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83B1 -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83B1
KR101976683B1 KR1020170173533A KR20170173533A KR101976683B1 KR 101976683 B1 KR101976683 B1 KR 101976683B1 KR 1020170173533 A KR1020170173533 A KR 1020170173533A KR 20170173533 A KR20170173533 A KR 20170173533A KR 101976683 B1 KR101976683 B1 KR 10197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department
result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한
박한배
정재학
김누리
김항재
김연경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종합환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종합환경산업(주)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경측정 공정의 단위공정을 나누고, 나누어진 상기 단위공정에 따른 단위부서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서를 서로 연계 및 동기화하는 단계와; 관리자가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서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데이터가 연계 및 동기화된 다른 상기 단위부서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단위부서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결과보고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공정을 단위부서별 데이터 동기화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기본정보 및 측정정보들을 연계/관리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Process control system to improv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environmental measurement process}
본 발명은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공정을 단위부서별 데이터 동기화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기본정보 및 측정정보들을 연계/관리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가능한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측정 공정이란 공인 환경측정 대행사업에서 수행하는 환경측정 의뢰 접수부터 보고서 제출까지의 전 과정을 의미한다. 즉 환경측정 대행사업에서 환경측정을 수행하는 공정은 측정 의뢰 접수부터 견적, 계약, 관리, 채취(샘플링), 측정, 분석, 완료확인 등의 단위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위공정을 처리하는 단위부서들은 도 1과 같이 서로 직선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나, 직선적 공정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측정값, 행정적 내용의 수정이 필요하거나 관리자의 실수로 인하여 잘못된 값을 변경해야 할 경우,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기존 공정에서 부서별 업무 내용들을 모두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면 다시금 진행되어야 하는 업무로 인해 업무의 진행속도가 늦어지고, 관리자의 불편함이 증가하게 된다. 또 다른 문제점은, 기입된 값들에 대한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점인데, 환경측정 값이 기준 범위의 값을 미달 또는 초과하여 잘못된 실험값인지에 대한 판단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업무의 진행 상황 판단이 신속하지 않아 업무 내용 파악에 시간이 소모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의하여 업무에 대한 효율과 신뢰가 감소하며 공정관리 운영에 차질이 생기게 된다. 공정관리에 대한 운영은 기업에 대한 평가와 신뢰에 영향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기업 운영에 영향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기업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측정 의뢰부터 보고서 제출까지의 환경부 공인 환경측정 전체 공정을 신뢰성 및 효율성을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통계 분석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8508호, 2017.09.08.자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공정을 단위부서별 데이터 동기화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기본정보 및 측정정보들을 연계/관리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가능한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경측정 공정의 단위공정을 나누고, 나누어진 상기 단위공정에 따른 단위부서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서를 서로 연계 및 동기화하는 단계; 관리자가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서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데이터가 연계 및 동기화된 다른 상기 단위부서에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단위부서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결과보고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부서는, 견적 단위부서, 계약 단위부서, 관리 단위부서, 채취 단위부서, 분석 단위부서, 결과 단위부서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부서를 형성한 후 각 단위부서가 필요한 정보에 맞게 다른 단위부서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연계 및 동기화하고, 상기 견적 단위부서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견적서 및 견적이력표를 포함하며 다른 단위부서들과 연동 자동화가 이루어지며, 상기 계약 단위부서는, 측정항목 및 과업의 설정 입력 시 계약서의 자동 작성이 이루어지며, 다른 단위부서들과의 연동 자동화가 이루어지며, 상기 관리 단위부서는, 과업지시서, 과업관리표, 진행확인표, 출장신청서의 입력 자료를 받아 상기 