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554B1 -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554B1
KR101976554B1 KR1020120123563A KR20120123563A KR101976554B1 KR 101976554 B1 KR101976554 B1 KR 101976554B1 KR 1020120123563 A KR1020120123563 A KR 1020120123563A KR 20120123563 A KR20120123563 A KR 20120123563A KR 101976554 B1 KR101976554 B1 KR 101976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lete delete
housing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6996A (en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554B1/en
Priority to EP12196145.2A priority patent/EP2663164B1/en
Priority to US13/712,272 priority patent/US9324231B2/en
Priority to JP2012286917A priority patent/JP5571164B2/en
Priority to CN201310028317.1A priority patent/CN103390335B/en
Priority to CN201610461037.3A priority patent/CN106408908B/en
Priority to EP13167303.0A priority patent/EP2663165B1/en
Priority to JP2014098754A priority patent/JP6140103B2/en
Publication of KR2014005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996A/en
Priority to US15/085,019 priority patent/US988149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5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04B1/088Portable receivers with parts of the receiver detachable or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공간에 배치되며, 무선통신칩, 상기 무선통신칩을 리셋하는 리셋소자 및 상기 무선통신칩의 상태를 상기 개구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실장되어 있는 모듈기판을 포함하며, 대상물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대상물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조명 장치의 조명부의 교체 시에 통신 모듈을 탈착하여 보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의 오작동을 표시하는 빛을 방출함으로써 강제 리셋할 수 있다.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on a side thereof; a housing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 reset element for reset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module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unit is mounted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object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the object. Therefore,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detached and stored at the time of replacing the lighting unit of the lighting apparatus, thereby saving the cost. Further, it is possible to forcibly reset by emitting light indicating an internal malfunction through the opening.

Description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통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module.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해 조명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스위치에 손이 닿지 않는 어린이가 상기 조명장치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In general, a switch connected directly to the lighting device and to the wire is manually operated to turn the lighting device on or off. In such a case, 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in turning on or off the lighting device for a patient who is inconvenient in motion, a senior citizen or a child whose hand does not reach the switch.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리모컨 등과 같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거나 조명의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n illuminating device has been introduced that can turn on or off the lighting device or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lighting by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described above.

조명 시장이 다양화됨에 따라, 조명장치의 특성(색온도, 디밍값, 밝기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Zigbee, WiFi, BLUETOOTH 등) 중에서 속도/거리/소비 전력 등을 고려한 통신 방식의 선택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As the lighting market becomes diversifi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characteristics (color temperature, dimming value, brightness, etc.) of the lighting device or to control communication speeds / distances / power consumption amo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Zigbee, WiFi, BLUETOOTH, The demand for the selection of the method is increasing.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처리/전송하는 통신 모듈이 조명장치와 일체로 되어 있어 조명장치 내의 전원 부 (Power Supply Unit, PSU) 고장 또는/및 조명장치 내의 LED, 일반조명기기, 제어부 등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포함한 조명장치를 모두 교체해야 한다.Further, since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 processing / transmitting the user's command is integrated with the lighting device, the power supply unit (PSU) failure in the lighting device and / or the failure in the LED, general lighting device, , All the lighting devices including the communication module must be replaced.

실시예는 조명 장치에 탈착 가능한 통신 모듈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provides a removable communication module for a lighting device.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공간에 배치되며, 무선통신칩, 상기 무선통신칩을 리셋하는 리셋소자 및 상기 무선통신칩의 상태를 상기 개구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실장되어 있는 모듈기판을 포함하며, 대상물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대상물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제공한다.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on a side thereof; a housing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 reset element for reset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module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unit is mounted and detachably coupled to an object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the object.

한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가지는 조명 모듈, 그리고 상기 조명 모듈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모듈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공간에 배치되며, 무선통신칩, 상기 무선통신칩을 리셋하는 리셋소자 및 상기 무선통신칩의 상태를 상기 개구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실장되어 있는 모듈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includes a lighting module hav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ing module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the lighting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pace and having an opening on a side thereof;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 reset element for reset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by the opening,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module substrate is provided.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장치에 무선 통신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조명 장치의 조명부의 교체 시에 통신 모듈을 탈착하여 보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form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 detachable manner in the lighting device,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detached and stored at the time of replacing the lighting portion of the lighting device, thereby saving the cost.

