup 10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can be accurately confirmed even if the composi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is changed.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100)는 급수부(13)에 놓이는 컵(10)에 물을 원하는 양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water supply device 100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capable of accurately supplying water to the cup 10 placed in the water supply portion 13 in a desired amount.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3 is a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11)에 컵(10)을 놓는다.(S31 단계) 그리고 제1 송수신부(21)를 사용하여 컵(10)의 상부 테두리를 향해서는 제1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 송수신부(22)를 사용하여 컵(10)의 내부를 향해서는 제2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 이루어지도록 한다.(S33 및 S35 단계)3,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part 11 (step S31). Then, the first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rt 21 is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10 And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10 by using the second transceiver 22. (Steps S33 and S35)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제1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 및 제2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even when the cup 10 is not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

또한 받침부(11)에 놓이는 컵(10)은 받침부(11)에 구비되는 수용부(29)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cup 10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may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29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 [

이어서, 컵 높이 측정부(26)를 사용하여 컵(10)의 높이를 측정한다.(S37 단계) 컵 높이 측정부(26)는 받침부(11)와 급수부(13) 사이를 제1 높이로 정의하고, 제1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제1 송수신부(21)와 컵(10)의 상부 테두리 사이를 제2 높이로 정의할 때,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를 차감한 값을 컵(10)의 높이로 측정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cup 10 is measured using the cup height measuring section 26 in step S37. The cup height measuring section 26 measures the height of the cup 10 between the receiving section 11 and the water supplying section 13, And defining a second height between an upper edge of the cup 10 and the first transceiver 21 that can be measured by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The height of the cup 10 can be measured.

특히, 제1 송수신부(21)가 컵(10)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컵 높이 측정부(26)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컵(1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Particularly, when the first transceiver 21 is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10,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measures the cup 10 Can be measured.

<수학식 1> 제1 높이 - (제2 높이 x sinθ)&Lt; EMI ID = 1.0 > [0033] The first height - (second height x sin &

이와 달리, 제1 송수신부(21)가 θ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아닌 수직 방향에서 컵(10)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제1 초음파 신호가 송수신되는 각도가 sin90도 이기 때문에 언급한 수학식 1에 대입할 경우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를 차감한 값이 컵(10)의 높이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when the first transceiver 21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tead of being inclined at the angle of?,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ultrasonic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may be measured as the height of the cup 10. In this case,

또한, 컵(10)의 높이가 측정될 경우 제어부(28)는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컵(10)으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언급한 수용부(29)에 의해서도 받침부(11)에 컵(10)이 놓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컵(10)으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cup 10 is measured, the control portion 28 will be able to recognize that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thus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10 There will be.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cup 10 is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 by the receiving portion 29 mentioned above, so that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10 can be controlled.

그리고 물 높이 측정부(27)를 사용하여 물의 높이를 측정한다.(S39 단계) 물 높이 측정부(27)는 받침부(11)와 급수부(13) 사이를 제1 높이로 정의하고, 제2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제2 송수신부(22)와 컵(10)의 내부 사이를 제3 높이로 정의할 때, 제1 높이에서 제3 높이를 차감한 값을 컵(10)으로 공급되는 물의 높이로 측정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water is measured using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Step S39)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defines the first height between the receiving unit 11 and the water supplying unit 13, When defining the third height between the second transceiver 22 and the inside of the cup 10 that can be measured by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is defined as the cup 10 It can be measured by the height of the supplied water.

특히, 제2 송수신부(22)가 컵(10)의 내부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물 높이 측정부(27)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컵(10)으로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Particularly, when the second transceiver 22 is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To the inside of the cup 10,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calculates the water level of the cup 1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수학식 2> 제1 높이 - (제3 높이 x sinθ)&Quot; (2) &quot; First height - (third height x sin &amp;thetas;)

이와 달리, 제2 송수신부(22)가 θ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아닌 수직 방향에서 컵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제2 초음파 신호가 송수신되는 각도가 sin90도 이기 때문에 언급한 수학식 2에 대입할 경우 제1 높이에서 제3 높이를 차감한 값이 컵(1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높이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transceiver 22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in a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in a tilted state at an angle of?,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s sin 90 degree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may be measured as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ied into the cup 10.

