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766B1 -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766B1
KR101976766B1 KR1020180027254A KR20180027254A KR101976766B1 KR 101976766 B1 KR101976766 B1 KR 101976766B1 KR 1020180027254 A KR1020180027254 A KR 1020180027254A KR 20180027254 A KR20180027254 A KR 20180027254A KR 101976766 B1 KR101976766 B1 KR 101976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engaging
wearer
engaging portion
air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filed Critical 김태희
Priority to KR102018002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 단련 및 관리 구성과 다양한 조건에서 보다 많은 사용자가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기구적 구성을 갖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와 헬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착용자의 눈 밑에서부터 코, 볼, 입과 턱 부분까지 감싸는 마스크 몸체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 중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공기 저항 발생부; 및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공기 저항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MASK DEVICE FOR HEALTH AND HEALTH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보건 위생상 병균, 먼지 등의 흡입이나 비산을 막기 위해서 코와, 입의 호흡기를 가리는 물건으로서 병원이나 유해 작업환경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착용하여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유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감기에 걸렸을 때 일종의 방한 대용으로 착용하며, 봄철에 발생 되는 황사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용도와 더불어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목적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맞춰 좀 더 다양한 환경의 사용자 건강을 위한 마스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8306호(공개일자: 2017년05월26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 단련 및 관리 구성과 다양한 조건에서 보다 많은 사용자가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기구적 구성을 갖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는, 착용자의 눈 밑에서부터 코, 볼, 입과 턱 부분까지 감싸는 마스크 몸체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 중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공기 저항 발생부; 및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공기 저항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공기 흐름 센서부;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해물질에 대한 수치 값을 측정하는 유해물질 센서부; 및 상기 공기 저항 조절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 상기 공기 흐름 센서부와 상기 유해물질 센서부를 통해 각각 측정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귀와 목에 걸려 상기 마스크 몸체부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키기 위한 스트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몸체부는, 중앙 부분이 돌출 개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장치부가 결합되는 장치 결합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1 컷 아웃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2 컷 아웃부; 상기 제1 컷 아웃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 중 상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1 몸체 결합부; 및 상기 제2 컷 아웃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 중 상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1 몸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는 단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홈의 폭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되고, 제2 몸체 결합부는 단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2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홈의 폭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 중 상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 중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 중 상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 중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제1 스트랩; 상기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제2 스트랩; 및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제3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및 상기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각 단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의 폭은, 상기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 및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트랩의 일측과 상기 제3 스트랩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상기 제2 스트랩의 일측과 상기 제3 스트랩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상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상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3 스트랩이 연결된 제1 연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2 스트랩과 상기 제3 스트랩이 연결된 제2 연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일면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일면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내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1 측면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내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2 측면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몸체는,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일면으로 돌출된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손잡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된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면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된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몸체는,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일면으로 돌출된 제2 손잡이부; 상기 제2 손잡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된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 측면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1 돌기부의 돌출 방향으로 점차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 가이드 홈의 폭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2 돌기부의 돌출 방향으로 점차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 가이드 홈의 폭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스 시스템은, 착용자의 눈 밑에서부터 코, 볼, 입과 턱 부분까지 감싸는 마스크 몸체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 중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공기 저항 발생부;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공기 저항 조절부;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공기 흐름 센서부; 및 상기 공기 저항 조절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와 