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373B1 -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373B1
KR101976373B1 KR1020180007399A KR20180007399A KR101976373B1 KR 101976373 B1 KR101976373 B1 KR 101976373B1 KR 1020180007399 A KR1020180007399 A KR 1020180007399A KR 20180007399 A KR20180007399 A KR 20180007399A KR 101976373 B1 KR101976373 B1 KR 10197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mage
candidate
photo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훈
강경훈
Original Assignee
(주)스크루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크루바 filed Critical (주)스크루바
Priority to KR102018000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373B1/ko
Priority to PCT/KR2019/000733 priority patent/WO201914316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화될 사진 이미지에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 주소지에 매장이 가까이 인접하거나 사진 이미지상의 정보와 관련도가 높은 광고물 이미지를 부가하여 배송함으로써, 접점마케팅을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크게 하고 광고의 도달율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An advertising system and an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화된 사진에 광고 이미지를 부가하여 광고의 도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업 규모가 영세한 소상공인은 광고비 지출 여력이 적어 총 광고비가 적게 소요되는 전단지 광고를 주 광고 수단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광고물 전단지는 고정 장소에서 배포되거나, 특정 장소의 게시판 내에 부착되거나, 또는 집집마다 배포되는 방식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전단 광고지는 소비자가 받는 행위 자체를 거부하거나 귀찮아하고 설령 받았다고 하더라도 소비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광고의 효과가 높지 않았다.
한편,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고 이를 소셜미디어(카카오톡, 페이스북 등)에 포스팅하는 것이 사진 정보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전자화된 사진 정보는 쉽고 빠르게 공유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어디서든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속성으로 인해 사진은 인화되기 보다는 전자 파일 형태로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화된 사진에 대한 욕구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사진 인화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써, 광고물이 소비자에게 거부감 없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물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 도달율을 높일 수 있어 광고 효과가 큰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의 비용으로 사진 인화 및 배송 비용을 충당함으로써 일반 소비자가 경제적인 부담 없이 사진 인화물을 받아 볼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진 인화 시장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사이에 인화된 사진을 통해 오프라인 상의 교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감성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도달율이 높고, 소비자에 대한 전달력이 높아 광고 효과가 크고, 광고주 입장에서 효율적인 광고비 집행이 가능한 광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발송인으로부터 인화할 사진에 대한 정보 및 인화된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인에게 인화된 사진에 대한 배송 수락 여부를 확인하는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와, 인화할 사진 이미지에 광고물 이미지를 부가하여 최종 인화물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와, 발송인 또는 수신인에게 노출할 광고물을 관리하고,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광고주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는 수신인의 배송지 정보 및 사진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광고물을 선정하는 광고 매칭부와,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사진 이미지 관련 키워드를 제공하는 사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매칭부는 배송지에 근접하여 매장이 위치된 광고물을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상기 사진 분석부에서 제공되는 사진 이미지 관련 키워드와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 키워드를 서로 비교하여 이들 키워드가 일치하거나 유사성이 높은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에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으면, 수신인의 과거 상품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일 업종의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재선정하여,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의 교집합이 있을 경우 그 교집합을 최종 광고물로 선정하고, 교집합이 없을 경우 1차 적정 광고 후보군만으로 최종 광고물을 선정한다.