채취 단위부서로 연동되며, 상기 채취 단위부서는, 상기 관리 단위부서에 해당하는 과업지시서, 과업관리표, 진행표, 출장신청서와 연동되며, 대기질현장자료, 소음진동결과자료 및 유량측정자료를 포함하는 현장기록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관리 단위부서와 연동되며, 상기 분석 단위부서는, 분석 결과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최종 결과값이 측정값 원본데이터들과 연계될 수 있도록 통계 처리하고 관련 문서와 연계하여 분석결과서 작성을 자동화하며, 상기 결과 단위부서는, 상기 분석 단위부서의 분석결과서에 연계되어 자동으로 최종 결과보고서를 생성하게 되는 최종부서이되, 상기 단위부서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결과보고서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상기 단위부서로부터 중간 출력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중간 출력물은, 최종부서에 해당하는 상기 결과 단위부서의 분석결과서를 제외하고, 상기 견적 단위부서, 상기 계약 단위부서, 상기 관리 단위부서, 상기 채취 단위부서, 상기 분석 단위부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단위부서는 각 단위부서의 데이터 입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진행확인표를 포함하며, 각 단위부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모두 작성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진행확인표에 '○'로 표시되고 데이터 입력이 전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로 표시되며, 관리자가 데이터를 모두 작성한 후 각 단위부서에 존재하는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진행확인표의 '×' 표시에서 '○' 표시로 변경되거나 또는, 관리자가 데이터를 모두 작성하면 자동으로 상기 진행확인표로 정보가 연동되어 '×' 표시에서 '○' 표시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공정을 단위부서별 데이터 동기화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기본정보 및 측정정보들을 연계/관리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정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측정 공정의 단위공정을 크게 6단계인 견적, 계약, 관리, 채취, 분석, 결과통보로 단위부서를 나누어 관리한다. 기존 공정을 분석해보면 단위공정 내에서도 여러 서류가 존재하며, 이 단위부서들은 다른 단위부서들과의 연계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단위부서들을 이용한 본 발명의 공정관리 방법은, 환경측정 공정의 단위공정을 나누고, 나누어진 상기 단위공정에 따른 단위부서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서를 서로 연계 및 동기화하는 단계와; 관리자가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서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데이터가 연계 및 동기화된 다른 상기 단위부서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단위부서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결과보고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단위부서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결과보고서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상기 단위부서로부터 중간 출력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위부서를 적용하는 단위공정을 위한 본 발명의 공정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단위부서를 서로 연계 및 동기화하여 단위부서로부터 결과보고서를 추출할 수 있다. 견적 단위부서, 계약 단위부서, 관리 단위부서, 채취 단위부서, 분석 단위부서, 결과 단위부서로 이루어진 각 단위부서를 형성한 후, 각 단위부서가 필요한 정보에 맞게 다른 단위부서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연계 및 동기화할 수 있다. 핵심기술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는 전체 환경측정 공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단위부서별 필요 데이터에 대한 수요를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존 공정에서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단위부서별 필요 데이터를 생성한 후, 단위부서 간의 데이터를 연계한다. 이때 단위부서 간의 불필요한 수정을 배제하기 위해 암호 잠금을 이용하여 보안에 관한 성능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사용이 필요할 경우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위부서는 다음과 같이 형성할 수 있다.
1) 견적 단위부서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견적서 및 견적이력표를 포함하며 다른 단위부서들과 연동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2) 계약 단위부서는, 측정항목 및 과업의 설정 입력 시 계약서의 자동 작성이 이루어지며, 다른 단위부서들과의 연동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3) 관리 단위부서는, 과업지시서, 과업관리표, 진행확인표, 출장신청서의 입력 자료를 받아 채취 단위부서로 연동되도록 한다.
4) 채취(샘플링) 단위부서는, 관리 단위부서에 해당하는 과업지시서, 과업관리표, 진행표, 출장신청서와 연동되며, 현장기록부의 입력을 통해 관리 단위부서와 연동된다. 여기서 현장기록부는 예를 들어 대기질현장자료, 소음진동결과자료, 유량측정자료 등을 작성 가능하다.
5) 분석(측정) 단위부서는, 분석 결과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최종 결과 값이 측정값 원본데이터들과 연계될 수 있도록 통계 처리하고 관련 문서와 연계하여 분석결과서 작성을 자동화한다. 즉 견적 단위부서, 계약 단위부서, 관리 단위부서 및 채취 단위부서와 연계되며, 관리자가 이들 단위부서에 작성하게 되면 단위부서들의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결과서 작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분석결과서는 예를 들어 측정기록부, 측정기록부발송대장, 시료인수인계서, 실험분석결과서, 접수시료처리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6) 결과 단위부서: 분석 단위부서의 분석결과서에 연계되어 자동으로 최종 결과보고서를 생성하게 되는 최종부서에 해당한다.