상기 유해물질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및 상기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와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마스크 장치의 착용자에 대한 호흡 패턴 및 심폐지구력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 단련 및 관리 구성과 다양한 조건에서 보다 많은 사용자가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기구적 구성을 갖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에 적용되는 심폐단련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부와 스트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트랩 연결부의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 몸체와 제1 가이드 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에 적용되는 심폐단련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몸체부와 스트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트랩 연결부의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 몸체와 제1 가이드 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0)는 마스크 몸체부(1000), 심폐단련 장치부(2000) 및 스트랩부(3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몸체부(1000)는 착용자의 눈 밑에서부터 코, 볼, 입과 턱 부분까지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심폐단련 장치부(2000)가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마스크 몸체부(1000)는 사람의 눈 밑부분에서 턱까지의 안면을 감싸며, 그 중앙부분 즉 코와 입과 대응되는 부분은 앞으로 자연스럽게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 몸체부(1000)는 장치 결합부(1100), 제1 컷 아웃부(1200), 제2 컷 아웃부(1300), 제1 몸체 결합부(1400) 및 제2 몸체 결합부(1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결합부(1100)는 중앙 부분이 돌출되고, 돌출된 전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지고, 돌출 및 개방된 부분을 통해 심폐단련 장치부(20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결합부(1100)는 장치 결합부(1100)를 수용 및 결합할 수 있는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컷 아웃부(1200)는 마스크 몸체부(10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해당 단부 중앙 부분이 컷 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몸체부(1000)의 좌측 단부 중 중앙 부분이 컷 아웃되고, 컷 아웃된 부분에 의해 마스크 장치(100)를 착용자가 착용했을 때 마스크 몸체부(1000)의 좌측 단부가 착용자의 귀에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컷 아웃부(1300)는 마스크 몸체부(100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해당 단부 중앙 부분이 컷 아웃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몸체부(1000)의 우측 단부 중 중앙 부분이 컷 아웃되고, 컷 아웃된 부분에 의해 마스크 장치(100)를 착용자가 착용했을 때 마스크 몸체부(1000)의 우좌측 단부가 착용자의 귀에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 결합부(1400)는 제1 컷 아웃부(1200)를 기준으로 마스크 몸체부(1000)의 일측 단부 중 상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스트랩부(3000)의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몸체 결합부(1400)는 그 단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결합 홈(14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 홈(1410)의 폭은 제1 몸체 결합부(15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 홈(1410)의 단면은 대략 사다리꼴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결합 홈(1410)에 대해서는 스트랩부(3000)와의 결합 구조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500)는 제2 컷 아웃부(1300)를 기준으로 마스크 몸체부(1000)의 일측 단부 중 상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스트랩부(3000)의 타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몸체 결합부(1500)는 그 단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2 결합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결합 홈(미도시)의 폭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15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 홈(미도시)의 단면은 대략 사다리꼴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결합 홈(미도시)에 대해서는 스트랩부(3000)와의 결합 구조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심폐단련 장치부(2000)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100)의 착용자에 대한 심폐지구력 단련을 위한 장치로, 외측 커버부(2100), 공기 저항 발생부(2200), 공기 저항 조절부(2300), 공기 흐름 센서부(2400), 유해물질 센서부(2500), 데이터 통신부(2600) 및 전원부(2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커버부(2100)는, 공기의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한 다수의 홀을 갖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헬스용 마스크 장치(100)를 착용하거나 또는 착용하지 않더라도 사람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2200)는 마스크 몸체부(1000) 중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저항 발생부(22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흐름부(2210) 및 공기 차단부(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흐름부(2210)는 대략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매트릭스 배열된 다수의 개구부(2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2211)은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착용자의 입 또는 코로 전달되거나 착용자가 입 또는 코를 통해 뱉은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흐름부(2210)의 양단부에는 수평 이동 가이드부(22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공기 차단부(2220)가 고정되며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 차단부(2220)는 차단 블록부(2221)와 수평 이동부(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블록부(2221)는, 대략 평평한 스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블록부(2221) 각각은 하나의 개구부(2211) 행과 각각 대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이동부(2220)는 차단 블록부(2221)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로, 소형의 LM 가이드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이동부(2220)는 공기 저항 조절부(2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차단 블록부(2221)를 단계적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신호를 인가 받는 경우 차단 블록부(2221)를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수평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제어신호를 인가 받는 경우 차단 블록부(2221)를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한 번 더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신호를 인가 받는 경우 제2 방향(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수평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4 제어신호를 인가 받는 경우 제2 방향(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한 번 더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이동부(2220)는 공기 저항 조절부(2300)로부터 인가 받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단계적으로 차단 블록부(2221)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수평 이동에 따라 각각의 차단 블록부(2221)는 해당 개구부(2211)의 행을 가로막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개구부(2211)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블록부(2221)가 