또한, 상기 광고 시스템은 발송인의 위치에 기반한 광고물을 발송인에게 노출하는 모바일 광고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주 관리부는 상기 모바일 광고 관리부 및 상기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를 통해 노출된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방법은 발송인으로부터 사진 인화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사진 인화 요청 수신 단계와, 인화된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에게 사진 배송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배송 수락 여부 확인 단계와, 인화될 사진 이미지에 부가하여 인쇄될 광고물 이미지를 선정하는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와, 선정된 최종 광고물의 이미지를 사진 이미지에 부가하여 최종 인화물 이미지를 생성하고, 최종 인화물 이미지에 대한 인화 및 인화된 사진을 수신인에게 배송하도록 사진 인화·배송 업체에 요청하는 사진 인화 및 배송 요청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는 배송지 위치에 기반하여 적정 광고 후보군을 1차적으로 선정하는 배송지 위치 기반 1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와,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와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 키워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유사성 높은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사진 이미지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와,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사이에 교집합이 존재한다면, 그 교집합에 속하는 광고물을 최종 광고물로 선정하고, 만일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거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이 선정되지 않았다면 1차 적정 광고 후보군만으로 최종 광고물을 선정하는 최종 광고물 선정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선정된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사이에 교집합이 없을 경우 수신인의 과거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일 업종의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다시 선정하는 통계 데이터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재선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 방법은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광고 성과 분석 및 피드백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 방법은 발송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모바일 광고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따르면, 광고물이 사진과 함께 자연스럽게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접점마케팅(MOT, Moment of Truth)으로 광고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또한, 광고주의 비용으로 사진 인화 및 배송 비용을 충당함으로써 많은 사용자가 비용의 부담 없이 사진 인화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광고가 소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선정된 후, 다시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에 관한 정보나 소비자의 과거 구매 이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심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2차 선정을 거쳐 최종 광고물이 선정되므로 노출된 광고가 소비자의 관심을 끌 여지가 높다.
또한, 일반 전단 광고지가 노상에서 배포됨으로 인해 바쁜 현대인의 주의를 끌기가 더더욱 어려워진 반면, 본 발명은 사진에 부가 되어 인쇄된 광고물이 소비자의 주소지로 직접 배송되어 사진과 함께 노출되기 때문에 일반 전단 광고지에 비하여 광고 도달율이 훨씬 높아 질 수 있다.
또한, 광고주에게 광고 실적을 제공함으로써 광고비의 효율적인 집행이 가능하게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 및 이와 연결된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a ~ 도2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이 제공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들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3a 및 도3b는 사진 이미지에 광고물 이미지가 부가된 최종 인화물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4는 광고주에게 제공되는 성과 분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
도5는 본 발명의 광고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6은 도5의 광고 방법에 있어서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의 상세 단계를 세분하여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1차…”,“2차…”,“제1…”,“제2…”,“첫째”,“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제어 모듈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사진 인화물의 일부 영역에 광고물을 부가하여 수신자가 거부감 없이 광고물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의 도달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고 시스템(1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진 인화 요청을 발송하는 발송인(1), 인화된 사진을 수신하는 수신인(2), 사진 인화물에 광고를 게재하는 광고주(3), 그리고 광고물이 부가된 사진을 인화하여 수신인에게 배송하는 사진 인화·배송 업체(4)와 연결된다. 발송인(1), 수신인(2), 광고주(3), 사진 인화·배송 업체(4)는 광고 시스템(10)에 접속을 위한 단말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유·무선 통신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10)은 또한 발송인(1), 수신인(2), 광고주(3), 사진 인화·배송 업체(4)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웹페이지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 시스템(10)은 발송인(1)으로부터 사진 인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인(2)에게 인화된 사진에 대한 배송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를 포함한다.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발송인(1)으로부터 인화할 사진들에 대한 정보와, 인화된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2)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사진 정보 및 수신인에 대한 정보는 광고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데이터 베이스(19)에 저장된다. 인화 대상 사진은 발송인(1)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거나 또는 발송인이 지정한 소셜 미디어(예,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에 포스팅된 사진 또는 기타 온라인 상의 사진일 수 있다.
