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815B1 - 스마트 카트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815B1
KR101976815B1 KR1020180010061A KR20180010061A KR101976815B1 KR 101976815 B1 KR101976815 B1 KR 101976815B1 KR 1020180010061 A KR1020180010061 A KR 1020180010061A KR 20180010061 A KR20180010061 A KR 20180010061A KR 101976815 B1 KR101976815 B1 KR 101976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mart cart
wheel
bottom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영
이주은
Original Assignee
김채영
이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영, 이주은 filed Critical 김채영
Priority to KR102018001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스마트 카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전방에 마련되고,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장애물 인식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애물 인식 센서,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부, 바퀴부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퀴 구동부, 및 바퀴부의 주행 중 장애물 인식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바퀴부를 정지시키도록 바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트{SMART CAR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트와 관련된다.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이 대형 마트 등에서 카트를 이용하여 쇼핑을 할 때, 장애물(물건 또는 다른 사람 등)과 충돌하여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게 된다. 그리고, 무빙 워크의 경우 대부분 일정 각도 경사져 있어 힘이 약한 노약자에게는 무빙 워크에 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입장에서는 카트 내의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많은 힘이 소요되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740호(2013.11.0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장애물 인식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애물 인식 센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부; 상기 바퀴부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퀴 구동부; 및 상기 바퀴부의 주행 중 상기 장애물 인식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바퀴부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바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스마트 카트가 이동하는 바닥면에 마련된 가이드 라인을 추적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신호를 발생시키는 라인 트레이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경로 이탈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바퀴부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퀴부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본체의 바닥판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종단이 상기 본체의 바닥판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닥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본체의 상호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 홀; 및 상기 본체의 바닥판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삽입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스마트 카트의 경사도를 인식하는 경사도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 내에 물건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건 수납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마트 카트의 경사도가 기 설정된 경사도 이상이고, 상기 본체 내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의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바닥판을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바닥 높이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애물 인식 센서를 통해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함으로써, 스마트 카트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 카트가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가이드 라인을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시각 장애인 등이 스마트 카트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트의 바닥판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노약자 등이 물건을 싣고 내리기 편리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카트(100)는 본체(102), 바퀴부(104), 장애물 인식 센서(106), 바퀴 구동부(108), 바닥 높이 조절부(110), 라인 트레이서 센서(112), 손잡이부(114), 및 제어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2)는 스마트 카트(100)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이다. 본체(102)는 제1 본체(102-1) 및 제2 본체(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102-1)는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제1 본체(102-1)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본체(102-1)의 바닥판(121)은 제1 본체(102-1)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카트(100) 내에서 물건이 놓여져 있는 바닥판(121)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노약자 등이 물건을 싣고 내릴 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102-1)의 측면(102-1a, 102-1b, 102-1c, 102-1d)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홀(12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121)에는 슬라이드 홀(123)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판(121)의 삽입 돌기(121a)는 슬라이드 홀(12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본체(102-1) 내에서 바닥판(121)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여기서는, 슬라이드 홀(123)이 제1 본체(102-1)의 측면(102-1a, 102-1b, 102-1c, 102-1d)에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마주보는 측면에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본체(102-2)는 제1 본체(102-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본체(102-2)는 스마트 카트(100)의 다른 구성들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본체(102-2)에는 바퀴 구동부(108), 바닥 높이 조절부(110), 제어 모듈(116)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바퀴부(104)는 본체(102)의 하부에 마련된다. 바퀴부(104)는 본체(102)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퀴부(104)는 전력을 사용하여 회전하는 전동식 바퀴가 사용될 수 있다.
장애물 인식 센서(106)는 스마트 카트(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다. 장애물 인식 센서(106)는 장애물이 인식되는 경우 장애물 인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장애물 인식 센서(106)는 본체(102)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장애물 인식 센서(106)로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퀴 구동부(108)는 바퀴부(104)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퀴 구동부(108)는 제어 모듈(116)의 제어에 따라 바퀴부(104)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퀴 구동부(108)는 제어 모듈(116)의 제어에 따라 바퀴부(104)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퀴 구동부(108)는 DC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00)를 끌고 다닐 때 적은 힘으로도 스마트 카트(100)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무빙 워크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바닥 높이 조절부(110)는 바닥판(12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닥 높이 조절부(110)는 제어 모듈(116)의 제어에 따라 바닥판(1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바닥 높이 조절부(110)의 상단은 바닥판(121)과 연결될 수 있다. 