둘째, 관리자가 원하는 양식에 맞게 단위부서로부터 중간 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해당 기업이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관리자가 원하는 양식에 맞게 단위부서로부터 정보를 받아 중간 출력물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출력물은 최종부서에 해당하는 결과 단위부서인 분석결과서를 제외하고 다른 단위부서인 견적 단위부서, 계약 단위부서, 관리 단위부서, 채취 단위부서, 분석 단위부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해당 단위부서로부터 다른 단위부서로 데이터가 연동되는 단계에서 도중 출력이 필요한 경우 이전의 단위부서 양식과 상반되지 않는 범위에서 출력이 가능하게 만들며, 필요시 제출 및 보관할 수 있는 형식으로 양식을 만드는 것이다. 핵심기술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는 작성된 내용을 기존 데이터의 양식에 맞추어 자동으로 출력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연구가 필요하다. 중간 출력물은 단위부서별 필요 양식에 맞추어 데이터로 양식을 구현해 낸다.
셋째, 실험을 통해 얻어진 환경측정 데이터를 이전의 많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적 기법에 의해 검증하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통계적 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모델은 회귀분석과 같은 데이터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검증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데이터는 많은 실험을 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점검한다. 그러한 검증모델은 관리자의 측정값이 적합한가를 판단하고 적정성을 나타내어 측정값의 신뢰도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정관리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최종 결과물인 분석결과서 또는 중간 출력물을 형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관리자 이름, 날짜, 실험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를 관리 단위부서 중 진행확인표를 통해 데이터의 작성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진행확인표는 각 단위부서의 데이터 입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파일로, 각 단위부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해당 파일에 모두 작성이 완료되었을 경우 진행확인표에 '○'로 표시된다. 반대로 파일에 데이터 입력이 전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진행확인표에 '×'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진행확인표의 '○' 및 '×'의 표시는 각 단위부서의 파일에 데이터를 모두 작성하고 파일에 존재하는 '완료'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진행확인표로 정보가 연동되어 '×'에서 '○'로 변경된다.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완료'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파일 내의 빈칸을 모두 채우면 진행확인표에 자동으로 정보가 연동되어 '×'에서 '○'로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은,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공정을 여러 개의 단위부서로 나누고, 단위부서별 데이터가 서로 동기화 및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작성될 수 있다. 데이터가 작성된 단위부서는 해당 단위부서가 아닌 다른 단위부서로 정보가 연동되어 다른 단위부서의 데이터 형성이 가능하다.

Claims (6)

  1.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경측정 공정의 단위공정을 나누고, 나누어진 상기 단위공정에 따른 단위부서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서를 서로 연계 및 동기화하는 단계;
    관리자가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서 중 어느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데이터가 연계 및 동기화된 다른 상기 단위부서에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단위부서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결과보고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부서는,
    견적 단위부서, 계약 단위부서, 관리 단위부서, 채취 단위부서, 분석 단위부서, 결과 단위부서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부서를 형성한 후 각 단위부서가 필요한 정보에 맞게 다른 단위부서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연계 및 동기화하고,
    상기 견적 단위부서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견적서 및 견적이력표를 포함하며 다른 단위부서들과 연동 자동화가 이루어지며,
    상기 계약 단위부서는, 측정항목 및 과업의 설정 입력 시 계약서의 자동 작성이 이루어지며, 다른 단위부서들과의 연동 자동화가 이루어지며,
    상기 관리 단위부서는, 과업지시서, 과업관리표, 진행확인표, 출장신청서의 입력 자료를 받아 상기 채취 단위부서로 연동되며,
    상기 채취 단위부서는, 상기 관리 단위부서에 해당하는 과업지시서, 과업관리표, 진행표, 출장신청서와 연동되며, 대기질현장자료, 소음진동결과자료 및 유량측정자료를 포함하는 현장기록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관리 단위부서와 연동되며,
    상기 분석 단위부서는, 분석 결과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최종 결과값이 측정값 원본데이터들과 연계될 수 있도록 통계 처리하고 관련 문서와 연계하여 분석결과서 작성을 자동화하며,
    상기 결과 단위부서는, 상기 분석 단위부서의 분석결과서에 연계되어 자동으로 최종 결과보고서를 생성하게 되는 최종부서이되,
    상기 단위부서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결과보고서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상기 단위부서로부터 중간 출력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중간 출력물은,
    최종부서에 해당하는 상기 결과 단위부서의 분석결과서를 제외하고, 상기 견적 단위부서, 상기 계약 단위부서, 상기 관리 단위부서, 상기 채취 단위부서, 상기 분석 단위부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서는 각 단위부서의 데이터 입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진행확인표를 포함하며,
    각 단위부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모두 작성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진행확인표에 '○'로 표시되고 데이터 입력이 전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로 표시되며,