도2a ~ 도2h는 본 발명의 광고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예들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2a는 시작화면을 일 예이다.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발송인(1), 수신인(2) 등의 사용자 관리 기능을 갖는다. 도2b는 이러한 사용자 관리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사용자가 별도의 계정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에 보유한 소셜미디어(페이스북,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발송인(1)이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거나 또는 소셜미디어(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클라우드 드라이브 상의 사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들과 연동될 수 있다. 도2c는 이러한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 이다.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인화된 사진을 받을 수신인(2)에게 배송 동의 여부를 확인한다.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수신인(2)에게 이메일, 문자메세지(MMS), 카카오톡 알림 등을 통해 동의 여부 확인 메세지를 발송할 수 있다. 도2d는 그러한 알림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수신인(2)은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를 통해 인화된 사진 배송 동의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도2e는 사진 배송 동의 여부 입력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수신인(2)이 사진 배송에 동의하는 경우 수신할 곳의 주소 및 기타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등에 관한 추가 정보(이하, “배송지 정보”라 함)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2f는 그러한 배송지 정보 입력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만일, 수신인(2)이 사진 수신을 거부하는 경우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발송인(1)에게 이를 통지할 수 있다.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는 수신인(2)의 메세지 확인 여부 및 수신인(2)의 배송 동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발송인(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2g는 발송인(1)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이미지로써, 발송인(1)이 사진 인화를 요청한 순서대로 아래로(또는 위로) 시간 순으로 사진 인화 요청이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인화 요청의 좌우 옆에는 수신인(2)의 메세지 개봉 여부 및 배송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발송인 관리 화면”이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고 시스템(10)은 발송인(1) 또는 수신인(2)에게 노출될 광고물들을 관리하고, 광고 성과를 분석 및 관리하는 광고주 관리부(14)를 갖는다. 광고주 관리부(14)는 본 광고 시스템(10)을 이용해 광고를 수행하고자 하는 광고주(3)에 대한 정보 및 광고물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광고주 관리부(14)는 광고주(3)로부터 광고 하고자 하는 업종, 업체명, 매장 위치,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 혜택 정보 등을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19)에 저장한다. 광고주(3)로부터 수신하는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는 광고물의 주요 소비자, 즉 광고를 수신할 대상자들에 관한 정보로 예를 들어 수요자의 성별, 나이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는 광고를 수신할 대상자들을 매칭시켜주는 키워드(keyword)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 남자를 주요 소비자로 하는 광고의 경우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는 “20대”, “30대”, “남자”, “청년” 등과 같은 키워드일 수 있다. 혜택 정보는 광고 시스템(10)을 통해 수신한 광고를 이용하여 소비하는 경우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할인, 경품 등의 정보일 수 있다.
광고주 관리부(14)는 광고주(3)가 직접 제작한 광고물을 입력 받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광고주(3)에게 미리 정해진 팜플렛, 디자인, 이미지, 형태, 글자 조합의 템플릿을 제공하여 이를 통해 광고물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고 시스템(10)은 발송인(1)이 인화 신청한 사진 이미지에 광고물 이미지를 부가하여 최종 인화물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12)를 갖는다.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12)는 사진에 부가될 광고물을 선정하고, 선정된 광고물을 사진 이미지에 부가한다.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12)는 인화 신청된 사진에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광고물을 매칭시키는 광고 매칭부(12a)를 갖는다.
예를 들어, 광고 매칭부(12a)는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의 주소에 근접하여 매장이 위치된 광고물들을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할 수 있다. 광고 매칭부(12a)는 수신인(2)으로부터 입력 받은 주소 정보와 광고주(3)들로부터 입력 받은 매장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인 주소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 매장이 위치된 광고물들을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할 수 있다. 만일, 수신인 주소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매장이 위치된 광고물이 없을 경우에는 광고 노출 지역에 제한이 없는 프랜차이즈 광고나 기업이미지 광고 등이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광고 노출 지역에 제한이 없는 광고물을 “전국 광고물”이라 한다). 만일, 이러한 전국 광고물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미리 설정된 기본 광고물이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광고 매칭부(12a)는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인이 관심을 가질만한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12)는 인화 대상 사진의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는 사진 분석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진분석부(12b)는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사진분석부(12b)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형태로 제공되는 이미지 분석 도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분석 도구는 예를 들어 구글 클라우드 비젼(Google Cloud Vision API), 아마존 레코그니션(Amazon Rekognition)일 수 있다. 사진분석부(12b)는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관련 키워드를 제공한다. 인화 대상 사진에 인물 사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인물의 성별, 나이, 감정 상태, 안경 착용 유무, 수염 유무 등의 관련 키워드를 제공한다.
광고 매칭부(12a)는 사진 분석부(12b)에서 제공되는 키워드를 광고주 관리부(14)를 통해 입력된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 키워드를 서로 비교하여 이들 키워드가 일치하거나 유사성이 높은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한다. 키워드 간의 유사성이 높다는 것은 사전적 의미에서 유의어(類義語) 관계인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광고시스템(10)내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유사 키워드로 판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분석부(12b)에서 제공되는 인화 대상 사진의 키워드가 연인, 데이트, 사랑 등일 경우 이러한 키워드들을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로 입력한 이벤트 업체, 외식 업체, 선물 업체 등의 광고가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사진분석부(12b)에서 제공되는 인화 대상 사진의 키워드가 가족, 육아, 어린이, 교육 등일 경우 이러한 키워드들을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로 입력한 외식 업체, 유아 용품 업체, 학원 업체 등의 광고가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될 수 있다.