계속해서 제어부(28)는 컵 높이 측정부(26) 및 물 높이 측정부(27)로부터 컵(10)의 높이 및 물의 높이를 제공받아 컵(10)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by receiving the height of the cup 10 and the height of the water from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26 and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27. [

제어부(28)는 컵(10)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하로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 컵(10)으로 계속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부(13)를 제어한다.(S41 단계) 그리고 제어부(28)는 컵(10)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상으로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 컵(10)으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급수부(13)를 제어한다.(S43 단계)The control unit 28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13 so that th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up 10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certain height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cup 10. In step S41,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13 so as to stop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10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cup 10. In step S43,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은 급수부(13)에 놓이는 컵(10)의 높이 및 컵(10)에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컵(10)의 재질이나 컵(10)의 크기에 상관없이 컵(10)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고, 컵(10)에 공급되는 물의 성분이 달라져도 컵(1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supply method for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height of the cup 10 placed in the water supply part 13 and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The cup 10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aterial or the cup 10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can be accurately confirmed even if the composi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up 10 is changed.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은 급수부(13)에 놓이는 컵(10)에 물을 원하는 양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water supply method for the unit chai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able to supply water to the cup 10 lying in the water supply portion 13 accurately in a desired amoun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및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은 유니트 체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환자의 구강 내에 고여 있는 타액, 혈액, 이물질 등을 세척할 수 있게 환자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and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 unit chair, and in particular, water can be supplied to a patient so as to wash saliva, blood, It can be applied to a dental unit chair that can be suppli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 : 컵 11 : 받침부
13 : 급수부 15 : 스피툰
17 : 스피툰 세척부 21 : 제1 송수신부
22 : 제2 송수신부 24 : 급수구
26 : 컵 높이 측정부
27 : 물 높이 측정부
28 : 제어부 29 : 수용부
100 : 급수 장치
10: cup 11:
13: Water supply unit 15: Spittoon
17: Spin-clean unit 21: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2: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4: water supply port
26: Cup height measuring part
27: Water height measuring part
28: control unit 29:
100: Water supply device

Claims (7)

컵이 놓이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컵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하여 치과 진료시 환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 놓이는 컵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급수부에 구비되는 제1 송수신부;
상기 받침부에 놓이는 컵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급수부에 구비되는 제2 송수신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급수부 사이를 제1 높이로 정의하고,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제1 송수신부와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 사이를 제2 높이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를 차감한 값을 상기 컵의 높이로 측정하는 컵 높이 측정부;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컵의 내부 사이를 제3 높이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3 높이를 차감한 값을 상기 컵에 공급되는 물의 높이로 측정하는 물 높이 측정부; 및
상기 제1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컵의 높이를 제공받아 상기 받침부에 상기 컵이 놓이는 것을 인식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컵의 높이 및 상기 물의 높이를 제공받아 상기 컵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하로 상기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컵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컵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상으로 상기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컵으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A water supply device for a unit chair for supplying water to a patient at the time of a dental treatment, the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art on which the cup is placed; and a water supply part located above the support part and supplying water to the cup,
A first transceiv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a first ultrasonic signal toward an upper edge of the cup placed on the receiving unit;
A second transceiv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placed on the receiving unit;
And a second height is defined between the first transducer and the upper edge of the cup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 cup h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by the height of the cup;
Wherein when a third height between the second transceiver and the inside of the cup,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is defined as a third height,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is supplied to the cup A water h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water height; And
Receiving portion receives the height of the cup from the first transceiver and recognizes that the cup is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and receives the height of the cup and the height of the water from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second transceive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cup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height of the cup and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is stopped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the height of the cup And a control unit provided to the water supply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부가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상기 컵 높이 측정부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컵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수학식 1> 제1 높이 - (제2 높이 x sin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first transcei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first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Toward the upper edge of the cup, the cup height measuring unit measures the height of the cup according to Equation (1) Water supply device.
&Lt; EMI ID = 1.0 > [0033] The first height - (second height x sin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부가 상기 컵의 내부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상기 물 높이 측정부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수학식 2> 제1 높이 - (제3 높이 x sin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econd transcei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the water height measuring unit measures the height of the water by the following equation (2) Device.
&Quot; (2) &quot; First height - (third height x sin &amp;theta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컵이 놓일 때 상기 컵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up when the cup is placed.
컵이 놓이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컵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하여 치과 진료시 환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 컵을 놓는 단계;
상기 급수부에 구비되는 제1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급수부에 구비되는 제2 송수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컵의 내부를 향하여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받침부와 상기 급수부 사이를 제1 높이로 정의하고, 상기 제1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제1 송수신부와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 사이를 제2 높이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를 차감한 값을 상기 컵의 높이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초음파 신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상기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컵의 내부 사이를 제3 높이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3 높이를 차감한 값을 상기 컵에 공급되는 물의 높이로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컵의 높이를 제공받아 상기 받침부에 상기 컵이 놓이는 것을 인식함과 아울러 상기 컵의 높이 및 상기 물의 높이를 제공받음에 의해 상기 컵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하로 상기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컵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컵의 높이에 일정 비율 이상으로 상기 물의 높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컵으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
A water supply method for a unit chair for supplying water to a patient at the time of dental treatment, the water supply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cup; and a water supplying par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up,
Placing a cup on the pedest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rst ultrasonic signal toward an upper edge of the cup using a first transceiv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econd ultrasonic signal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using a second transceiver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And a second height is defined between the first transducer and the upper edge of the cup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first ultrasonic signal, Measuring a height of the cup by subtracting the second height from a height of the cup;
Wherein when a third height between the second transceiver and the inside of the cup,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second ultrasonic signal, is defined as a third height,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ird height from the first height is supplied to the cup Measuring the height of the water; And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a certain percentage of the height of the cup by receiving the height of the cup and the height of the water by recognizing that the cup is placed on the receiving part by receiving the height of the cup, Supplying water to the cup, and stopping the supply of water to the cup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to the height of the cup.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부가 상기 컵의 상부 테두리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1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컵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
<수학식 1> 제1 높이 - (제2 높이 x sin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eight of the cup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when the first transcei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first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amp;thetas; toward the upper rim of the cup.
&Lt; EMI ID = 1.0 &gt; [0033] The first height - (second height x sin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부가 상기 컵의 내부를 향하여 θ 각도로 제2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될 때,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용 급수 방법.
<수학식 2> 제1 높이 - (제3 높이 x sin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second transcei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econd ultrasonic signal at an angle of?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the height of the water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Quot; (2) &quot; First height - (third height x sin &amp;thetas;)
KR1020170168926A 2017-12-11 2017-12-11 Apparatus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KR101977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926A KR101977676B1 (en) 2017-12-11 2017-12-11 Apparatus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926A KR101977676B1 (en) 2017-12-11 2017-12-11 Apparatus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676B1 true KR101977676B1 (en) 2019-05-13