실시예는 통신 모듈 내의 무선통신부에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Zigbee, WiFi, BLUETOOTH 등)이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속도/거리/소비 전력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Zigbee, WiFi, BLUETOOTH, etc.) are selectively implemen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e communication module, thereby selecting and using an optim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consideration of speed, distan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control can be performed.

상기 통신 모듈의 뒷면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의 오작동을 표시하는 빛을 방출함으로써 강제 리셋할 수 있다. And forcibly resetting by emitting light indicative of a malfunction inside through the rear opening of the communication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통신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명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통신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통신 모듈의 상면도, y축에서 바라본 측면도 및 x축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통신 모듈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인쇄회로기판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통신 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단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ghting apparatus of Fig. 1;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ireless controller of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llumination module of FIG.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Figure 1;
Figs. 7A to 7C are a top view, a side view, and a side view seen from the y-axis and the x-axi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Fig.
9 is a top view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Fig.
10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represent the layers and regions.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ever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ortion,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ortion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is "directly over"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본 발명은 조명 모듈에 착탈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removable from the illumination module.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조명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illumin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무선 컨트롤러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통신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의 조명 모듈의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ireless controller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ighting module of Fig. 1. Fig.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무선컨트롤러(300) 및 조명 장치(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wireless controller 300 and a lighting device 100.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통신 모듈(400)에 전송한다.The wireless controller 300 i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The wireless controller 300 may be a remote controller or a smart phone.

상기 무선컨트롤러(300)와 통신 모듈(400) 사이의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between the wireless controller 3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reless environment.

조명 무선 제어로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웨이브(Z-wave) 등의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A network such as ZigBee, Bluetooth or Z-wave may be applied as the illumination radio control.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wireless controller 300 may hav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는 모드 전환부(301), 메모리부(303), 전원/충전부(305), 제어부(307) 및 송/수신부(309)를 포함한다.3, the wireless controller 300 includes a mode switching unit 301, a memory unit 303, a power / charging unit 305, a control unit 307, and 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09.

모드 전환부(301)는 동작 모드 전환, 예를 들어 리모콘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다가 조명 장치(100)제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unit 301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for example, perform the general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n perform control switching of the lighting apparatus 100. [

상기 메모리부(303)는 운용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프로토콜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memory unit 303 may store an oper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 protocol and the like.

상기 전원/충전부(305)는 무선컨트롤러(300)의 동작을 위하여 충전 및 전원을 제공한다.The power supply / charging unit 305 provides charging and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ntroller 300.

송/수신부(309)는 제어부(307)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명령을 설정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조명 장치(100)의 통신 모듈(400)로 전송한다.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9 transmits the user command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307 to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of the lighting device 100 through the set wireless network.

제어부(307)는 상기 메모리부(303)의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부(301), 전원/충전부(305) 및 송/수신부(309)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07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mode switching unit 301, the power supply / charging unit 305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9 using the stored data of the memory unit 303. [

상기 조명 장치(100)는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The illumination device 100 has the structure shown in Fig.

상기 조명 장치(100)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500) 및 상기 무선컨트롤러(300)와 송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400)을 포함한다.The illumin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n illumination module 500 including an illumination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400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o and from the wireless controller 300.

상기 조명 장치(100)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400)은 도 2와 같이 조명 모듈(500)의 커넥터(511)에 삽입 고정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착탈식으로 구성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constituting the illumination device 1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511 of the lighting module 500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상기 조명 장치(100)는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의 복수의 핀이 삽입 고정되는 커넥터(511)를 포함한다. The ligh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nnector 511 into which a plurality of pins of the interface unit 450 of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are inserted and fixed.

상기 커넥터(511)는 도 2와 같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조명 모듈(500)의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제어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or 511 may protrude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520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of the lighting module 500.

이와 같이 조명 장치(100)의 통신 모듈(400)이 조명 모듈(500)과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조명 모듈(500) 중 조명부(530) 또는 제어부(520)의 전원 공급부의 교체 시에 통신 모듈(400)을 재사용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of the illumination device 1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llumination module 500 and the power supply part of the illumination part 530 or the control part 520 of the illumination module 500 is replaced, ) Can be reused.

이러한 통신 모듈(400)은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Such a communication module 400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상기 통신 모듈(400)은 하나의 하우징(411, 431)로 구성되며, 하우징(411, 431) 안에 하나의 유닛을 이루며 안테나부(410), 무선 통신부(430) 및 인터페이스부(450)가 형성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400 includes one housing 411 and 431 and is formed as one unit in the housings 411 and 431 and includes an antenna unit 4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0, and an interface unit 450 .