광고 매칭부(12a)는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의 교집합으로 구성되는 광고물을 최종 광고물로 선정할 수 있다. 만일,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광고 매칭부(12a)는 데이터 베이스(19) 상에 존재하는 수신인의 과거 상품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동일 업종의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다시 선정하고 다시 선정된 2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의 교집합으로 구성되는 광고물을 최종 광고물로 선정할 수 있다. 만일, 수신인의 과거 상품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을 다시 선정할 수 없는 경우는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부터만 최종 광고물을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12)는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에 광고물 이미지를 부가하여 최종 인화물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화 관리부(12c)를 포함한다. 인화 관리부(12c)는 광고 매칭부(12a)를 통해 선정된 최종 광고물의 이미지를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에 부가한다. 인화관리부(12c)는 인화 대상 사진의 수와 선정된 최종 광고물의 개수를 비교하여, 인화 대상 사진 수가 광고물 수보다 많은 경우는 인화 대상 사진 수에 맞게 최종 광고물을 반복하여 부가한다. 반대로 선정된 최종 광고물의 개수가 인화 대상 사진 수보다 많은 경우는 인화 대상 사진에 부가할 광고물을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한다. 그러한 우선 순위는 예를 들어, 수신인 주소지로부터의 거리, 해당 광고물의 누적 광고 발행 횟수, 광고 단가 등일 수 있다.
도3a 및 도3b는 최종 인화물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3a에서는 사진의 우측에 광고물 이미지가 부가된 것이고, 도3b에서는 사진의 하단에 광고물 이미지가 부가되어 있다.
인화 관리부(12c)는 최종 인화물의 이미지 정보와, 수신인 정보를 사진 인화·배송 업체(4)에 전송한다. 사진 인화·배송 업체(4)는 광고물 이미지가 부가된 최종 인화물 이미지를 인쇄하여 수신인의 주소지로 배송한다. 한편, 이러한 최종 인화물의 인쇄 및 배송에 소요되는 비용은 광고주의 광고비에서 충당함으로써, 발송인(1)이나 수신인(2)은 비용적인 부담 없이 사진 인화 수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인화 관리부(12c)는 사진 인화·배송 업체(4)로부터 단계별 배송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발송인(1) 및 수신인(2)에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광고주 관리부(14)는 수신인(2)이 사진과 함께 배송된 광고물을 통해 소비하는 경우 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9)저장하였다가 광고 성과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광고주 관리부(14)가 저장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발행되었던 쿠폰 번호, 발행 일자, 소비 일자, 매장, 소비 금액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10)은 또한 발송인(1)의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물을 관리하는 모바일 광고 관리부(13)를 포함한다.
모바일 광고 관리부(13)는 발송인(1)의 위치에 기반한 광고물을 발송인(1)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모바일 광고 관리부(13)는 발송인(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광고(Location-Based Service)를 제공한다. 즉 발송인(1)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매장이 위치하는 광고물들을 발송인(1) 단말기에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광고 관리부(13)는 발송인(1) 단말기의 발송인 관리 화면을 통해 위치 기반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도2h는 그러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2g와 비교해보면 가장 상단의 이미지가 광고 이미지로 대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광고주 관리부(14)는 광고 시스템(10) 통해 수행된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한다.