Family

ID=6658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926A KR101977676B1 (en) 2017-12-11 2017-12-11 Apparatus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6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170A (en) 2020-09-01 2022-03-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Vessel Detecting Module and Method, Medical Wat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US11905157B2 (en) 2020-12-15 2024-02-2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335A (en) * 1984-12-20 1990-07-31 The Coca-Cola Company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filling beverage containers
JPH06285092A (en) * 1993-04-01 1994-10-11 Osada Chuo Kenkyusho:Kk Cup-type water supply device
JPH0767892A (en) * 1993-05-20 1995-03-14 Toei Denki Kk Automatic faucet device
KR100808138B1 (en) * 2006-12-29 2008-02-29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A water purifier prevnting vessel overflowing with cpaacity computation
KR100816149B1 (en) * 2006-11-07 2008-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liquid dispens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335A (en) * 1984-12-20 1990-07-31 The Coca-Cola Company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filling beverage containers
JPH06285092A (en) * 1993-04-01 1994-10-11 Osada Chuo Kenkyusho:Kk Cup-type water supply device
JPH0767892A (en) * 1993-05-20 1995-03-14 Toei Denki Kk Automatic faucet device
KR100816149B1 (en) * 2006-11-07 2008-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liquid dispenser
KR100808138B1 (en) * 2006-12-29 2008-02-29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A water purifier prevnting vessel overflowing with cpaacity compu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170A (en) 2020-09-01 2022-03-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Vessel Detecting Module and Method, Medical Wat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US11905157B2 (en) 2020-12-15 2024-02-2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676B1 (en) Apparatus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Dental Unit Chair
JP4289489B2 (en) Milking cup
US20100262008A1 (en) Robotic ultrasound system with microadjustment and positioning control using feedback responsive to acquired image data
ATE530222T1 (en) DEVICE FOR PROGRAMMING A PACEMAKER
WO2013108592A1 (en)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CN111655305B (en) Breast condition determination
CN104060663B (en) Sitting posture reminder for toilet
WO2017187608A1 (en) Ultrasonic imaging device, and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EP1224906A3 (en) Automatic blood-pressure measuring apparatus
CN100427040C (en) Medical ultrasonic detection method and system
WO2018083883A1 (en) Ultrasonic inspection device and ultrasonic inspection method
US20180140273A1 (en) Ultrason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using same, and control method in ultrason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O2006132946A3 (en) Pedicle impedence measuring probe
KR102279570B1 (en) Ultrasonic Inspection Device
JP2008253379A (en)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JPH0321208Y2 (en)
KR20130102444A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US11871911B2 (en) Monitoring system
ATE549972T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ATHEMATICAL CHARACTERIZATION OF THE AUDIO CANAL GEOMETRY
CN109239713B (en) Sitting posture detection device, table lamp and sitting posture detection method
CN215524723U (en) Zero drainage monitoring devices who consumes gas drainer
CN215470286U (en) Precision grinding equipment for parts
CN203263434U (en) Ultrasonic bone mineral density diagnostic device
JP3616309B2 (e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to the cup
CN213346775U (en) Laboratory is with urgent eye belt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