안테나부(410)는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The antenna unit 410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ntroller 3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무선 통신부(430)는 상기 안테나부(4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500)로 전송될 복수의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antenna unit 410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output signals to be transmitted to the lighting module 5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상기 무선 통신부(43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410)의 제어 신호를 분석하는 통신집적회로(435)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435 that analyzes a control signal of the antenna unit 41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ireless network.

즉, 상기 통신 모듈(400)은 결정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신집적회로(435)를 선택하여 통신 모듈(400) 내에 실장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can selectively implement the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435 according to the determine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and implement the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435 in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상기 통신집적회로(435)는 지그비, 지웨이브,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435 may support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ZigBee, GeoWave, WiFi, and Bluetooth.

상기 무선 통신부(430)는 상기 통신집적회로(435)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집적회로(435)를 강제로 리셋시키는 리셋부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0 includes a display unit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435 and displaying the status to the outside, and a reset unit for forcibly resetting the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435.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통신집적회로의 오작동 시 빛을 방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display unit may emit light when the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malfunctions.

상기 발광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인터페이스부(450)는 상기 무선 통신부(43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한다.The interface unit 450 includes a plurality of p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0. [

상기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은 도 4와 같이 5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umber of the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may be five as shown in FIG. 4,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조명 모듈(500)은 인터페이스부(510), 제어부(520) 및 조명부(530)를 포함한다.The illumination module 500 includes an interface unit 510, a control unit 520, and an illumination unit 530.

상기 인터페이스부(510)는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 모듈(400)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커넥터(511)를 포함한다.The interface unit 510 includes a connector 511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450 of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and receiv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상기 제어부(520)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45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조명부(530)에 조명 신호를 공급한다. The control unit 52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nd receives an output signal from the interface unit 450 to supply an illumination signal to the illumination unit 530.

상기 조명부(530)는 광원(535)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535)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llumination unit 530 includes a light source 535 and the light source 535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LED).

상기 통신 모듈(400)과 조명 모듈(500)의 인터페이스부(450, 510)는 조명 제어 방식에 따라 각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출력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The interfaces 450 and 510 of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and the lighting module 500 can set output signals of the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method.

상기 조명 제어 방식에 따른 각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구성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조명 모듈(500)에 삽입 고정되는 탈착식 통신 모듈(400)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vable communication module 400 inserted and fixed in the lighting module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FIG.

도 6은 도 1의 통신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통신 모듈의 상면도, y축에서 바라본 측면도 및 x축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통신 모듈 내부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인쇄회로기판의 상면도이며, 도 10은 도 6의 통신 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단면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FIG. 1, FIGS. 7a to 7c are a top view, a sid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communication module viewed from the y axis and the x axis, respectively, Fig. 9 is a top view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Fig. 8, and Fig. 10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Fig.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통신 모듈(400)은 안테나부(410), 무선 통신부(430) 및 인터페이스부(450)가 집적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411, 431)으로 구성된다.6 to 10,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antenna unit 4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0, and the interface unit 450 are integrated and a par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ousing 411,

도 6과 같이 하우징(411, 431)은 인터페이스부(450)에 대응하는 영역을 외부로 돌출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한다. As shown in FIG. 6, the housings 411 and 431 protrude outwardly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unit 450 and receive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하우징(411, 431)은 안테나부(410)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411), 및 상기 제1 수용부(411)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430)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431)를 포함한다.The housing 411 and 431 protrude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in which the antenna 410 is receiv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431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431.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411, 431)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2 방향(z)으로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결합체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411 and 431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and may be a combined body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coupled in a second direction z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

상기 하우징(411, 431)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리지드 타입의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s 411 and 431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preferably a rigid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제1 수용부(411)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의 안테나부(410)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고, 제3 방향(y)으로 긴 장방형의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ntenna portion 41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in and has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third direction y.

상기 제1 수용부(411)는 제3 방향(y)으로의 제1폭(d1)이 20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22mm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의 폭(d6)이 6 내지 7mm, 바람직하게는 6,4 내지 6.5mm일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411)의 제2 방향(z)으로의 높이(d4)는 7 내지 8mm, 바람직하게는 7.7mm일 수 있다.The first receiving portion 411 may have a first width d1 in the third direction y of 20 to 25 mm and preferably 22 mm and a width d6 in the first direction x is 6 To 7 mm, preferably from 6, 4 to 6.5 mm. The height d4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in the second direction z may be 7 to 8 mm, preferably 7.7 mm.