개구부(2211)를 막는 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을 높여줄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개구부(2211)를 막는 면적이 좁으면 좁을수록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상기 공기 저항 조절부(2300)는 공기 저항 발생부(220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입력 받아 공기 저항 발생부(2200)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저항 조절부(2300)는 전자식 버튼이나 회전식 레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저항 조절부(2300)의 구조나 구현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 저항 조절부(2300)는, 전자식 버튼으로 구현되는 경우 해당 버튼을 누를 때마다 또는 어느 버튼이 눌려지는지에 따라 공기 저항 발생부(2200)를 통해 공기 저항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으며, 회전식 레버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회전되는 방향과 각도에 따라 그에 맞는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흐름 센서부(2400)는, 공기 저항 발생부(220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부(26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해물질 센서부(2500)는, 공기 저항 발생부(220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해물질에 대한 수치 값을 산출하여 데이터 통신부(26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2600)는 공기 저항 조절부(230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공기 저항 조절을 위한 스위치 입력 값), 공기 흐름 센서부(2400)를 통해 측정되는 공기량에 대한 데이터와, 유해물질 센서부(2500)를 통해 산출된 유해물질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의 통신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부(26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단말(10)과 연결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의 경우 USB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단말(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의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NFC의 경우 데이터 통신부(2600)에 각종 데이터 값을 축적하였다가 통신단말(10)과의 태깅 시 해당 데이터 값을 전송한 후 저장된 데이터 값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상기 통신단말(10)은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통신단말(10)에는 호흡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2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200)은 마스크 장치(100)의 데이터 통신부(2600)로부터 수신되는 스위칭 신호(공기 저항 조절을 위한 스위치 입력 값)와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마스크 장치(100)의 착용자에 대한 호흡 패턴과 심폐지구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가공하여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해물질 센서부(2500)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 값을 수신하고, 이를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마스크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수치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높을 경우, 호흡 단력 활동을 중단하고 유해물질 차단용 마스크로 교체하라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마스크 장치(100)에 별도의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 제거용 필터 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200)은 마스크 장치(100)로 호흡 단련을 위한 동작을 중지시키고, 필터 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신호를 통신단말(10)을 통해 각각 송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2700)는 공기 저항 발생부(2200), 공기 저항 조절부(2300), 공기 흐름 센서부(2400), 유해물질 센서부(2500) 및 데이터 통신부(2600)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는 이차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 가능한 소형 전지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스트랩부(3000)는 마스크 몸체부(1000)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귀와 목에 걸려 마스크 몸체부(1000)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트랩부(3000)는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3300),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 제1 스트랩(3500), 제2 스트랩(3600) 및 제3 스트랩(3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는 스트랩부(3000)의 일측 단부가 제1 몸체 결합부(1400) 중 상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는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제1 몸체 결합부(1400) 중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와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는 마스크 몸체부(10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각형의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의 단부 측면을 따라 제1 상부 결합 돌기(3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에도 해당 단부 측면을 따라 제1 하부 결합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결합 돌기(3110)의 폭은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제1 몸체 결합부(140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제1 결합 홈(1410)과 상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결합 돌기(미도시)의 각 폭은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제1 몸체 결합부(14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1 결합 홈(1410)과 상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결합 돌기(3110)가 제1 결합 홈(1410)에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와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가 제1 몸체 결합부(1400)의 일측에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사다리꼴 구조에 의해 서로 이탈되지 않고 보다 견고히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3300)는 스트랩부(3000)의 타측 단부가 제2 몸체 결합부(1500) 중 상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는 스트랩부(3000)의 타측 단부가 제2 몸체 결합부(1500) 중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3300)의 단부 측면을 따라 제2 상부 결합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에도 해당 단부 측면을 따라 제2 하부 결합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결합 돌기(미도시)의 폭은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33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제1 몸체 결합부(1400)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제2 결합 홈(미도시)과 상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결합 돌기(미도시)의 각 폭은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제1 몸체 결합부(140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제1 결합 홈(미도시)과 상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상부 결합 돌기(미도시)와 제2 하부 결합 돌기(미도시)는 상술한 제1 상부 결합 돌기(3110) 및 제1 하부 결합 돌기(미도시)가 제1 결합 홈(1410)에 결합되는 방식과 같이 제2 결합 홈(미도시)에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3300) 및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가 제1 몸체 결합부(1400)의 타측에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사다리꼴 구조에 의해 서로 이탈되지 않고 보다 견고히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는, 