광고주 관리부(14)는 모바일 광고를 통한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광고 성과는 모바일 광고를 선택(클릭)함으로써 유입된 사용자 수, 모바일 광고가 유도한 결제 실적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 관리부(14)는 전단·쿠폰 광고를 통한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전단·쿠폰 광고를 통한 광고 성과는 인화된 사진에 부가된 광고물의 발행 횟수, 혜택 정보의 발급 횟수(예, 쿠폰 발급 횟수), 혜택 정보를 사용한 구매자 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광고주 관리부(14)가 광고주(3)에게 제공하는 성과 분석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미지 상의 각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①전단·쿠폰 발행 횟수 : 사진 인화 서비스 신청에 의해 수신인(잠재 소비자)에게 해당 광고주의 전단··쿠폰이 발행된 횟수
②실고객 발생 건수 : 광고주가 발행한 전단·쿠폰을 실제 사용한 고객 수
③최근 광고 성과율 : 최근 일정 기간 동안(예, 1개월) 총 발행한 전단·쿠폰 발행 횟수 대비 실고객 발생률
④광고비 집행율 : 광고주의 광고 예산 대비 실제 집행된 광고 비용
⑤광고 고객 유입률 : 광고를 통해 유입된 고객 증감 추이
⑥광고 에디터 : 광고주가 전단·쿠폰 광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템플릿
⑦구역별 광고 발행 및 도달 현황 : 수신인(잠재 소비자)에게 도달한 광고 현황 및 광고를 통한 유입 현황에 대한 지역별 분석
⑧모바일 광고 현황 : 모바일 광고를 통한 발송인(잠재 소비자)의 광고 클릭 횟수 현황
광고 시스템(10)의 데이터 베이스(19)는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12), 모바일 광고 관리부(13), 광고주 관리부(14)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들 데이터를 저장, 복원 및 관리한다. 데이터 베이스(19)가 관리하는 정보는 발송인(1)으로부터 수신한 발송인의 위치 정보, 인화 대상 사진 정보, 수신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인(2)으로부터 수신한 배송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3)로부터 수신하는 광고물의 업종, 업체명, 매장 위치,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 혜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11),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12), 모바일 광고 관리부(13), 광고주 관리부(14)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10)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발송인(1)과 수신인(2)은 서로 다른 사람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수신인(2)은 발송인(1)과 동일인 일 수도 있다. 즉, 발송인(1)은 인화된 사진에 대한 수신인으로써 발송인(1) 본인을 지정할 수도 있다.
다음은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10)을 이용한 광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방법은 발송인으로부터 사진 인화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사진 인화 요청 수신 단계(S10)를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는 발송인으로부터 인화할 사진들에 대한 정보와, 인화된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인화된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에게 사진 배송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배송 수락 여부 확인 단계(S20)가 수행된다. 이메일, 문자메세지(MMS), 카카오톡 알림 등을 통해 배송 수락 여부 확인 메세지가 수신인에게 발송된다.
수신인이 사진 배송을 수락하면 배송지 정보 수신 단계(S30)가 수행된다. 수신인으로부터 인화된 사진이 배송될 주소를 포함하는 배송지 정보가 수신된다. 만일, 이전 배송 기록이 남아 있다면 기존 배송지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만일, 수신인이 사진 배송을 수락하지 않으면 배송 거부 메세지가 발송인에게 전달되고 절차가 종료된다.
배송지 정보 수신 단계(S30) 다음으로 인화될 사진 이미지에 부가하여 인쇄될 광고물 이미지를 선정하는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S40)가 수행된다. 인화될 사진에 부가될 광고물이 선정되고, 선정된 광고물 이미지가 사진 이미지에 부가된다.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S40)는 도6과 같이 세분화된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S40)는 배송지 위치에 기반하여 적정 광고 후보군을 1차적으로 선정하는 배송지 위치 기반 1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의 주소에 근접하여 매장이 위치된 광고물들이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될 수 있다. 즉, 사진 배송지 주소와 광고주의 매장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배송지 주소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 매장이 위치된 광고물들이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될 수 있다. 만일, 수신인 주소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매장이 위치된 광고물이 없을 경우에는 광고 노출 지역에 제한이 없는 프랜차이즈 광고나 기업이미지 광고와 같은 전국 광고물이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전국 광고물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미리 설정된 기본 광고물이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진 이미지와 관련성이 있는 광고물을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사진 이미지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S42)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사진 분석부(12b)에서 제공되는 인화 대상 사진 관련 키워드와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의 키워드를 서로 비교하여 키워드가 서로 일치하거나 유사성이 높은 광고물이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된다.