상기 제1 수용부(411)의 변은 모따기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Th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may be chamfered to have a curvature.

상기 제1 수용부(411)는 도 7c와 같이 제1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 즉 제2 수용부(431)가 돌출되는 측면의 배면에 개구부(412)를 포함한다.7C,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includes an opening 412 on a side thereof viewed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on a rear surface of a side where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431 protrudes.

상기 개구부(412)는 제1 수용부(411)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진다.The opening 412 has a hole shape passing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상기 개구부(412)는 외부에서 내부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빛을 방출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The opening 412 is used as a passage for emitting light by detecting an internal malfunction from the outside.

상기 제1 수용부(411)의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은 안테나부(410)에 대응하는 안테나 영역을 포함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inserted in the sp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includes an antenn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portion 410.

상기 안테나 영역(410a)은 도 8과 같이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기판(432) 위에 패터닝되어 있는 안테나 패턴(415)을 포함한다.The antenna region 410a is formed on one end of a printed circuit board as shown in FIG. 8 and includes an antenna pattern 415 patterned on a support substrate 432.

상기 안테나 패턴(415)은 평판 역F 안테나 형태(Planar Inverted F Antenna; PIFA) 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ntenna pattern 415 may have a planar inverted F antenna (PIF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안테나 패턴(415)은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 형태 또는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antenna pattern 415 may be implemented as a monopole antenna or a dipole antenna.

이러한 안테나 영역(410a)은 지지기판(432)이 안테나의 유전몸체를 이루고, 상기 지지기판(432) 위에 안테나 패턴(415), 기판(432) 하부에 그라운드층(도시하지 않음) 및 유전몸체(432) 내부 또는 외부에 매칭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region 410a includes a support substrate 432 as a dielectric body of the antenna and an antenna pattern 415 on the support substrate 432. A ground layer (not shown) and a dielectric body (not shown) 432 may include a matching pattern (not shown) inside or outside.

안테나부(410)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제공된다. 즉 안테나 패턴(415)은 일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패턴(415)은 미리 정해진 기준 임피던스에서 공진한다. The antenna unit 410 is provid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at is, the antenna pattern 415 can resonate in a certain frequency band to pass a signal. The antenna pattern 415 resonates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impedance.

이러한 안테나 패턴(415)은 그라운드층에 인접하여 일단이 급전점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급전점은 유전몸체인 기판(432)를 관통하여, 기판(432)의 하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 패턴(415)은 적어도 하나의 곡절(曲折)부에 의해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성분 회로와 수직 성분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ntenna pattern 41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round layer so that one end of the antenna pattern 415 is positioned at the feed point. Here, the feed point may extend through the substrate 432, which is a dielectric bod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432. At this time, the antenna pattern 415 may include at least one horizontal component circuit and a vertical component circuit that are separated by at least one curved portion.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120)는 각각 미앤더(meander) 타입, 스파이럴(spiral) 타입, 스텝(step) 타입, 루프(loop) 타입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송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ntenna element 12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meander type, a spiral type, a step type, and a loop type.

그라운드층은 안테나 패턴(415)의 접지를 위해 제공된다. The ground layer is provided for grounding the antenna pattern 415.

내부 또는 외부 매칭패턴은 안테나 패턴(415)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로 매칭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The inner or outer matching pattern is provided to match the impedance of the antenna pattern 415 to the reference impedance.

이와 같이 안테나부(410)를 평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소형 통신 모듈(400)에 집적이 가능하다. By forming the antenna unit 410 into a flat plate shape,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antenna unit 410 into the small communication module 400.

상기 안테나 패턴(415)은 전도성 물질, 구리, 알루미늄, 니켈, 몰리브덴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ntenna pattern 415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 metal such as copper, aluminum, nickel, or molybdenum.

한편, 상기 제1 수용부(411)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수용부(431)는 제3 방향(y)으로의 폭(d2)이 17 내지 18mm, 바람직하게는 17.4 내지 17.5mm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의 폭(d7)이 18 내지 19mm,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18.2mm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부(431)의 제2 방향(z)으로의 높이(d5)는 4.5 내지 5.2mm, 바람직하게는 5mm일 수 있다.The second receiving portion 431 protruding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411 in the first direction x has a width d2 in the third direction y of 17 to 18 mm, To 17.5 mm, and the width d7 in the first direction (x) may be 18 to 19 mm, preferably 18 to 18.2 mm. The height d5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431 in the second direction z may be 4.5 to 5.2 mm, preferably 5 mm.