제1 스트랩(3500)의 일측과 제3 스트랩(3700)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스트랩 연결부(3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트랩 연결부(322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의 상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3220)는 제1 스트랩(3500)과 제3 스트랩(3700)이 연결된 제1 연결 몸체(3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는 일면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3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 홈(323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에 제1 가이드 홈(3230)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1 측면 가이드 홈(3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몸체(322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3221a), 제1 삽입부(3221b) 및 제1 돌기부(3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3221a)는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의 일면 즉 상면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삽입부(3221b)는 제1 손잡이부(3221a)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가이드 홈(3230)에 삽입되며, 제1 돌기부(3221c)는 제1 삽입부(3221b)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제1 측면 가이드 홈(323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부(3221c)의 폭은 제1 돌기부(3221c)의 돌출 방향으로 점차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기부(3221c)는 사다리꼴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가이드 홈(3231)의 폭은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 가이드 홈(3231)의 폭은 사다리꼴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돌기부(3221c)와 상보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 몸체(3221)는 1 손잡이부(3221a), 제1 삽입부(3221b) 및 제1 돌기부(3221c)를 이용하여 제1 가이드 홈(3230)과 제1 측면 가이드 홈(3231)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3 스트랩(3500, 370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는, 제2 스트랩(3600)의 일측과 제3 스트랩(3700)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스트랩 연결부(3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랩 연결부(3420)는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의 상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스트랩 연결부(3420)는 제2 스트랩(3600)과 제3 스트랩(3700)이 연결된 제2 연결 몸체를 포함하고,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는 일면 즉 상면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홈은 그 내측면에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2 측면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 몸체는,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의 일면 즉 상면으로 돌출된 제2 손잡이부, 제2 손잡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된 제2 삽입부, 및 제2 삽입부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제2 측면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부의 폭은 제2 돌기부의 돌출 방향으로 점차 넓게 형성되고, 제2 측면 가이드 홈은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트랩 연결부(3420)는 상술한 제1 스트랩 연결부(3220)와 동일한 형태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스트랩(3500)은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와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 사이를 연결하는 끈이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스크 장치(100)의 착용 시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트랩(3500)은 탄성을 가진 끈 또는 밴드 부재가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이 없는 부드러운 재질의 끈 또는 밴드 부재 또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스트랩(3600)은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3300)와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 사이를 연결하는 끈이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스크 장치(100)의 착용 시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트랩(3600)은 탄성을 가진 끈 또는 밴드 부재가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이 없는 부드러운 재질의 끈 또는 밴드 부재 또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3 스트랩(3700)은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와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 사이를 연결하는 끈이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스크 장치(100)의 착용 시 착용자의 목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스트랩(3700)은 제1 및 제2 스트랩(3500, 360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스트랩(3500, 3600, 3700)은 끈이나 밴드 형태가 아닌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3300) 및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과 일체로 형성되며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구조로 대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스용 마스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0')는 일 실시예의 마스크 몸체부(1000)와 심폐단련 장치부(2000)에 다른 형태의 제1 및 제2 스트랩(3000A, 3000B)를 결합시킨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스크 장치(100)는 착용자의 보다 다양한 조건에서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 실시예의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3100),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3200),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3300),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3400), 제1 스트랩(3500), 제2 스트랩(3600) 및 제3 스트랩(3700)을 대신하여 얇은 플레이트 형상의 제1 및 제2 스트랩(3000A, 3000B)을 마스크 몸체부(1000)에 결합시킨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스트랩(3000A, 3000B)는 밸크로(3001)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후두부에 감아서 마스크 장치(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마스크 장치 1000: 마스크 몸체부
1100: 장치 결합부 1200: 제1 컷 아웃부
1300: 제2 컷 아웃부 1400: 제1 몸체 결합부
1410: 제1 결합 홈 1500: 제2 몸체 결합부
1510: 제2 결합 홈 2000: 심폐단련 장치부
2100: 외측 커버부 2200: 공기 저항 발생부
2210: 공기 흐름부 2211: 개구부
2212: 수평 이동 가이드부 2220: 공기 차단부
2221: 차단 블록부 2222: 수평 이동부
2300: 공기 저항 조절부 2400: 공기 흐름 센서부
2500: 유해물질 센서부 2600: 데이터 통신부
2700: 전원부 3000: 스트랩부
3100: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 3110: 제1 상부 결합 돌기
3200: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3210: 제1 하부 결합 돌기
3220: 제1 스트랩 연결부 3221: 제1 연결 몸체
3221a: 제1 손잡이부 3221b: 제1 삽입부
3221c: 제1 돌기부 3230: 제1 가이드 홈
3231: 제1 측면 가이드 홈 3300: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
3400: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3500: 제1 스트랩
3600: 제2 스트랩 3700: 제3 스트랩
200: 어플리케이션 10: 통신단말
100': 마스크 장치 3000A: 제1 스트랩
3000B: 제2 스트랩 3001: 밸크로

Claims (12)