다음으로 교집합 유무 판단 단계(S43)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배송지 위치 기반 1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S41)에서 선정된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사진 이미지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S42)에서 선정된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간에 교집합이 존재하는지 유무가 판단된다.
만일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으면 수신인의 과거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 유무를 확인하는 수신인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 유무 판단 단계(S44)가 수행된다.
수신인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가 있으면 그 통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동일 업종의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다시 선정하는 통계 데이터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재선정 단계(S45)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최종 광고물 선정 단계(S46)가 수행된다. 배송지 위치 기반 1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S41)에서 선정된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사진 이미지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S42) 또는 통계 데이터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재선정 단계(S45)에서 선정된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부터 이들 사이에 교집합이 존재한다면, 그 교집합에 속하는 광고물이 가장 우선적으로 최종 광고물로 선정된다. 만일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거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이 선정되지 않았다면 1차 적정 광고 후보군만으로 최종 광고물이 선정된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S40) 다음으로 선정된 최종 광고물의 이미지를 사진 이미지에 부가하여 최종 인화물 이미지를 생성하고, 최종 인화물 이미지에 대한 인화 및 인화된 사진을 수신인에게 배송하도록 사진 인화·배송 업체에 요청하는 사진 인화 및 배송 요청 단계(S5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광고 성과 분석 및 피드백 단계(S60)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광고물의 발행 횟수, 혜택 정보의 발급 횟수, 혜택 정보를 사용한 구매자 수 등 광고 성과에 관련된 지표를 광고주에게 제공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광고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방법은 발송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모바일 광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광고 단계는 전단·쿠폰광고와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광고 성과 분석 및 피드백 단계(S60)는 모바일 광고에 따른 광고 성과 분석 결과를 더 포함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따르면, 광고물이 사진과 함께 자연스럽게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접점마케팅(MOT, Moment of Truth)으로 광고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또한, 광고주의 비용으로 사진 인화 및 배송 비용을 충당함으로써 많은 사용자가 비용의 부담 없이 사진 인화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광고가 소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선정된 후, 다시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에 관한 정보나 소비자의 과거 구매 이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심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2차 선정을 거쳐 최종 광고물이 선정되므로 노출된 광고가 소비자의 관심을 끌 여지가 높다.
또한, 일반 전단 광고지가 노상에서 배포됨으로 인해 바쁜 현대인의 주의를 끌기가 더더욱 어려워진 반면, 본 발명은 사진에 부가 되어 인쇄된 광고물이 소비자의 주소지로 직접 배송되어 사진과 함께 노출되기 때문에 일반 전단 광고지에 비하여 광고 도달율이 훨씬 높아 질 수 있다.
또한, 광고주에게 광고 실적을 제공함으로써 광고비의 효율적인 집행이 가능하게 한다.
10 : 광고 시스템
11 :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
12 :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
13 : 모바일 광고 관리부
14 : 광고주 관리부
19 : 데이터 베이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발송인으로부터 인화할 사진에 대한 정보 및 인화된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인에게 인화된 사진에 대한 배송 수락 여부를 확인하는 사진 인화 요청 관리부와,
    인화할 사진 이미지에 광고물 이미지를 부가하여 최종 인화물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와,
    발송인 또는 수신인에게 노출할 광고물을 관리하고,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광고주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는 수신인의 배송지 정보 및 사진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광고물을 선정하는 광고 매칭부와,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사진 이미지 관련 키워드를 제공하는 사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매칭부는 배송지에 근접하여 매장이 위치된 광고물을 1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상기 사진 분석부에서 제공되는 사진 이미지 관련 키워드와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 키워드를 서로 비교하여 이들 키워드가 일치하거나 유사성이 높은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하고,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에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으면, 수신인의 과거 상품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일 업종의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재선정하여,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의 교집합이 있을 경우 그 교집합을 최종 광고물로 선정하고, 교집합이 없을 경우 1차 적정 광고 후보군만으로 최종 광고물을 선정하는 광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스템은 발송인의 위치에 기반한 광고물을 발송인에게 노출하는 모바일 광고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 관리부는 상기 모바일 광고 관리부 및 상기 전단·쿠폰 광고 관리부를 통해 노출된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6. 삭제
  7. 사진 이미지에 광고 이미지를 부가하여 최종 인화물을 생성하는 광고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발송인으로부터 사진 인화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사진 인화 요청 수신 단계와,
    인화된 사진을 수신할 수신인에게 사진 배송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배송 수락 여부 확인 단계와,