이와 같이 상기 제2 수용부(431)는 제1 수용부(411)보다 제3 방향(y)으로의 폭(d2)이 작아 제1 수용부(411)의 측면에 소정의 더미 공간이 형성되며, 제2 수용부(431)가 제1 수용부(411)보다 작은 높이(d5)를 가지므로, 제2 수용부(431)는 제1 수용부(411)로부터 단차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width d2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431 in the third direction y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411, a predetermined dummy spac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411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431 may have a stepped portion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411 becaus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431 has a height d5 smaller tha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411. [

상기 제2 수용부(431)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의 무선통신부(4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제2 수용부(431)는 도 6과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receiving portion 431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43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i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431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

상기 제1 수용부(411)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고정부(413)가 형성되어 있다.A fixing portion 413 is formed in a spac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상기 고정부(413)는 도 6과 같이 제1 수용부(411)와 제2 수용부(431)의 면적 차에 의해 형성되는 더미 공간에 형성되며, 제1 수용부(411)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fixing portion 413 is formed in a dummy space formed by a difference in area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431 as shown in FIG. (X) in one direction.

상기 고정부(413)는 하우징(411, 431)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에 삼각형의 돌기를 가지므로, 조명 모듈(500)과의 삽입 시에 걸림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fixing portion 41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of the housings 411 and 431 and has a triangular protrusion at one end thereof, it can be hooked when inserted into the lighting module 500 to improve the fixing force.

이러한 고정부(413)는 제2 수용부(43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의 돌기가 외부를 향하도록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These fixing portions 41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431, and may be formed in a manner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protrusions of the triangular shape facing outward.

한편, 상기 제2 수용부(431)의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무선 통신부(430)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듈 영역(430a)은 도 8과 같이 복수의 소자가 실장되어 있다.8, a plurality of elements are mounted on the module area 430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rt 430 inserted in the sp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431. [

상기 모듈 영역(430a)은 내부에 상기 무선컨트롤러(300)와 송수신을 위한 무선집적회로(435)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집적회로(435)는 무선 환경에 따라 지그비, 와이파이, 지웨이브 및 블루투스 등의 무선집적회로(435)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에 따라 주변부의 수동소자 및 회로 구성은 가변될 수 있다.The module area 430a includes a wireless integrated circuit 435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wireless controller 300. The wireless integrated circuit 435 wirelessly transmits Zigbee,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and implemented.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wireless integrated circuit 435, the passive elements and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may be varied.

상기 모듈 영역(430a)에는 상기 안테나 영역과의 경계 영역에 리셋 스위치(433) 및 표시부(432)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module area 430a, a reset switch 433 and a display part 432 are formed in a boundary area with the antenna area.

상기 리셋 스위치(433)는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동작을 리셋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수용부(411)의 개구부(412)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reset switch 433 is for resett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integrated circuit 435 and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opening 412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상기 리셋 스위치(433)는 상기 개구부(412)와 리셋 스위치(433) 사이에 단자(434)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434)의 접촉에 의해 리셋 명령을 인지하고 상기 무선집적회로(435)를 리셋시킨다.The reset switch 433 includes a terminal 434 between the opening 412 and the reset switch 433 and recognizes a reset command by the contact of the terminal 434 and outputs the reset signal to the wireless integrated circuit 435 Reset.

한편, 상기 리셋 스위치(433)와 이웃하게 표시부(432)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display portion 432 is formed adjacent to the reset switch 433.

상기 표시부(432)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오동작시 턴온되어 빛을 방출한다. The display unit 432 includes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integrated circuit 435 to emit light when turned on when a malfunction occurs.

상기 하우징(411, 431)은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테나 영역(410a) 위에 부유하며 형성되는 접촉부(416, 418)를 포함한다.The housings 411 and 431 includ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protruding from the inside and floating on the antenna region 410a.

상기 접촉부(416, 418)는 제1 수용부(411)의 개구부(412)와 리셋 스위치(43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are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portion 412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and the reset switch 433.

상기 접촉부(416, 418)는 제1 수용부(4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수용부(411)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but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

상기 접촉부(416, 418)는 내부에 심부(418) 및 상기 심부(418)를 둘러싸는 보호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may include a core portion 418 and a protection portion 416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418.

상기 보호부(416)는 빛을 전달하는 빛 전달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432)와 개구부(412) 사이에 도광로로서 기능한다.The protective portion 416 may be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and functions as a light guide between the display portion 432 and the opening portion 412.