  1. 착용자의 눈 밑에서부터 코, 볼, 입과 턱 부분까지 감싸는 마스크 몸체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 중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공기 저항 발생부;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공기 저항 조절부; 및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귀와 목에 걸려 상기 마스크 몸체부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키기 위한 스트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몸체부는,
    중앙 부분이 돌출 개방되어 이루어지고, 필터 장치부가 결합되는 장치 결합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1 컷 아웃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2 컷 아웃부; 상기 제1 컷 아웃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 중 상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1 몸체 결합부; 및 상기 제2 컷 아웃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 중 상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2 몸체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 중 상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 중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 중 상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 중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제1 스트랩; 상기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제2 스트랩; 및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제3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트랩의 일측과 상기 제3 스트랩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상기 제2 스트랩의 일측과 상기 제3 스트랩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상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상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공기 흐름 센서부;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해물질에 대한 수치 값을 측정하는 유해물질 센서부; 및
    상기 공기 저항 조절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 상기 공기 흐름 센서부와 상기 유해물질 센서부를 통해 각각 측정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결합부는 단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홈의 폭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되고,
    제2 몸체 결합부는 단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2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홈의 폭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및 상기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각 단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의 폭은, 상기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 및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3 스트랩이 연결된 제1 연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2 스트랩과 상기 제3 스트랩이 연결된 제2 연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일면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일면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내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1 측면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내측면에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2 측면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몸체는,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일면으로 돌출된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손잡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된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면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된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몸체는,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일면으로 돌출된 제2 손잡이부;
    상기 제2 손잡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된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 측면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1 돌기부의 돌출 방향으로 점차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 가이드 홈의 폭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2 돌기부의 돌출 방향으로 점차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 가이드 홈의 폭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마스크 장치.
  12. 착용자의 눈 밑에서부터 코, 볼, 입과 턱 부분까지 감싸는 마스크 몸체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 중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공기 저항 발생부;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도록 스위칭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공기 저항 조절부; 상기 공기 저항 발생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공기 흐름 센서부; 상기 공기 저항 조절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와 유해물질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귀와 목에 걸려 상기 마스크 몸체부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키기 위한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및
    상기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위칭 신호와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마스크 장치의 착용자에 대한 호흡 패턴 및 심폐지구력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몸체부는,
    중앙 부분이 돌출 개방되어 이루어지고, 필터 장치부가 결합되는 장치 결합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1 컷 아웃부;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2 컷 아웃부; 상기 제1 컷 아웃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 중 상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1 몸체 결합부; 및 상기 제2 컷 아웃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부의 일측 단부 중 상하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제2 몸체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 중 상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 중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 중 상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스트랩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제2 몸체 결합부 중 하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상기 제1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제1 스트랩; 상기 제2 상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제2 스트랩; 및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고, 착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제3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트랩의 일측과 상기 제3 스트랩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는, 상기 제2 스트랩의 일측과 상기 제3 스트랩의 일측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상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부 스트랩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의 상면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부 스트랩 결합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시스템.