바닥 높이 조절부(110)는 실린더 하우징(110a) 및 상하 실린더(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실린더(110b)는 실린더 하우징(110a) 내에 수납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높이 조절부(110)는 상하 실린더(110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 트레이서 센서(112)는 본체(10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라인 트레이서 센서(112)는 스마트 카트(100)가 이동하는 바닥면에 마련된 라인을 추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마트 카트(100)가 이동하는 바닥면에는 가이드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라인 트레이서 센서(112)는 가이드 라인을 감지하고, 스마트 카트(100)가 가이드 라인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라인 트레이서 센서(112)는 스마트 카트(100)가 가이드 라인을 이탈하는 경우, 스마트 카트(100)가 다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경로 이탈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경로 이탈 신호에는 바퀴부(104)가 가이드 라인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손잡이부(114)는 본체(102)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14)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트(100)를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14)에는 업 신호 및 다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튼 등)(114a)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업 신호는 바닥판(121)을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다운 신호는 바닥판(121)을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은 스마트 카트(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116)은 스마트 카트(100)의 주행 중 장애물 인식 센서(106)에서 장애물 인식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바퀴 구동부(108)로 바퀴 정지 신호를 발생시켜 바퀴부(104)가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은 인터페이스(114a)에서 발생되는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에 따라 바닥 높이 조절부(110)를 제어하여 바닥판(121)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본체(102) 내에 물건을 실을 때 업 신호를 발생시켜 바닥판(121)을 상부로 이동시킨 후, 다시 다운 신호를 발생시켜 바닥판(121)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은 라인 트레이서 센서(112)에서 경로 이탈 신호가 발생한 경우, 바퀴 구동부(108)를 제어하여 바퀴부(104)가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은 본체(102)의 경사도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6)은 본체(102)의 경사도가 기 설정된 경사도 이상이고, 본체(102) 내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으며, 바닥판(121)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 위치하는 경우, 바닥판(121)을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바닥 높이 조절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카트(100)가 무빙 워크와 같이 경사진 곳에 진입하였는데, 본체(102) 내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고 바닥판(121)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에 위치하는 경우, 본체(102) 내 물건이 사용자 측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닥판(121)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카트(100)는 본체(102)의 경사도를 인식하는 경사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트(100)는 본체(102) 하부에 마련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스마트 카트(예를 들어, 스마트 카트(1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스마트 카트
102 : 본체
102-1 : 제1 본체
102-2 : 제2 본체
104 : 바퀴부
106 : 장애물 인식 센서
108 : 바퀴 구동부
110 : 바닥 높이 조절부
110a : 실린더 하우징
110b : 상하 실린더
112 : 라인 트레이서 센서
114 : 손잡이부
114a : 인터페이스
116 : 제어 모듈
121 : 바닥판
121a : 삽입 돌기
123 : 슬라이드 홀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며, 바닥판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장애물 인식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애물 인식 센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부;
    상기 바퀴부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퀴 구동부;
    상기 바퀴부의 주행 중 상기 장애물 인식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바퀴부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바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종단이 상기 본체의 바닥판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닥 높이 조절부;
    스마트 카트의 경사도를 인식하는 경사도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 내에 물건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건 수납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마트 카트의 경사도가 기 설정된 경사도 이상이고, 상기 본체 내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의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바닥판을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바닥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스마트 카트가 이동하는 바닥면에 마련된 가이드 라인을 추적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신호를 발생시키는 라인 트레이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경로 이탈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바퀴부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퀴부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스마트 카트.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본체의 상호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 홀; 및
    상기 본체의 바닥판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삽입 돌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카트.
  5. 삭제
KR1020180010061A 2018-01-26 2018-01-26 스마트 카트 KR101976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61A KR101976815B1 (ko) 2018-01-26 2018-01-26 스마트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61A KR101976815B1 (ko) 2018-01-26 2018-01-26 스마트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815B1 true KR101976815B1 (ko) 2019-08-28

Family

ID=6777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061A KR101976815B1 (ko) 2018-01-26 2018-01-26 스마트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8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0270A (ko) * 2011-10-14 2013-04-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트 무인 자동 수거 시스템
KR200469740Y1 (ko) 2013-05-20 2013-11-08 조영대 휴대폰 자가충전형 쇼핑카트
KR20140067467A (ko) * 2012-11-26 2014-06-05 고병기 이송대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0270A (ko) * 2011-10-14 2013-04-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트 무인 자동 수거 시스템
KR20140067467A (ko) * 2012-11-26 2014-06-05 고병기 이송대차
KR200469740Y1 (ko) 2013-05-20 2013-11-08 조영대 휴대폰 자가충전형 쇼핑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3408B2 (ja) 自律カートロボット用システム及び方法
US9563205B2 (en) Sensor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mobile robot
US9535421B1 (en) Mobile delivery robot with interior cargo space
US20210138654A1 (en)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689021B2 (en) Automatic load mover
US11200765B2 (en) Luggage delivery system
US20080201014A1 (en)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083894A (zh) 用于操作车门的系统和方法
US11584017B2 (en) Conveyance system, trained model generation method, trained model,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560904B1 (ko) 포터 모듈이 구비된 모듈형 이동 로봇
TW201444543A (zh) 自主式行動車
KR20210079961A (ko) 이동 로봇 및 그의 작동 방법
US11635759B2 (en) Method of moving robot in administrator mode and robot of implementing method
US11474527B2 (en) Mov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639904B1 (ko) 공항용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976815B1 (ko) 스마트 카트
US20220202266A1 (en) Autonomous mobile system, autonomous mobile method, and autonomous mobile program
US20180174215A1 (en) Shopping Cart with Assistance Unit
US11720109B2 (en) Mov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60046B1 (ko) Rfid 안테나 승하강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자율 주행 로봇
KR20180129682A (ko) 모바일 파워 카트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
US20230251668A1 (en) Autonomous vehicle
CN114852809B (zh) 自主移动系统、自主移动方法和存储介质
US20220288778A1 (en) Methods of controlling a mobile robot device to follow or guide a person
US20230259137A1 (en) Autonomous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