따라서, 상기 표시부(432)와 마주하는 보호부(416)의 측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Therefore, the side surface of the protection portion 416 facing the display portion 432 may have a curved surface.

상기 접촉부(416, 418)는 상기 리셋 스위치(433)의 단자(434)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접촉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terminal protruding toward the terminal 434 of the reset switch 433. [

상기 접촉 단자와 리셋 스위치의 단자(434)는 정상 동작 시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terminal 434 of the reset switch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normal operation.

상기 표시부(432)를 이루는 발광 소자는 상기 접촉부(416, 418)와 소정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부(432)로부터 방출된 빛이 상기 접촉부(416, 418)의 표면을 타고 개구부(41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constituting the display portion 432 is dispos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ortion 432 rides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412).

이때, 상기 개구부(412)는 도 6과 같이 제1 수용부(411)를 관통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 8과 같이 제1 수용부(411)가 돌출되어 있는 돌기(414)에 개구부(412)를 가질 수도 있다.The opening 412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as shown in FIG. 6. However, the opening 412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414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protrudes 412).

이와 같이 개구부(412)가 제1 수용부(411)의 돌기(414)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개구부(412)를 통하여 빛이 방출되면 외부에서 통신집적회로(435)의 오작동을 감지하고, 상기 돌출되어 있는 돌기(414)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 412 is formed in the protrusion 414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411 as described above, when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opening 412, the erroneous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435 is detected externally,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protruding protrusion 414.

상기 돌기(414)에 압력이 가해지면, 접촉부(416, 418)가 탄성력에 의해 밀림되어 리셋 스위치(433)의 단자(434)와 접촉됨으로써 리셋 스위치(433)가 동작하여 상기 통신집적회로(435)를 리셋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are pushed by the elastic force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434 of the reset switch 433 so that the reset switch 433 is operated and the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435 Can be reset.

이때, 상기 개구부(412)가 돌기(414) 없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구부(412)를 관통하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부(416, 418)에 직접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opening 412 is formed without the projection 414, pressure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using a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412.

이때, 상기 도 8과 같이 상기 표시부(432)와 접촉부(416, 418)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의 빛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도 10과 같이 표시부(432)와 접촉부(416, 418) 사이의 이격 공간에 도파로(439)를 형성할 수도 있다.8, in order to reduce the light loss in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display portion 432 and 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the spacing between the display portion 432 and 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as shown in FIG. The waveguide 439 may be formed.

상기 광도파로(439)의 경우, 표시부(432)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빛을 전반사에 의해 상기 접촉부(416, 418)에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optical waveguide 439,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portion 432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act portions 416 and 418 without loss by total reflection.

한편, 모듈 영역(430a)과 안테나 영역(410a)과의 경계 영역에는 외장형 안테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패턴(417)이 형성될 수도 있다.A connection pattern 417 for connection to an external antenna may be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module area 430a and the antenna area 410a.

상기 모듈 영역(430a)과 단자 영역(450a) 사이의 경계 영역에는 하우징(411, 431)과 인쇄회로기판의 고정을 위한 함몰부(4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몰부(436)는 하우징(411, 431) 내면에 형성되는 돌기(437)와 결합한다. A housing 411 and 431 and a depression 436 for fix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module region 430a and the terminal region 450a. 411 and 431, respectively.

또한, 상기 하우징(411, 431)은 상기 함몰부(436)와 결합되는 돌기(437) 이외에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돌기(438)를 포함한다.The housings 411 and 431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438 for fixing the sid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to the protrusions 437 which are engaged with the depressed portions 436.

상기 고정돌기(438)는 상기 돌기(437)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438 may have a height small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437.

한편, 상기 하우징(411, 431)의 제2 수용부(431)의 끝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450)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영역(450a)은 도 6과 같이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한다.6, the terminal region 450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portion 450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431 of the housings 411 and 431 has a plurality of pins 452a , 452b, 454a, 454b, 454c.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상기 하우징(411, 431)의 끝단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의 폭이 3.5 내지 4.0mm의 길이(d8)를 가지고, 제3 방향(y)으로의 폭(d3)이 15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terminal region 450a has a length d8 of 3.5 to 4.0 mm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end of the housing 411 and 431 and a width d3 in the third direction y ) Can have a length of 15 mm.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지지기판(432) 위에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은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al region 450a includes a plurality of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on a support substrate 432 and the plurality of fins 452a, 452b, 454a, 454b, But are not limited to, five pins 452a, 452b, 454a, 454b, 454c.