    관리자가 데이터를 모두 작성한 후 각 단위부서에 존재하는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진행확인표의 '×' 표시에서 '○' 표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서는 각 단위부서의 데이터 입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진행확인표를 포함하며,
    각 단위부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모두 작성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진행확인표에 '○'로 표시되고 데이터 입력이 전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로 표시되며,
    관리자가 데이터를 모두 작성하면 자동으로 상기 진행확인표로 정보가 연동되어 '×' 표시에서 '○' 표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KR1020170173533A 2017-12-15 2017-12-15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KR10197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33A KR101976683B1 (ko) 2017-12-15 2017-12-15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33A KR101976683B1 (ko) 2017-12-15 2017-12-15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83B1 true KR101976683B1 (ko) 2019-05-09

Family

ID=6654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533A KR101976683B1 (ko) 2017-12-15 2017-12-15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453A (ja) * 2001-02-26 2002-09-06 Hitachi Ltd 環境安全保障システム
JP2004199599A (ja) * 2002-12-20 2004-07-15 Sumitomo Chem Co Ltd 分析作業の受注/報告方法、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分析作業依頼/報告システム
JP2012053755A (ja) * 2010-09-02 2012-03-15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作業管理システム
KR101756189B1 (ko) * 2016-07-04 2017-07-12 대한민국 환경 정보 수집 및 평가 시스템
KR101778508B1 (ko) 2016-07-04 2017-09-15 대한민국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453A (ja) * 2001-02-26 2002-09-06 Hitachi Ltd 環境安全保障システム
JP2004199599A (ja) * 2002-12-20 2004-07-15 Sumitomo Chem Co Ltd 分析作業の受注/報告方法、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分析作業依頼/報告システム
JP2012053755A (ja) * 2010-09-02 2012-03-15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作業管理システム
KR101756189B1 (ko) * 2016-07-04 2017-07-12 대한민국 환경 정보 수집 및 평가 시스템
KR101778508B1 (ko) 2016-07-04 2017-09-15 대한민국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Applications of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and Blockchain-enabled smart contracts in construction
Lavy et al. A case study of using BIM and COBie for facility management
Kassem et al. BIM in facilities management applications: a case study of a large university complex
Succar et al. Model uses: foundations for a modular requirements clarification language
US10453058B2 (en) E-signature
US201101611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process sequences
US10650476B2 (en) Electronic discovery process using a blockchain
JP5144340B2 (ja) 契約内容設定システム及び契約内容設定方法
US200301010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ndor communication
US20130268936A1 (en) Wor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1385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s and related submittal documentation
Tillmann Using the Last Planner System to tackle the social aspects of BIM-enabled MEP coordination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Enhancement of off-site manufacturing productivity via a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KR20200001288A (ko) 자동화된 도면 오류 검사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76683B1 (ko) 환경측정 공정의 신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정관리 방법
Pinheiro et al. Requirements for a BIM-based life-cycle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to enable optimum building operation
Li Jira 7 Essentials
CN111061733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015715A (zh) 工业互联网数据管理服务测试方法及系统
Matarneh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facilities management: Skills, implementation, and teaching map
US7483546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installation and testing instructions
CN104408568A (zh) 用于业主项目部的任务信息处理方法和装置
US202101224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ertifying aircrafts and components of aircrafts
JP2008299496A (ja) 業務シミュレータ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Ye Combining BIM with smart contract and blockchain to support digital project delivery and acceptance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