    인화될 사진 이미지에 부가하여 인쇄될 광고물 이미지를 선정하는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와,
    선정된 최종 광고물의 이미지를 사진 이미지에 부가하여 최종 인화물 이미지를 생성하고, 최종 인화물 이미지에 대한 인화 및 인화된 사진을 수신인에게 배송하도록 사진 인화·배송 업체에 요청하는 사진 인화 및 배송 요청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는
    배송지 위치에 기반하여 적정 광고 후보군을 1차적으로 선정하는 배송지 위치 기반 1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와,
    인화 대상 사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와 광고 대상 소비자 정보 키워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유사성 높은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선정하는 사진 이미지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선정 단계와,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사이에 교집합이 존재한다면, 그 교집합에 속하는 광고물을 최종 광고물로 선정하고, 만일 교집합이 존재하지 않거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이 선정되지 않았다면 1차 적정 광고 후보군만으로 최종 광고물을 선정하는 최종 광고물 선정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쿠폰 광고 선정 단계는
    선정된 1차 적정 광고 후보군과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사이에 교집합이 없을 경우 수신인의 과거 구매 이력 통계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일 업종의 광고물을 2차 적정 광고 후보군으로 다시 선정하는 통계 데이터 기반 2차 적정 광고 후보군 재선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방법은 광고 성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광고 성과 분석 및 피드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방법은 발송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모바일 광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KR1020180007399A 2018-01-19 2018-01-19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97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99A KR101976373B1 (ko) 2018-01-19 2018-01-19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PCT/KR2019/000733 WO2019143162A1 (ko) 2018-01-19 2019-01-18 광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99A KR101976373B1 (ko) 2018-01-19 2018-01-19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151A Division KR20190088922A (ko) 2019-05-01 2019-05-01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373B1 true KR101976373B1 (ko) 2019-05-08

Family

ID=6658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399A KR101976373B1 (ko) 2018-01-19 2018-01-19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3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198A (ko) * 2008-04-04 2009-10-08 유석호 광고 캠페인 성과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140035545A (ko) * 2012-09-13 2014-03-24 (주)에스피에이치 이미지 출력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1417A (ko) * 2016-02-01 2017-08-09 구본철 사진 인화를 통한 광고 관리 장치 및 광고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198A (ko) * 2008-04-04 2009-10-08 유석호 광고 캠페인 성과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140035545A (ko) * 2012-09-13 2014-03-24 (주)에스피에이치 이미지 출력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70091417A (ko) * 2016-02-01 2017-08-09 구본철 사진 인화를 통한 광고 관리 장치 및 광고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8134B2 (ja) 最適化されたエンベッディド・ライブコンテンツを伴う電子メールを作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9324093B2 (en) Measuring the effects of social sharing on online content and advertising
US8682728B2 (en) Network advertising methods and apparatus
CN105631701B (zh) 内容创建、部署合作以及跟踪曝光
US20170206545A1 (en) Recipient centric messaging system and protocols to implement it over data networks
US20240078503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ed delivery items using a hybrid-digital mailbox
US200901775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ffering and Selling Advertising
JP2010136332A (ja) 広告提供方法、広告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62211A1 (en) Web-based, self-service coupon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130346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advertising on parcel packages
US201102706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advertising on parcel packages
EP20978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ffering and selling advertising
US20150051964A1 (en) Providing offers for local discounted goods and services
US201503481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online publishing platform
KR20010000710A (ko) 인터넷 상의 맞춤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17368B2 (ja) 電子広告管理システム
KR101976373B1 (ko)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673372B1 (ko)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8922A (ko)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WO201507392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ocation-conscious mobile banner
JP6243572B1 (ja) 掲示物管理システムおよび掲示物管理方法
KR20040046559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박스 광고 제공 방법
JP2009015593A (ja) 広告公開システム、広告公開方法及び広告公開プログラム
JP7426766B1 (ja)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及び処理方法
KR102099892B1 (ko) 딱지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