이와 같이 복수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은 임의의 수효로 그루핑되며, 단자 영역(450a)은 상기 그루핑된 핀(452a, 452b, 454a, 454b, 454c) 사이의 지지기판(432)이 제거되어 있는 함몰부(455)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are grouped into arbitrary number and the terminal region 450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And a depression 455 in which the support substrate 432 between the grouped fins 452a, 452b, 454a, 454b, 454c is removed.

상기 함몰부(455)를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그루핑된 핀(452a, 452b)을 제1 핀부(451), 우측의 그루핑된 핀(454a, 454b, 454c)을 제2 핀부(453)로 정의한다.The grouped pins 452a and 452b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depression 455 are defined as a first fin portion 451 and the right side grouped pins 454a and 454b and 454c are defined as a second fin portion 453. [ do.

상기 제1 핀부(451) 및 제2 핀부(451)는 서로 다른 수효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한다.The first fin 451 and the second fin 451 include different number of pins 452a, 452b, 454a, 454b, 454c.

단자 영역(450a)이 5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핀부(451)가 2개의 핀(452a, 452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핀부(453)가 3개의 핀(454a, 454b, 454c)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region 450a includes five p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the first pin portion 451 includes two pins 452a and 452b, 453 may include three pins 454a, 454b, 454c.

이와 같이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서로 다른 수효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을 갖도록 그루핑함으로써 통신 모듈(400)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할 수 있다. By dividing the plurality of pins 452a, 452b, 454a, 454b, 454c into different number of pins 452a, 452b, 454a, 454b, 454c,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can be distinguished .

또한, 제1 핀부(451)와 제2 핀부(453) 사이에 함몰부(455)를 형성하여 제1 핀부(451)와 제2 핀부(453)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사이에 형성되는 간섭을 줄일 수 있다.A depression 45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n 451 and the second fin 453 so that the fins 452a, 452b, 454a, 454b, 454c of the first fin 451 and the second fin 453 Can be reduced.

상기 함몰부(455)의 폭은 0.9mm 이상일 수 있으며, 핀(452a, 452b, 454a, 454b, 454c)과 핀(452a, 452b, 454a, 454b, 454c) 사이의 이격 폭은 0.8mm 이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width of the depressed portion 455 may be 0.9 mm or mor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and the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may be set to 0.8 mm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핀부(451)와 제2 핀부(453)의 경계에 지지기판(432)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supporting substrate 432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fin 451 and the second fin 453.

한편,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양 측변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걸림홈(456)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region 450a includes an engaging groove 456 which is recessed in both sides.

상기 걸림홈(456)은 도 8과 같이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의 더미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9와 같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일부가 함께 제거되어 걸림홈(456)을 형성할 수도 있다.8, the latching grooves 456 may be formed in the dummy area where the pins 452a, 452b, 454a, 454b, 454c are not formed, but the p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may be removed together to form an engaging groove 456. [

상기 걸림홈(456)은 상기 단자 영역(450a)이 조명 모듈(500)의 커넥터(511)에 삽입될 때, 커넥터(511) 내부의 돌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ngaging groove 456 may be engaged with a protrusion (not shown) inside the connector 511 when the terminal region 450a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511 of the lighting module 500, .

이러한 단자 영역(450a)은 도 9와 같이 각 핀(452a, 452b, 454a, 454b, 454c)의 제1 방향(x)으로의 가장자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457)를 포함할 수 있다.This terminal region 450a may include at least one recess 457 in the edge region in the first direction x of each of the fins 452a, 452b, 454a, 454b, and 454c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상기 통신 모듈(400)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능 요소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지지기판(432) 위의 전극층을 패터닝하여 안테나 패턴(415), 핀(452, 454) 및 상기 모듈 영역(430a)의 내부 회로패턴의 형성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unctional element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The electrode pattern on the supporting substrate 432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atterned to form the antenna pattern 415, The formation of the fins 452 and 454 and the internal circuit pattern of the module area 430a can proceed simultaneously.