KR1020180027254A 2018-03-08 2018-03-08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 KR101976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54A KR101976766B1 (ko) 2018-03-08 2018-03-08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54A KR101976766B1 (ko) 2018-03-08 2018-03-08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766B1 true KR101976766B1 (ko) 2019-05-15

Family

ID=6657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254A KR101976766B1 (ko) 2018-03-08 2018-03-08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53A1 (ko) * 2019-12-19 2021-06-24 김태희 심폐기능 강화용 마스크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947U (ja) * 1993-12-01 1995-06-23 ミドリ安全株式会社 開閉式通気装置付作業用ヘルメット
JPH11500633A (ja) * 1995-02-10 1999-01-19 エヴァレット ディー ホーゲン 携帯用個人呼吸装置
KR100231328B1 (ko) * 1997-06-17 1999-11-15 문재호 폐질환 환자의 호흡 훈련기 및 이를 이용한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
KR200392963Y1 (ko) * 2005-05-20 2005-08-17 (주)우성씨텍 통기량 조절이 가능한 보안경
KR20090017711A (ko) * 2007-08-16 2009-02-19 옥윤선 마스크 착용끈 연결용 탭
CN102218200A (zh) * 2010-04-15 2011-10-19 德尔塔普拉斯集团 可调节的呼吸面罩
KR101305211B1 (ko) * 2011-10-25 2013-11-13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질식 방지용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28519A1 (en) * 2003-11-11 2015-01-29 Resmed R&D Germany Gmbh Method of producing headgear structure for a breathing mask
KR20160002280A (ko) * 2014-06-30 2016-01-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US9643048B1 (en) * 2016-09-09 2017-05-09 TrainingMask L.L.C. Resistance breathing device
KR20170058306A (ko) 2015-11-17 2017-05-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는 마스크
KR101834214B1 (ko) * 2010-03-01 2018-03-05 바스 루트텐 산소 훈련기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947U (ja) * 1993-12-01 1995-06-23 ミドリ安全株式会社 開閉式通気装置付作業用ヘルメット
JPH11500633A (ja) * 1995-02-10 1999-01-19 エヴァレット ディー ホーゲン 携帯用個人呼吸装置
KR100231328B1 (ko) * 1997-06-17 1999-11-15 문재호 폐질환 환자의 호흡 훈련기 및 이를 이용한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
US20150028519A1 (en) * 2003-11-11 2015-01-29 Resmed R&D Germany Gmbh Method of producing headgear structure for a breathing mask
KR200392963Y1 (ko) * 2005-05-20 2005-08-17 (주)우성씨텍 통기량 조절이 가능한 보안경
KR20090017711A (ko) * 2007-08-16 2009-02-19 옥윤선 마스크 착용끈 연결용 탭
KR101834214B1 (ko) * 2010-03-01 2018-03-05 바스 루트텐 산소 훈련기 장치
CN102218200A (zh) * 2010-04-15 2011-10-19 德尔塔普拉斯集团 可调节的呼吸面罩
KR101305211B1 (ko) * 2011-10-25 2013-11-13 (주)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질식 방지용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2280A (ko) * 2014-06-30 2016-01-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8306A (ko) 2015-11-17 2017-05-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는 마스크
US9643048B1 (en) * 2016-09-09 2017-05-09 TrainingMask L.L.C. Resistance breath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53A1 (ko) * 2019-12-19 2021-06-24 김태희 심폐기능 강화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0713B1 (en) Wearable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patient care
US10271792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US20050177034A1 (en) Ear canal sensing device
KR102219840B1 (ko)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감지하는 전자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1976766B1 (ko) 헬스용 마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스 시스템
JP6703996B2 (ja) ユーザの換気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
KR102545382B1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2458477B1 (ko) 충격감지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안전모
Resende et al. Ergowear: An ambulatory, non-intrusive, and interoperable system towards a Human-Aware Human-robot Collaborative framework
KR102081981B1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
KR101905695B1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알림 시스템
WO2022120409A1 (en) Generic modular respirator
KR102135407B1 (ko) 호흡측정장치
KR102244340B1 (ko) 트레이닝 전용 마스크를 활용한 심폐지구력 트레이닝 운영 장치
KR20200024180A (ko) 손가락 운동 측정 장치
KR102125055B1 (ko) 사용자의 측두근을 모니터링하는 안경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53815B1 (ko) 피부 측정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터
KR102201644B1 (ko) 휴대용 스마트 악력기
KR20220037419A (ko) 걷기 균형감각 향상, 웨어러블 디바이스 코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9983A (ko) 마스크 살균 장치 및 이를 부착한 마스크
CN205814302U (zh) 具有实时检测及传输身体生理特性功能的穿戴式戒环装置
EP3270782B1 (en) Ventilation measurement devices
WO2020014326A1 (en) Breath measurement device
US20210299371A1 (en) Air filtration and user movement monitoring devices
KR102328750B1 (ko) 자기장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마스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