하나의 상기 통신 모듈(400)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 및 조명부(530)의 조명제어 방식에 따라 회로패턴을 달리하며 형성될 수 있다. A printed circuit board constituting one 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circuit pattern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ireless integrated circuit 435 and the lighting control method of the illumination unit 530. [

따라서,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와 조명제어 방식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형성되어 있을 때, 통신 모듈(400)의 하우징(411, 431)에 특정 인쇄회로기판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통신 모듈(400)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ireless integrated circuit 435 and the lighting control method, a specific printed circuit boar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s 411 and 431 of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Module 400 can be configur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조명 장치 100
조명 모듈 500
통신 모듈 400
무선컨트롤러 300
안테나부 410
무선통신부 430
인터페이스부 450
Lighting device 100
Lighting module 500
Communication module 400
Wireless Controller 300
The antenna unit 4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0
The interface unit 450

Claims (21)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측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공간 내에 배치되는 모듈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 기판은,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칩에 의해 대상물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대상물의 인터페이스와 착탈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핀이 형성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칩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무선 통신 칩을 리셋하는 리셋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리셋 소자는,
상기 하우징의 공간 중 상기 개구부와의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하우징의 공간 중 상기 개구부와의 일직선 상에서 소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무선 통신 칩의 동작 상태에 따라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통신모듈.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on its side, and
And a module substrate disposed within the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module substrate comprises:
An antenna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antenna unit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to an object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an interface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erface of the object and having a plurality of pins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through an opening of the housing;
And a reset element for reset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Wherein the reset element comprises:
A plurality of opening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openings in the space of the housing,
The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straight line of the space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opening and emitting light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테나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통신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antenna portion, and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 RTI >
And the interface part protrudes outside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복수의 핀은 적어도 2개의 핀그룹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핀그룹 사이에 상기 핀그룹을 이격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신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pins of the interface section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pin groups,
And a depresse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pin group is formed between the pin group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개구부와 상기 리셋 소자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리셋 소자를 동작시키는 접촉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mmunication module
A contact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portion and the reset element and moves by a pressure from the outside to operate the reset element,
Lt; / RTI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안테나 영역 위에 부유하는 통신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act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floats over the antenna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빛을 상기 개구부로 전달하는 빛전달물질로 형성되는 통신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from the display portion to the open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와 마주하는 영역이 곡면을 가지는 통신 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act portion has a curved surface in a region facing the display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는 광도파로를 더 포함하는 통신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optical waveguide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가지는 조명 모듈, 그리고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3항, 청구항 5항 내지 청구항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조명 모듈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 모듈로 전달하는 조명장치.
An illumination module hav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9,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Wherein the illumination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llumination module,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ior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illuminat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23563A 2012-05-10 2012-11-02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9765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563A KR101976554B1 (en) 2012-11-02 2012-11-02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2196145.2A EP2663164B1 (en) 2012-05-10 2012-12-07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3/712,272 US9324231B2 (en) 2012-05-10 2012-12-12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2286917A JP5571164B2 (en) 2012-05-10 2012-12-28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310028317.1A CN103390335B (en) 2012-05-10 2013-01-24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uminaire with communication module
CN201610461037.3A CN106408908B (en) 2012-05-10 2013-01-24 Lighting device
EP13167303.0A EP2663165B1 (en) 2012-05-10 2013-05-10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4098754A JP6140103B2 (en) 2012-05-10 2014-05-12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5/085,019 US9881493B2 (en) 2012-05-10 2016-03-30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563A KR101976554B1 (en) 2012-11-02 2012-11-02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96A KR20140056996A (en) 2014-05-12
KR101976554B1 true KR101976554B1 (en) 2019-05-09

Family

ID=5088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563A KR101976554B1 (en) 2012-05-10 2012-11-02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5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698B1 (en) * 2012-08-16 2012-09-20 주식회사 한국안테나 Radio control device of led lighting
WO2012145766A2 (en) * 2011-03-11 2012-10-26 Bora Swapnil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985A (en) * 2008-11-11 2010-05-20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Ligh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5766A2 (en) * 2011-03-11 2012-10-26 Bora Swapnil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184698B1 (en) * 2012-08-16 2012-09-20 주식회사 한국안테나 Radio control device of led lig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96A (en)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103B2 (en)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99660B1 (en) The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KR101987226B1 (en) The gateway system ha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gateway system
KR10219156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30001651A (en) Mobile terminal
KR102122447B1 (en) The controlling apparatus ha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KR101976567B1 (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11264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wkreless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576499B1 (en) Light driving device and light driving method therefor
KR101976554B1 (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40064491A (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048735B1 (en) The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TWI764457B (en) Lighting device
KR20140134182A (en) The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KR20140068555A (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49289A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57100A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401717Y1 (en) Module package for receiving light signal
KR20160026461A (en) The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the registration method for the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